KR101574192B1 - Seedling transplanter - Google Patents

Seedling transplan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192B1
KR101574192B1 KR1020130151555A KR20130151555A KR101574192B1 KR 101574192 B1 KR101574192 B1 KR 101574192B1 KR 1020130151555 A KR1020130151555 A KR 1020130151555A KR 20130151555 A KR20130151555 A KR 20130151555A KR 101574192 B1 KR101574192 B1 KR 101574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edling
link
rods
compa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66241A (en
Inventor
문성한
Original Assignee
문성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한 filed Critical 문성한
Priority to KR1020130151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192B1/en
Publication of KR2015006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2Hand tools for making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2Hand sowing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정식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정식삽이 힌지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모종공간부가 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삽부재; 한 쌍의 상기 정식삽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모종공간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봉; 일단의 투입구와 타단의 배출구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모종공간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작동봉 중 어느 한 작동봉에 고정되는 모종가이드; 한 쌍의 상기 작동봉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모종 정식작업 시, 선 자세로 구덩이를 파낼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작동봉을 오므림으로써 모종이 자동으로 구덩이에 투입됨과 아울러 자동으로 모종 정식기가 지상으로 올라오도록 구성되어 작업이 용이하여 능률적이며 또한, 사용자의 허리 및 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는 모종 정식기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ruci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edling crucible which comprises: a shovel member in which a pair of regular shovels are hinged together to open / An operating rod which has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and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edling space portion; A seedling guide which is connected to an inlet of one end and an outlet of the other end so that the outlet is directed to the seedling space and is fixed to one of the pair of working rods; A restoring spring that connects the pair of the operating rods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hereto; The user can grasp the pit in a standing position and the pair of working rods can be pinched to automatically insert the seedling into the pit and automatically set the seedling crucible to the ground And is capable of protecting the user's waist, joints and the like with ease.

Description

모종 정식기{SEEDLING TRANSPLANTER}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 정식기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선 자세를 유지한 채로 모종을 이식 또는 정식할 수 있으며 또한, 온상에서 기른 각종 모종을 밭에 내어다 제대로 심는 모종의 정식 시, 땅을 판 후 파진 구덩이에 모종을 투입하여 복토하는 일련의 과정을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종 정식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rucible, and more specifically, a seedling can be transplanted or fixed while a user maintains a standing posture. Also, And then a seedling is added to the digging pit to cover 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rucible which is configured to perform a simple and rapid process in a single operation.

종래에는 비닐이 덮여진 두둑위에 모종을 이식할 때 구덩이를 판 후 모종을 투입하여 흙으로 덮어주는 다단계의 작업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원시적인 것이었고 이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됨으로써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농촌고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주로 노령자가 상기와 같은 호미 또는 모종삽 등을 이용하여 구덩이를 파고 모종을 투입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 그 자세가 쪼그려 앉아서 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자세로 작업을 하게 되면 관절 등에 큰 무리가 가해지고 또한 그로 인한 허리 디스크, 관절염 등의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In the past, when a seedling was transplanted onto a vinyl covered clover, it was a primitive one consisting of a multi-step work process in which a pit was pitched and seedlings were put in and covered with soil, resulting in a lot of time and labor. Especially, in the situation where rural aging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t is necessary for the elderly person to sit in a squat position in order to dig a pit and insert seedlings by using the above-mentioned hummi or seedlings. A large amount of force is applied to the joints, and the resulting problems such as a back disk and arthritis are ca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1162호 에서는 모종 이식기에 대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모종 이식기의 경우 사용자가 모종을 장치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허리를 구부리는 등 자세가 불안정하며 또한 구덩이를 파고 모종을 투입한 후 손잡이를 오므린 상태로 장치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더 수행해야하는 바 그에 따른 허리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9-0031162 discloses a technique for a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However, in the case of the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when the user bends the waist in the process of putting seedlings into the apparatus, Further,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work of digging a pit, putting seedlings, lifting the device with the handle held in a folded state, and thereby causing back disease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311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031162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기는 사용자가 선 자세로 구덩이를 파고 모종을 투입하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구덩이를 파고 모종을 투입한 이 후 지중에 삽입된 삽부재가 자동으로 지상으로 꺼내지도록 구성되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고자 함.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e 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imultaneously dig a pit and insert seedlings in a standing posture, and after the pit is pierced and seedlings are inserted, I would like to provide a seedling pod that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taken out to the ground.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모종 정식기는 한 쌍의 정식삽이 힌지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모종공간부가 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삽부재; 한 쌍의 상기 정식삽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모종공간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봉; 일단의 투입구와 타단의 배출구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모종공간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작동봉 중 어느 한 작동봉에 고정되는 모종가이드; 한 쌍의 상기 작동봉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seedling crucib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hovel member having a pair of regular shovels hinged to each other, An operating rod which has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and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edling space portion; A seedling guide which is connected to an inlet of one end and an outlet of the other end so that the outlet is directed to the seedling space and is fixed to one of the pair of working rods; A restoring spring that connects the pair of the operating rods and applies an elastic force thereto; And the like.

또한, 상기 작동봉에 링크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작동봉을 상호간에 오므리거나 또는 벌릴 경우 승강하는 다짐판이 더 구성되되, 상기 다짐판은 상기 삽부재가 지중에 삽입될 때 지면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compaction plate may further include a compaction plate coupled to the operation rod via a link member to move up and down when the pair of operation rods are slid or opened between the pair of operation rods, .

이때, 상기 링크부재는 한 쌍의 상기 작동봉에 각각 고정되는 제 1-1링크 및 제 1-2링크; 상기 다짐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1링크 및 제 2-2링크; 일단이 상기 제 1-1링크와 타단이 상기 제 2-2링크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제 1-2링크와 타단이 상기 제 2-1링크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In this case, the link member includes a 1-1 link and a 1-2 link fixed to the pair of working rods respectively; A second-1 link and a second-2 link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action plate; A pair of link bar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1-1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2-2 link, the other end of the link bar being hinged to the 2-1 link; . ≪ / RTI >

아울러, 상기 다짐판은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짐판이 승강할 때 상기 중공에 상기 삽부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mpactio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low is formed, and the shovel member passes through the hollow when the compaction plate is lifted and lowered.

한편, 한 쌍의 상기 작동봉에는 각각 작동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성하여 작동봉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다짐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pair of actuating rods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ctuating rods so that the height of the compaction plat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ctuating rods.

또한, 상기 다짐판은 저면부가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을 향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특징이다.
Further, the compactio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ompartment becomes thicker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periphery.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종 정식기는 사용자가 삽부재를 지면에 대고 작동봉을 누름으로써, 선 자세로 구덩이를 파낼 수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작동봉을 오므림으로써 모종이 자동으로 구덩이에 투입됨과 아울러 자동으로 모종 정식기가 지상으로 올라오도록 구성되어 작업이 용이하여 능률적이며 또한, 사용자의 허리 및 관절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As described above, the seedling cruci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dig a pit in a standing posture by pushing the working rod against the ground by the user, and by pincing a pair of working rods, the seedling is automatically poured into the pit And it is constructed so that the seedling crucible is automatically raised to the ground, so that the operation is easy and efficient, and also the user can protect the user's waist and joint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작동봉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링크바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짐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삽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삽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edling crucible.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 4 is a front view of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actuating rod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nk ba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mpaction board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vel memb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n inser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작동봉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링크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다짐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삽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edling crucifix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edling crucifix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erat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nk ba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action board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ole membe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작동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nd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살펴보기에 앞서, 도 1a는 작동봉(200)이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작동봉(200)이 오므려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Prior to the examination, FIG. 1A shows a state where the working rod 200 is opened, and FIG. 1B shows a state where the working rod 200 is tight.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정식기는 온상에서 기른 각종 모종(1)을 밭에 내어다 제대로 심는 모종의 정식 시, 땅을 판 후 파진 구덩이에 모종(1)을 투입하여 복토하는 일련의 과정을 한 번의 동작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삽부재(100)와 작동봉(200), 모종가이드(300) 및 복원스프링(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eedling crucifi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variety of seedlings (1) planted in a hot land are planted in a field, and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seedlings planted properly are planted, The seedling guide 300, and the restoration spring 400.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상기 삽부재(100)는 한 쌍의 정식삽(110)이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된 상태의 삽부재(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은 폐쇄된다. 또한, 그 내측에 모종을 보관하는 모종공간부(120)가 형성되고. 삽부재(100)의 외형은 구덩이를 파기 용이하도록 하측으로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구성됨이 타당하다.The shovel member 100 is hinged so that the pair of fixed shovels 110 face each other, and the shovel member 100 is opened at the upper part and closed at the lower part. In addition, a seedling space portion 120 for storing a seedling is formed inside thereof. It is proper that the outer shape of the spur member 10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hat narrows downward to facilitate digging the pit.

또한 한 쌍의 정식삽(110)은 상호 간에 교차 되는 양측 일 지점이 힌지 결합됨에 따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한 쌍의 작동봉(200)을 상호 간에 오므리거나 또는 벌리는 조작에 의해 모종공간부(120)는 하부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 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the pair of fixed shovels 110 are hinged to each other at both sides of each other, a pair of working rods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1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ortion is opened or closed.

상기 작동봉(200)은 한 쌍의 상기 정식삽(110) 각각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손잡이(21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작동봉(200)을 상호간에 벌림으로써 상기 삽부재(100)는 하부가 폐쇄되는 것이고, 또한 한 쌍의 작동봉(200)을 상호간에 오므림으로 써 상기 삽부재(100)는 하부가 개방되게 된다.The operation rod 200 has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fixed shovels 110 and the other end formed with a handle 210.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portion of the spur member 100 is open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pur member 100 is opened by pinching the pair of the working rods 200 together.

이때, 상기 삽부재(1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하단부가 좁게 형성되어 구덩이를 파내기 용이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인 모종공간부(120)에 모종(1)의 보관이 유지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삽부재(100)의 하부를 개방시키게 되면 모종공간부(120)에 보관된 모종이 구덩이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portion is narrowly formed 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member 100 is closed, so that it is easy to pierce the pit, and the seedlings 1 can be kept in the indoor space 120, The seedlings stored in the seedling seedling part 120 can be put into the pit.

또한, 상기 모종가이드(300)는 모종을 가이드하여 상기 모종공간부(120)로 안내하는 수단인 것으로, 일단에 투입구(310)가 형성되고 타단에 배출구(320)가 형성되되, 투입구(310)와 배출구(320)는 상호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모종공간부(120)는 한 쌍의 작동봉(200) 중 어느 한 작동봉(200)에 고정된다.The seedling guide 300 is a means for guiding the seedlings to guide the seedlings to the seedlings space 120. The seedling guide 300 has an inlet 310 at one end and a discharge port 320 at the other end. And the discharge port 320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is fixed to one of the pair of the working rods 200.

상기 모종가이드(300)의 구성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 자세로 모종을 모종공간부(120)로 투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투입구(310)의 위치는 사용자가 편하게 선 자세로 모종(1)을 투입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고 배출구(320)는 상기 모종공간부(120)를 향하여 모종공간부(120)와 인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또한 모종가이드(300)의 구성에 기해 투입되는 모종(1)은 상하가 뒤집히지 않고 형상이 유지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 모종공간부(120)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guide 300, the user can insert the seedlings into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in a normal postur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seedling inlet 310 is changed to a seedling And the discharge port 320 is arranged adjacent to the seedling space part 120 toward the seedling spatula part 12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edling guide 300 is arranged at a height enough to insert the seedling guide 1, The introduced seedlings 1 can be guided in a state in which the top and bottom are not turned upside down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edlingspace part 120.

한편, 상기 삽부재(100)는 모종(1)을 구덩이에 투입하기 위해 개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삽부재(10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구덩이를 파는 작업 등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바, 특정한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삽부재(100)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복원스프링(400)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복원스프링(400)은 일단 및 타단이 한 쌍의 작동봉(200)에 각각 연결됨으로 써, 보관시 또는 구덩이를 파는 작업시 즉, 작동봉(200)에 오므리는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 한 쌍의 작동봉(200)이 벌어지도록 탄성력이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부재(10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hovel member 100 may be easily operated such that the shovel member 100 is kept closed to dig a pit, except when the seedlings 100 are opened for pouring the seedlings into the pit And a restoring spring 400 that keeps the abutment member 100 in a closed state when no specific force is applied. The restoring spring 400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air of the working rods 200, So that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pair of operating rods 200 so that the pair of working rods 200 are opened when the working rod 200 is unloaded during storage or digging of the pit. So that the battery 100 can be kept closed.

도 2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인 것으로 (a)도면은 밭두둑 등에 구덩이를 파고 정식삽(11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도면은 사용자가 작동봉(200)을 오므림으로써 삽부재(100)가 개방되면서 구덩이를 확장시켜 모종(1)이 정식될 자리를 확보하게 되고 이후 모종가이드(300)를 통해 투입되는 모종이 하측으로 개방된 모종공간부(120)를 거쳐 구덩이에 정식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edling crucifix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 (a) shows a state in which a pit is pierced in a ridges and the like and a regular shovel 110 is inserted. The seedling member 100 is opened and the pit is expanded to secure a place for the seedling 1 to be settled. After that, the seedlings injected through the seedling guide 300 are transferred to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to the pit.

이때, 모종(1)이 투입되는 시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삽부재(100)를 개방시킨 이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삽부재(100)가 개방되기 이전에 모종가이드(300)에 안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At this time, the seedling 1 may be inserted into the seedling guide 300 before opening the shovel member 100,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hovel member 100 is opened. Of cours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정식기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seedling cruci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본 실시 예에 따른 모종 정식기는 상술하였던 실시 예에 링크부재 및 다짐판(500)이 더 포함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상기 링크부재 및 다짐판(500)의 구성에 의해 한 쌍의 작동봉(200)을 상호 간에 오므릴 경우 다짐판(500)이 하강하고 반대로 한 쌍의 작동봉(200)을 상호 간에 벌어질 경우 상승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ing member and the compaction plate 500 are further included. The linking member and the compaction plate 500 constitute the pair of the operation rods 200 The compaction plate 500 descends and conversely, when the pair of actuating rods 200 are flared with each other, they are configured to rise.

도 3a 및 4a는 밭두둑 등에 구덩이를 파고 정식삽(11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때, 상기 다짐판(500)은 지면에 밀착된다.FIGS. 3A and 4A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pit is inserted into a ridge and the formal shovel 110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compaction plate 5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도 3b 및 4b는 사용자가 작동봉(200)을 오므림으로써 삽부재(100)가 개방되면서 구덩이를 확장시켜 모종을 구덩이에 투입되는데, 이때 상기 다짐판(500)이 하강하게 되면서 모종 정식기를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3B and 4B show a state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working rod 200 to expand the pit while opening the shovel member 100 and putting the seedlings into the pit. At this time, when the compaction plate 500 is lowered, .

그러므로 사용자는 작동봉(200)을 오므려 모종을 구덩이로 투입시킴과 동시에 지중에 삽입된 삽부재(100)가 자동으로 지상으로 튀어 올라오게 되어 사용자는 모종을 정식시킨 후 힘을 줘서 일부러 밭 두둑 등에 삽입된 모종 정식기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게 됨과 아울러 다짐판(500)을 지면에 지지시킨 후에 작동봉(200)을 오므리게 되는 것으로 지렛대의 원리가 작용하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지중에 모종(1)이 투입되는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모종을 정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pushes the working rod 200 and inserts the seedlings into the pit, and at the same time, the inserting member 100 inserted in the ground automatically pops up to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fix the seedlings and force them, It is not necessary to lift the seedling crucible inserted into the seedling pot 500, and the working rod 200 is pinched after the compaction plate 500 is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principle of the lever acts, ) Can be ensured and the user can form a seedling with a more stable posture.

상기한 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인 링크부재와 다짐판(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링크부재는 한 쌍의 상기 작동봉(200)에 각각 고정되는 제 1-1링크(410) 및 제 1-2링크(412)와 상기 다짐판(5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1링크(420) 및 제 2-2링크(422)와 일단이 상기 제 1-1링크(410)와 타단이 상기 제 2-2링크(422)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제 1-2링크(412)와 타단이 상기 제 2-1링크(420)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바(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1-1 link 410 and a second link 110. The first and second links 410 and 400 are respectively fixed to a pair of the working rods 200. [ 1-2 link 412, a second-1 link 420 and a second-second link 422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action plate 500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1-1 link 410 and the other end A pair of link bars 430 are hinged to the second link 422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412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econd link 420, ).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바(430)는 지지봉과 다짐판(500)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작동봉(200)의 작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구성되는 바, 한 쌍의 상기 링크바(430)의 유동시 상기 모종가이드(300)와의 간섭이 일어날 수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봉에 고정되는 상기 제 1-1 및 1-2링크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봉(414)의 끝단에 각각 구성되도록 하여 한 쌍의 링크바(430) 간 형성된 공간에 상기 모종가이드(300)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nk bar 430 is hingedly connect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the support rod and the compaction plate 500, and is configured to be flui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rod 200. The pair of link bars 430 The first and second links fixed to the support ro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extension rods 414 protruding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So that the seedling guide 300 is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link bars 430.

그러므로 한 쌍의 링크바(430)는 제 1-1 또는 제 1-2링크(410,412)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다짐판(500)의 제 2-1 또는 제 2-2링크(420,422)에 각각 교차되어 힌지결합된 것으로, 작동봉(200)이 벌려진 상태에서 링크바(430)와 다짐판(500)이 이루는 각도 θ1보다 작동봉(200)을 오므린 상태에서 링크바(430)와 다짐판(500)이 이루는 각도 θ2가 크게 되는 원리로 다짐판(500)은 하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air of link bars 430 are hinged to the 1-1 or 1-2 link 410 and 412,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2-1 or 2-2 link The link bar 430 is hinged to the link bar 430 in a state where the operation rod 200 is engaged with the link bar 430 and the compaction plate 500, And the compaction plate 500 are increased, the compaction plate 500 can be lowered.

도 6에서는 링크바(430-1)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가이드(30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링크바(430-1)는 한 쌍이 구성되는 것으로써, 양단이 각각 제 1-1링크(410)와 제 2-2링크(422)에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제 1-2링크(412)와 2-1링크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각 링크바(430)가 양 단부를 제외한 지점이 중앙을 향해 점점 벌어져 공간이 형성되도록 곡면으로 구성되는바, 형성된 공간에 모종가이드(300)가 위치하여 링크바(430-1)의 유동시 간섭을 방지토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ink bar 430-1. As shown in the figure, a pair of link bars 430-1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seedling guide 300 constitute a pair, The link bar 430 is hinged to the 1-1 link 410 and the 2-2 link 422 or is hinged to the 1-2 link 412 and the 2-1 link,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a space is formed by gradually widening toward the center, and the seedling guide 300 is positioned in the formed space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link bar 430-1 is flowed.

이때, 다짐판(500)은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의 양단부에 링크바(430)와 결합된 것으로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mpaction board 500 is connected to the link bar 430 at both ends of the same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kept horizontal.

또한, 상기 다짐판(500)은 중공이 형성되어 다짐판(500)이 승강할 때 상기 중공에 상기 삽부재(100)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다짐판(500)의 승강시 삽부재(100)와의 간섭이 없도록 구성하되, 중공의 내경이 삽부재(100)(개방된 상태)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구성하여 모종을 투입한 후 모종이 심어진 테두리 지면을 효과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mpaction plate 5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sertion member 100 to pass through the hollow when the compaction plate 500 is raised and lowered to form a hol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is mad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member 100 (opened state) so that the seedling is inserted, and then the stem paper that the seedling is planted is effectively pressed.

다짐판(5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판(500)의 저면부가 내측 두께(a) 보다 외측의 두께(b)가 두꺼워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짐판(500)의 지면 가압시 힘의 방향이 모종을 향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복토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action board 500,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paction board 5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hickness b of the compartment outside the inner thickness a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7, The direction of the force is directed toward the seedling when pressurized, so that a more effective cover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한편, 모종 정식 작업시 모종(1)의 종류에 따라 구덩이 깊이가 다양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삽부재(100)가 모종(1)을 정식하기 위해 밭두둑 등의 밭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작동봉(200)에 각각 구성되며 작동봉(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220)을 더 구성함으로써 삽부재(100)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5, in order to form the seedling (1), a field such as a ridge or the like is formed in order to form the seedling (1) The length of the operating rod 20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perating rod 200 when the inserting member 100 is inserted into the operating rod 200, .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크바(430)는 그 일단이 제 1-1 또는 제 1-2링크(410,412)에 고정되므로 그 하부에 구성되는 상기 길이조절수단(220)이 각 작동봉(200)의 길이를 조절하게 됨으로써 다짐판(500)의 높이가 설정되는 바, 상기한 방법에 기해 세팅된 다짐판(500)의 위치에 따라 삽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since one end of one link bar 430 is fixed to the 1-1 or 1-2 link 410 and 412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ength adjusting means 220, The height of the compaction board 50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mpaction board 200 so that the depth of insertion of the insertion member 1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mpass board 500, It will be possible.

이때, 상기 길이조절수단(220)은 작동봉(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 가능한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perating rod 200 can be applied to the length adjusting means 22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모종은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모종과 모종의 뿌리를 감싸는 흙의 외주연(이하 모종의 외주연) 사이즈가 다양할 수 있는 바, 모종의 외주연과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간에 간격이 큰 경우 모종가이드(300)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과정에서 모종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며 또한 모종이 기울거나 뒤집힌 상태로 구덩이에 투입될 수 있어 그런 경우에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보정해야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seeds surrounding the seedlings and roots of the seedlings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seedlings, the size of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seedlings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edlings space 120 If the distance is large, the seedlings may be impacted during descending through the seedlings guide 300, and the seedlings may be inclined or inverted and put into the pit. In such a case, the user must manually correct them.

도 8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삽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하는 바, 상기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를 조절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정식삽(110)의 마주보는 양측에 힌지결합부(111)를 구성하고 상호 간에 힌지 결합하도록 구성하되,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힌지결합부(111)가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로 마련하고 그중 하나의 힌지결합부(111)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vel member is shown in FIG. 8, and the inner peripheral size of the seedlingspace unit 120 is adjustable. As shown in FIG. 8 (a) The hinged joint parts 111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110 and are hinged to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hinge joint parts 111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hrough one hinge coupling part 111. [

그렇게 함으로써, 힌지결합부(111)의 높이 차에 따라 도 8(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공간부(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가 다르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8 (b) and 8 (c), depending on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hinge engaging portion 111, the inner peripheral size of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is set to be I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힌지결합부(111)가 제 1힌지부(112)와 제 2힌지부(114)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는 힌지부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나 이상 또는 다수 개로 구성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모종공간부(120)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the hinge coupling part 111 is composed of the first hinge part 112 and the second hinge part 114,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hinge parts is limited thereto But it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finer seedling space part 120 more finely.

도 8의 (b)도면은 정식삽(110)의 비교적 상측에 형성되는 제 1힌지부(112)를 통한 힌지결합 되도록 하여 모종공간부(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가 비교적 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c)도면은 상기 제 1힌지부(112) 보다 비교적 하측에 제 2힌지부(114)가 형성되도록 하여 모종공간부(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가 제 1힌지부(112)를 통한 결합상태보다 비교적 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는 모종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111)의 결합 위치 선택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is opened by hinging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 112 formed on the relatively upper side of the formal shovel 110, 8C shows the second hinge portion 114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hinge portion 112 so that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is open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ze of the seedling spots 120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ed spots 120 through the first hinge portions 112.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inner circumferential size of the hinged portion 111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electively adjust the binding position.

아울러, 도 9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을 제시한 것으로, 힌지결합부(111-1)에 횡방향으로 복수의 힌지공을 형성하고 한 쌍의 정식삽(110)이 그 중 한 힌지공을 통한 힌지결합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9 shows another structure for overcoming the above problem. In the hinge coupling part 111-1, a plurality of hinge holes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air of the regular shovels 110 are formed The inner peripheral size of the seedling spatula 120 can be adjusted by hinge coupling through the hinge hole.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힌지공이 두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바, 도 9의 (a)도면에서는 한 쌍의 정식삽(110)이 제 1힌지공(117)을 통해 힌지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도면에서는 한 쌍의 정식삽(110)이 제 2힌지공(118)을 통해 힌지결합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힌지공(117)을 통한 결합구조에 비해 제 2힌지공(118)을 통한 결합구조가 정식삽(110) 간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므로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가 확장될 수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two hinge holes are formed. In FIG. 9 (a), a pair of formal shovels 110 are hinged through a first hinge hole 117. (b) In the drawing, a pair of the regular shovels 110 are hing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cond hinge holes 118.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hinge holes 118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tween the regular shovels 110,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ize of the seedling space 120 can be enlarged.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힌지공이 두 개가 형성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힌지공의 개수를 늘려 보다 세분화된 모종공간부(120)의 내주연 사이즈에 대한 조절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hinge holes are form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hinge holes can be increased to control the inner peripheral size of the seedling space portion 120, which is further subdivided.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모종 100 : 삽부재
110 : 삽부재 200 : 작동봉
300 : 모종가이드 310 : 투입구
320 : 배출구 400 : 링크부재
500 : 다짐판 600 : 복원스프링
1: seedling 100:
110: sprocket member 200: working rod
300: seedling guide 310: inlet
320: outlet 400: link member
500: Compaction plate 600: Restoring spring

Claims (7)

한 쌍의 정식삽이 힌지 결합되어 내측에 형성된 모종공간부가 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삽부재;
한 쌍의 상기 정식삽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모종공간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작동봉;
일단의 투입구와 타단의 배출구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 배출구가 상기 모종공간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작동봉 중 어느 한 작동봉에 고정되는 모종가이드;
한 쌍의 상기 작동봉을 연결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봉에 링크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작동봉을 상호간에 오므리거나 또는 벌릴 경우 승강하는 다짐판이 더 구성되되,
상기 다짐판은 상기 삽부재가 지중에 삽입될 때 지면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A pair of legged shovels hinged to each other to open / close a seedling space formed on an inner side in a downward direction;
An operating rod which has one end fixed to each of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and a handle formed at the other en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eedling space portion;
A seedling guide which is connected to an inlet of one end and an outlet of the other end so that the outlet is directed to the seedling space and is fixed to one of the pair of working rods;
And a restoring spring for connecting the pair of the actuating rods to impart an elastic force,
And a compaction plate coupled to the operation rod through a link member to move up and down when a pair of the operation rods is slid or opened between the pair of operation rods,
Wherein the compaction plate is configured to rest on the ground when the shovel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한 쌍의 상기 작동봉에 각각 고정되는 제 1-1링크 및 제 1-2링크;
상기 다짐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 2-1링크 및 제 2-2링크;
일단이 상기 제 1-1링크와 타단이 상기 제 2-2링크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일단이 제 1-2링크와 타단이 상기 제 2-1링크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nk member
A 1-1 link and a 1-2 link fixed to a pair of the working rods respectively;
A second-1 link and a second-2 link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mpaction plate;
A pair of link bars, one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1-1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2-2 link, the other end of the link bar being hinged to the 2-1 link; Wherein the seedling crucible is a seedling crucib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은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다짐판이 승강할 때 상기 중공에 상기 삽부재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ction plate
Wherein the hollow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hovel member passes through the hollow when the compaction plate is lifted and lowered.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작동봉에는 각각 작동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성하여 작동봉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다짐판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ir of the operating rods each have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orking rods so that the height of the compaction plat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orking rod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은
저면부가 중심으로부터 외주연을 향할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action plate
And the thickness increases as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moved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periphery.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정식삽은 한 쌍 이상의 힌지결합부에 의해 힌지 결합되되,
상기 힌지결합부는 결합위치가 다르게 구성되는 제 1힌지부 및 제 2힌지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정식삽이 상기 제 1힌지부 또는 제 2힌지부 중 어느 한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정식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is hinged by the pair of hinge joints,
Where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having different coupling positions,
Wherein the pair of the regular shovels are joined by one of the first hinge portion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KR1020130151555A 2013-12-06 2013-12-06 Seedling transplanter KR1015741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55A KR101574192B1 (en) 2013-12-06 2013-12-06 Seedling transpla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55A KR101574192B1 (en) 2013-12-06 2013-12-06 Seedling transpla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41A KR20150066241A (en) 2015-06-16
KR101574192B1 true KR101574192B1 (en) 2015-12-03

Family

ID=5351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555A KR101574192B1 (en) 2013-12-06 2013-12-06 Seedling transplan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1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7A (en) * 2019-06-10 2020-12-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Napa cabbage seedling transplant to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283B (en) * 2018-04-17 2023-09-26 芭芭拉(厦门)农业科技有限公司 Seeding tool
CN108934315A (en) * 2018-08-31 2018-12-07 岳西县惠友生态农业有限公司 A kind of seeding apparatus
CN110050608B (en) * 2019-05-14 2023-12-12 内江师范学院 Seedling culture frame convenient to move dress
CN110915402B (en) * 2019-12-20 2021-02-09 济宁市食品药品检验检测中心(济宁市药品不良反应与药物滥用监测中心) Ginseng is adopted fast and is dug device
CN214125972U (en) * 2020-11-11 2021-09-07 于洪珍 Seedling pla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plan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49Y1 (en) * 2000-07-13 2000-12-15 이두희 Seedling transplanter
KR200434507Y1 (en) 2006-09-30 2006-12-21 최기봉 Transplantator for young plant of vegetab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49Y1 (en) * 2000-07-13 2000-12-15 이두희 Seedling transplanter
KR200434507Y1 (en) 2006-09-30 2006-12-21 최기봉 Transplantator for young plant of vegetab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7A (en) * 2019-06-10 2020-12-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Napa cabbage seedling transplant tool
KR102366449B1 (en) * 2019-06-10 2022-02-24 대한민국 Napa cabbage seedling transplant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41A (en)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192B1 (en) Seedling transplanter
EP2803261A1 (en) Plant propagation container, a tray and a greenhouse for th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pagating growth of seedlings
KR200434507Y1 (en) Transplantator for young plant of vegetables
KR20200012313A (en) Seeding transplanter with soil covering function
CN110431969A (en) A kind of field trial corn transplanting device
CN109923983A (en) A kind of cultur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banker
CN210247599U (en) A cuttage ware for nursery stock branch
KR20080082044A (en) Multi-breed seeder
KR20080004306U (en) Seedling-transplanting machine
KR101936898B1 (en) Carrying device for port tray
CN206525230U (en) A kind of seedlings nursing plate
KR101323862B1 (en) Seeding transplanter
KR20160112277A (en) Planting apparatus
KR20150112155A (en) The seedtime and raise seedlings transplant have water supply
KR101533800B1 (en) A seeding machine for the paper tray nursery
KR200207849Y1 (en) Seedling transplanter
KR102386731B1 (en) The Multi-purpose planter which promotes ease of operation
CN107135780A (en) Kiwi berry method for transplanting
CN211558155U (en) Flower box for road greening construction
US4282684A (en) Band type plant transplanter
CN205755922U (en) A kind of movable Fructus Chaenomelis seedling cultivation tray
KR102366449B1 (en) Napa cabbage seedling transplant tool
CN216820906U (en) Container is transplanted in nursery
KR102253037B1 (en) A removable type multi-supporter for waist attachment
CN218104275U (en) Box is cultivated to flowers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