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879B1 -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879B1
KR101573879B1 KR1020150081845A KR20150081845A KR101573879B1 KR 101573879 B1 KR101573879 B1 KR 101573879B1 KR 1020150081845 A KR1020150081845 A KR 1020150081845A KR 20150081845 A KR20150081845 A KR 20150081845A KR 101573879 B1 KR101573879 B1 KR 10157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edging
dredged
water
bellow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권신
Original Assignee
(주)진보컨스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보컨스트텍 filed Critical (주)진보컨스트텍
Priority to KR102015008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7Devices providing a flushing sur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과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과 빗물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퇴적물로 인하여 폐쇄되는 경우에 준설장치를 이용하여 빗물받이 연결관을 뚫거나 청소할 수 있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준설유닛에 준설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와,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준설물로부터 준설수와 토사물을 분리하는 분리유닛과,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토사물을 저장하는 토사물저장부 및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준설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저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유닛; 및 상기 준설유닛과 상기 차량부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선과 급수관 및 에어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방법은, 준설유닛을 빗물받이와 하수관 사이의 연결관에 투입하는 단계; 준설유닛의 몸체부 후방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분사하여 상기 준설유닛을 토사물이 퇴적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준설유닛의 몸체부 둘레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자바라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준설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자바라튜브에 주입하는 공기의 양을 달리하면서 상기 준설유닛의 분쇄날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사물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분쇄된 토사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A DREDGING METHOD OF DRAIN PIP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과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과 빗물받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퇴적물로 인하여 폐쇄되는 경우에 준설장치를 이용하여 빗물받이 연결관을 뚫거나 청소할 수 있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의 지표면은 대부분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이 지면으로 통하여 스며들기 어렵다. 따라서 우수기에 빗물이 하수구나 인근 하천으로 원활히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받이가 도로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빗물받이는 도로변을 따라 10~3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빗물받이에는 인근 하수관이나 하천으로 연결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은 빗물받이와 하수관 등의 위치에 따라 2~10m 내외의 길이로 구성되며, 자연배수가 되도록 빗물받이에서 하수관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하향경지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빗물받이는 비가 내리는 경우에만 사용되고, 평상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시설이다. 또한, 장마철 등과 같은 강우기에는 도로변이나 골목 등에 쌓여 있던 토사와 나뭇잎 및/또는 생활쓰레기 등이 빗물과 함께 한꺼번에 유입되기 때문에 연결관이 막히게 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이 한꺼번에 막히지 않더라도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물이 연결관에 조금씩 쌓여서 결국에는 연결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특히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물은 입자가 큰 알갱이부터 입자가 고운 알갱이까지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입자가 큰 알갱이들 사이에 작은 알갱이가 채워지고, 서늘한 지하에서 서서히 건조되기 때문에 매우 단단하게 경화된다.
이처럼 빗물받이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이 막히게 되면 빗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주변에 침수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빗물받이와 연결관은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청소를 하고, 토사물에 의하여 연결관이 막혀 있는 경우에는 준설을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빗물받이의 연결관은 일반적으로 자연배수를 위하여 경사지게 구비되고, 연결관에 쌓인 토사물은 단단하게 경화되기 때문에 준설작업이 쉽지가 않으며, 여러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연결관 폐쇄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다양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7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5880호 등이 있다. 이들 종래기술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는 모두 후방노즐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의 힘을 이용하여 토사물을 준설하거나 준설장치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관을 준설하는데 많은 물이 소요되며, 사용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준설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031425 B1 KR 10-127588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준설장치 및 상기 준설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분쇄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관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토사물을 제거할 수 있고, 단단한 토사물을 제거할 때는 준설장치를 지지하거나 전진할 수 있도록 하며, 준설된 토사물과 준설수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준설유닛에 준설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와,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준설물로부터 준설수와 토사물을 분리하는 분리유닛과,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토사물을 저장하는 토사물저장부 및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준설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저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유닛; 및 상기 준설유닛과 상기 차량부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선과 급수관 및 에어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분리유닛은 교반분리유닛과 스크류분리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분리유닛은 일측이 토사물저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전부나 일부가 높아지는 경사구간이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준설물수용부와, 상기 준설물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방향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교반날개 및 상기 준설부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준설수를 중간저수부로 흘러가게 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분리유닛은 타측이 상기 중간저수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토사물저장부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 스크류컨베이어와, 일측이 상기 제1 스크류컨베이어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토사물저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스크류컨베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크류컨베이어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스크류날개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준설유닛의 몸체부의 후방에는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에는 최소한 3개 이상의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바의 내측에는 각각 제1 자바라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자바라튜브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는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제2 자바라튜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바라튜브의 끝단에는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는 제3 자바라튜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바라튜브의 내측면에는 지지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방법은, 준설유닛을 빗물받이와 하수관 사이의 연결관에 투입하는 단계; 준설유닛의 몸체부 후방에 구비된 분사노즐을 분사하여 상기 준설유닛을 토사물이 퇴적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준설유닛의 몸체부 둘레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자바라튜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준설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제1 자바라튜브에 주입하는 공기의 양을 달리하면서 상기 준설유닛의 분쇄날의 위치를 조절하여 토사물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분쇄된 토사물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준설장치의 슬라이딩바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준설장치의 분쇄날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위치에 쌓여 있는 토사물을 준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단하게 굳어있는 토사물을 준설할 때 준설장치를 고정하거나 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준설장치에 추진력을 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준설된 토사물로부터 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준설에 사용되는 물을 절감할 수 있고, 토사물의 적재함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빗물받이 준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분쇄날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의 차량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빗물받이 준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분쇄날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의 차량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량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는 차량부(100)와 준설유닛(200) 및 연결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부(100)는 물탱크(110)와 흡입유닛(130) 및 상기 흡입유닛(130)을 통하여 흡입된 준설물(토사물(70)과 준설수가 섞여 있는 것을 말함, 이하 동일)로부터 토사물(70)과 준설수을 분리하는 분리유닛(150) 및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토사물(70)을 저장하는 토사물저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는 후술하여 설명할 준설유닛(200)으로 공급할 물(이하 '준설수'라 함)을 저장하는 곳이고, 흡입유닛(130)은 준설물을 흡입하는 장치를 말하며, 토사물저장부(170)는 흡입유닛(130)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 중 토사물(70)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서 도면번호 10번은 빗물받이이고, 30번은 하수관이고, 50은 빗물받이와 하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이다.
분리유닛(150)은 압착기와 배수망 및 펌프로 구성되어 흡입유닛(130)을 통하여 흡입된 준설물을 압착하여 준설수를 짜낸 후에 상기 준설수는 펌프(175)를 이용하여 다시 물탱크(110)로 회수하게 된다. 빗물받이 연결관을 준설하는데 사용되는 준설수가 그대로 버려질 경우에 준설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준설수가 자주 소진되고 보충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준설물로부터 준설수를 회수하여 재사용하면 작업시간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준설유닛(200)은 몸체부(230)와 상기 몸체부(230)의 전방에 구비되는 분쇄날(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쇄날(210)은 토사물(70)을 분쇄할 수 있는 강도와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쇄날(210)은 스크류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분쇄날(21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공(21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분쇄날(210)을 이용하여 토사물(70)을 분쇄할 때 토사물(70)을 유연하게 하거나 먼지가 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급수공(215)은 분쇄날(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몸체부(230)의 전방에 급수공(215)이 구비되어 분쇄날(210)을 향하여 준설수를 뿌려줄 수도 있다. 분쇄날(210)의 구체적인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준설유닛(200)의 몸체부(230) 후방에는 분사노즐(2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250)은 준설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준설유닛(200)이 앞으로 나아가게 하거나 상기 준설유닛(200)의 후방에 쌓여 있는 토사물(70)을 밀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사노즐(250)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연결유닛(300)은 전술하여 설명한 준설유닛(200)과 차량부(100)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선(미도시)과 급수관(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준설유닛(200)의 분쇄날(210)을 구동하거나 전술하여 설명한 분사공 또는 분사노즐(250)을 개폐하는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하며, 급수관은 분사공 또는 분사노즐(250)을 통하여 분사될 준설수를 공급하는 통로가 된다. 연결유닛(300)에는 필요에 따라 에어호스(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에어호스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부(100)는 준설유닛(200)에 준설수를 공급하는 물탱크(110)와,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130)과, 상기 흡입유닛(130)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준설수와 토사물(70)을 분리하는 분리유닛(150)과,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토사물(70)을 저장하는 토사물저장부(170) 및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준설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저수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탱크(110)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준설수를 저장하거나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분리유닛(150)을 통하여 분리된 준설수를 저장한다. 물탱크(110)는 차량부(10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기준으로 차량부(100)의 각부를 설명하나 차량부(100)를 구성하는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배열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흡입유닛(130)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준설유닛(200)에 의하여 준설된 준설물을 분리유닛(150)으로 빨아들이게 된다. 흡입유닛(130)은 준설수와 토사물(70)이 섞여있는 준설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장치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흡입유닛(130)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은 분리유닛(150)으로 들어가게 된다.
분리유닛(150)은 교반분리유닛(153)과 스크류분리유닛(16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교반분리유닛(153)은 차량부(10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으로 구성된 준설물수용부(154)와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내측에 구비되는 교반날개(155)로 구성될 수 있다.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은 토사물저장부(170)와 연결되어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으로 이송된 토사물(70)이 상기 토사물저장부(17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과 토사물저장부(170)의 사이에는 별도의 컨베이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물저장부(170)가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으로 이송한 토사물(70)이 자연스럽게 토사물저장부(170)로 떨어지거나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준설물수용부(15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되,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전부나 일부가 높아지는 경사구간(156)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타측의 일부 구간이 수평을 이루고, 일측의 일부가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준설물수용부(154)의 바닥면 전체가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구성되도록 하거나 일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교반날개(155)에 의하여 준설물이 이송되는 경우에 액체인 준설수는 타측으로 흘러가고 고체인 토사물(70)은 교반날개(155)에 의하여 경사면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준설물수용부(154)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배수공(157)이 형성되어 상기 준설물수용부(154)로 흡입된 준설물 중에 준설수가 상기 배수공(157)을 따라 빠져나갈 수 있다. 교반날개(155)는 준설물수용부(15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준설물수용부(154)의 내측에 장착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의 일부가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교반날개(155)의 외형을 연결한 가사의 형상도 준설물수용부(15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측의 일부 구간만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 지만 준설물수용부(154)가 원추형으로 구성되거나 원통형이 일측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교반날개(155)도 동일한 가상의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교반날개(155)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하여 교반날개(155)가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준설물이 나선형의 교반날개(155)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쓸려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흡입유닛(130)을 통하여 준설물수용부(154)로 준설물이 유입되면, 상기 준설물 중 토사물(70)은 그대로 남아 있고 준설수는 배수공(157)을 통하여 하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배수공(157)의 하부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중간저수부(190)와 연통되어 있는 배수관(158)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157)을 통하여 빠져나온 준설물은 배수관(158)을 통하여 중간저수부(190)로 흘러가게 된다.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준설물은 토사물(70)과 준설수가 섞여서 걸죽한 반죽상태 또는 이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토사물(70)에는 굵은 입자부터 고운입자까지 다양한 토사물(70)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토사물(70)을 그대로 둘 경우에 굵은 입자가 배수공(157)을 막고 굵은 입자들 사이에는 고운 입자들이 채워져서 준설수가 원활하게 배수가 되기 어렵다. 이는 우수기에 빗물이 도로 위에 있는 모래나 나뭇잎 또는 담배꽁초 등과 같은 비교적 굵은 입자부터 먼지 등과 같은 작은 입자까지 모두 쓸어서 유입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준설물수용부(154)로 준설물이 유입되는 동안 나선형의 교반날개(155)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상기 준설물 중에 입자가 굵은 것은 계속 교반하면서 일측으로 이동하고, 입자가 작은 것은 준설수와 함께 배수공(157)을 통하여 배수관(158)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일측으로 이송되는 굵은 입자의 토사물(70)은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물과 분리된 후에 토사물저장부(170)로 떨어지게 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준설물수용부(154)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수공(157)을 통하여 배출된 준설수는 중간저수부(190)로 흘러가게 되는데, 상기 배수공(157)을 빠져나온 준설수에는 입자가 작은 토사물(70)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저수부(190)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자가 작은 준설물이 쌓이게 되는데, 스크류분리유닛(163)은 중간저수부(190)에 쌓이는 입자가 작은 준설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류분리유닛(163)은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와 제2 스크류컨베이어(165)로 구성된다.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는 토사물저장부(170)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측은 토사물저장부(170)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있고, 타측은 중간저수부(190)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스크류날개(16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가 회전하면 중간저수부(190)에 쌓여 있던 입자가 작은 토사물(70)이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의 스크류날개(166)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크류날개(166)는 일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토사물(70)을 압착하여 준설수를 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에 의하여 이송된 토사물(70)이 일측 끝단에 도달하면 함수량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제2 스크류컨베이어(165)는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측은 토사물저장부(170)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있고, 타측은 토사물저장부(17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와 제2 스크류컨베이어(165)의 일측은 서로 연통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에 의하여 일측으로 이송된 토사물은 연통부를 통하여 제2 스크류컨베이어(165)로 이송되고, 상기 제2 스크류컨베이어(165)는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에 의하여 이송된 토사물 및 전술하여 설명한 교반날개(155)에 의하여 준설물수용부(154)의 일측으로 이송되어 떨어진 토사물을 토사물저장부(170)의 내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토사물저장부(170)에 저장된 토사물(70)은 작업중에도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저수부(190)에는 펌프(195)가 구비되어 상기 중간저수부(190)로 유입되는 준설수를 물탱크(110)로 이송시켜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중간저수부(190)에 구비되어 있는 펌프(195)의 유입관(193)은 상기 중간저수부(190)의 하부까지 연장되는데, 이때 상기 유입관(193)의 입구가 바닥면에 밀착하면 토사물(70)이 준설수와 함께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95)의 유입관(193)은 중간저수부(19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관(193)의 끝단이 제1 스크류컨베이어(164)가 차지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 상부에 위치할수록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유닛(200)은 몸체부(230)의 후방에 분사노즐(25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부(230)의 둘레방향에는 최소한 3개 이상의 슬라이딩바(270)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바(270)는 내측(몸체부(230)와 슬라이딩바(270) 사이)에 제1 자바라튜브(275)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자바라튜브(275)에 공기를 주입하면 슬라이딩바(270)가 몸체부(230)에서 멀어지게 되고, 상기 제1 자바라튜브(275)의 공기를 배출하면 슬라이딩바(270)가 몸체부(230)로 밀착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바(270)와 몸체부(230) 사이에는 별도의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자바라튜브(275)에서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에 슬라이딩바(270)가 원활하게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바(270)와 몸체부(230) 사이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자바라튜브(275)는 연결유닛의 에어호스(3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준설유닛(200)에 자바라튜브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전술하여 설명한 연결유닛(300)에 에어호스가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는 슬라이딩바(270) 및 제1 자바라튜브(275)의 높이를 조절하여 분쇄날(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제1 슬라이딩바(270)가 모두 수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준설유닛(200)이 연결관(50)의 바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연결관(50)의 바닥에 쌓여 있는 토사물(70)을 분쇄하기에 적합하게 되고, 3개의 제1 슬라이딩바(270)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팽창하는 경우에는 상기 준설유닛(200)이 연결관(5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슬라이딩바(270)의 위치를 번갈아가면서 조절하여 분쇄날(210)의 위치가 연결관(50)의 상하좌우를 골고루 이동하면서 분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준설유닛(200)은 몸체부(230)의 후방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자바라튜브(28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자바라튜브(280)의 끝단에는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하는 제3 자바라튜브(2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자바라튜브(280)는 내부가 중공으로 구성되어 분사노즐(250)이 준설수를 분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자바라튜브(280)와 제3 자바라튜브(290)가 모두 수축하는 경우에 전술하여 설명한 분사노즐(250)이 노출되거나 최소한 준설수를 분사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제3 자바라튜브(290)는 내측면에 지지링(293)이 구비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돌기부(29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3 자바라튜브(290)가 팽창하여 외측이 연결관에 닿더라도 내측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돌기부(295)는 연결관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295)는 제3 자바라튜브(290)의 외주면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일부 구간에 단속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준설유닛(200)을 이용하여 토사물(70)을 준설하는 과정에서 토사물(70)이 단단하여 분사노즐(250)의 힘만으로는 정상적인 분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제3 자바라튜브(290)를 먼저 팽창시켜 외측면에 연결관의 외벽에 고정되도록 하고, 그런 후에 제2 자바라투브를 팽창시켜 준설유닛(200)을 전방으로 밀어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준설유닛(200)을 빗물받이와 하수관 사이의 연결관에 투입하는 단계(S100)와, 상기 준설유닛(200)의 몸체부(230) 후방에 구비된 분사노즐(250)을 통하여 준설수를 분사하면서 그 추진력으로 준설유닛(200)을 토사물(70)이 퇴적된 위치까지 이동하는 단계(S110)와, 상기 준설유닛(200)의 몸체부(230) 둘레방향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자바라튜브(275)에 공기를 주입하여 준설유닛(20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준설하는 단계(S130)와, 분쇄날(210)을 이용하여 토사물을 분쇄하는 단계(S150)와, 상기 분사노즐(250)을 이용하여 분쇄된 토사물(70)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토사물(70)을 분쇄하는 단계에서 제1 자바라튜브(275)에 주입하는 공기의 양을 서로 달리하면서 조절하여 분쇄날(21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토사물(70)을 분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2 자바라튜브(280)와 제3 자바라튜브(290)를 이용하여 단단한 토사물(70)을 분쇄할 수도 있다.
토사물(70)의 분쇄가 마무리되면 분사노즐(250)을 이용하여 토사물(70)을 빗물받이로 밀어내게 된다. 즉, 분사노즐(250)을 통하여 준설수를 강하게 분사하면 준설유닛(200)이 전방으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때 연결유닛(300)을 당기면 분사노즐(250)을 통하여 분사되는 노즐이 준설된 토사물(70)을 쓸어서 빗물받이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250)을 통하여 준설수를 강하게 분사하면서 준설유닛(200)을 왕복시키면 토사물(70)이 빗물받이로 쓸려나오게 되며, 빗물받이로 쓸려나온 토사물(70)은 흡입유닛(130)을 통하여 차량부(100)로 흡입하게 된다. 차량부(100)로 흡입된 준설물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토사물(70)과 준설수로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차량부 110: 물탱크
130: 흡입유닛 150: 분리유닛
153: 교반분리유닛 154: 준설물수용부
155: 교반날개 156: 경사구간
157: 배수공 163: 스크류분리유닛
164: 제1 스크류컨베이어 165: 제2 스크류컨베이어
166: 스크류날개 170: 토사물저장부
190: 중간저수부 193: 유입관
195: 펌프 200: 준설유닛
210: 분쇄날 215: 급수공
230: 몸체부 250: 분사노즐
270: 슬라이딩바 275: 제1 자바라튜브
280: 제2 자바라튜브 290: 제3 자바라튜브
293: 지지링 295: 돌기부
300: 에어호스

Claims (5)

  1. 준설유닛에 준설수를 공급하는 물탱크와, 준설물을 흡입하는 흡입유닛과, 상기 흡입유닛에 의하여 흡입된 준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준설물로부터 준설수와 토사물을 분리하는 분리유닛과,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토사물을 저장하는 토사물저장부 및 상기 준설물로부터 분리된 준설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중간저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분쇄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준설유닛; 및 상기 준설유닛과 상기 차량부를 연결하며, 전원공급선과 급수관 및 에어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교반분리유닛과 스크류분리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분리유닛은 일측이 토사물저장부와 연결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전부나 일부가 높아지는 경사구간이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준설물수용부와, 상기 준설물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방향으로 가면서 나선형으로 감겨있는 교반날개 및 상기 준설부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하여 배수되는 준설수를 중간저수부로 흘러가게 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분리유닛은 타측이 상기 중간저수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일측이 상기 토사물저장부의 입구까지 연장되어 있는 제1 스크류컨베이어와, 일측이 상기 제1 스크류컨베이어와 연통하도록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토사물저장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스크류컨베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크류컨베이어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스크류날개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준설유닛의 몸체부의 후방에는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에는 최소한 3개 이상의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되, 상기 슬라이딩바의 내측에는 각각 제1 자바라튜브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자바라튜브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가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에는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량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제2 자바라튜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 자바라튜브의 끝단에는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는 제3 자바라튜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자바라튜브의 내측면에는 지지링이 구비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5. 삭제
KR1020150081845A 2015-06-10 2015-06-10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KR10157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45A KR101573879B1 (ko) 2015-06-10 2015-06-10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845A KR101573879B1 (ko) 2015-06-10 2015-06-10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879B1 true KR101573879B1 (ko) 2015-12-02

Family

ID=5488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845A KR101573879B1 (ko) 2015-06-10 2015-06-10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759A (zh) * 2017-07-20 2017-10-20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综合管廊污水管道冲淤系统的冲淤方法
CN108457368A (zh) * 2018-04-02 2018-08-28 宿州冬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道清洁方法
CN112832362A (zh) * 2021-02-25 2021-05-25 林玉如 一种市政管道清淤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73B1 (ko) * 2009-03-26 2009-11-23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준설차
KR101243756B1 (ko) * 2010-12-24 2013-03-13 미나미건설 주식회사 하수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073B1 (ko) * 2009-03-26 2009-11-23 동우인더스(주) 복합식 준설차
KR101243756B1 (ko) * 2010-12-24 2013-03-13 미나미건설 주식회사 하수관 내부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759A (zh) * 2017-07-20 2017-10-20 中冶南方城市建设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综合管廊污水管道冲淤系统的冲淤方法
CN108457368A (zh) * 2018-04-02 2018-08-28 宿州冬宇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管道清洁方法
CN112832362A (zh) * 2021-02-25 2021-05-25 林玉如 一种市政管道清淤系统
CN112832362B (zh) * 2021-02-25 2022-08-26 湖南中铭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清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432B2 (en) Drilling fluid reclaimer
KR101573879B1 (ko)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공법 및 이를 위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CN205116250U (zh) 一种水利工程中水库的清淤装置
US20190271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large pipes, such as storm drain conduits
CN203066912U (zh) 废钻井泥浆不落地接收筛分装置
JP2007262766A (ja) リチャージ工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地下水リチャージシステム
CN112227492A (zh) 市政道路排水结构
CN211816758U (zh) 一种市政道路雨水收集灌溉系统
JP2843976B2 (ja) 坑内排水装置
JP7001803B2 (ja) 揚砂搬送装置
KR102065939B1 (ko) 수압에 의한 자동 회전식 노즐을 이용한 빗물받이 연결관 준설장치 및 방법
CN108547251A (zh) 一种水利冲挖清淤的方法
JP6807788B2 (ja) 揚砂搬送装置
KR101962037B1 (ko)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CN215105422U (zh) 一种建筑施工用基坑排水装置
CN115262317A (zh) 一种采用再生材料的绿色低碳环保型道路结构
JP4521626B2 (ja) 井戸の揚水ポンプ装置
CN209099439U (zh) 一种提高地下水回灌效率的回灌井
KR102082007B1 (ko) 경사지에서 붕괴방지용 배수장치
KR101167560B1 (ko) 집수정의 수직 굴착공이 제거된 계곡수 개발장치 및 그의 세척방법
CN207295943U (zh) 一种道路排水系统
KR840000824B1 (ko) 지반주입재(地盤注入材)의 주입방법과 그 장치
CN106480974B (zh) 前置网孔箱式分离器的调蓄池
CN108325902A (zh) 一种人工湿地填料清洗装置
CN220955509U (zh) 一种用于水平钻机的泥浆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