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777B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777B1
KR101573777B1 KR1020140032459A KR20140032459A KR101573777B1 KR 101573777 B1 KR101573777 B1 KR 101573777B1 KR 1020140032459 A KR1020140032459 A KR 1020140032459A KR 20140032459 A KR20140032459 A KR 20140032459A KR 101573777 B1 KR101573777 B1 KR 10157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cking
release preventing
preventing member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9565A (ko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14003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7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를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구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크기를 증대할 필요가 없고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되므로 별도의 보조링이 필요없어 부품수 및 연결구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를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구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크기를 증대할 필요가 없고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되므로 별도의 보조링이 필요없어 부품수 및 연결구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의 호스,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를 다른 파이프에 연결하거나, 각종 밸브, 이음용부재(엘보, 티이 등)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여러 종류의 연결구가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일례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923721호(명칭: 관 연결구)가 있다.
상기 관 연결구는, 연결소켓의 수용공내에 파이프를 삽입하며, 연결소켓의 일단부에는 패킹부재와 보조링 및 금속 이탈방지링을 설치한 후, 조임너트로 나사조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너트로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금속 이탈방지링은 파이프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물게 되어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보조링은 상기 이탈방지링을 지지하면서 안착면을 제공함은 물론 패킹부재를 파이프측으로 밀게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연결구는, 상기 파이프의 구경이 커질수록 이에 비례하여 상기 금속 이탈방지링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원가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링을 지지하고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상기 보조링이 필수로 필요하므로 부품수 및 연결구의 크기가 증대되며, 이는 곧 원가 상승으로 이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를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구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크기를 증대할 필요가 없고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연결몸체에 직접 장착되므로 별도의 보조링이 필요없어 부품수 및 연결구의 크기도 줄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는 파이프수용부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파이프수용부 일단부에 확관되게 형성되는 패킹수용부에 삽입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연결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편을 구비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5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수용부내로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 조임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독립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를 연결몸체의 복수개 삽입홈부에 직접 삽입 장착하여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구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크기를 증대할 필요가 없고 사용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이탈방지부재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가 연결몸체의 복수개 삽입홈부에 직접 장착되므로 별도의 보조링이 필요없어 부품수 및 연결구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 및 삽입홈부의 구조에 의해, 최소의 부품수 및 최소의 공간을 사용하면서 파이프 이탈방지에 있어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부재가 삽입홈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는 파이프(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로서 각종 밸브 뿐만아니라 파이프 이음용 엘보, 티 등과 같이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모든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5)로는 경질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파이프와, 금속재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질의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구내로 삽입되는 연질 파이프의 끝단부에 연질 파이프를 지탱해주는 별도의 지지관(미도시)을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이프 연결구(1)는 연결몸체(10)와, 패킹부재(20)와, 이탈방지부재(30)와, 조임너트(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0)는, 내부에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5)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유체통로(11)와 단차지는 파이프수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수용부(12)는 상기 연결몸체(10)내로 삽입되는 파이프(5)의 단부가 걸리도록 해서 파이프(5)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상기 파이프수용부(12) 대신 상기 유체통로(11)를 파이프(5)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하고 유체통로(11)상에 파이프(5)가 걸리는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파이프수용부(12)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40)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연결몸체(10)의 형상은 일예로 나타낸 것이며, 밸브, 엘보, 티 등에 적용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일측에는 상기 패킹부재(20)를 설치하기 위한 패킹수용부(13)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수용부(13)는 상기 파이프수용부(12)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20)는 상기 연결몸체(10)의 파이프수용부(12) 일단부에 확관되게 형성된 패킹수용부(1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내측면과 파이프(5)의 외주면 사이의 기밀(또는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패킹부재(20)는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40)의 나사조임에 의해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패킹부재(20)는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내측면(바닥면 및 내주면)과 파이프(5)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40)는,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수용부(13)내로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는 가압부(41)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너트(40)의 중심으로는 상기 파이프(5)가 관통하게 되고, 이때 상기 조임너트(40)의 내주면에는 직각방향으로 상기 가압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조임너트(4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연결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이탈방지편(31)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연결몸체(10)에 복수개 설치되며, 각각 서로 이격되어 독립된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연결구(1)의 사용목적이나 사용조건에 따라 그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원가 및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상기 파이프(5)의 구경이 커지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크기를 증대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10)의 파이프수용부(12)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가 삽입 장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삽입홈부(15)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홈부(15)는,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둘레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으로부터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30)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6)과,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이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삽입홈(16)과 상기 파이프수용부(12)를 연통시키는 제2삽입홈(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삽입홈(17)의 원주방향 폭은 상기 제1삽입홈(16)의 원주방향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이로인해 상기 제1삽입홈(16)에 삽입된 이탈방지부재(30)가 상기 제2삽입홈(17) 양측의 단차에 걸려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내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삽입홈(16)은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둘레에 배치되지만,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측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삽입시에는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에서 상기 제1삽입홈(16)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제1삽입홈(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양단부에 지지대(32)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편(31)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편(31)의 끝단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즉, 금속판의 양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기 지지대(32)를 형성하고, 이때 상기 양 지지대(32) 사이의 평판 부위를 일정형태로 절개하여 상기 하향 경사지는 이탈방지편(3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2)는 상기 제1삽입홈(16)내에 끼워져 이탈방지부재(3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삽입홈(16)내에서 이탈방지부재(3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상단에는, 상기 파이프(5)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평면을 이루는 패킹받침부(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삽입홈(16)에 상기 이탈방지부재(3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패킹받침부(33)의 상측면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평면을 이루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상기 패킹받침부(33)가 상기 패킹부재(20)를 받치게 되면서 상기 패킹부재(20)의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부(15)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8)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8)의 상단이 상기 이탈방지편(31)을 하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즉, 경질의 파이프(5)와 같이 파이프(5)의 외주면이 딱딱한 경우, 이러한 파이프(5)를 연결몸체(10)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이 파이프(5) 삽입방향으로 밀리게 되는데, 다시말해 상기 이탈방지편(31)이 눕혀지게 되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제대로 물지 못하게 되고 결국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8)를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편(3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파이프(5)가 삽입될때, 상기 이탈방지편(31)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5)의 외주면을 확실히 물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이탈방지기능을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가 연결몸체(10)의 복수개 삽입홈부(15)에 직접 삽입 장착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패킹받침부(33)가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함께 패킹부재(20)를 받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보조링이 필요없어 부품수를 줄이고 연결구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다시말해,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부재(30) 및 삽입홈부(15)의 구조에 의해, 최소의 부품수 및 최소의 공간을 사용하면서 파이프 이탈방지에 있어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상측면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지지부재(60)가 안착 설치된다.
이로인해, 상기 지지부재(60)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0)와 패킹부재(20)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5)가 유동할 때,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물고 있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0)도 함께 유동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지지부재(60)가 상기 복수개 이탈방지부재(30)의 상측면을 가압하여 지지하므로 상기 파이프(5)의 유동시에도 상기 이탈방지부재(30)가 움직이지 않아 파이프(5)를 더욱 안정적으로 물고 있게 되고 이로인해 이탈방지기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패킹부재(20)가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상측면을 직접 가압하여 지지하는 구조이며, 이때 상기 패킹부재(20)가 일정 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파이프(5)의 유동시 상기 이탈방지부재(30)가 미세하게 유동할 수 있으나, 상기 조임너트(40)의 가압부(41)가 지탱하고 있으므로 이탈방지기능에는 문제가 없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60)를 추가로 사용하여 상기 이탈방지부재(30)를 지지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미세 유동까지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몸체(10)의 복수개 삽입홈부(15)에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를 삽입 장착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은 상기 삽입홈부(15)의 제2삽입홈(17)을 통해 파이프수용부(12)의 내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패킹수용부(13)에 상기 패킹부재(20)를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상기 연결몸체(10)의 나사부(15)에 조임너트(40)를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40)는 완전히 나사조임하지 않고 파이프(5)를 쉽게 삽입할 수 있을 정도까지만 가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를 공급받은 작업자는 파이프 연결구(1)에 파이프(5)를 삽입하게 되는데, 즉, 상기 파이프 연결구(1)내에 파이프(5)를 밀어넣게 되면 파이프(5)는 조임너트(40), 패킹부재(20), 이탈방지부재(30)의 내측을 관통하여 연결몸체(10)의 파이프수용부(12)까지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5)가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내측을 관통할 때,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을 벌리면서 관통하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이탈방지편(31)이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물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조임너트(4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40)의 가압부(41)가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패킹부재(20)가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내측면과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임너트(4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조임너트(40)의 가압부(41)가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면서 상기 삽입홈부(15)에 삽입된 이탈방지부재(30)까지 가압하므로 상기 이탈방지부재(30)가 단단히 고정되면서 상기 파이프(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5)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임너트(40)를 완전히 푼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를 연결몸체(10)로부터 빼내면 상기 삽입홈부(15)에 삽입된 이탈방지부재(30)가 함께 빠져나오게 되므로 파이프(5)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1: 파이프 연결구 5: 파이프
10: 연결몸체 11: 유체통로
12: 파이프수용부 13: 패킹수용부
15: 삽입홈부 18: 지지부재
20: 패킹부재
30: 이탈방지부재 31: 이탈방지편
32: 지지대 33: 패킹받침부
40: 조임너트 41: 가압부
60: 지지부재

Claims (6)

  1. 파이프(5)를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5)의 단부를 수용하는 파이프수용부(12)가 형성된 연결몸체(1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파이프수용부(12) 일단부에 확관되게 형성되는 패킹수용부(13)에 삽입 설치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연결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파이프(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이프(5)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편(31)을 구비한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와,
    상기 연결몸체(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패킹수용부(13)내로 삽입되어 상기 패킹부재(20)를 가압하는 가압부(41)가 형성된 조임너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몸체(10)의 파이프수용부(12) 둘레에는, 상기 복수개의 이탈방지부재(30)가 삽입 장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삽입홈부(15)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부(15)는,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둘레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으로부터 일정깊이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30)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6)과,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이 상기 파이프수용부(1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삽입홈(16)과 상기 파이프수용부(12)를 연통시키는 제2삽입홈(1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상단에는, 상기 파이프(5)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평면을 이루는 패킹받침부(33)가 형성되어, 상기 패킹수용부(13)의 바닥면(13a)과 상기 패킹받침부(33)가 상기 패킹수용부(13)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패킹부재(2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0)는, 상기 제1삽입홈(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양단부에 지지대(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편(31)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15)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0)의 이탈방지편(3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8)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140032459A 2014-03-20 2014-03-20 파이프 연결구 KR10157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59A KR101573777B1 (ko) 2014-03-20 2014-03-20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59A KR101573777B1 (ko) 2014-03-20 2014-03-20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65A KR20150109565A (ko) 2015-10-02
KR101573777B1 true KR101573777B1 (ko) 2015-12-02

Family

ID=5434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459A KR101573777B1 (ko) 2014-03-20 2014-03-20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306A (ko) * 2019-12-23 2021-07-01 강미현 파이프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63B1 (ko)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63B1 (ko)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파이프 연결용 소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306A (ko) * 2019-12-23 2021-07-01 강미현 파이프 연결장치
KR20210080777A (ko) * 2019-12-23 2021-07-01 강미현 파이프 연결장치
KR102286156B1 (ko) 2019-12-23 2021-08-05 (주)알레스테크 파이프 연결장치
KR102286154B1 (ko) * 2019-12-23 2021-08-05 (주)알레스테크 파이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65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748B2 (en) Pi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ipe using the same
US6672628B2 (en) Quick connect hose coupling
US20150308087A1 (en) Fluid Delivery System with a Housing and At Least One Fluid Inlet and One Fluid Outlet
KR10143949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US9383050B1 (en) Quick removal plumbing fitting
KR20170090085A (ko) 배관 연결장치
KR101420642B1 (ko) 밀착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
US10627032B2 (en) Quick connection structure of faucet outlet pipe
KR20140091268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573777B1 (ko) 파이프 연결구
US6883187B2 (en) Toilet flange assembly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US7419190B1 (en) Universal water meter connector assembly
KR20110107990A (ko) 파이프 연결구
KR102130793B1 (ko) 수도꼭지 연결구
KR10110408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788002B1 (ko) 파이프용 커플링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CN107827172B (zh) 集成水路板与管路的连接结构及水处理设备
US7163028B1 (en) Multipurpose plumbing tool
KR20200059647A (ko) 원터치식 결속부재를 갖는 수전금구
KR100969746B1 (ko) 합성수지재 파이프의 연결부 고정장치
KR101393395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CN208586697U (zh) 一种快装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