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22B1 -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22B1
KR101573322B1 KR1020140065449A KR20140065449A KR101573322B1 KR 101573322 B1 KR101573322 B1 KR 101573322B1 KR 1020140065449 A KR1020140065449 A KR 1020140065449A KR 20140065449 A KR20140065449 A KR 20140065449A KR 101573322 B1 KR101573322 B1 KR 10157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asal cavity
wire structure
external forc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원
Original Assignee
메디코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코코(주) filed Critical 메디코코(주)
Priority to KR102014006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22B1/en
Priority to PCT/KR2015/003672 priority patent/WO20151828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evice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for increasing a respiration volume of the nasal cavity, which does not fall out during sleeping, with good wearability, capable of expanding the size of the hole of the nasal cavity and maintaining a hollow body shape in the expanded state. The device comprises: a pair of wire structures inserted in the nasal cavity, and formed with a hollow penetration hole; and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wire structures, wherein the wire structures have flexibility modified by partially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and elastic power for recovering the modification to the original state.

Description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0001]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

본 발명은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한 중공체를 비강 내에 삽입하여 수면장애를 방지하는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sal respiratory volume increa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asal respiratory volume increa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 sleeping disorder by inserting a flexible hollow body into a nasal cavity.

코골이란 사람이 자는 동안 호흡하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咽喉部)가 좁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잠자는 동안에는 입천장, 목젖, 편도, 혀 등의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통로가 좁아진다. 좁아진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는 주변의 부드러운 부분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가 나게 된다. 코골이는 수면 중 심한 소음을 발생시켜 가족 등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고, 공기 통로가 막혀 숨을 못 쉬게 되는 수면무호흡 증상과 같은 수면장애를 수반하기도 한다. 수면무호흡 증상은 정상적으로 숨을 쉬지 못함으로써 뇌의 산소포화도를 떨어뜨리고 자주 잠을 깨게 하여 깊은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Snoring refers to the narrowing of the throat through which the breathing air passes while sleeping. During sleep, the muscles of the palate, uvula, one-way, and tongue are loosened and slackened, narrowing the air passage partially.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narrowed area, the soft parts of the surrounding area are vibrated, and a snoring sound is produced. Snoring can cause sleep disturbances such as sleep apnea symptoms that cause severe noise during sleep and cause discomfort to the family and others, and obstruction of airway obstruction. Sleep apnea symptoms usually do not breathe normally, causing the brain to lose oxygen saturation, often causing it to wake up and prevent it from taking a deep sleep.

코골이 및 그에 수반된 수면 무호흡 증상 등의 수면장애가 있으면, 피로가 풀리지 않아 신체적인 피해가 심하고 정신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수면 장애는 아이들의 성장, 정신 발달 및 정서 안정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어른들에게는 수명을 단축하고, 각종 심혈관계 질환, 두통 등을 일으키며, 정서상의 장애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코골이에 의한 수면장애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정형화된 실리콘이나 플라스틱 사출물의 비강 호흡 조절기를 사용하여, 비강의 구멍의 크기를 넓히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조절기는 수면 중에서 빠지거나 비강 호흡 조절기의 구멍이 작아져서, 실질적으로 방지 효과가 없다. 수면 중에 빠지거나 구멍이 작아지는 현상을 없애기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을 갖추거나 그 형태를 변경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착용감이 좋지 않다. Sleep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accompanying sleep apnea symptoms, do not relieve fatigue, causing physical damage and poor mental concentration. Sleep disturbance adversely affects children's growth, mental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shortens life span for adults, causes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s, headaches, and causes emotional problem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preventing sleeping disorders caused by snoring are attempting to increase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by using a nasal respiratory regulator of a stylized silicone or plastic injection. However, the conventional regulator is not effective in preventing it from falling out of the water surface or reducing the opening of the nasal cavity respiratory regulator. In order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falling off during sleeping or reducing the size of the hole, a separate fixing means is provided or the shape thereof is changed. However, this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is not comfortable to wear.

국제공개특허 제WO2006-010848호는 프레임의 중앙 외비부는 거의 U형이고, 이 중앙 외비부의 중심부는 탄성을 갖고 스프링 작용에 의해 콧방울을 이격시키는 기계식 코 확장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비강의 구멍을 확장시킬 수 있으나, 수면 중에 빠질 염려가 있고, 딱딱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114374호는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중앙이 관통되어 관통공을 가지는 관상의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선단에는 걸림편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몸체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밀착 돌환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지구는 비강을 확장시키고 공기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면 중에 빠질 염려가 있고, 착용감이 역시 좋지 않을 수 있다.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 2006-010848 discloses a mechanical nasal expander wherein the central ostium of the frame is substantially U-shape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ostium has elasticity and is separated from the nostril by spring action.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capable of expanding the nostril hole by spring action, but there is a concern that it may fall in the water surface, and it is hard and it is not comfortable to wear. [0007]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0-0114374 relates to a snoring zone, which includes a tubular body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latching part extending outward from the tip of the body, And the like. However, although the nasal cavity extends the nasal cavity and facilitates the infusion of ai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asal cavity may fall during the sleeping, and the feeling of fit may not be go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강의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상태의 중공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면 중에 빠지지 않고, 착용감이 좋으며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nasal respiration amount, which can enlarge the size of the nostril of the nasal cavity, maintain the shape of the hollow body in the expanded state, hav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는 비강에 삽입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 구조체 및 상기 와이어 구조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변형되는 유연성 및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려는 탄성력을 가진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intravascular volume increasing device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comprising a pair of wire structures inserted into a nasal cavity to form a hollow,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wire structures. At this time, the wire structure has flexibility to deform by partially absorbing external force and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deformation to the original state.

본 발명의 호흡량 증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길이 방향(L)/폭 방향(W)의 크기의 비는 상기 비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길이 방향(L)의 크기가 상기 폭 방향(W)의 크기보다 큰 것이 좋다. 상기 중공의 폭 방향(W)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제1 직경(a)은 제2 직경(b)에 비해 클 수 있다. 상기 제2 직경(b)은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소정의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 사이의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하나의 섹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피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외피의 탄성력은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tidal volume incr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structure may be connected by a wire connection portion. The ratio of the length L to the width W of the wire structur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and the length L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W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low width (W) may be either circular or elliptica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irst diameter (a) of the wire structure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b). The second diameter (b)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wire structure. The wire structure between the wire connections may form one sector. In addition, the wire structure is wrapped by the sheath,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heath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wire structure.

바람직한 본 발명의 호흡량 증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다수개의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의 간격(d) 및 높이(h)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tidal volume increa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structure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have gentle curvature. The distance d and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s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본 발명의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에 의하면,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탄성력을 가진 와이어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비강의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확장된 상태의 중공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호흡량 증가 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수면 중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외력이 부분적으로 흡수됨으로써, 부드러운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길이 방향(L)으로 돌기(42)의 간격(d) 및 높이(h)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비강의 구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nasal respiration increasing apparatus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ire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to partially absorb external force and recover the original stat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ize of the hole of the nasal cavity, The shape can be maintained. Also, the tidal volume increasing device may not fall out during sleep due to the elastic force. The external force is partially absorbed,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soft wearing feeling. Furthermore, the spacing d and the height h of the projections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nasal structure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제1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제2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nasal respiratory volume increasing apparatus 100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nasal obstruction breathing apparatus 200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탄성력을 가진 와이어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비강의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상태의 중공체 형상을 유지하며, 수면 중에 빠지지 않고, 착용감이 좋은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중공을 이루는 와이어 구조체를 이용한 비강 호흡 조절량 증가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호흡 장치에 의하여,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등의 수면 장애를 제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수면 장애는 근본적으로 코골이에 의한 것이며, 나아가 코골이로 인하여 수반되는 현상, 예컨대 수면 무호흡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wire structure having an elastic force to partially absorb an external force and restore its original state, thereby enlarging the size of the hole of the nasal cavity and maintaining the expanded hollow body shape, And a comfortable nostril breathing volume increase device. To this end, the structure of the nasal respiratory adjustment amount increasing device using the hollow wir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ocess of eliminating the sleeping disorders such as snoring and sleep apnea by the respirator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ere, the sleeping disorder is fundamentally caused by snoring, and further includes a phenomenon accompanied by snoring, such as sleep apn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제1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삽입부(10)의 일부는 외피(20)를 투명하게 표현하였다. 실질적인 외피(20)는 반드시 투명하지 않아도 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nasal respiratory volume increasing apparatus 100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art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0 expresses the envelope 20 in a transparent manner. The substantial shell 20 may not necessarily be transparent.

도 1을 참조하면, 제1 장치(100)는 한 쌍의 제1 삽입부(10)가 연결부(18)에 의해 결합된 것이다. 각각의 제1 삽입부(1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삽입부(10)는 와이어 중공체(12), 외피(20) 및 통형 결합부(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와이어 중공체(12)는 중공(c)을 이루는 와이어 구조체(12a) 및 와이어 구조체(12a)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12b)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구조체(12a)는 와이어가 중공(c)의 외벽을 이루면서, 불규칙하게 굽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외벽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와이어 구조체(12a)의 와이어는 서로 만나지 않고, 와이어 구조체(12a)들은 와이어 연결부(12b)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좋다. 와이어 중공체(12)는 와이어 구조체(12a) 및 와이어 연결부(12b) 사이에는 빈 공간인 완충부(14)를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device 100 is a pair of first insertion portions 10 joined by a connecting portion 18.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s 10 preferably has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inserting portion 10 includes a wire hollow body 12, a sheath 20 and a tubular engaging portion 16. The wire hollow body 12 may be composed of a wire structure 12a forming the hollow c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12b connecting the wire structure 12a. The wire structure 12a continuously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wall in an irregularly curved shape while the wire forms the outer wall of the hollow c. The wires of the wire structure 12a do not meet with each other and the wire structures 12a are connected by the wire connection portion 12b. The wire hollow body 12 forms a buffer portion 14 which is an empty space between the wire structure 12a and the wire connecting portion 12b.

와이어 중공체(12)의 길이 방향(L)의 크기는 폭 방향(W)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L)/폭 방향(W) 크기의 비는 제1 장치(100)가 삽입되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강의 크기가 크면, L/W는 작아질 수 있다. 중공(c)의 폭 방향(W) 단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중공(c)의 폭 방향(W) 단면은 삽입되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강의 구조는 사용자마다 다르므로,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상기 단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비강의 길이는 사용자의 나이에 따라 달라지나, 평균적으로 약 7cm이다. 이에 따라, 와이어 중공체(12)를 비강의 길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wire hollow body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larger than the width direction W. [ The ratio of the length L to the width W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into which the first device 100 is inserted. If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is large, the L / W can be reduced.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hollow c may be either circular or elliptical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hollow c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inserted nasal cavity. Since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varies from user to user,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this. The length of the nasal cavity varies with the age of the user, but on average is about 7 cm. Thus, the wire hollow body 12 can be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nasal cavity.

와이어 중공체(12)는 외부의 충격이나 형상에 의한 외력에 대하여,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회복하는 성질을 가진다. 예를 들어, 비강에 삽입하였을 때, 길이 방향(L) 또는 폭 방향(W)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든 방향(L, W)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삽입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지닌다. 중공(c)의 형태를 회복하려는 특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제1 장치(100)는 비강의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고 그 확장된 상태의 중공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12a)의 전체에 걸쳐 흡수되지 않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와이어 구조체(12a)에 흡수된다. 와이어 중공체(12)에 외력이 가해지면, 와이어 구조체(12a)는 그에 부응하여 형상이 변경된다. 상기 외력에 의해, 빈 공간인 완충부(14)의 모양을 변화되어, 상기 외력을 흡수한다. 외력이 가해진 부분의 형상이 변화되므로, 와이어 구조체(12a)는 유연하다고 할 수 있다.The wire hollow body 12 has a property of recovering to an original state due to an elastic force against an external force due to external impact or shape. For example, when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r the width direction (W) or all directions (L, W), it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the state before insertion. Due to the nature of recovering the shape of the hollow c, the firs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and maintain the expanded shape of the hollow body. The external force is not absorbed over the entire wire structure 12a but is absorbed by the wire structure 12a in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ct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ire hollow body 12, the shape of the wire structure 12a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force. By the external force, the shape of the buffer part 14, which is an empty space, is changed to absorb the external force. The shap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changed, so that the wire structure 12a can be said to be flex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중공체(12)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춘 와이어 중공체(1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제1 조건에 의해,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12a)의 전체에 걸쳐 흡수되지 않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부분의 와이어 구조체(12a)에 흡수된다. 예컨대, 외력이 와이어 구조체(12a) 길이 방향(L)의 중심 부분에 가해졌다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중심 부분의 완충부(14)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외력을 흡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외력은 와이어 구조체(12a) 전체의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제2 조건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완충부(14)의 형태가 변화되었더라도, 변화된 완충부(14)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특성을 가진다. 제1 조건은 유연한 특성, 제2 조건은 탄성력이라고 할 수 있다.The wire hollow body 1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hollow body 12 having the following conditions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condition, the external force is not absorbed over the entire wire structure 12a, but is absorbed by the wire structure 12a at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acts. For example,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wire structure 12a,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cushioning portion 14 to absorb the external force. In other words, the external force does not change the shape of the entire wire structure 12a. In the second condition, even if the shape of the buffer part 14 is changed by the external force, the changed buffer part 14 has a characteristic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The first condition is a flexible property, and the second condition is an elastic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구조체(12a)의 탄성력은 착용감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탄성력이 지나치게 크면, 와이어 중공체(12)가 비강에 삽입되었을 때, 비강 내부를 압박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탄성력이 지나치게 작으면,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특성을 가지기 어렵다. 필요에 따라, 와이어 구조체(12a)는 와이어 연결부(12b)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12b)는 와이어 중공체(12)가 물리적으로 안정된 형상을 가지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만일, 와이어 연결부(12b)가 없어도 상기 안정된 형상을 유지한다면, 와이어 연결부(12b)를 두지 않을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12b)의 개수는 상기 안정된 형상을 유지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elastic force of the wire structure 12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ring comfort. When the elasticity of the wire is excessively large, when the wire hollow body 12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 nasal cavity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nasal cavity, resulting in poor comfort. If the elastic force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to have a characteristic of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f necessary, the wire structures 12a can be joined to each other by the wire connection portions 12b. The wire connecting portion 12b exists so that the wire hollow body 12 has a physically stable shape. If the wire connection portion 12b is not provided, the wire connection portion 12b may not be provided if the stable shape is maintained. The number of the wire connecting portions 12b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intaining the stable shape.

연결부(18) 근처의 끝단(Es)의 폭 방향(W) 제1 직경(a)은 반대쪽 끝단(Ef)의 폭 방향(W) 제2 직경(b)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직경(a)/제2 직경(b)의 비는 비강의 형태를 고려한 것이며, 105~125가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끝단(Es)에서 끝단(Ef)까지 일정한 경사를 가진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2 직경(b)은 길이 방향(L)에서 소정의 영역, 예컨대, 제1 삽입부(10)의 대략 2/3 정도까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와이어 구조체(12a)는 끝단(Ef)에서 상기 소정의 영역까지는 동일한 직경의 중공(c)을 이루다가, 상기 영역이 끝나는 시점에서 끝단(Es)까지는 경사진다. 제2 직경(b)이 차지하는 영역은 사용자의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first diameter a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end E s near the connection portion 18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b in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opposite end E f . The ratio of the first diameter (a) / the second diameter (b) is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and preferably from 105 to 125. In the drawing end (E s) at the end (E f) to but represented as having a constant slope, if the second diameter (b) i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accordance with, for example, the first insert portion (10 / RTI > can be the same up to about two thirds. In this case, the wire structure 12a forms a hollow c having the same diameter from the end E f to the predetermined region, and is inclined from the end of the region to the end E s . The area occupied by the second diameter b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user's nasal cavity.

와이어 연결부(12b) 사이의 와이어 구조체(12a)는 외력을 흡수하는 하나의 섹터를 이룰 수 있다. 섹터로 와이어 중공체(12)를 구분하면,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섹터내의 와이어 구조체(12a)는 와이어가 연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와이어 구조체(12a)는 인체에 무해하고 부식에 강한 재질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Co-Cr 합금,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티놀(Nitinol)과 같은 금속,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고분자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구조체(12a)는 은(Ag), 은염, 황화구리와 같이 항균성을 부여하는 물질을 표면에 코팅하거나 내부에 혼합할 수 있다.The wire structure 12a between the wire connecting portions 12b can form one sector for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When the wire hollow body 12 is divided into sectors, the ability to partially absorb the external force can be enhanced. The wire structure 12a in one sector can be continuously connected with the wire. The wire structure 12a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Co-Cr alloy, stainless steel or Nitinol, or a polymer exhibiting an elastic force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resistant to corrosion. have. In addition, the wire structure 12a may be coated with a substance that imparts antimicrobial properties such as silver (Ag), silver salt, and copper sulfide, or may be mixed therein.

와이어 구조체(12a)는 외피(20)로 감싸여 있다. 외피(20)는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진 고분자 필름이 바람직하다. 외피(20)의 탄성력은 와이어 구조체(12a)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이 좋다. 외피(20)의 탄성력이 와이어 구조체(12a)보다 크면, 와이어 구조체(12a)가 외력에 대하여 제대로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외피(20)는 탄성력이 있고, 착용감이 좋으며, 인체에 무해한 고무 재질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아크릴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아미드 고무, 천연 고무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20)의 두께는 재질 등을 고려해야 하나, 반복하여 사용해도 파단이 일어나지 않은 정도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장치(100)는 외피(20)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The wire structure 12a is wrapped with a sheath 20. The sheath 20 is preferably a polymer film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The elastic force of the sheath 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wire structure 12a. If the elastic force of the sheath 20 is larger than the wire structure 12a, the wire structure 12a may not work properly against the external force. The outer cover 20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lasticity, good fit,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is made of any one selected from silicone rubber, fluorine rubber, acrylic rubber, polyurethane rubber, polyamide rubber, . The thickness of the sheath 20 should be such 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material and the like, but may be such that the shearing does not occur even if used repeatedly. If desired, the first device 100 may not use the sheath 20.

통형 결합부(16)는 연결부(18)와 결합되며, 제1 삽입부(10)의 끝단(Es) 부위에 위치한다. 통형 결합부(16)는 와이어 중공체(12) 및 외피(20)를 내재하며, 비강에 삽입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통형 결합부(16)는 제1 장치(100)를 비강에 삽입할 때, 손으로 잡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통형 결합부(16)는 제1 삽입부(10)의 형태를 유지하고, 비강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정도의 폭, 두께 및 강도를 가진다. 통형 결합부(16)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18)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좋다. 연결부(18)는 제1 삽입부(10)가 원활하게 삽입되고 유지되는 크기를 가지며, 사용자의 비강의 구조에 맞추어 일정한 곡률(R)을 포함한다.The tubular engaging portion 16 is engag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8 and is located at the end E s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0. The tubular engaging portion 16 preferably has the wire hollow body 12 and the sheath 20 and is not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 tubular engaging portion 16 may be a portion to be held by hand when the first device 100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 tubular engaging portion 16 retains the shape of the first insert 10 and has a width, thickness, and strength sufficient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nasal cavity. The tubular engaging portion 16 is preferably made of a polymer resin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8. [ The connection portion 18 has a size such that the first insertion portion 10 is smoothly inserted and held, and includes a certain curvature R in accorda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user's nasal cavity.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제2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삽입부(30)는 외피(4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2 장치(200)는 제2 삽입부(30)에 돌기(42)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 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nasal respiratory volume increasing apparatus 200 having a flexible hollow bod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30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envelope 40 is removed. Here, the second device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device 100, except that the protrusion 42 is formed o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30.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도 2에 의하면, 제2 장치(200)의 와이어 중공체(32)는 길이 방향(L)에 걸쳐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 와이어 구조체(32a) 및 와이어 연결부(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장치(200)의 와이어 연결부(32b)는 제1 장치(100)의 와이어 연결부(12b)와 그 기능 및 역할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와이어 구조체(32a)의 제1 및 제2 직경(a, b)은 제1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부분적으로 돌출된 와이어 구조체(32a)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장치(200)의 외피(40)는 그에 대응하여 돌기(42)를 형성한다. 2, the wire hollow body 32 of the second device 200 includes a wire structure 32a and a wire connecting portion 32b, which are partially pro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s shown in Fig. The wire connection portion 32b of the second device 200 is substantially the same in function and role as the wire connection portion 12b of the first device 100. [ The first and second diameters a and b of the wire structure 32a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device 100. Due to the partially protruding wire structure 32a, the envelope 40 of the secon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protrusion 42 correspondingly.

돌기(42)는 수면 중에 빠지지 않는 범주에서 완만한 굴곡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42)가 상대적으로 급격한 굴곡을 이루면, 수면에 중에 빠지지 않는 데에는 유리하나, 착용감이 좋지 않을 수 있다. 급격한 굴곡은 모서리 부분이 비강의 내부를 자극할 수 있다. 돌기(42) 사이의 간격(d) 및 높이(h)는 삽입되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착용감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간격(d)이 작고 높이(h)가 크면, 결착은 잘 이루어지나 비강의 내부를 지나치게 자극하여 불쾌감을 줄 수 있다. 간격(d) 및 높이(h)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길이 방향(L)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강의 안쪽은 바깥쪽에 비하여, 간격(d) 및 높이(h)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s 42 have a gentle bend in a category that does not fall during the water surface. If the projections 42 have a relatively sharp curvature, it is advantageous not to fall into the water surface, but the feeling of comfort may be poor. Sudden flexion can stimulate the nasal cavity inside the nose. The distance d and the height h between the protrusions 42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to be inserted, and the feeling of fit can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f the distance d is small and the height h is large, the fixation is well done, but the nasal cavity may be excessively stimulated to give an uncomfortable feeling. The distance d and the height h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For example, the interval d and the height h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on the inside of the nasal cavity as compared with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장치(200)는 와이어 구조체(32a)의 탄성에 의한 팽창력과 함께 돌기(42)에 의한 결착력을 부가하여, 제2 삽입부(30)가 수면 중에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비강의 내부에 접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돌기(42)에 해당한다. 제2 장치(200)는 비강에 접하는 부분이 제1 장치(100)에 비하여 작으므로, 착용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L)으로 돌기(42)의 간격(d) 및 높이(h)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비강의 구조에 적합한 호흡량 증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cond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s the binding force by the protrusions 42 together with the inflating force of the elasticity of the wire structure 32a to see that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30 It can be surely prevented.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nasal cavity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 42. Since the portion of the second device 200 in contact with the nasal cavity is smaller than the first device 100, the feeling of comfort can be made smooth.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volume of water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by changing the distance d and the height h of the protrusions 4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장치(100, 200)에 적용되는 와이어 중공체(12, 32)가 비강에 삽입되었을 때, 사용자의 비강 내부에 있는 공기의 흡입을 감지하는 부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와이어 중공체(12, 32)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비강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므로, 상기 공기 흡입을 감지하는 부분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장치(200)를 사용하여도, 사용자는 공기의 흡입을 감지하는 데 지장이 없으므로, 불편한 느낌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When the wire hollow bodies 12 and 32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apparatuses 100 and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function of the portion that senses the suction of the air inside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It is better not to. Since the wire hollow bodies 12 and 32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ormed to conform to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by the elastic force, the function of the portion for sensing the air suction may not be deteriorated. In this way,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apparatuse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he user does not have an uncomfortable feeling because the user can sense the suction of the air.

한편, 본 발명의 호흡량 증가 장치는 연결부(18)가 없이 사용자의 비강에 직접 삽입하여,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고정할 수 있다. 비강에는 와이어 중공체(12, 32)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사용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외피(20, 40)는 사용자의 비강 속에 들어가면, 부풀어 오르는 물질, 예컨대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외피(20, 40)가 부풀어 오르면, 사용자의 비강에 와이어 중공체(12, 32)가 제대로 고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olume increas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without the connection portion 18 and fixed until the treatment is completed. In the nasal cavity, the wire hollow bodies 12 and 32 are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user. At this time, when the envelope 20, 40 enters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a swelling material such as a polymer material can be used. When the shells 20 and 40 are inflated, the wire hollow bodies 12 and 32 can be properly fixed to the nasal cavity of the user.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10, 30; 제1 및 제2 삽입부
12, 32; 와이어 중공체
12a, 32a; 와이어 구조체
12b, 32b; 와이어 연결체
20, 40; 외피
16; 통형 결합부
18; 연결부
100, 200; 제1 및 제2 호흡량 증가 장치
10, 30; The first and second inserts
12, 32; Wire hollow body
12a, 32a; Wire structure
12b, 32b; Wire connector
20, 40; coat
16; The tubular coupling portion
18; Connection
100, 200; The first and second volume increase devices

Claims (11)

비강에 삽입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구조체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여 변형되는 유연성 및 상기 변형을 원상태로 회복시키려는 탄성력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길이 방향(L)에 따라 복수개의 와이어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중공체는 중공을 이루는 와이어 구조체 및 상기 와이어 구조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 중공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 완충부가 있으며,
상기 와이어 연결부 사이의 상기 와이어 중공체는 상기 외력을 흡수하는 하나의 섹터를 이루고,
상기 유연성은 상기 외력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 중공체의 전체에 걸쳐 흡수되지 않고 상기 외력이 작용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완충부의 형태를 변화시켜 상기 외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
At least one wir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forming a cavity,
Wherein the wire structure has a flexibility to deform by absorbing an external force and an elastic force to restore the deformation to the original state,
Each of the wire structures is formed of a plurality of wire hollow bodi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herein the wire hollow body comprises a hollow wire structure and a wir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wire structure,
A buffer space formed between the wire hollow bodies,
The wire hollow body between the wire connecting portions constitutes one sector for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Wherein said flexibility absorbs said external force by changing the shape of said cushion por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where said external force is not absorbed over the entirety of said plurality of wire hollow bodies and acts on said external force, Volume increas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wire structures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길이 방향(L)/폭 방향(W)의 크기의 비는 상기 비강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며, 상기 길이 방향(L)의 크기가 상기 폭 방향(W)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wir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L) / the width (W) of the wire structur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Of the nasal cavity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nasal c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폭 방향(W)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llow (W) in the hollow is either circular or elliptical, or a combina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외피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외피의 탄성력은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탄성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ire structure is wrapped by a sheath,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heath i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wir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제1 직경(a)은 제2 직경(b)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ameter (a) of the wire structure i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경(b)은 상기 와이어 구조체의 소정의 영역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second diameter (b) extends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wire structu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 사이의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하나의 섹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wire structure between the wire connections comprises one s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조체는 다수개의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wire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완만한 굴곡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10.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protrusion has a gentle curva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간격(d) 및 높이(h)는 비강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중공체를 가진 비강 호흡량 증가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spacing (d) and height (h) of the protrusions ar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KR1020140065449A 2014-05-29 2014-05-29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KR101573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9A KR101573322B1 (en) 2014-05-29 2014-05-29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PCT/KR2015/003672 WO2015182871A1 (en) 2014-05-29 2015-04-14 Nasal breathing quantity increasing devic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9A KR101573322B1 (en) 2014-05-29 2014-05-29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322B1 true KR101573322B1 (en) 2015-12-02

Family

ID=5469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49A KR101573322B1 (en) 2014-05-29 2014-05-29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3322B1 (en)
WO (1) WO2015182871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253B1 (en) * 2019-04-12 2019-08-06 주식회사 에어랩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KR20200086858A (en) * 2019-01-10 2020-07-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Nasal dilator devices
KR20210053546A (en) * 2019-11-04 2021-05-12 정재민 Levin tube having detachable function
WO2024185947A1 (en) * 2023-03-09 2024-09-12 김소진 Anti-snoring device using shape memory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500027U (en) * 2018-06-29 2019-10-18 小牛科技河北有限公司 Nasopharynx bracket for snore relieving
WO2020001627A1 (en) * 2018-06-29 2020-01-02 小牛科技河北有限公司 Nasopharynx stent for stopping sno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8506A1 (en) * 2003-08-21 2005-03-03 Nils Billy Nilson Nas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80009897A1 (en) * 2003-09-22 2008-01-10 Institute Orthodontic World J. Duran Von Arx, S.L. Nasal Stimulator
WO2013104524A1 (en) * 2012-01-13 2013-07-18 Georges Creps Ambulatory nasal device
US20130296809A1 (en) * 2001-05-22 2013-11-07 Sanostec Corp. Nasal Congestion, Obstruction Relief, and Drug Delive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6809A1 (en) * 2001-05-22 2013-11-07 Sanostec Corp. Nasal Congestion, Obstruction Relief, and Drug Delivery
WO2005018506A1 (en) * 2003-08-21 2005-03-03 Nils Billy Nilson Nasal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080009897A1 (en) * 2003-09-22 2008-01-10 Institute Orthodontic World J. Duran Von Arx, S.L. Nasal Stimulator
WO2013104524A1 (en) * 2012-01-13 2013-07-18 Georges Creps Ambulatory nasal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58A (en) * 2019-01-10 2020-07-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Nasal dilator devices
KR102231322B1 (en) 2019-01-10 2021-03-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Nasal dilator devices
KR102007253B1 (en) * 2019-04-12 2019-08-06 주식회사 에어랩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WO2020209692A1 (en) * 2019-04-12 2020-10-15 주식회사 에어랩 Anti-snoring device
KR20210053546A (en) * 2019-11-04 2021-05-12 정재민 Levin tube having detachable function
KR102309850B1 (en) 2019-11-04 2021-10-07 정재민 Levin tube having detachable function
WO2024185947A1 (en) * 2023-03-09 2024-09-12 김소진 Anti-snoring device using shape memory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2871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322B1 (en) Apparatus of increasing respiration volume having flexible hollow body
CN113274610B (en) Breathing apparatus
CN105142705B (en) Patient interface device
JP7071425B2 (en) Patient interface
CN110809419B (en) Pillow (Ref. TM.) with a heat-insulating layer
CN105102049B (en) Nasal intubation and the patient interface device including the nasal intubation
US5895409A (en) Nasal dilator
ES2620278T3 (en) Nasal dilator
US20150216716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a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said device
JP2013523241A (en) Flexible mask attachment for patient interface device
US20060266367A1 (en) Nasal dilator
US20210235900A1 (en) Pillow for relieving sleep apnea and preventing snoring
US20090198268A1 (en) Nasal dilation apparatus
CN113727683B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1572127B1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20240099877A1 (en) Tongue stabilization device with frontal stabilization
JP2022002792A (en) pillow
KR20220090114A (en) Nasal cavity dilator
GB2616634A (en) Nasal di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