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19B1 -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 Google Patents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19B1
KR101573319B1 KR1020140092671A KR20140092671A KR101573319B1 KR 101573319 B1 KR101573319 B1 KR 101573319B1 KR 1020140092671 A KR1020140092671 A KR 1020140092671A KR 20140092671 A KR20140092671 A KR 20140092671A KR 101573319 B1 KR101573319 B1 KR 101573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ransfer
transfer pipe
pressing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씨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40092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structure for a fluid transfer pipe installed in a wall (10) and a penetration hole (11) formed in the wall (10). Disclosed is the sealing structure for a fluid transfer pipe comprising: a sealing unit (300) having flexibility and surrounding a fluid transfer pipe (20)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netration hol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 pressing unit (400) pressing each front end and rear end of the sealing uni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a coupling unit (500) coupled to a pair of coupling units (400) to enable the pressing unit (400) to compress the sealing un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Description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ling structure for a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본 발명은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provided in a through-hole formed in a wall and a wall.

방류둑(dike), 즉 방유벽은, 지진 등에 의하여 LNG, 유류, 위험물질 등의 저장을 위한 저장탱크 등에 균열, 파손 등이 발생되는 경우 LNG, 유류, 위험물질 등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장탱크 주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말한다.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LNG, oil, and hazardous materials in case of cracks, breakage, etc. in storage tanks for storage of LNG, oil, hazardous materials, etc. due to earthquakes, etc., It refers to the structure installed around the storage tank.

기존 공장에 설치된 종래의 방유벽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5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벽체(10)로서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wall installed in the existing factory is configured as a wall 10 installed to surround the storage tank 50, as shown in Figs. 1A and 1B.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유벽을 구성하는 벽체(10)는, 저장탱크 내에 내용물을 주입 또는 배출할 수 있도록 배관(20)이 관통되어 설치된다.The wall 10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all is installed with a pipe 20 through which the contents can be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storage tank.

그런데, 배관(20)이 벽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서, 벽체(10)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기 위하여, 벽체(10)의 관통부위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와 같은 고형물을 이용하여 벽체(10) 내부와 외부 관통부위(A)를 차단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in order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wall 10 from the outside, the piping 20 is installed through the wall 10, So as to block the inside of the wall 10 and the outer penetrating portion A.

그러나, 종래의 방유벽은, 배관(20)의 설치 후 시멘트의 경화과정에서 배관(20) 등의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처짐에 따라서 크랙이 발생되거나, 장기간 사용시 갈라짐 현상이 생길 수 있으며, 위험물 저장탱크(50)가 파손될 경우 갈라진 틈 사이로 위험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어 연쇄적으로 환경오염 또는 큰 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ll, cracks may be generated as the pipe 20 is sagged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during the curing process of the cement after the pipe 20 is installed, cracking may occur during long-term use, If the tank 50 is broken, dangerous substances may leak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cracks, thereby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or a large fire in a chain-like manner.

또한 관통공 형성을 위하여 벽체(10)에 설치된 슬리브(30)와 배관(20) 사이의 빈 공간에 내화보드 또는 난연소재(40)를 삽입하여 층간 화재 전이를 막는 기존의 방식을 사용할 경우, 장기간 화재 노출시 그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시공자의 전문성에 따른 성능이 상이하여 안정적인 내화구조를 갖추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eventing the interlayer fire transition by inserting the refractory board or the flame retardant material 40 into the empty space between the sleeve 30 and the pipe 20 installed in the wall 10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perform its role in case of fire exposure and it is difficult to have a stable fireproof structure due to different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expertise of the constructor.

또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방유벽은, 시멘트의 시공 및 경화과정을 요하므로 시공이 오래 걸리며, 시공 후 크래 등의 발생시 시멘트 부분을 파괴하여야 하는 등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시공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ll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s. 1A and 1B requires a construction and curing process of cement, it takes a long time to construc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nd repair the cement when the c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expensiv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간을 격리하는 벽체에 유체이송관을 관통하여 설치하며,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 압축가능한 밀봉부재 및 밀봉부재를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벽체에 대한 유체이송관의 설치시 관통공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installing a fluid transmission pipe through a wall isolating a space and a compressible sealing member and a sealing member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Which is capable of stably sealing the through-hole when installing the fluid transfer pipe to the wall by compressing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본 발명은 벽체와 상기 벽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설치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과 상기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유체이송관을 둘러싸며 설치되며 신축성이 있는 밀봉부와; 상기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밀봉부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가 상기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밀봉부를 압축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압부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를 개시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provided in a wall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wall, A seal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luid transfer tube and surrounds the fluid transfer tube and has elasticity; A pair of pressing portions for press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a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delivery pipe; And the fastening portion engages with the pair of pressing portions so as to compress the sea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delivery pipe.

상기 밀봉부는 난연성 천연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밀봉부는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may be made of a flame-retardant natural rubber material, and the seal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multiple layers.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밀봉부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al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penetrated.

상기 가압부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유체이송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delivery pipe.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을 힌지축으로 하여 인접한 플레이트와 힌지결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hinged to an adjacent plat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as a hinge axis.

서로 인접되어 힌지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들은, 중첩된 상기 체결홀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중첩된 체결홀들을 관통되어 설치됨으로써 힌지결합할 수 있다.The plates hinged adjacent to each other have the overlapping holes, and the fastening portions are hinge-coupled by being installed through the overlapping fastening holes.

상기 체결홀은, 유체이송관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may have a slit shape elon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delivery pipe.

상기 체결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s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may have one or more rib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상기 리브는, 상기 유체이송관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벽체측에 위치된 제1리브와, 상기 유체이송관의 측에 위치된 제2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rib may be at least one of a first rib positioned on the wall side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a second rib positioned on a side of the fluid transfer pipe.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양단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may have a steppe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ate.

상기 단차부가 형성된 플레이트는,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볼록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The plate having the stepped portion may be engaged with the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2개 이상의 플레이트부재가 적층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laminated with two or more plate members.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리브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제2리브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부재가 적층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laminated with a first plate member having the first rib and a second plate member having the second rib.

상기 제1리브 및 제2리브를 연결하는 스프링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 spring connecting the first rib and the second rib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각각의 가압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와;상기 볼트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bolt installed through the respective pressing portions, and a nut screw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olt.

상기 볼트는, 일단에 다각형의 나사머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머리는 상기 각각의 가압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lt may have a polygonal screw head at one end, and the screw head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to prevent rotation of the bolt.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사이에는 스프링와셔가 설치될 수 있다.A spring wash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는, 공간을 격리하는 벽체에 유체이송관을 관통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 압축가능한 밀봉부를 설치하고, 설치된 밀봉부를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벽체에 대한 유체이송관의 설치시 관통공을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cond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luid conduit is installed through the wall isolating the space, a compressible sealing portion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conduit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can be stably sealed when the fluid transfer pipe is installed to the wall.

특히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를 위하여,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가압부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와, 한 쌍의 가압부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한 쌍의 가압부가 유체이송관의 길이방향으로 밀봉부를 가압하여 압축하기 위한 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그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order to provide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 pair of pressing portions for press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ress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a pair of pressing portions, And a fastening portion for compressing and pressing the seal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Thus,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is advantageous.

또한, 밀봉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의 끝단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체결부를 구성함으로써 한쪽에서 볼트를 조임으로서 가압부의 고정 및 밀봉부의 압축이 가능하여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의 시공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bolt passing through the sealing portion and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by the nut screwed to the end of the bolt are formed, the bolt can be fastened by fixing the pressing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can be compressed, thereby simplify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have.

또한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 압축가능한 밀봉부를 설치함으로써 가압부에 의한 밀봉부의 압축에 의하여 밀봉부가 유체이송관의 반경방향으로의 팽창하게 되고, 밀봉부의 팽창에 의하여 밀봉부가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 밀착되어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mpressible seal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id delivery tub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seal expa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delivery tube by the compression of the seal by the pressuriz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의 밀봉부를 유체이송관의 외주면 및 관통공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유체이송관의 설치를 위한 관통공에 대한 내화처리 및 위험물 누출사고를 동시에 방지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portion of a nonflammable or flame-resistant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so as to prevent refractory treatment for the through-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at the same time.

도 1a는, 유체이송관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A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B부분의 확대도로서, 체결부의 조절에 따른 밀봉부의 변형을 보여주는 확대도들이다.
도 4는, 도 2에서 Ⅳ-Ⅳ방향의 단면도로서, 가압부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에서 Ⅳ-Ⅳ방향의 일부 단면도로서, 가압부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가압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2에서 Ⅳ-Ⅳ방향의 일부 단면도로서, 가압부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가압부의 결합과정을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사용되는 가압부의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사용되는 가압부의 예들을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사용되는 가압부의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사용되는 가압부의 체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 및 도 9b의 가압부가 사용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서 Ⅳ-Ⅳ방향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사용되는 가압부의 제6실시예가 사용된 경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1A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FIG.
FIG. 1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in FIG. 1A.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2, which is an enlarged view showing deformation of the sealing portion due to adjust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and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Fig. 5A is a parti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FIG. 5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ing process of the pressing portion of FIG. 5A. FIG.
Fig. 6A is a parti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and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6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pressing portion of FIG. 6A.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used in the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examples of the pressing portion used in the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deliver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used in the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structure of a pressurizing portion used in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ing portion of Figs. 9A and 9B is us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in Fig. 2, and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sing portion used in the closed mounting structure of the fluid deliver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a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와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설치되는 유체이송관(20)의 밀폐설치구조로서, 관통공(11)의 내주면과 유체이송관(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유체이송관(20)을 둘러싸며 설치되며 신축성이 있는 밀봉부(300)와;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밀봉부(30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400)와; 가압부(400)가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밀봉부(300)를 압축하도록 상기 한쌍의 가압부(400)와 결합하는 체결부(500)를 포함한다.1 to 11,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ling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provided in the through-hole 11 formed in the wall 10 and the wall 10, An elastic sealing part 300 install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so as to surround the fluid transfer tube 20; A pair of pressing portions 400 for press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aling portion 30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portation pipe 20; And a coupling part 500 for coupling the pressing part 400 with the pair of pressing parts 400 so as to compress the sealing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

상기 벽체(10)는, 벽체(10)를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는 구조물로서,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등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The wall 10 is a structure for isol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from the wall 10, and may be install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그리고 상기 벽체(10)의 내측에는 LNG 저장탱크, 유류 저장탱크, 액상 또는 기체상의 위험물 저장탱크 등이 설치될 수 있다.An LNG storage tank, a oil storage tank, a liquid or gaseous dangerous material storage tank,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ll 10.

한편, 상기 벽체(10)는, 지상에 설치된 수직 구조물 이외에, 건물 등 유체이송관(20)의 관통설치를 위한 구조물은 모두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wall 10 may be a structure for penetrating the fluid transfer pipe 20, such as a building, in addition to the vertical structure provided on the ground.

그리고 상기 벽체(10)는, 유체를 이송하는 유체이송관(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벽체(10)를 관통하는 관통공(11)이 형성된다.The wall 1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 passing through the wall 10 so that the fluid transfer pipe 20 for transferring the fluid can be installed.

그리고 관통공(11)에는 관통공(11)의 형성의 편의를 위하여 미리 삽입된 슬리브(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The through-hole 1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sleeve 30 previously inserted therein for the convenience of forming the through-hole 11.

상기 슬리브(30)는, 구조물, 즉 벽체(10)의 축조시 관통공(11)의 원활한 형성을 위한 부재로서 파이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leeve 30 may have a pipe structure as a member for smoothly forming the structure, that is, the through hole 11 at the time of building the wall 10.

상기 유체이송관(20)은, 벽체(10)를 관통하여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배관으로서, LNG, 유류, 액상의 위험물질, 소화물질, 소화수 등을 이송할 수 있다.The fluid transfer pipe 20 is a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be transferred through the wall 10, and can transfer LNG, oil, liquid phase dangerous material, extinguishing material, digested water, and the like.

상기 밀봉부(300)는, 유체이송관(20)의 설치를 위하여 관통공(11)이 형성될 때 벽체(10)의 내화처리 및/또는 유체누출 방지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1)의 내주면과 유체이송관(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유체이송관(20)을 둘러싸며 설치된다.2, in order to refract the wall 10 and / or prevent fluid leakage when the through-hole 11 is formed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the fluid transfer pipe (20) is enclos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이때 상기 밀봉부(300)는 압축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좋은 재질이 사용되며, 화재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난연성 천연고무 재질와 같은 난연성을 가진 재질이면 보다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aling part 3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good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compressed, and more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flame retardancy such as flame retardant natural rubber material to withstand a fire or the like.

또한 상기 밀봉부(300)는, 관통공(11)의 내경, 유체이송관(20)의 외경 등을 고려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거나, 관통공(11)과 유체이송관(20) 사이에서 다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300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teg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or may be a multilayer structure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fluid transfer pipe 20. [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밀봉부(300)는, 난연성 천연고무 재질와 같은 난연성을 가진 재질의 시트를 재단하여 유체이송관(20)을 감거나 유체이송관(20)의 외주면 및 관통공(11)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sealing part 300 is formed by cutting a sheet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such as a flame-retardant natural rubber material and winding the fluid transfer tube 20 or placing it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

상기 가압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300)를 가압하여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으로 팽창시켜 유체이송관(20)의 외주면 및 관통공(11)의 내주면 사이에 밀착시켜 밀봉부(300)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3, the pressing portion 400 presses the sealing portion 300 and expands the sealing portion 300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so as to exten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So as to improve the hermeticity of the sealing part 300. [0154] As shown in FIG.

특히 상기 한 쌍의 가압부(400)는,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밀봉부(300)의 양단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밀봉부(30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air of pressing parts 40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aling part 30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member 300 are respectively pressable.

상기 가압부(400)는, 체결부(500)에 의하여 밀봉부(3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체결부(500)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체결홀(430)이 형성된다.The pressing part 40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30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art 500 is inserted so that the fastening part 500 can press the sealing part 300.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압부(4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은 다양한 결합구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Further, the pair of pressing portions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450, and the plurality of plates 450 may have various combining structures and shapes.

일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송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lurality of plates 450 may b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portation pipe 2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들(450)은,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힌지축으로 하여 인접한 플레이트(450)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lates 450 may be hinged to the adjacent plate 450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s a hinge axis.

상기 플레이트(450)들은, 서로 인접되어 힌지결합되며 각각의 플레이트(450)에 형성된 체결홀(430)이 서로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체결홀(430)들은 상기 한 쌍의 가압부(400)가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밀봉부(300)를 압축하도록 체결부(500)가 중첩된 체결홀(430)들을 관통되어 설치됨으로써 인접한 플레이트(450)힌지결합한다.The plates 450 are hing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fastening holes 430 formed in the respective plates 45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fastening holes 430 are formed in the pair of fastening portions 400 Is hinge-coupled to the adjacent plate 450 b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s 430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s 500 are overlapped so as to compress the sealing portion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portation pipe 20.

상기 체결홀(430)은, 체결부가 관통되어 설치되어 체결부(500)에 의하여 밀봉부(3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450)에 형성되며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430 may be formed in the plate 450 so as to press the sealing part 300 through the fastening part 500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상기 체결홀(430)은 체결부(500)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가능하며, 플레이트(4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hole 43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fastening part 500 is inserted therethrough. The fastening hole 430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plate 450.

특히 상기 체결홀(430)은, 시공의 편의를 위하여 체결부(500)가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hole 430 may have a slit shape elon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so that the coupling part 500 can mov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 have.

상기 가압부의 다른 예로서, 상기 가압부(400)는, 도 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브(600)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450 having one or more ribs 60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450, as shown in FIGS. 5A and 5B, .

이때 상기 플레이트(450)는,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벽체(10)측에 위치된 제1리브(610)와, 유체이송관(20)의 측에 위치된 제2리브(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450 includes a first rib 61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all 10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and a second rib 62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May be formed.

상기 가압부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가압부(4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플레이트(450)들 중 적어도 하나가 2개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400 may be lamin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450, as shown in FIGS. 6A and 6B.

이때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45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1리브(610)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부재(410)와, 제2리브(620)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부재(420)가 적층되어 하나의 플레이트(450)를 구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450 is formed by stacking a first plate member 410 having a first rib 610 and a second plate member 420 having a second rib 620 The plate 450 of FIG.

한편 상기 제1리브(610) 및 제2리브(620)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브(610) 및 제2리브(620) 사이를 연결하며 탄성력이 있는 부재면 어떠한 부재든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70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7, a first rib 610 and a second rib 620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ib 610 and the second rib 620, and any member having elastic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ib 610 and the second rib 620, And a spring 7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플레이트(450)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plates 450 may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s shown in FIG.

특히 상기 플레이트(450)들은, 관통공(11)의 형태에 따라 플레이트(450)에 형성되는 체결홀(430)의 형태 및 갯수 또한 조절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shape and number of the fastening holes 430 formed in the plate 45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s 11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플레이트(450)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8e에 도시된 와 같이, 체결홀(430)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lates 45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8E.

특히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450)들이 유체이송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 설계 및 시공오차에 의하여 마지막 플레이트(450) 및 첫번째 플레이트(450)의 체결홀(430)이 어긋날 수 있는바, 체결홀(430)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게 되면, 설계 및 시공오차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plurality of plates 450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the final plate 450 and the fastening holes 430 of the first plate 450 can be displaced And the fastening holes 430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esign and a construction error can be overcome.

여기서 상기 체결홀(430)이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된 플레이트(450)의 복수의 체결홀(430)들 중 첫번째 플레이트(450)의 체결홀(430)과 연결가능한 체결홀(430)을 중첩하여 사용되면 된다.Herein, the fastening holes 430,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s 430 of the first plate 450 amo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30 of the plate 450 having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3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used.

그리고, 복수개로 형성된 플레이트(450)는, 첫번째 플레이트(450)의 체결홀(430)과 중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450 may be cut away from the first plate 450 except for the portions overlapping the fastening holes 430.

상기 가압부의 다른 예로서, 상기 가압부(4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송관(2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며 끝부분에 형성된 체결홀(430)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플레이트(450)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pressing portion 400 may be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may hav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43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talled plates 450.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450)들은, 체결홀(430)이 서로 중첩된 부분에서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450) 양단에 단차부(431)가 형성되어 중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lates 450 may be overlapped with the stepped portions 431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lates 450 to prevent an increase in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fastening holes 430 .

상기 단차부(431)는, 체결홀(430)이 서로 중첩된 부분에서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단차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플레이트(450)의 연결에 의하여 형성되는 링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일면이 완만한 면을 이루도록 양단에 인접한 플레이트(450)의 단차부(431)와 중첩되는 단차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431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s steps formed to prevent a thickness increase in a portion where the fastening holes 43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 step 431 overlapping the step 431 of the plate 450 adjacent to both ends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forms a gentle surface.

상기 체결부(500)는, 가압부(400)가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밀봉부(300)를 압축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art 5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sing part 400 is installed to compress the sealing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특히 상기 체결부(500)는, 볼트체결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며, 볼트체결구조는 낮은 오작동율과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fastening part 500 has a bolt fastening structure, and the bolt fastening structure has a low malfunction rate and easy construction.

일예로서, 상기 체결부(500)는 각각의 가압부(4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510)와; 볼트(5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는 너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500 includes bolts 510 installed through the pressing parts 400; And a nut 520 screw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olt 510.

상기 볼트(510)는, 일단에 다각형의 나사머리가 형성되며, 나사머리는 각각의 가압부(40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볼트(5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회전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lt 510 is formed with a polygonal screw head at one end, and the screw head may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ressing portions 400 to prevent the bolt 510 from rotating.

이때, 상기 볼트(510)와 너트(520)사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500)가 보다 단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스프링와셔(530)가 설치될 수 있다.10, a spring washer 53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olt 510 and the nut 520 so that the coupling part 500 can be more tightly coupled.

상기 가압부의 다른 예로서, 상기 가압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송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the pressing portion, the pressing portion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s 45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밀폐구조를 제외한 유체이송관(20)과 관통공(11) 사이에는 밀봉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의 밀봉물질이 충진될 수 있다.Meanwhile, a sealing material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s that of the sealing portion may be filled between the fluid transfer tube 20 and the through-hole 11 except for the sealing structure.

또한 상기 밀봉물질은, 내화몰탈 시멘트와 같은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Also, the sealing material may be a material for preventing fire diffusion such as refractory mortar cement.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벽체 20:유체이송관
300:밀봉부 400:가압부 500:체결부
10: wall 20: fluid conduit
300: sealing part 400: pressing part 500: fastening part

Claims (19)

벽체(10)와 상기 벽체(10)에 형성된 관통공(11)에 설치되는 유체이송관(20)의 밀폐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의 내주면과 상기 유체이송관(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유체이송관(20)을 둘러싸며 설치되며 신축성이 있는 밀봉부(300)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밀봉부(30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400)와;
상기 가압부(400)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밀봉부(300)를 압축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압부(400)와 결합하는 체결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400)는 상기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밀봉부(300)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부(500)가 관통되어 설치되도록 체결홀(4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In the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provided in the wall (10) and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 the wall (10)
A sealing part 300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to surround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having elasticity;
A pair of pressing portions 400 for pressing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aling portion 30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portation pipe 20;
And a coupling part (500) that engages with the pair of pressing parts (400) so that the pressing part (400) compresses the sealing part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The pressing portion 400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aling portion 30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has a fastening hole 430 formed to penetrate the fastening portion 5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300)는 난연성 천연고무 재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part (300) has a flame-retardant natural rubb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300)는 다층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part (300) is installed in a multilayer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복수개의 플레이트(450)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들(450)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portion 400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 450;
Wherein the plurality of plates (450) ar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들(450)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길이방향을 힌지축으로 하여 인접한 플레이트(450)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urality of plates (450) are hinged to an adjacent plate (450)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tube (20) as a hinge axis.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로 인접되어 힌지결합되는 상기 플레이트(450)들은, 중첩된 상기 체결홀(430)을 가지며, 상기 체결부(500)는 상기 중첩된 체결홀(430)들을 관통되어 설치됨으로써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6,
The plates 450 hinged adjacent to each other have the overlapping fastening holes 430 and the fastening portions 500 are hingedly coupled through the fastening holes 430. [ A clos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luid transfer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430)은,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stening hole (430) has a slit shape elongat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430)은, 상기 플레이트(4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holes (430)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45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50)는 상기 플레이트(4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리브(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ate (450) has at least one rib (60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ate (450).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브(600)는, 상기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벽체(10)측에 위치된 제1리브(610)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측에 위치된 제2리브(6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10,
The rib 600 includes a first rib 61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all 10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a second rib 610 located on the sid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620). ≪ / RTI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50)는, 상기 체결홀(430)이 형성된 양단에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late (450) has steppe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hole (430).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450)는,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 볼록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a convex portion formed on the stepped portion engages and engages with the pla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450)들 중 적어도 하나는, 2개 이상의 플레이트부재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450) is laminated with two or more plate member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45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유체이송관(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벽체(10)측에 위치된 제1리브(610)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부재(410)와, 상기 유체이송관(20)의 측에 위치된 제2리브(620)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부재(420)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15.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lates (450)
A first plate member 410 formed with a first rib 61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wall 10 with respect to a radial direction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a second plate member 41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luid transfer pipe 20, And a second plate member (420) having two ribs (620) formed thereon are stacked.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리브(610) 및 제2리브(620)를 연결하는 스프링(700)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 spring (700) for connecting the first rib (610) and the second rib (620) is additionally provided.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500)는, 상기 각각의 가압부(4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볼트(510)와;
상기 볼트(510)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는 너트(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o 15,
The fastening part 500 includes bolts 510 penetrating through the respective pressing parts 400;
And a nut (520) screw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bolt (51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볼트(510)는, 일단에 다각형의 나사머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머리는 상기 각각의 가압부(40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5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bolt 510 has a polygonal screw head at one end,
Wherein the screw head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ressing parts (400) to prevent rotation of the bolt (51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볼트(510)와 상기 너트(520)사이에는 스프링와셔(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이송관의 밀폐설치구조.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a spring washer (530) is installed between the bolt (510) and the nut (520).
KR1020140092671A 2014-07-22 2014-07-22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KR101573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71A KR101573319B1 (en) 2014-07-22 2014-07-22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671A KR101573319B1 (en) 2014-07-22 2014-07-22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319B1 true KR101573319B1 (en) 2015-12-01

Family

ID=54882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671A KR101573319B1 (en) 2014-07-22 2014-07-22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79B1 (en) * 2019-10-14 2020-07-23 박기태 Chain type fire-proof foam seal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0364A (en) * 2012-02-08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Seal structure
JP2013160348A (en) 2012-02-07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Seal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0348A (en) 2012-02-07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Seal structure
JP2013160364A (en) * 2012-02-08 2013-08-19 Mitsubishi Heavy Ind Ltd Seal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979B1 (en) * 2019-10-14 2020-07-23 박기태 Chain type fire-proof foam sealing system
WO2021075656A1 (en) * 2019-10-14 2021-04-22 박기태 Chain-type foam seal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6067B2 (en) A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 conduit sleeve into which a pipe or cable is inserted
JP5993071B2 (en) Assembly providing a sealing system for the opening
JP4890617B2 (en) System for dynamically sealing at least one conduit through which a pipe or cable extends
US7802798B2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KR101804811B1 (en) Uninterrupted water supply valve chamber
KR101573319B1 (en) Sealing structure for fluid transportation pipeline
KR101539942B1 (en) Fixing structure for a outside panel of building
US20160097470A1 (en) Insert block half
CN203895942U (en) Cable intermediate joint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ireproof explosion-proof box
JP2009041313A (en) Wall surface waterproofing device, water cutoff member, connection fitting, and waterproofing method
KR101613358B1 (en) A device for preventing a leakage of water without suspension of water supply
NO862081L (en) PROCEDURE AND DEVICE FOR FIRE SEALING OF A PIPE FOR A CABLE OR WIRE THROUGH A BUILDING PART.
DK2314903T3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pipe in a wall opening as well as expanded compressed resin and pipe sleeve therefor
CN209545083U (en) A kind of construction of cable through walls with high fire-proof and explosion-proof performance
RU157008U1 (en) DEVICE OF PIPELINE ACCESS THROUGH THE FENDING DESIGN
JP6336840B2 (en) Construction method of tank and breakwater
KR101804812B1 (en) Method for installing Uninterrupted water supply valve chamber
RU226188U1 (en) Cable composite manhole element
CN217153312U (en) Detachable antiseep sleeve pipe
KR20120065619A (en) Waterproof member filled with a waterproof agent
KR20190143102A (en) Packer
JP6929401B1 (en) Closures and methods for making closures
KR20140059659A (en) Fireproof fill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RU2788782C1 (en) Method for fire-free repair of defective sections of pipelines without changing pumping modes
CN214614704U (en) A fire prevention block structure for large-scale through-penetration h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