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114B1 - Apparatus for removing snow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sn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114B1
KR101573114B1 KR1020130106503A KR20130106503A KR101573114B1 KR 101573114 B1 KR101573114 B1 KR 101573114B1 KR 1020130106503 A KR1020130106503 A KR 1020130106503A KR 20130106503 A KR20130106503 A KR 20130106503A KR 101573114 B1 KR101573114 B1 KR 10157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piece
snow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5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7990A (en
Inventor
최금진
Original Assignee
최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진 filed Critical 최금진
Priority to KR102013010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114B1/en
Publication of KR2015002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1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01H5/062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by scraper blades displace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제설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remover. Such a snow removal apparatus includes a first frame coupled to a vehicle; 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frame and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lifting / lowering part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snow blades; And an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frame for absorbing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ing device.

Description

제설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now}{Apparatus for removing snow}

본 발명은 제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설작업중 제설삽날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하방향이나 전후방향의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remov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w removal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bsorbing vertical and longitudinal impacts that may occur in a snow removal blade during a snow removal opera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에 쌓이는 눈을 제설하는 방식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에 의하여 제설하는 방식이 있다.In general, there is a method of snowing by spraying sodium chloride in a way that snow is piled up on a road in the winter, or snowing by a snowmobile with a blade on the front part.

염화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 도로에 사용되기엔 많은 양의 염화나트륨을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환경적인 문제까지 함께 발생하므로 도로의 전 구간을 염화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설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The use of sodium chloride requires a large amount of sodium chloride to be used on public roads, which is costly and involves environmental problem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snowing all the roads using sodium chloride.

따라서, 겨울철 도로의 제설을 위해 제설차량을 많이 사용하며, 제설차량 전면부에는 삽날이 도로 위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작업자가 제설차량을 운전하면서 도로 위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 제설작업을 행한다.Therefore, many snowmobile vehicles are used for snow removal in winter, snowmobiles are installed close to the road in the front part of snowmobile, and snowmobiles are pushed to the side of the road while snowmobiles I do.

도 1에는 이러한 제설차량의 일 예로서, 특허출원 제10-2012-89651호(명칭:제설기)가 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부에 제설장치가 장착되는 바, 제설장치는 차량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400)과, 상기 고정 프레임(400)에 구비되어 제설판(500)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틸팅 실린더(630)와, 제설판(50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620)와, 눈을 밀어내는 제설판(500)을 포함한다.In Fig. 1, as an example of such a snow removal vehicle, Patent Application No. 10-2012-89651 (name: snow removal machine) is presented. As shown in the figure, a snow removing apparatus is mounted on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The snow removing apparatus includes a fixed frame 400 coupled to a vehicle, A lifting cylinder 620 for vertically moving the snow removing plate 500, and a snow removing plate 500 for pushing the snow.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설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snow removal vehicl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제설판에는 상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 스프링이 구비되는 바, 완충 스프링은 제설판 본체에 복잡한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교체나 수리시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 있다. First, a buffer spring is provided in the snow removing plate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Since the buffer spring is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snow removing plate by a complicated fixing member, it takes a long time for replacement or repair, and the work process is complicated.

둘째, 제설작업시 제설판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완충 스프링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나, 제설차량 등에서 상하진동이 전달되어 프레임이 상하방향으로 틸팅되는 경우 이를 흡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econd,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ing plate can be primarily absorbed by the buffer spring, but it is difficult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snow removing vehicle when the frame is til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셋째, 제설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하강 실린더는 구조가 복잡하여 보수 및 교체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that moves the snow removing plate up and down has a complicated structure, which takes a long time for maintenance and replacement, and complicates the work process.

특허출원 제10-2012-89651호(제설기)Patent Application No. 10-2012-89651 (Snowing machine)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제설삽날에 전달되는 상하방향 혹은 전후방향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now remov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vertical and / or longitudinal vibrations transmitted to a snow removing blade by improving the structure thereof .

또한, 제설삽날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부분과, 상하 진동을 흡수하는 부분의 구조를 간단화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가 간편한 제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now remover that is simple in repair and replacement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a portion for vertically moving a snow blades and a portion for absorbing vertical vib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mprising: a first frame coupled to a vehicle;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frame and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A lifting / lowering part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snow blades; And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하는 제설장치를 제공한다.And an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frame for absorbing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ing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ow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제설삽날을 차량에 연결하는 프레임 구조가 제 1 및 제 2프레임과, 상,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이므로 고장이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다.First, since the frame structure connecting the snow blades to the vehicle is a one-piece structure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there is less failure and excellent durability.

둘째, 각도 조절부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를 적용함으로써 제설삽날을 좌우로 용이하게 틸팅시킬 수 있으며, 암베어링에 의하여 링크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틸팅이 가능하다.Second, by applying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assemblies, the angle adjusting unit can easily tilt the snow blades to the left and right, and can be easily tilted by linking with the arm bearings.

셋째, 제설삽날을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실린더 방식으로 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교체가 용이하다.Third,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now blades upwardly and downwardly is of the cylinder type, so that the operation is simple and easy to replace.

넷째,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제 1프레임과 제설삽날에 설치되는 제 2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을 힌지구조로 하고,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상하방향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Fourthly, in order to absorb the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al apparatus, the lower frame connecting the first frame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the second frame installed on the snow blades is a hinge structure, The vibration can be efficiently absorbed.

다섯째, 축부재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설삽날의 상하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Fifth, by providing the buffer part composed of the shaft member and the spring,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snow blades can be efficiently absorbed.

도 1은 종래의 제설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장치가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설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승하강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하진동 흡수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완충부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하진동 흡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now removing apparatus.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now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now remover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rtion shown in FIG. 3 in an enlarged manner.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unit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uffer shown in FIG. 3;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now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설장치(1)는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5)과; As shown in Figs. 2 to 6, the snow removing apparatus 1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frame 5 coupled to a vehicle;

제 1프레임(5)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7)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6)과;A second frame (6) arranged to face the first frame (5) and to which the snow remover (7) is connected;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9)과; An upper frame 9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 at one side and hing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6 at the other side;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11)과; A low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 on one side and a hinged connec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rame 6 on the other side;

제 2프레임(6)에 연결되어 제설삽날(7)의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5)와; An angle adjusting unit 15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6 to adjust a left-right angle of the snow removing blade 7;

제 1프레임(5)과 상부 프레임(9)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7)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13)와; A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13 hinged to the first frame 5 and the upper frame 9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9 to thereby raise and lower the blades 7;

하부 프레임(11)에 배치되어 제설장치(1)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19)와; 그리고An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art (19) disposed in the lower frame (11) for absorbing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ing device (1); And

제설삽날(7)에 구비되어 제설삽날(7)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17)를 포함한다.And a cushioning portion 17 provided in the snow removing blade 7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of the snow removing blade 7.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설장치(1)에 있어서, 제 1프레임(5)은 차량의 전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 1프레임(5)에는 제설삽날(7)을 포함한 상기 구성요소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제설작업 등 필요시에는 제 1프레임(5)을 차량에 결합함으로써 제설삽날(7)을 차량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In the snow removal apparatus 1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irst frame 5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frame 5 is connected to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blades 7. Therefore, when the snow removing work or the like is required, the snow removing blade 7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by connecting the first frame 5 to the vehicle.

이러한 제 1프레임(5)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9)이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부에는 하부 프레임(11)이 힌지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 The upper frame 9 is hing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 and the lower frame 11 is hing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 to be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7.

상기 상부 프레임(9)과 하부 프레임(1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프레임(9)의 일측은 프레임의 상부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 One side of the upper frame 9 is hingab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by means of bearings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frame 9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11 through the second frame 6. [ Is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7).

또한, 하부 프레임(11)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1)의 일측은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에 연결된다.The lower frame 11 is composed of a pair of frames arrang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 is hingabl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rame 5 by bearings or the lik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7 through the second frame 6.

따라서, 승하강부(13)가 구동하여 상부 프레임(9)을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제 2프레임(6) 및 하부 프레임(11)도 같이 들어 올려지게 되고, 제설삽날(7)도 들어 올려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ascending / descending section 13 is driven to lift the upper frame 9 upward, the second frame 6 and the lower frame 11 are lifted as well, and the snow removing blade 7 is lifted do.

이러한 승하강부(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방식이며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킨다. 즉, 승하강부(13)는 제 1프레임(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60)와; 실린더(60)에 장착되어 전개 및 수축(42)함으로써 상부 프레임(9)을 승하강시키는 피스톤(6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rtion 13 is a cylinder type and causes the upper frame 9 to move up and down. That is,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 13 includes a cylinder 60 hing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5; And a piston 63 mounted on the cylinder 60 and moving up and down (42)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9).

실린더(60)의 하부는 제 1프레임(5)에 힌지핀(62)에 의하여 연결되며, 피스톤(63)의 선단은 상부 프레임(9)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er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5 by a hinge pin 62 and the tip of the piston 63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9 by a hinge pin.

그리고, 실린더(60)는 외부의 유압장치(도시안됨)에 연결됨으로써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피스톤(63)이 전개 또는 수축(42)된다.The cylinder 6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ydraulic device (not shown), so that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e piston 63 is expanded or contracted (42).

따라서, 제설삽날(7)을 들어올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린더(60)에 유압이 전달되어 피스톤(63)이 상승하여 상부 프레임(9)을 들어올림으로써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이 상승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now removing blade 7 is to be lifted, the hydraulic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cylinder 60 so that the piston 63 rises to lift the upper frame 9, ).

반대로 제설삽날(7)을 내리는 경우에는 실린더(60)의 피스톤(63)을 수축(42)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9)을 내려서 제 2프레임(6)을 통하여 제설삽날(7)이 하강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now removing blade 7 is lowered, the piston 63 of the cylinder 60 is contracted 42 to lower the upper frame 9, and the snow removing blade 7 descends through the second frame 6.

한편, 제설삽날(7)은 승하강 뿐만 아니라 좌우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도 가능하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프레임(6)과 제설삽날(7)을 연결하는 한 쌍의 실린더 조립체(15a,15b)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now blades 7 can be tilted so as to adjust the angle not only to the rising and falling but also to the left and right. 3, the angle adjusting unit 15 includes a pair of cylinder assemblies 15a and 15b connecting the second frame 6 and the snow blades 7 to each other.

즉, 각도 조절부(15)는 제 2프레임(6)과 제설삽날(7)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15a,15b)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15a,15b)의 일단은 제 2프레임(6)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제설삽날(7)의 후면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된다.That is, the angle adjusting unit 15 includes first and second cylinder assemblies 15a and 15b connecting the second frame 6 and the snow removing blades 7, and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assemblies 15a and 15b, 15b are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6 by a hinge pi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snow blades 7 by a hinge pin.

따라서, 제 1실린더 조립체(15a)를 전진시키는 경우 제설삽날(7)은 타측으로 기울어지고, 제 2실린더 조립체(15b)를 전진시키는 경우 제설삽날(7)은 일측으로 기울어진다.Therefore, when advancing the first cylinder assembly 15a, the snow removing blade 7 is inclined to the other side, and when the second cylinder assembly 15b is advanced, the snow removing blade 7 is inclined to one side.

결과적으로, 제설작업시 각도 조절부(15)에 의하여 제설삽날(7)의 좌우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제설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the snow removal work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snow blades 7 by the angle adjusting unit 15 during the snow removal operation.

그리고, 상하진동 흡수부(19)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프레임(22,27)과; 중간 프레임(22,27)의 상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 프레임(11)의 상부에 접촉하는 상부 탄성편(31)과; 중간 프레임(22,27)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 프레임(11)의 하부에 접촉하는 하부 탄성편(33)과;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을 관통하는 축(42)과; 축(42)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편(31)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1)과; 축(42)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41)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조절너트(43)를 포함한다.3 and 5,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ing parts 19 includ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lower frames 11; An upper elastic piece (31) hing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s (22, 27) and conta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 A lower elastic piece 33 which is hingab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and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lower frame 11; An axis 42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1, 33; A spring 41 disposed on the shaft 42 to elastically press the upper elastic piece 31 downward; And an adjusting nut 43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shaft 42 to adjus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41.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하진동 흡수부(19)에 있어서, 중간 프레임(22,27)은 수평바(27)와 수직바(22)로 이루어지는 "ㄱ" 자 형상을 갖는다. 수평바(27)는 중간 프레임(22,27)에 용접 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며, 수직바(22)는 제 1프레임(5)의 하부에 힌지핀(P)에 의하여 연결된다.In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ing portion 19 having such a structure,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have a "B" shape including the horizontal bar 27 and the vertical bar 22. The horizontal bar 27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vertical bar 22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5 by the hinge pins P. [

따라서, 하부 프레임(11)이 외부 진동 등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같이 상하로 진동한다.Therefore, when the lower frame 11 is vertically vibrated by external vibration or the like,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also oscillate up and down.

그리고, 수평바(27)의 상하에는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이 각각 힌지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부 탄성편(31)은 "∩" 자 형상을 갖으며, 수평바(2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로부터 결합되어 힌지핀(35)에 의하여 고정된다.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1 and 33 are hingab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rizontal bar 27, respectively. That is, the upper elastic piece 31 has a "U" shape and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bar 27, is coupled from above and fixed by the hinge pin 35.

또한, 하부 탄성편(33)은 "∪자 형상을 갖으며 수평바(27)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로터 결합되고 힌지핀(35)에 의하여 고정된다. 결국,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은 수평바(27)의 상하부를 서로 감싸도록 배치된다. The lower elastic piece 33 has a U-shape and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horizontal bar 27, is coupled to the lower rotor, and is fixed by the hinge pin 35. As a result, (31, 33) are arranged to surrou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bar (27).

그리고, 상부 탄성편(31)의 선단(32)은 하부 프레임(1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고, 하부 탄성편(33)의 선단(34)은 하부 프레임(11)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한다. The distal end 32 of the upper elastic piece 31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 and the distal end 34 of the lower elastic piece 33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 Located.

결국, 상부 탄성편(31) 및 하부 탄성편(33)의 선단(32,34)이 하부 프레임(11)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하부 프레임(11)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상부 탄성편(31) 혹은 하부 탄성편(33)에 교차적으로 접촉하게 된다.The top ends 32 and 34 of the upper elastic piece 31 and the lower elastic piece 33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frame 11 so that when the lower frame 11 is raised or lowered, ) Or the lower elastic piece (33).

그리고, 상부 탄성편(31)과 하부 탄성편(33)에는 축(42)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한 구조이다. 즉, 축(42)은 상부 탄성편(31)에 형성된 관통홀(h)을 관통하여 하부 탄성편(33)의 상면에 고정된다. The upper elastic piece 31 and the lower elastic piece 33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haft 42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shaft 42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h formed in the upper elastic piece 31 a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lastic piece 33.

또한, 상부 탄성편(31)의 상부로 돌출된 축(42) 구간에는 상기 스프링(41)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41)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이며, 스프링(41)의 상단은 조절너트(43)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하단은 상부 탄성편(31)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In addition, the spring 41 is disposed in a section of the shaft 42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elastic piece 31. The spring 41 is preferably a tension spring. The upper end of the spring 41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adjustment nut 43 and the lower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lastic piece 31.

따라서, 상부 탄성편(31)은 이 스프링(41)에 의하여 하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 상태이다.Accordingly, the upper elastic piece 31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spring 41.

이와 같이 상부 탄성편(31)이 눌린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1)이 상승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상승하게 되고, 중간 프레임(22,27)이 상승하면서 상부 탄성편(31)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부 탄성편(31)이 상승하는 경우, 스프링(4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이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When the lower frame 11 is raised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elastic piece 31 is pushed in this manner,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are also raised, and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1 and 31 And pushes it upward. When the upper elastic piece 31 rises, it is supported by the spring 41, so that the shock can be absorbed.

반대로, 하부 프레임(11)이 하강하는 경우, 중간 프레임(22,27)도 하강하게 되고, 중간 프레임(22,27)이 하강하면서 축(42)도 하강하게 된다. 이때, 축(42)은 스프링(4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결국 하부 탄성편(33)에 전달된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frame 11 descends,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also descend, and the intermediate frames 22 and 27 descend, and the shaft 42 also descends. At this time, since the shaft 4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41,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lower elastic piece 33 can be absorbed.

이와 같이, 하부 프레임(11)에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어 승하강 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탄성편(31,33)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되어 완충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n impact or a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rame 11, the impact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by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31, 33.

이러한 상하진동 흡수부(19)의 다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상하진동 흡수부(19)는 전 실시예에 비교하여 제 1 및 제 2탄성편(74,72)과 스프링이 한 쌍 더 구비되는 차이점이 있다.Another embodiment of such an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19 is shown in Fig.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ing part 19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a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74 and 72 and the spring are further provid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하진동 흡수부(70)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과; 제 1중간 프레임(88)에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1탄성편(74)과; 제 2중간 프레임(89)에 연결되며 제 1탄성편(74)과 힌지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2탄성편(72)과;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일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1축(82)과;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타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2축(83)과; 제 1축(8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탄성편(74)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1스프링(82)과; 제 2축(8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탄성편(72)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85)과; 제 1 및 제 2스프링(84,85)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조절너트(86,8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ar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88 and 89 disposed between a pair of lower frames 11; A first elastic piece (74)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frame (88) and flowing up and down; A second elastic piece 72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frame 89 and hinged to the first elastic piece 74 to vertically flow; A first shaft 82 vertically penetrating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74 and 72; A second shaft 83 vertically penetrating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74 and 72; A first spring 82 disposed on the first shaft 82 to elastically press the first elastic piece 74 downward; A second spring 85 disposed above the second shaft 83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elastic piece 72 downward; And first and second adjusting nuts 86 and 80 fasten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84 and 85 to adjust elasticity of the spring.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하진동 흡수부(19)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은 힌지핀(P1)에 의하여 제 1프레임(5)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하부 프레임(11)이 진동 등에 의하여 유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도 같이 유동한다.In the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19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88 and 89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5 by the hinge pin P1. Therefore, when the lower frame 11 is caused to flow by vibration or the like,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88, 89 also flow together.

제 1탄성편(74)은 "

Figure 112013081259362-pat00001
"자 형상을 갖음으로써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23)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21)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 2탄성편(72)은 "
Figure 112013081259362-pat00002
"자 형상을 갖음으로써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23)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21)의 상부에 위치한다.The first elastic piece 74 is a "
Figure 112013081259362-pat0000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ece 72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ame 2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elastic piece 7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ower frame 21. The second elastic piece 72 is a "
Figure 112013081259362-pat00002
"One sid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lower frame 23 and the other sid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econd lower frame 21. [

그리고, 제 1 및 제 2탄성편(74,72)의 중간은 힌지핀(7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74 and 72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in 76.

또한, 제 1탄성편(74)은 제 1중간 프레임(88)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 2탄성편(72)은 제 2중간 프레임(89)에 일체로 연결된다.The first elastic piece 74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frame 88 and the second elastic piece 7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frame 89.

따라서,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88,89)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탄성편(74,72)도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88, 89 are oscillated up and dow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74, 72 also oscillate up and down.

이때, 제 1탄성편(74)의 일측과 제 2탄성편(72)의 타측은 제 1축(82)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태이고, 제 1탄성편(74)의 타측과 제 2탄성편(72)의 일측은 제 2축(83)에 의하여 상하로 연결된 상태이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irst elastic piece 7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72 are vertically connected by the first shaft 82,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lastic piece 74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72, (72) is vertically connected by the second shaft (83).

그리고, 제 1축(82)의 상부에는 제 1스프링(82)이 배치됨으로써 제 1탄성편(74)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즉, 제 1스프링(82)은 압축 스프링으로써, 그 상부는 제 1조절너트(86)에 지지되고, 하부는 제 1탄성편(74)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제 1스프링(82)은 제 1축(82)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1탄성편(74)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 1탄성편(74)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이를 흡수한다.A first spring 8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82 to elastically press the first elastic piece 74 downward. That is, the first spring 82 is a compression spring,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by the first adjustment nut 86,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astic piece 74. The first spring 82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elastic piece 74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82 is inserted and thereby the first elastic piece 74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sorbed.

또한, 제 2축(83)의 상부에는 제 2스프링(85)이 배치됨으로써 제 2탄성편(72)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즉, 제 2스프링(85)은 압축 스프링으로써, 그 상부는 제 2조절너트(80)에 지지되고, 하부는 제 2탄성편(72)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A second spring 85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haft 83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elastic piece 72 downward. That is, the second spring 85 is a compression spring, the upper part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econd adjusting nut 80, and the lower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72.

따라서, 제 2스프링(85)은 제 2축(83)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 2탄성편(72)을 아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제 2탄성편(72)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이를 흡수한다.The second spring 85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elastic piece 72 in a state where the second shaft 83 is inserted so that when the second elastic piece 72 vib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bsorbed.

아울러, 제 1조절너트(86)는 제 1축(82)의 상부에 체결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1조절너트(86)를 적절하게 조이거나 푸는 경우, 제 1스프링(82)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djustment nut 86 is fasten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82. Therefore, when the first adjusting nut 86 is properly tightened or loosened,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first spring 82 downward or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그리고, 제 2조절너트(80)는 제 2축(83)의 상부에 체결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2조절너트(80)를 조이거나 푸는 경우, 제 2스프링(85)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되거나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adjusting nut 80 is faste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haft 83. Therefore, when the second adjustment nut 80 is tightened or loosened, the elastic force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second spring 85 downward or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한편, 상기 완충부(1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설삽날(7)의 상하진동을 흡수한다. 이러한 완충부(17)는 제설삽날(7)의 하부에 배치된 날부(8)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49)과; 하부는 지지 브래킷(49)에 연결되고 상부는 제설삽날(7)에 돌출된 고정 브래킷(55)에 삽입되는 축부재(43)와; 축부재(43)에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45)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buffering portion 17 absorbs the vertical vibration of the snow remover 7. The cushioning portion 17 includes a support bracket 49 mounted on a blade portion 8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now removing blade 7; A shaft member 43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49 and inserted into a fixing bracket 55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now remover 7; And a buffer spring 45 inserted into the shaft member 43 to absorb the shock.

제설삽날(7)은 날부(8)와 본체(10)의 2부분으로 구성되는 바, 지지 브래킷(49)은 날부(8)에 배치되고, 고정 브래킷(55)은 본체(10)에 배치된다. 그리고, 축부재(43)는 하부의 원통형 베어링(47)이 지지 브래킷(49)의 힌지축(50)에 연결된다. 또한, 축부재(43)의 상부에는 아암(53)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 브래킷(55)에 결합된다. 이 아암(53)은 삽입홀(h1)이 형성됨으로써 축부재(4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면에는 돌출부(54)가 각각 형성된다.The snow removing blade 7 is composed of two parts of the blade part 8 and the main body 10. The supporting bracket 49 is disposed on the blade part 8 and the fixing bracket 55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10 . The shaft member 43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50 of the support bracket 49 by the lower cylindrical bearing 47. An arm 53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shaft member 43 to be coupled to the stationary bracket 55. The insertion hole h1 is formed in the arm 53 so that the shaft member 43 penetr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protrusions 54 are formed on both sides.

이 돌출부(54)는 고정 브래킷(55)의 안착홈(h2)에 각각 삽입되며, 고정 플레이트(57)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protrusions 54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s h2 of the fixing bracket 55 and can be fixed by the fixing plate 57. [

따라서, 축부재(43)가 아암(53)에 의하여 고정 브래킷(55)에 고정된 상태에서, 날부(8)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스프링(45)에 의하여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state that the shaft member 43 is fixed to the fixing bracket 55 by the arm 53, the shock can be absorbed by the spring 45 when the vibration of the blade unit 8 is transmitted.

이때, 스프링(45)은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스프링(45)의 상단은 상부 지지판(51)에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하단은 하부 지지판(59)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At this time, the spring 45 preferably includes a tension spring. The upper end of the spring 45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support plate 51, and the lower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lower support plate 59.

따라서, 날부(8)의 진동에 의하여 상승한 축부재(43)가 하강할 때 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haft member 43 raised by the vibration of the blade portion 8 is lowered, the impact can be absorbed by being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 제설장치 5: 제 1프레임
6: 제 2프레임 7: 제설삽날
9: 상부 프레임 11: 하부 프레임
13: 승하강부 15: 각도 조절부
17: 완충부 19: 상하진동 흡수부
1: snow removal device 5: first frame
6: 2nd frame 7: snow blades
9: upper frame 11: lower frame
13: ascending / descending portion 15: angle adjusting portion
17: buffering part 19: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ing part

Claims (8)

차량에 결합되는 제 1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마주 보도록 배치되며 제설삽날이 연결되는 제 2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과;
일측은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 2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제 1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힌지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킴으로써 제설삽날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와; 그리고
하부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설장치에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하는 상하진동 흡수부를 포함하며,
제설삽날에 구비되어 제설삽날의 상하진동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제설삽날의 하부에 배치된 날부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과; 하부는 지지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부는 제설삽날에 돌출된 고정 브래킷에 삽입되는 축부재와; 축부재에 삽입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스프링을 포함하며,
축부재는 하부의 원통형 베어링이 지지 브래킷의 힌지축에 연결되고, 축부재의 상부에는 아암이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 브래킷에 결합되며, 이 아암은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축부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양측면에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고정 브래킷의 안착홈에 각각 삽입되며, 고정 플레이트에 의 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A first frame coupled to the vehicle;
A second frame disposed to face the first frame and connected to the snow blades;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n upper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lower frame hing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A lifting / lowering part hing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to move up and down the snow blades; And
And an up-and-down vibration absorbing portion disposed in the lower frame for absorbing vertica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snow removing device,
And a buffering portion provided in the snow removal blade to absorb vertical vibration of the snow removal blade,
The buffer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bracket mounted on a blade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now removing blade; A shaft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at the lower portion and inserted into a fixing bracket projecting upward from the snow removing blade; And a shock absorbing spring inserted into the shaft member to absorb impact,
The shaft member is connected to the hinge shaft of the support bracket at the lower part, and the arm is horizontally moun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haft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The arm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And protrud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respectively, and the protruding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s of the fixing bracket, respectively, and fixed by the fixing pl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제 1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장착되어 전개 및 수축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rtion includes a cylinder hing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a piston mounted on the cylinder and extending and contracting to move up and down the upper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진동 흡수부는 일측은 제 1프레임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하부 프레임중 하나에 연결되는 중간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어 중간 프레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탄성편과; 중간 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어 중간 프레임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 탄성편과; 상부 및 하부 탄성편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축과; 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ers include an intermediate frame having one side hinged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lower frames; An upper elastic piece mounted on the intermediate frame by a hinge pin and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 A lower elastic piece mounted on the intermediate frame by a hinge pin to cover a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 A shaft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pieces in a vertical direction; A spring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haft to elastically press the upper elastic piece downward; And an adjusting nut fastened to an upper end of the shaft to adjust elasticity of the spring.
제 1항에 있어서,
상하진동 흡수부는 일측은 제 1프레임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과; 제 1중간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1탄성편과; 제 2중간 프레임에 연결되며 제 1탄성편과 힌지연결되어 상하 유동하는 제 2탄성편과; 제 1 및 제 2탄성편의 일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1축과; 제 1 및 제 2탄성편의 타측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 2축과; 제 1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1스프링과; 제 2축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2탄성편을 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과; 제 1 및 제 2스프링의 상단에 체결되어 스프링의 탄력성을 조절하는 제 1 및 제 2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and lower vibration absorbers are hingably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at one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at the other sid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lower frames; A first elastic piece connected to the first intermediate frame and vertically flowing; A second elastic piece connec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frame and hinged to the first elastic piece to vertically flow; A first shaft passing vertically through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 second shaft passing vertically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 first spring disposed above the first shaft to elastically press the first elastic piece downward; A second spring disposed on the second shaft to elastically press the second elastic piece downward; And a first and a second adjustment nut fasten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prings to adjust elasticity of the spring.
제 4항에 있어서,
제 1탄성편은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 2탄성편은 일측은 제 1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타측은 제 2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2탄성편의 중간은 힌지핀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중간 프레임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제 1 및 제 2탄성편도 상하로 진동하게 되는 제설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elastic piece has one side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ame and the other sid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ower frame,
The second elastic piece has one sid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frame and the other sid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lower frame,
Wherein the intermediat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i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re vibrated up and down when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frames oscillate up and down.
제 1항에 있어서,
제 2프레임과 제설삽날을 연결함으로써 제설삽날의 좌우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각도 조절부는 제 2프레임과 제설삽날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실린더 조립체의 일단은 제 2프레임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은 제설삽날의 후면에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left-right angle of the blades by connecting the second frame and the blades,
The angle adjusting por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cylinder assemblies connecting the second frame and the snow removing blade,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ylinder assemblies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by a hinge pi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rear surface of the snow removing blade by a hinge pi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06503A 2013-09-05 2013-09-05 Apparatus for removing snow KR1015731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en) 2013-09-05 2013-09-05 Apparatus for removing sn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en) 2013-09-05 2013-09-05 Apparatus for removing sn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90A KR20150027990A (en) 2015-03-13
KR101573114B1 true KR101573114B1 (en) 2015-12-01

Family

ID=53023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503A KR101573114B1 (en) 2013-09-05 2013-09-05 Apparatus for removing sn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1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2645A (en) * 2016-05-11 2016-08-17 山东汇强重工科技有限公司 Deformable double-edge snow removal shovel
KR102277130B1 (en) * 2016-07-19 2021-07-14 주식회사 자동기 Shock absorber, snow plow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88135B1 (en) * 2016-07-19 2021-08-10 주식회사 자동기 Shock absorber used for snow shovel
KR102563011B1 (en) * 2022-06-28 2023-08-04 (주)에스엔건설 Vehicle loading type fiber gr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8B1 (en)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Snowplow for 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88B1 (en) * 2009-01-09 2009-09-21 김용주 Snowplow for 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90A (en)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114B1 (en) Apparatus for removing snow
CN203864332U (en) Novel damping device for full-electric carrier
CN203111334U (en) Cab rear suspension device
ATE390341T1 (en) FRON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KR101173056B1 (en) Device for assembling front strut
KR20070021443A (en) Cap rear mounting apparatus
CN103114730B (en) Vibration device
CN214450242U (en) Automobile engine support
CN110722979B (en) Passenger car radiator support
CN106005138A (en) Motorcycle pedal
CN201520236U (en) Lightening protection damping seat
CN208855345U (en) Rear wheels of electric vehicle damping device
CN205837043U (en) Foot pedal of motorcycle
CN220242916U (en) Tricycle rear axle shock-absorbing structure
CN202138433U (en) Guiding wheel
JP4595799B2 (en) Arm member mounting device
CN212709817U (en) Shock-proof buffering motorcycle frame
JP5704942B2 (en) Shock absorber and vehicle with shock absorber
CN200995596Y (en) Front suspension system of trackless and wireless electric bus
CN1994768A (en) Front suspension rack device of trackless wireless electric bus
CN213394344U (en) Anti-seismic support for mounting electromechanical equipment
IT1310693B1 (en) DISASSEMBLY AND REASSEMBLY OF VEHICLE SUSPENSION SPRING-SHOCK ASSEMBLIES
CN209718950U (en) A kind of printing equipment of New Image processing
CN210760129U (en) Driving wheel floating frame device
CN104827878B (en) A kind of engine bra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