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75B1 -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75B1
KR101572975B1 KR1020140015708A KR20140015708A KR101572975B1 KR 101572975 B1 KR101572975 B1 KR 101572975B1 KR 1020140015708 A KR1020140015708 A KR 1020140015708A KR 20140015708 A KR20140015708 A KR 20140015708A KR 101572975 B1 KR101572975 B1 KR 10157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ubject
test
task
stim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3412A (en
Inventor
신민섭
권준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브레인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브레인메딕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4/00359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81982A1/en
Publication of KR2014013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4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지 기능의 각 영역을 객관적이면서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외에도 주의력, 작업기억, 실행기능 등의 기타 영역의 인지기능도 측정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온라인 기반의 기억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피검자의 단말과 기억력 평가 서버를 이용한 기억력 평가 방법을 취하고, 상기 피검자의 단말로부터 기억력 평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기억력 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질문항목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정보인 답변선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순차적으로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 세부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질문항목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과제별 세부답변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종합하여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or an on-line base capable of measuring cognitive functions of other areas such as attention, work memory, and execution functions in addition to language and visual memory in order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each area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to provide a memor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receives a memory evaluation request from a terminal of the examinee using a terminal of the subject and a memory evaluation server. When the memory evalu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Controlling the question item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terminal;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receives answer information on the question item information, and whe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answer information agreeing with the question, is in a preset condition, Check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subject by the unit task based on the detailed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question item information; Calcul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y summing up the cognitive abilities per unit task; And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evaluating the memory power of the subject based on a preset norm database.

Description

기억력 검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본 발명은 기억력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산화된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결과에 대해 정상규준에 근거한 해석을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tes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 computerized test and providing an analysis based on a normality of test results.

기억력은 크게 단기기억력과 장기기억력으로 나뉘며, 이는 다시 언어성 기억력과 시공간 기억력(비언어성 기억력)으로 구분된다. 기억 과정은 정보의 입력, 저장, 인출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계별로 효율적인 정보처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주의력(attention)의 발휘가 요구된다. 주의력은, 주어진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장시간 집중을 유지하거나, 다양한 자극 중 특정한 자극을 변별하거나, 제한된 처리용량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능력 등을 포괄한다. 또한 정보처리과정 중, 입력된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작업기억이 중요한데, 작업기억이란 언어적 혹은 시공간적 정보를 통합하고 조직화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 개념이다.  Memory is divided into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which are again divided into verbal memory and spatio-temporal memory (nonverbal memory). The memory process consists of inputting,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order to efficiently process information at each stage, appropriate attention is required. Attention involves the ability to maintain long periods of concentration to perform a given goal, to differentiate between specific stimuli of various stimuli, or to appropriately allocate limited treatment capacity. In addition, dur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it is important to memorize and maintain the input information. Work memory i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integrating and organizing linguistic or temporal information.

기억기능, 특히 숫자나 언어, 도형의 기억 및 학습은 일상생활 능력과 매우 밀접한 인지기능이므로, 기억력 저하는 비단 치매나 뇌손상 환자뿐만 아니라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신과적 질환, 그리고 일반인 사이에서도 흔히 호소될 수 있는 인지증상이다. 다양한 영역의 기억 기능에 대한 정기적인 진단적 평가, 치료대책, 예후판정 등은 정신의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법률적, 사회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Because the memory function, especially the memory and learning of numbers, languages, and figures, is a cognitive function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skills, memory impairment is not only a symptom of dementia or brain damage but also a psychiatric disorder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It can be a cognitive symptom. Regular diagnostic evaluation, treatment, and prognostic evaluation of various memory functions are of great interest not only in psychiatric aspects but also in legal and socioeconomic aspects.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치매 초기의 건망증을 시작으로 언어, 방향감각, 계산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순차적으로 저하되면서 그 증상이 심화된다. 그리고 성격 및 감정이 변화하여 우울증과 같은 정서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보호자의 부양 부담이 증가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장해의 특성상, 아직 치매는 아니더라도 인지기능의 감퇴 징후가 보이는 초기에 증상을 발견하고 치료에 개입시키는 것이 치매 예방에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노인, 치매 환자의 경우 인지기능 감퇴에 대한 지식 및 병식의 부족으로 인해,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가 객관적인 기억력 감퇴 수준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므로, 성공적인 예방 및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정확하고 객관적인 기억력 감퇴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Dementia is a symptom in which the cognitive functions of various areas such as memory, language, and judgment are deteriorated and do not perform daily life properly. Starting from amenorrhea in the early stages of dementia, the symptoms gradually worsen as the cognitive functions of various areas such as language, directional sense, and computation power are sequentially degraded. As the personality and emotions chang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emotional disturbances such as depression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d burden on the caregiver and a deterioration of the overall quality of lif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se disorders, it is important to detect symptoms and intervene in the early stages of cognitive decline, even if they are not yet dementia, in order to prevent dementia. In particular, in the elderly and dementia patients, subjective memory problems are likely to fail to adequately reflect the level of objective memory decline due to lack of knowledge and cognitive decline in cognitive decline, so that for successful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level of memory loss that is accurate and objective.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107736은 규준기반의 컴퓨터화된 인지능력 측정과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로, 검사 준비부와 인지능력 측정부와 인지능력 평가부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은 규준 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지능력 측정 및 평가의 결과로 피검사자의 인지능력 수준을 판정하며, 인터페이스 표준화 모듈을 포함하는 검사 준비부를 이용하여 인지능력 측정시 환경의 영향을 없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입력된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작업기억에 대한 검사가 없으며, 인지 영역별 인지 측정 도구가 단순히 병렬 배치되어 기억력 저하가 실제 저장 능력 자체의 문제인지 학습능력이나 주의력의 문제인지 세분하여 평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억력의 모든 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온라인 기반 기억력 평가 도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2-0107736 discloses a system-based computerized cognitive capabil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and disclose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test preparation unit, a cognitive ability measurement unit, a cognitive ability evaluation unit, and a database management unit. The system provides normative data to determine the level of cognitive abilities of the testee as a result of cognitive abilities measurement and evaluation, and eliminates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gnitive abilities measurement using a test preparation unit that includes an interface standardization module. However, the above method does not test the working memory for holding and manipulat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 apparatus for cognitive domain perception is simply arranged in parallel to determine whether the memory degradation is a problem of the actual storage ability itself or a problem of learning ability or atten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mputer or online based memory assessment tool that can evaluate all elements of memory.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7736호(공개일: 2012. 10. 04)Korea Open Patent No. 2012-0107736 (Publication date: Oct. 04,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지 기능의 각 영역을 객관적이면서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언어 및 시각 기억력 외에도 주의력, 작업기억, 실행기능 등의 기타 영역의 인지기능도 측정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온라인 기반의 기억력 평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uter or an on-line base capable of measuring cognitive functions of other areas such as attention, work memory, and execution functions in addition to language and visual memory in order to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each area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to provide a memory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피검자의 단말과 기억력 평가 서버를 이용한 기억력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단말로부터 기억력 평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기억력 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질문항목정보에 대한 답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정보인 답변선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순차적으로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 세부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질문항목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과제별 세부답변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종합하여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 using a terminal of a subject and a memory power evaluation server, wherein, when receiving a memory power evalu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of the subject, the memory power evaluation server calculates a memory power Controlling a number of query item information to be output to the terminal;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receives answer information on the question item information, and whe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answer information agreeing with the question, is in a preset condition, Checking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subject by the unit task based on the detailed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unit corresponding to the detailed question item information; Calcul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y summing up the cognitive abilities per unit task; And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evaluating the memory power of the subject based on a preset norm databas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검사 도중 검사가 중단되는 경우 그때까지 입력된 답변정보 및 답변선택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e memory evalu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to store the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hat have been input so far when the inspection is interrupted during the inspec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로 성별, 나이별 표준 인지능력 측정결과를 저장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memory capacity, wherein the normative database stores results of measurement of standard cognitive ability by sex and age for each memory evaluation unit task.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이별 표준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 및 60세 이상 74세 이하 노년층으로 구분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assessing memory, wherein the age-specific standard is divided into a middle-aged perso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and an aged person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는 주의력 검사 과제,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작업기억 검사 과제, 및 실행기능 검사 과제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method including the attention test task,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the work memory test task, and the execution function test task.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에게 복수개의 청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회상,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회상 및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복수개의 시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재인 및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에 피검자에게 주의력 검사 과제 및 작업기억 검사 과제를 실시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above-mentioned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wherein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auditory test stimuli presented to the subject and then immediately recalled, examined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Where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visual inspection stimuli presented to a terminal of a subject, and immediately inspecting the inspected object after the inspection, and inspecting the object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And a task evaluation task and a work memory test task.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는 특별한 언어적/시각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 과제인,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memory capacity, which is a problem that does not have a specific verbal / visual meaning.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3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는 2글자 또는 3글자로 이루어진 표적 단어를 상기 피검자에게 청각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장기지연 회상 단계; 상기 장기지연 회상 단계에서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표적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표적 단어를 비표적 단어와 함께 제시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및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표적단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target word consisting of two or three letters belonging to one of the thre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to the subject by auditory stimulation;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the subject to pronounce a word stored in the subject;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and the target word;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long-term delay recall step of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pronounce a word memorized to the subject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after the third execution step;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a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in the long term delay recalling step and the target word; A step of presenting the target word together with a non-target word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can select a target word;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word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5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5개씩의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2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4개씩의 단어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person aged 40 to 60, the above-mentioned stimuli include 15 words in total in th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For older people aged 74 years and younger, the stimulus provides a total of twelve words, each containing four words in the category of animals, vegetable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시각 자극으로 미리 정한 자극제시 시간 동안 친숙한 한글 자모의 변형으로 디자인한 복수개의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한 자극제시 시간 경과 후 복수개의 검사 도형보다 더 많은 수의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보기 도형으로부터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선택한 보기 도형이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의 단말에 보기도형만 제시하여 검사도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검사도형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visual-spatial memory test,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plurality of test patterns designed as variations of familiar Hangul characters during a stimulus time predetermined by a visual stimulus to a terminal of a subject; Presenting a larger number of view figures than a plurality of test figures after a lapse of time in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select the same figure as the figure to be examined from the view figure;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view figure selected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checked figure;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step of selecting a figure to be examined by presenting a view figure only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the step of performing three times; And storing information of the graphic form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검사 도형은,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인 경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인 경우에 비해 획수가 더 많은 도형이고, 상기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상기 보기 도형의 수는 상기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도형 수보다 많고, 상기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은 10초인,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figure is a figure having a larger number of strokes tha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whose age i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and whose subject is a middle-aged person between 40 and 60 years old, And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s 10 second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evaluating a memory capacity, comprising the steps of: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의력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주의력 문자를 무선적(random)으로 균일하지 않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된 주의력 문자 중 두 개의 순서가 정해진 주의력 조건에 부합하는 표적 자극의 경우에 상기 피검자의 반응을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반응으로 분류되는 경우 정반응 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esenting attention letters continuously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s a stimulu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are not randomly and uniformly distributed; False alarm, false positive error, and positive reaction in the case of a target stimulus in which two orders out of the presented attention letters meet the predetermined attention condition, and if the positive reaction is classified into the positive reaction time average and the positive reaction time And identifying and storing the standard devi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의력 문자는 한글 자음이고, 상기 표적 자극의 노출빈도 비율은 20%인,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method wherein the attention letter is a Korean consonant and the ratio of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target stimulus is 20%.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은 15분인,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method wherein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is 15 minut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의 즉시회상과 장기지연 회상 사이에 제시하는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는 위치로 구분되는 자극들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순서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위치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위치 자극이 상기 제시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위치 자극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isual-spatial task memory task presented between the immediate recall and the long-term delay recall of the audiovisual memory test task among the task memory test tasks, Presenting;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position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ed ru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의 즉시재인과 장기지연 재인 사이에 제시하는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는 복수개의 언어자극을 청각으로 상기 피검자에게 작업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상기 작업 자극이 상기 규칙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uditory-language task memory task presented between the immediate recognition of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and the long-term delay task among the task memory test tasks, in which plural language stimuli are audibly presented to the subject as a task stimulus ;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working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working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ru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실행기능 검사 과제는, 순서를 가지는 복수개의 실행 검사 자극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미리 정해진 특정 배열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실행 검사 자극이 상기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testing an execution function,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plurality of execution test stimuli having a sequence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d displaying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execution test stimulus sequentially input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order on the terminal of the subject.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실행기능 검사 자극은, 제 1단계와 제 2단계로 나누어 제시되며, 상기 제 1단계 검사 자극은 1부터 23까지의 숫자이고, 상기 제 2단계 검사 자극은 “1 내지 12”까지의 숫자와“동, 해, 물, 과, 백, 두, 산, 이, 마, 르, 고”의 문자인, 기억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ve function test stimulus is presented in a first stage and a second stage, wherein the first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23 and the second stage test stimulus is " 1 to 12 "And the words" Dong, Sun, Water, Wu, White, Two, Mountain, Lee, Ma, Le, Go ".

본 발명은 또한, 소음이 차단된 검사실에 설치된 단말과 상기 단말이 유무선으로 연결된 기억력 평가 서버를 이용한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 과정을 검사하는 검사자가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보내온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억력 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질문항목정보에 대해 상기 피검자가 하는 터치스크린 터치, 버튼 누름 또는 구두 보고를 답변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정보인 답변선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순차적으로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 세부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질문항목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과제별 세부답변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하는 단계가 끝나면 상기 검사자의 상기 기억력 평가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종료부; 상기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종합하여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는 주의력 검사 과제,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작업기억 검사 과제, 및 실행기능 검사 과제를 포함하고,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로 성별, 나이별 표준 인지능력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나이별 표준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 및 60세 이상 74세 이하 노년층으로 구분하며, 중장년층의 나이는 5년 단위로 나누고, 노년층의 나이는 3년 단위로 나누고, 상기 평가결과는 상기 주의력 검사, 작업기업 검사 및 실행기능 검사를 고려하여 청각-언어기억 검사와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기억력 점수를 반영한 기억력 지수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iddle-aged and elder-year memory evaluation system using a terminal installed in an examination room where noise is intercepted and a memory evalu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via wired or wireless lines,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comprise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memory evaluation request of the subject sent using the termi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xamining information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memory evaluation request to be out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or audible to the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answer information agreeing with the question, is in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sequentially receives a memory evalua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etailed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ach task to be out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or to be heard in the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examining unit for examining the ability; An ending unit for receiving the memory evaluation end request of the examiner when the inspecting step is finishe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y summing up the cognitive abilities per unit task; And a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valuation result on the basis of a predetermined normative database, wherein th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and a heads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task, A memory test task, a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a working memory test task, and an executive function test task. The norm database stores results of measurement of standard cognitive ability by sex and age for each memory task, The standard is divided into a middle-aged perso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and an aged person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The age of the middle-aged person is divided into five years and the age of the old person is divided into three years. Memory of auditory-language memory tests and visual-spatial memory tests considering corporate testing and executive function tests A memory index that reflects your score, providing middle-aged and older memories rating system.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검사 도중 검사가 중단되는 경우 그때까지 입력된 답변정보 및 답변선택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to store answer information and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hat have been input so far when the inspection is interrupted during the inspec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로 성별, 나이별표준 인지능력 측정결과를 저장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norm database stores results of measurement of standard cognitive ability by gender and age by a memory evaluation unit task.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이별 표준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 및 60세 이상 74세 이하 노년층으로 구분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assessment system, wherein the age-specific standard is divided into a middle-aged perso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and an elderly person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는 주의력 검사 과제,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작업기억 검사 과제, 및 실행기능 검사 과제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task, a hearing-language memory test task, a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a work memory test task, and an execution function test task.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에게 복수개의 청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회상,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회상 및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복수개의 시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재인 및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재인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에 피검자에게 주의력 검사 과제 및 작업기억 검사 과제를 실시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the above-mentioned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wherein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auditory test stimuli presented to the subject and then immediately recalled, examined for a predetermined delay time, Where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visual inspection stimuli presented to a terminal of a subject, and immediately recognizing the inspected stimuli and examining the stimuli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that performs attention test tasks and work memory test task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는 특별한 언어적/시각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 과제인,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which is a problem that does not have a specific verbal / visual meaning.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3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는 2글자 또는 3글자로 이루어진 표적 단어를 상기 피검자에게 청각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장기지연 회상 단계; 상기 장기지연 회상 단계에서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표적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표적 단어를 비표적 단어와 함께 제시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및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표적단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target word consisting of two or three letters belonging to one of the thre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to the subject by auditory stimulation;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the subject to pronounce a word stored in the subject;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and the target word;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long-term delay recall step of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pronounce a word memorized to the subject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after the third execution step;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a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in the long term delay recalling step and the target word; A step of presenting the target word together with a non-target word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can select a target word;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word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5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5개씩의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2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4개씩의 단어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person aged 40 to 60, the above-mentioned stimuli include 15 words in total in th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For older people aged 74 years or less, the stimulus provides a total of twelve words, each containing four words in the category of animals, vegetables, and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바탕으로 하여 변형한 복수개의 검사 도형을, 시각 자극으로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 동안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복수개의 검사 도형보다 더 많은 수의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보기 도형으로부터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선택한 보기 도형이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의 단말에 보기도형만 제시하여 검사도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검사도형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plurality of examined figure deformed on the basis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to a subject's terminal during a stimulus presentation time predetermined by visual stimulation; Presenting a larger number of viewing graphics than a plurality of examined graphics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select the same figure as the figure to be examined from the view figure;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view figure selected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checked figure;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step of selecting a figure to be examined by presenting a view figure only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the step of performing three times; And storing information of the graphic form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검사 도형은,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인 경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인 경우에 비해 획수가 더 많은 도형이고, 상기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상기 보기 도형의 수는 상기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도형 수보다 많고, 상기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은 10초인,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test figure is a figure having a larger number of strokes than the case of an elderly person whose age i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and whose subject is a middle-aged person between 40 and 60 years old, And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s 10 seconds. The memory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number of graphs to be displayed is more than the number of graphs to be presented at the step of presenting the graph to be examined.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의력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주의력 문자를 무선적(random)으로 균일하지 않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된 주의력 문자 중 두 개의 순서가 정해진 주의력 조건에 부합하는 표적 자극의 경우에 상기 피검자의 반응을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반응으로 분류되는 경우 정반응 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presenting attention letters continuously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s a stimulus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are not randomly and uniformly distributed; False alarm, false positive error, and positive reaction in the case of a target stimulus in which two orders out of the presented attention letters meet the predetermined attention condition, and if the positive reaction is classified into the positive reaction time average and the positive reaction time And a step of checking and storing the standard deviatio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주의력 문자는 한글 자음이고, 상기 표적 자극의 노출빈도 비율은 20% 인,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attention letter is a Korean consonant and the ratio of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target stimulus is 20%.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은 15분인,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mory evaluation system wherein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is 15 minute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비언어적 자극 과제는 위치로 구분되는 자극들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순서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위치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위치 자극이 상기 제시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위치 자극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non-verbal stimulus task presented during the auditory-linguistic memory task may include sequentially presenting stimuli classified as position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during the task memory test task;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position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ed ru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언어적 자극 과제는 복수개의 언어자극을 청각으로 상기 피검자에게 작업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상기 작업 자극이 상기 규칙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verbal-prompting a task, which is presented during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of a task memory test task, comprising the steps of: presenting a plurality of language stimuli audibly to the subject as a task stimulus;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working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working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ru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실행기능 검사 과제는, 순서를 가지는 복수개의 실행 검사 자극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특정 배열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실행 검사 자극이 상기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testing an execution function, comprising: presenting a plurality of execution test stimuli having a sequence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specific arrangement; And displaying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execution examination stimulus sequentially input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order on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실행기능 검사 자극은, 제 1단계와 제 2단계로 나누어 제시되며, 상기 제 1단계 검사 자극은 1부터 23까지의 숫자이고, 상기 제 2단계 검사 자극은 “1 내지 12”까지의 숫자와“동, 해, 물, 과, 백, 두, 산, 이, 마, 르, 고”의 문자인,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executive function test stimulus is presented in a first stage and a second stage, wherein the first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23 and the second stage test stimulus is " 1 to 12 And a memory evaluation system that is a character of "Dong, Sun, Water, Wah, White, Two, Mountain, Lee, Ma, Le, Go".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검사 시스템 및 방법은, 대규모 인원에게 표준화된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전문적인 임상가가 아니더라도 검사 실시과정에 대해 간단한 교육만으로도 손쉽게 실시할 수 있고, 응답시간과 반응 형태의 분석 등이 정확히 기록되고 장기간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memory test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test by a standardized method for a large number of personnel. Even if the test is not a professional clinician, Analysis of time and reaction patterns are accurately recorded and data management is facilit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에서는 성인 건강검진 시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산화된 기억력 평가 도구를 개발한 후,정상 규준 집단을 대상으로 연령 별 규준을 산출하고,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산화된 기억력 평가도구의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일반인의 기억기능 감퇴를 조기에 평가하여 치매 발병의 위험성을 파악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직업적 기능 손실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eveloping a computerized memory evaluation tool that can be easily used in adult health screening,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ge-specific norm for the normal norm group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test.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 memory assessment tool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socioeconomic and occupational function loss by early detection of the memory function decline of the general public and understanding the risk of the onset of dementia.

또한, 각 검사 단계가 즉시 검사와 장기지연 검사를 유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피검사자의 검사 시간을 매우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ach test step is designed to organically combine the immediate test and the long-term delay test, thereb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test time of the teste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자의 검사 데이터가 입력되면, 동일 연령대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환산점수를 계산하고, 환산점수가 해당하는 범위의 자동화된 해석이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청각-언어기억 검사 단계의 즉시 회상 지시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청각-언어기억 검사 단계의 장기지연 재인 검사에서 제시되는 단어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시각-공간기억 검사 단계에서 제시되는 중장년용 도형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시각-공간기억 검사 단계에서 제시되는 노년용 도형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시각-공간기억 검사 단계에서 제시되는 보기도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주의력 검사 단계의 일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작업기억 검사 단계의 언어적 작업기억 검사의 일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작업기억 검사 단계의 비언어적 작업기억 검사의 응답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작업기억 검사 단계의 비언어적 작업기억 검사의 순서 제시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실행기능 검사 단계의 제1단계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평가 방법 중 실행기능 검사 단계의 제1단계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converted score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ame age range when the test data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providing an automated interpretation of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score to be.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immediate recall instruction screen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step in the memor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words presented in the long-term delay test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step of the memory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middle-aged-year graphic forms presented 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step of the method of evaluating mem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old-age graphics presented 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step of the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iew figure presented 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step of the memory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reen of the attention test step among the memory test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verbal working memory test in the working memory testing step of the memory te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response screen of a non-verbal working memory test in the working memory testing step in the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equence presentation screen of a non-verbal working memory test in the working memory testing step in the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first step of an execution function checking step among the memory power e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reen of a first step of an execution function checking step among the memory evaluation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following mean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과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1.One. 기억력 평가 도구Memory assessment tool

기억력 평가 도구는 크게 1) 주의력 평가 과제 2)청각-언어기억(Auditory-Verbal memory) 과제, 3)시각-공간기억(Visuo-spatial memory) 과제, 4)작업기억(Working memory) 과제. 5)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 과제 등 다섯 가지 과제로 구성되며, 평가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30 내지 40분이다. 피검자의 검사 데이터가 입력되면, 동일 연령대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환산점수를 계산하고, 환산점수가 해당하는 범위의 자동화된 해석이 제공되게 된다(도면1).
The memory assessment tool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1) Attention Assessment Task 2) Auditory-Verbal Memory Task 3) Visuo-spatial Memory Task 4) Working Memory Task. 5) Execution function (Executive function). The total time required for the evaluation is 30 to 40 minutes. When the test data of the subject is inputted, the converted score is calculated by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ame age range, and an automated interpretation of the range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score is provided (FIG. 1).

(1) 주의력 검사 과제(1) Attention test task

피검자의 단말의 화면에 표적 자극과 비표적 자극을 100ms동안 무선적(random)으로 제시하고 표적 자극에 가능한 한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난이도가 쉬운 Simple CPT 보다는 난이도가 다소 어려운 CPT-AX 유형을 적용한다. 검사소요 시간은 약 5분이다.Targeted stimuli and non-target stimuli are randomly presented for 100ms on the screen of the subject's terminal and reacted to the target stimuli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PT-AX type, which is more or less difficult than the simple CPT, is applied. The test takes about 5 minutes.

(2) 청각-언어기억((2) Auditory-language memory AuditoryAuditory -- VerbalVerbal memorymemory ) 검사 과제) Inspection task

피검자의 단말의 화면에 중장년은 15개, 노년은 12개의 단어목록을 3회 반복 제시하여 즉시 회상(immediate recall), 15분 지연 후 장기지연 회상(long-term delayed recall) 및 장기지연 재인(recognition) 검사를 실시한다.
On the screen of the testee's terminal, 15 middle-aged and 15 older age-old words were presented three times repeatedly, and immediately recalled, followed by 15-minute delayed long-term delayed recall, ) Inspection.

(3) 시각-공간기억((3) visual-spatial memory VisuoVisuo -- spatialspatial memorymemory ) 검사 과제) Inspection task

선, 도형으로 구성된 6개의 추상적 자극을 피검자의 단말의 한 화면에 동시에 제시한 후, 제시된 자극의 위치와 형태를 기억하여 인출하는 동일한 검사를 3회 반복한다. 15분 후 장기지연 재인(long-term delayed recognition) 검사를 실시한다.
Line, and graphic shapes on a screen of the terminal of the subject simultaneously, and repeating the same test to retrieve and memorize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presented stimulus three times. A long-term delayed recognition test is performed after 15 minutes.

(4) 작업기억((4) Working memory WorkingWorking memorymemory ) 검사 과제) Inspection task

청각-언어 기억 검사의 즉시 회상과 장기지연 회상 사이, 및 시각-공간 기억 검사의 즉시재인과 장기지연 재인 사이의 15분의 파지 기간(retention interval) 동안 작업기억 검사를 시행한다. 청각-언어기억, 시각-공간기억의 즉시회상 과제가 종료된 후 작업기억이 진행된다. 작업기억은 학습시행을 통해 저장된 기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작업기억에 사용된 자극이 특별한 언어적/시각적 의미를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공간적 작업기억에서는 전구가 자극으로 제시되기 때문에 추상적 도형인 시각기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고, 언어적 작업기억에는 숫자와 ‘가, 나, 다’와 같은 단일 글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의미를 지닌 단어자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각각의 과제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working memory test is performed during the 15 - minute retention interval between immediate recall and long - delay recall of auditory - language memory tests and between immediate recall of visual - spatial memory tests and long - term delay. Immediate recall of auditory-language memory, visual-spatial memory After the task is finished, work memory is proceeded. Working memory does not affect stored memory through the practice because the stimuli used in working memory do not have any specific linguistic / visual meaning. For example, in spatio-temporal working memory, bulbs are presented as stimuli, so they do not affect visual memory, which is an abstract figure. In verbal working memory, a single letter such as' It does not affect word stimulation. The contents of each task are as follows.

(4-1) 비언어적(시공간적) 작업기억 검사: 시공간폭(spatial span) 따라 외우기(forward) 및 거꾸로 따라 외우기(backward) 검사 등을 피검자의 단말을 통해 시행한다. (4-1) Nonverbal Work Memory Test: The test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of the subject, such as forwarding according to a spatial span and backward testing according to a reverse span.

(4-2) 언어적 작업기억 검사: Letter-Number Sequencing 과제를 피검자의 단말을 통해 시행한다.
(4-2) Verbal task memory test: Letter-Number Sequencing task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of the subject.

(5) 실행기능((5) Execution function ( ExecutiveExecutive functionfunction ))

피검자의 단말을 통해 1-23까지의 숫자를 순서대로 따라 짚는 과제인 첫 번째 과제와, 1-12까지의 숫자와,‘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까지의 글자를 순서대로 번갈아가며 (1-동-2-해-3-물…) 짚는 과제를 실시한다. 최종 점수는 숫자만 있는 A과제와 숫자와 글자가 있는 B과제의 시간만 반영된다. 규준집단에서 소요된 시간과 비교하여 빠르게 수행을 완료할수록 실행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Through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the first task, which is a task to sequentially follow the numbers from 1 to 23, the numbers from 1 to 12, and the letters from 'Donghae water and Baekdusan to Margo' alternately (1- We carry out the task to put it together. The final score reflects only the number A task with numbers and the time of the B task with numbers and letters. Compared with the time spent in the normative group, the faster the performance is completed, the better the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주의력 검사, 작업기억 검사 및 실행기능 검사 결과를 고려하여, 청각-언어기억 검사와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기억력 점수를 반영한 기억력 지수를 결과로 제공한다. 상기 검사를 위한 정보 조사와 자극은 기억력 평가 서버에서 피검자의 단말을 통해 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서버는 규준자료인 데이터 베이스를 기초로 하여 피검자의 기억력 수준을 평가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ory index that reflects the memory score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and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is provided as a result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of the above-mentioned attention test, working memory test and executive function test. The information examination and the stimulation for the examination are controlled to be presented through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t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The server evaluates the memory level of the subject based on the database as the norm.

2.2. 규준자료 마련과정Regulation data pr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검사 방법에 사용되는 규준자료는 피검자의 검사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되며,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마련된다. 상기 규준자료는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활용되며, 기억력 평가 검사를 수행할 때마다 새로운 자료가 추가되어 축적될 수 있다. The normative data used in the memory tes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ndex for analyzing the test results of the subject and is prepa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above-mentioned normative data is used in the form of a database, and new data can be added and accumulated each time a memory test is performed.

먼저, 기억력 평가의 대상이 되는 연령대(40-74세)를 성별, 나이 및 학력에 따라 집단을 나눈다. 60세를 기준으로 40세 이상 60세 미만은 중장년층, 60세 이상 74세 이하는 노년층으로 구분하여 중장년층은 5년 단위로 나누며, 노년층은 3년 단위로 나눈다. 학력의 구분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학력의 구분에 있어서 무학은 제외하며, 중장년층은 중졸이하부터 대졸수준에 걸쳐 3개 구간, 노년층은 초졸이하 부터 대졸수준에 걸쳐 4개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First, the age group (40-74 years old) that is the target of memory evaluation is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sex,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e elderly are divided into the elderly in the age group of 60 and over, and the elderly in the elderly in the age group of 60 to 74 years. In the case where the division of education is added, the division of academic ability is excluded, and the elderly can divide into three sections from below junior college level to college graduate level, and the elderly class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from below junior college level to college graduate level.

상기한 집단별로 전국 학력분포에 따라 전체 인원에 대해 비례 계산한 숫자의 인원을 할당한다. 피검자를 선별 하는 과정에 있어서 기억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과적 혹은 신경과적 질환의 병력이 있거나 간이정신상태검사(SMMSE-DS)의 점수가 절단점(cut off score) 미만인 경우와 시각이나 청각 등 감각기관의 이상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배제한다.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groups, a proportionally calculated number of people will be allocated to the total number of people according to the national distribution of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creening the subjects, if there is a history of psychiatric or neurological disease that affects memory, or if the score of the SMMSE-DS is less than the cut-off score, People with abnormal symptoms are excluded.

선별된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본 기억력 평가도구를 시행하여 결과값을 얻고, 결과값에 대해 집단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이후, 표준화된 환산점수 혹은 T점수를 산출한다. 산출된 점수는 집단 내 분포를 기준으로 우수, 정상, 의심, 저하의 네 가지 수준 중 한가지 수준에 해당하게 된다. 분포 상에서 점수가 -1SD와 +1SD 사이에 포함될 경우 [정상] 수준, +1SD 이상일 경우 [우수] 수준, -1SD 미만일 경우 [의심] 수준, -2SD 이하일 경우 [저하] 수준이다. 예를 들어 50세 고졸 남자가 평균 10, 표준편차 3인 환산점수를 사용하는 언어기억과제에서 환산점수 11점을 받았을 경우 해당 집단 내에서 [정상] 수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We perform the memory evaluation tool for the selected subjects and obtain the result value.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result value, the standardized conversion score or T score is calculated. The calculated score corresponds to one of the four levels of excellent, normal, suspicion, and depression based on the distribution within the group. [Normal] level when the score is included between -1SD and + 1SD on the distribution, [Excellent] level when the score is above + 1SD, [Suspicious] if it is below -1SD, and [Decrease] when it is below -2SD. For example, if a 50-year-old high school graduate has an average score of 10 and a standard deviation of 3, he or she will receive a score of 11 on the language memory task using the converted score.

상기 과정을 통해 마련된 규준자료에 근거하여 각 검사 내 측정영역(예: 작업기억 내 언어적 작업기억과 시각적 작업기억)별로 해당 수준이 제공되며, 이들의 수준별 조합에 따라 각 검사에 대한 자동화된 해석이 제공된다.
Based on the normative data provided by the above process, corresponding levels are provided for each measurement area within each test (eg, linguistic working memory and visual working memory in working memory), and an automated interpretation / RTI >

3.3.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mory tes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검사는 소음이 차단되는 조용한 방에서 실시하며, 검사실에는 1인의 피검자와 1인의 검사자가 동석한다. 피검자는 자동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지시사항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혼자 진행한다. 검사자는 피검자의 언어기억검사 시행을 돕고 피검자가 피로감을 호소하거나 기타의 문제가 생길 경우를 대비하여 검사가 끝날 때까지 머무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억력 검사 방법의 검사 자극은 시청각적으로 제시되는데, 피검자는 해드셋으로 청각자극 및 지시문을 들으며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모니터를 통해서 문자나 도형 등의 시각자극 및 지시문을 본다. 검사자극에 대한 반응을 피검자는 구두로 보고하도록 할 수 있고 모니터 상의 자극을 터치 혹은 버튼을 누르는 작업을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기억 검사는 구두 보고를 활용할 수 있으며, 시각 기억 검사는 모니터 상의 자극을 터치하도록 할 수 있고, 주의력 검사는 모니터 상의 버튼 또는 별도의 버튼을 터치하는 입력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Inspection shall be carried out in a quiet room where the noise is blocked, and one person and one inspector shall be present in the examination room. The subject will proceed alone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program that is being automatically executed. The examiner assists the patient in verbal memory tests and stays until the end of the test in case the subject complains of fatigue or has other problems. The test stimulus of the memory tes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sented audiovisually. The subject listens to auditory stimulation and directive with a headset, and sees visual stimuli and directive of characters, figures and the like through a monitor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The subject can be informed of the response to the test stimulus verbally and can input the stimulus on the monitor by touching or pressing a button. For example, the verbal memory test may utilize verbal reporting, the visual memory test may cause a stimulus on the monitor to be touched, and the attention test may employ an input method of touching a button on the monitor or a separate button.

먼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첫 화면에서 피검자의 나이, 성별, 학력 등의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피검자가 생년월일을 기입하면 자동으로 연령이 계산되어 산출되며, 이에 따라 중장년층 검사 혹은 노년층 검사로 자동 선택된다. 60세를 기준으로 40세에서 60세 미만은 중장년층, 60세이상 74세 이하는 노년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First,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the information such as the age, sex, and education level of the subject is registered on the first screen. When the subject enters his / her date of birth, the age is automatically calculated and automatically selected as a middle-aged or old-age test. The elderly can be classified as middle-aged people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and those aged between 60 and 74 as the elderly.

피검자 정보를 등록하고 검사종류를 선택한다. 기본적으로 전체검사로 설정되어 있다. 전체검사를 선택하면 검사에 대한 안내문이 나오고, 이후 검사시작 버튼을 누르면 검사가 시작된다. 검사는 [청각-언어기억의 즉시 회상 검사 → 시각-공간기억의 즉시재인 검사 → 주의력 검사 → 청각-언어 작업기억 검사 → 시각-공간 작업기억 검사 → 장기지연 회상 및/또는 재인 검사 → 실행기능 검사] 순으로 진행되며, 위 순서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이는 언어기억검사와 시각기억검사 각각의 검사에서 즉시회상 또는 재인 과제를 수행하고 장기지연 회상 및/또는 재인검사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에 상기 주의력 검사, 청각-언어작업기억 검사 및 시각-공간 작업기억 검사를 하여 피검사자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고, 즉시회상과 장기지연 회상 및/또는 재인 검사 사이에 정해진 시간 간격을 주고, 반복적인 시연을 할 수 없도록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다른 과제를 시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기지연 재인 검사는 청각-언어기억 검사와 시각-공간기억 검사가 포함되며, 또한 청각-언어기억의 장기지연 재인 검사 직전에는 장기지연 회상검사를 수행한다.
Register the subject information and select the type of examination. By default, it is set to Full Scan. If you select the full scan, a message will be displayed for the scan. Press the start scan button to start the scan. The test is [immediate recall of auditory-language memory → immediate recognition of visual-spatial memory → attention test → auditory-language task memory test → visual-spatial task memory test → long-term delayed recall and / or re- ], And the above sequence can not be arbitrarily changed. This can be done by performing the recall or recall task immediately in the tests of the language memory test and the visual memory test, and performing the above-mentioned attention test, auditory-language working memory test, and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To minimize the wait time of the testee and to give another time interval between the instant recall and the long delayed recall and / or re-examination, and to perform other tasks that do not cause interference so that repetitive demonstrations can not be performed. The long-term delayed test includes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and visual-spatial memory test, and long-term delayed recall test is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the long-term delay test of auditory-language memory.

3-1.3-1. 청각-언어기억 검사Auditory-Language Memory Test

청각-언어기억 검사는 일련의 단어들을 청각적으로 제시한 이후 피검자가 최대한 많은 개수의 단어를 기억하게 함으로써 피검자의 언어적 자극에 대한 기억능력을 측정하는 검사이다. 동일한 검사자극을 사용하여 즉시 회상과제를 연속적으로 총 3회 진행하고, 시각기억검사, 주의력검사, 작업기억검사가 종료되어, 상기 즉시 회상과제를 종료한 후 15분 이상 지연된 후 장기지연 회상검사 및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각각 1회 시행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지연시간에 주의력 검사 및 작업기억 검사를 시행하여 피검사자의 검사편의를 향상시킨다.The auditory - language memory test is a test that measures the memory ability of a subject 's verbal stimulus by allowing the subject to memorize as many words as possible after presenting a series of words audibly. Immediately after using the same test stimuli, the recall task is continued three times in total, and the visual memory test, the attention test, and the work memory test are completed. Long-term delayed inspections are performed once each.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ention test and work memory test are performed at the delay time to improve the test convenience of the testee.

청각-언어기억검사의 즉시회상과제에서 제시되는 자극은 2글자 혹은 3글자로 이루어진 단어들이며, 동물, 채소, 운송수단의 범주에 속하는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중장년층 검사의 표적 자극은 총 15개로, 각 범주당 5개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늑대, 미나리, 잠수함을 포함할 수 있다. 노년층 검사의 표적 자극은 중장년층 검사와 동일한 자극에서 각 범주 당 한 단어씩 제외되어 총 12개로, 각 범주당 4개의 단어를 포함한다. 본 검사의 단어자극은 기존의 언어기억검사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떤 자극과도 중복되지 않도록 선정한다. 각 범주 별로 고빈도, 중빈도, 저빈도 단어가 2:2:1 비율이 되도록 포함시켰으며, 자극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시된다. Immediate recall of speech-language memory tests The stimuli presented in the task are words of two or three letters and can be selected from the categories of animals, vegetables and transportation. The target stimuli of the middle-aged test are total 15, and may include five words per category. Such as wolves, buttercups, and submarines. The target stimuli of the elderly test are excluded in the same stimulus as the middle-aged test, one word for each category, totaling 12, including 4 words per category. The word stimulus of this test is selected so that it does not overlap with any stimuli used in conventional language memory tests. The high frequency, middle frequency, and low frequency words were included in each category so that the ratio was 2: 2: 1, and the stimulation was presented in a predetermined order.

청각-언어기억 검사의 장기지연 재인 검사에서 제시되는 비표적 자극은 표적 자극과 동일한 범주에 해당하는 단어들 및 범주와 관련 없는 단어들로 구성하였다. 비표적 자극은 표적 자극의 글자수, 빈도수의 비율과 유사하게 맞추었다. 중장년층 검사에서 제시되는 총 자극개수는 총 56개(8X7)로, 이는 ‘표적 단어’ 15개, ‘표적 자극과 동일범주 비표적 단어’ 20개(예: 코끼리, 쑥, 트럭), ‘무작위 비표적 단어’ 21개(예: 시계, 젓가락, 물감)이다. 노년층 검사에서 제시되는 총 자극개수는 총 49개(7X7)로, 이는 ‘표적 단어’ 12개, ‘표적 자극과 동일범주 비표적 단어’ 18개, ‘무작위 비표적 단어’ 19개이다. 노년층 검사의 비표적 단어는 중장년층 검사와 동일한 비표적 자극 중 ‘표적 자극과 동일범주 비표적 단어’와 ‘무작위 비표적 단어’에서 각각 2개씩 제외된 것이다. 자극은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배치된다. 청각-언어기억검사는 즉시회상 3회, 장기지연 회상 1회, 장기지연 재인검사로 이루어진다. 언어 기억 검사 중 먼저 즉시회상 과제에서 피검자의 화면에는 응시점(fixation point)이 나오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중장년층 검사에서는 15개, 노년층 검사에서는 12개의 단어가 2초 간격의 음성으로 제시된다. 자극이 모두 제시되고 도면 3과 같은 지시문이 나오면, 피검자는 기억나는 모든 단어를 검사자에게 보고한다. 검사자는 피검자가 보고하는 단어를 들으며 검사자 모니터에 제시되는 체크리스트에 정반응, 보속반응, 오반응을 기록한다. 이와 동일한 과정을 총 3회 시행하고, 시각-공간기억검사, 주의력검사, 그리고 작업기억검사가 진행된 후 장기지연 회상 및 장기지연 재인검사를 각 1회씩 시행한다. 장기지연 회상과제에서 피검자는 기억나는 모든 단어를 검사자에게 자유 회상하여 보고하고, 검사자는 검사자 모니터에 제시되는 체크리스트에 정반응, 보속반응, 오반응을 기록한다. 다음으로 장기지연 재인과제에서 피검자는 모니터에 제시되는 여러 단어들 중에서 표적 단어를 고른다(도면4). 상기한 실시방법은 중장년층 검사와 노년층 검사에서 동일하다.The non - target stimulus presented in the long - term delay test of the auditory - memory memory test consisted of words that were in the same category as the target stimulus and words not related to the category. The non-target stimulus was set to be similar to the number of letters and frequency of the target stimulus. The total number of stimuli presented in the middle-aged test was 56 (8X7), which is composed of 15 target words, 20 target words in the same category as the target stimuli (eg elephant, wormwood, truck) Target words' (eg, clock, chopsticks, paint). The total number of stimuli presented in the aged test is 49 (7X7), which is 12 target words, 18 target words in the same category as the target stimulus, and 19 random non - target words. The non-target words of the aged test were excluded from the same non-target stimuli as the middle-aged test and two from the same category non-target word and the random non-target word, respectively. The stimuli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auditory - language memory test consists of 3 repetitions immediately, 1 long - delayed recall, and 1 long - term delay test. In the speech memory test, a fixation point appears on the subject's screen immediately in the recall tas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words are displayed in the middle-aged test and 12 words are displayed in the second-grade test in an interval of 2 seconds . If all the stimuli are presented and the same directive as in Figure 3 is given, the subject will report all the words to the examiner. The examinee listens to the words he / she reports and reports the reactions, reactions, and reactions to the checklist presented on the inspector's monitor. The same procedure is carried out three times in total, and one time each of the long-term delay test and the long-term delay test is performed after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he attention test, and the work memory test. In the long-term delayed recall task, the subject freely recalls all words that are remembered to the tester, and the tester records the regular reaction, the repulsive reaction, and the erroneous response in the checklist presented on the tester monitor. Next, in the task of long-term delay, the subject selects a target word from among several words displayed on the monitor (FIG. 4). The above method is the same for the middle-aged and older aged people.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의 점수는, 즉시회상과제 3회 동안 보고한 정반응 개수의 합, 장기지연 회상과제 시 보고한 정반응의 개수, 장기지연 재인과제 시 정확히 선택한 단어의 개수가 각각 즉시회상과제, 장기지연 회상과제, 장기지연 재인과제의 원점수이며, 이는 아래 환산점수공식을 통해 규준집단에 맞는 환산점수(평균=10, 표준편차=3)로 산출된다.
The scores of the auditory-linguistic memory test were the instantaneous recall task, the number of correctly selected words in the long-delayed task, and the total number of positive responses reported in three recall tasks, Long-delayed recall task, and long-delayed task. This is calculated by the conversion score (average = 10, standard deviation = 3) appropriate for the norm group.

환산점수=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1

Conversion score =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1

3-2.3-2. 시각-공간기억 검사Visual-spatial memory tes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시각-공간기억 검사는 6개(2×3)의 추상적 도형을 화면에 10초 동안 제시하고, 피검사자가 도형의 모양과 위치를 얼마나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동일한 검사자극을 사용하여 총 3회 동안 연속적으로 즉시재인 검사를 진행하고, 주의력검사와 작업기억 검사가 종료된 후(15분 이상 지연된 후)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1회 실시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presents six (2 × 3) abstract figures on the screen for 10 seconds and measures how accurately the examinee can remember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figure. Immediate re-examination is carried out continuously for a total of 3 times using the same test stimuli, and once a long-term delay test is performed after the attention test and work memory test are completed (after 15 minutes dela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시각-공간기억 검사를 위한 검사자극은 외국에서 개발된 시각자극과 차별화하기 위해 한글에서 기본적인 구성을 이루는 자음과 모음의 모양(ㄱ, ㄷ, ㅁ, ㅇ, ㅅ, ㅏ, ㅓ)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도형을 구성하여 제작한다(도면 5). 또한, 중장년용과 노년용 모두 검사방법은 동일하며, 난이도 조정을 위해 검사자극만 다르게 제시한다. 시각-공간기억 검사에서 기억해야 할 정보의 양과 검사의 난이도가 비례함에 따라 중장년용 검사(도면5)에서는 노년용 검사(도면6)에 비해 자극의 획 수를 추가하여 과제의 난이도를 증가시킨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stimuli for visual-spatial memory test are classified into a consonant and a vowel shape (a, c, k, o, g, (A), (b), and (c). In addition, the test method is the same for both middle-aged and elderly, and only the test stimulus is presented differently for difficulty adjustment.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remembered 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is proportional to the difficulty of the test,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task is increased by adding the number of stimuli to the test for the elderly (FIG.

검사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화면에 검사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간단한 4개 도형(2×2)을 통해 연습검사를 실시한다. 다음 6개(2×3)의 추상적 도형을 10초 동안 제시하여 피검사자가 도형을 기억하도록 지시한다. 자극이 사라진 후에는 지시문과 함께 화면의 왼쪽에는 빈 칸 6개(2×3), 오른쪽에는 36개(6×6)의 보기도형을 제시한다. 36개의 보기도형은 자극 도형 6개 각각에 대하여 6개(정답 1개+변형된 오답 5개)의 도형으로, 각 행에 동일한 범주의 도형이 제시되며, 매 시행마다 주어지는 보기도형의 위치는 다르게 제시된다(도면7). 피검사자는 제시된 보기도형 중 정답을 골라 터치하고, 왼쪽의 빈 칸 중 알맞은 위치에 터치하여 도형을 선택하도록 하며, 중복선택이 가능하도록 도형을 선택한 후에도 그 자리에 도형이 남아있도록 한다. 선택한 도형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보기에서 다른 도형을 터치하고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를 터치하여 도형이 교체되도록 한다. 6개의 도형이 왼쪽 빈칸에 다 채워지면, 화면 하단의 ‘완료’버튼이 깜빡이는 등 활성화되고 피검자가 완료버튼을 누르면 다음 과제로 넘어가도록 한다. 즉시재인 2시행과 3시행 역시 검사방법은 동일하며, 제시되는 보기도형의 배열은 각각 다르게 제시하도록 한다. The inspection proces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reening method is introduced on the screen, and a practice test is carried out using a simple four-figure (2 × 2). The following 6 (2 × 3) abstract figures are presented for 10 seconds to instruct the examinee to remember the figure. After the stimulus has disappeared, there are 6 spaces (2 × 3) on the left of the screen and 36 (6 × 6) views on the right. For each of the six stimulus shapes, 36 views (6 correct answers and 5 incorrect answers) are shown, and the same category of figures are presented in each row. (Fig. 7). The examinee selects and touches the correct view among the presented view drawings, touches the appropriate position in the left blank space to select the figure, and leaves the figure in place even after the figure is selected so that the duplicate selection is possible. When you want to change the selected figure, you touch another figure in the view and touch the position you want to change to change the figure. When the six figures are filled in the left margin, the 'Complete' button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s flickering, and the subject is activated. Immediate reintroduction 2 and 3 implementation are also the same,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posed figure should be presented differently.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즉시재인 3시행 종료 후에는 주의력 검사와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여 15분 이상 시간이 소요된 후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실시한다. 장기지연 재인에서는 목표자극이 제시되지 않으며, 왼쪽에 빈 칸 6개(2×3)와 오른쪽에 36개(6×6)의 보기도형을 제시하여 정답을 선택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mpletion of immediate reinspection 3, an attention test and a work memory test are performed and a long-term delay test is performed after a period of 15 minutes or more has elapsed. The target stimulus is not presented in the long term delayed person, and the correct answer is selected by presenting 6 blank squares (2 × 3) on the left and 36 (6 × 6) view figures on the right side.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원점수는 각 도형별로 정확한 모양을 선택했을 경우 1점, 정확한 위치에 배치했을 경우 1점씩 배정하여, 각 도형의 최대점수가 2점으로 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매 시행의 점수범위는 [0 내지 12점]이며, 즉시재인 점수의 합산점수 범위는 [0 내지 36점]으로 설정된다. 장기지연 재인에서도 점수범위는 [0 내지 12점]으로 설정된다. 동일한 도형을 중복선택 할 경우는 보속오류로 처리되며, 원점수에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1 내지 3회의 즉시재인 원점수와 장기지연 재인 원점수는 각 연령 집단별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표준화된 환산점수(평균=10, 표준편차=3)로 변환한다.
The origin score of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is 1 point when the correct shape is selected for each figure, and 1 point when it is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so that the maximum score of each figure is calculated as 2 points. Therefore, the score range of each trial is [0 to 12 points], and the total score range of immediate scores is set to [0 to 36 points]. The score range is set to [0 to 12 points] even in the case of long term delay tolerance. If the same figure is selected in duplicate, it is treated as a speed error and is not included in the origin. Immediately after 1 to 3 times, the number of relaunch points and the number of origin points, which are long-term retarders, are converted into standardized conversion scores (mean = 10, standard deviation = 3)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age group.

환산점수=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2

Conversion score =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억력지수(Memory Quotient: MQ)는 상기 청각-언어기억의 환산점수(즉시회상 3회, 장기지연 회상, 장기지연 재인)와 시각-공간기억의 환산점수(즉시재인 3회, 장기지연 재인)를 합산하여 평균값=100, 표준편차=15인 값을 산출한다. 기억력 지수 산출 공식은 다음과 같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Quotient (MQ)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onverted score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immediately recalled 3 times, long-term delayed recall, Time, and long-term retardation)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 100 and the standard deviation = 15. The memory index calculation formula is as follows.

M=(청각-언어기억 즉시회상 3회 합산의 환산점수 + 청각-언어기억 장기지연 회상의 환산점수 + 청각-언어기억 장기지연 재인의 환산점수 + 시각-공간기억 즉시재인 3회 합산의 환산점수 + 시각-공간기억 장기지연 재인의 환산점수)/5
M = (Hearing-Language Memory Immediate Recall Three-Time Total Recall Score + Auditory-Language Memory Long-term Delay Reconciliation Score + Auditory-Language Memory Long-term Delay Reconciliation Score + Visual- + Visual-spatial memory long-term delayed conversion score) / 5

기억력지수(MQ)=100+15(XMi-10)/3
Memory index (MQ) = 100 + 15 ( X M i-10) / 3

상기 값의 해석은 MQ와 언어적 기억력, 시각적 기억력의 환산점수를 바탕으로 수준별 조합에 따라 자동화되어 제시되도록 한다. The interpretation of the values is automa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level combinations based on MQ, linguistic memory, and the converted scores of visual memory.

3-3.3-3. 주의력 검사Attention check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기억력 평가 결과가 기억력의 감퇴 때문인지 혹은 주의력 결핍과 관련있는 것인지를 함께 조사하되, 상기 즉시 청각-언어기억의 즉시회상과 장기지연 회상 사이 및 상기 시각-공간기억의 즉시재인과 장기지연 재인 사이에, 지속적인 주의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약 5분 동안 화면에 ㄱ에서 ㅎ까지의 한글자음이 하나씩 무선적인 순서(random)로 제시되며, 피검사자는 ㅇ뒤에 ㄷ이 연속적으로 제시될 때마다 버튼을 빠르게 눌러 반응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rther contempl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memory assessment result is due to a decline in memory or to a lack of attention, wherein the immediate and long-term delayed recall of the auditory- Between immediate and long-term delay, a test to measure continuous attention is presented in a random order, one at a time, for each of the five consecutive A-to-H consonants on the screen. Whenever presented, press the button quickly to re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주의력을 검사하기 위해 화면에 ㄱ에서 ㅎ까지의 한글자음이 무선적인 순서(random)로 제시된다. 자극 노출시간은 200ms이며 전체검사는 5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에 따라 1000ms-2000ms-3000ms-2000ms-1000ms의 순서로 자극 간 간격이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전체자극의 개수는 구간 별로 표적자극 6개를 포함하여 30개씩이며, 20%의 표적자극 비율을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비표적자극은 표적자극의 조합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무선적으로 제시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ngul consonants A to H are displayed in a random order on the screen to check attention. The stimulation exposure time is 200ms, and the whole test is divided into 5 intervals,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timuli varies in the order of 1000ms-2000ms-3000ms-2000ms-1000ms depending on the interval. Also, the number of total stimuli is 30 per target area including 6 target stimuli, and the target stimulus ratio is set to be maintained at 20%. Non-target stimuli are presented wirelessly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overlap with the combination of target stimuli.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화면에 검사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목표자극이 2개가 되도록 30초 동안 연습검사를 실시한다. 연습검사 후에는 자신의 수행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결과를 제시하여, 연습 다시하기 또는 본 시행으로 넘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도면8). 검사 시에는 화면에 응시점을 제시하여 피검사자가 시선을 고정하도록 하고, 5초의 준비시간 후에 ㄱ에서 ㅎ까지 한글자음을 무선적인 순서로 5분 동안 제시한다. 피검사자는 제시되는 자극 중에서 ㅇ뒤에 ㄷ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경우 버튼을 빠르게 누르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pection method is introduced on a screen by a method of performing an inspection, and a practice test is performed for 30 seconds so that the target stimulus is two. After the practice test, the results are presented so that you can check your performance, so you can choose to re-practice or go to practice (Figure 8). At the time of the examination, a gaze point is presented on the screen so that the examinee fixes the gaze, and after five seconds of preparation time, the Korean consonants are presented in a wireless order for five minutes from A to H. The test taker should press the button quickly if the c appears consecutively after the stimulus.

주의력 검사의 원점수는 표적자극에 반응하지 않은 횟수인 [누락오류], 비표적자극에 반응한 횟수인 [오경보오류], 표적자극에 반응하는데 소요된 반응시간의 평균인 [정반응시간평균], 표적자극에 반응하는데 소요된 반응시간의 표준편차인 [정반응시간표준편차]의 4가지 변인으로 나누어 산출하도록 한다. 상기 4가지 변인의 원점수는 각 연령집단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T-점수로 환산한다. T-점수의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The score of the attention test was measured by [missed error], which is the number of times that did not respond to the target stimulus, [number of false alarms], which was the number of responses to the non-target stimulu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action time required to respond to the stimulus [standar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 The origin scores of the four variables are converted into T-scores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age group.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T-score is as follows.

T점수 =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3

T score =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3

상기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의 T-점수를 합산하여 주의력지수(Attention Quotient: AQ)를 산출한다. 주의력 지수(AQ)는 [평균=100, 표준편차=15]가 되도록 한다. 주의력 지수(AQ)를 산출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The Attention Quotient (AQ)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T-scores of the missing error, the false alarm error, the normal reaction time average, and the normal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 The attention index (AQ) is [average = 100, standard deviation = 15]. The formula for calculating Attention Index (AQ) is as follows.

A=(누락오류의 T점수+오경보오류의 T점수+정반응시간평균의 T점수+정반응시간표준편차의 T점수)/4
A = (T score of missing error + T score of false alarm error + T score of normal reaction time average + T score of standar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 / 4

주의력지수(AQ)=100+15(50-XAi)/10
Attention index (AQ) = 100 + 15 (50-X A i) / 10

상기 값의 해석은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의 환산점수를 바탕으로 수준별 조합에 따라 자동화되어 제시되도록 한다.
The interpretation of the values is automatically presented according to the level combinations based on the missing errors, false alarm errors, the normalized reaction time average, and the converted score of the standard reaction time standard deviation.

3-4.3-4. 작업기억 검사Work memory test

작업기억 검사 과제는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와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는 한글과 숫자가 섞여서 제시되고, 이를 규칙에 따라 재배열하도록 하는 과제이며,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는 9개(3×3)의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 순서를 기억하여 순행적으로 또는 역행적으로 이를 재현하도록 하는 과제이다. 상기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는 상기 청각-언어기억 과제와 무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상기 청각-언어기억 과제의 즉시회상과 장기지연 회상 사이에 실시되어도 상기 청각-언어기억 과제의 검사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는 상기 시각-공간기억 과제와 무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상기 시각-공간기억 과제의 즉시재인과 장기지연 재인 사이에 실시되어도 상기 시각-공간기억 과제의 검사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Task memory test tasks consist of auditory - language task memory task and visual - space task memory task. Hearing - language task memory task is a task to show the mixture of Hangul and numbers and rearrange them according to the rules. The visual - space task memory task memorizes the sequence of lighting the 9 (3 × 3) It is a task to reproduce it either in a line or in a retrograde manner. The task of auditory-language task memory consists of irrelevant contents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ask, so that even if it is executed between the instant recall and the long-delayed recall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ask, . In addition, the visual-spatial task memory task is composed of contents independent of the visual-spatial memory task, so that even if the visual-spatial memory task is performed between the immediate task recognition and the long-term delay task, As shown in FIG.

3-4-1. 청각-언어 작업기억
3-4-1. Hearing - Language Work Memory

청각-언어 작업기억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자극으로, ‘가-하’까지의 한글과 1-9까지의 숫자를 조합한 3자리에서 8자리의 언어적 자극을 오디오를 통해 제시한다. “차-2-가”와 같이 한글과 숫자는 순서를 섞어서 제시하며, 발음이 동일한 “사”와 “4”는 자극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상기 자극은 동일한 성우가 녹음한 것을 사용하여 통일성을 유지하며, 자극 간 간격은 1000ms를 유지하도록 한다.Auditory - Language This is a test stimulus for examining the working memory. It presents verbal stimuli from 3 digits to 8 digits, which is a combination of Hangul from 'Ha-Ha' to the numbers 1-9 through audio. As in "Cha-2-Ga", Hangul and numbers are presented in a mixed order, and "Phrase" and "4" with the same pronunciation are not included in the stimulus. The stimuli are kept unified using the same voice recordings, and the interval between stimuli is maintained at 1000 ms.

상기 검사 방법으로 우선, 화면에 지시문이 제시된 후 2회의 연습시행을 실시한다. 그 후 청각-언어 작업기억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 화면에는 응시점만이 보여지도록 하고, 자극제시가 끝난 후에는 ‘가-하’까지의 한글과 ‘1-9’까지의 숫자, 제시된 자극만큼의 빈 칸을 제시한다(도면9). 피검자는 오디오를 통해 제시된 자극을 기억하고, 머릿속에서 순서를 재배열하도록 한다. 먼저 숫자를 작은 숫자에서 큰 숫자로 배열하고, 이후에는 한글 글자를 가나다 순으로 배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차-2-가”가 자극으로 제시될 경우 피검사자는 “2-가-차”의 순서로 자극을 배열하여 응답해야 한다. 오디오를 통해 자극제시가 종료된 후에는 화면에 ‘가-하’까지의 글자를 가장 윗줄에 나열하고, 그 아래 1-9까지의 숫자를 나열하여 보기를 제시하도록 한다. 가장 아래에는 제시된 자극 수만큼의 빈칸을 - 형태로 제시하여 피검사자가 터치한 자극이 자동으로 빈 칸에 입력되도록 한다.First, the instruction is 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n two exercises are performed. After the stimulus presentation is completed, the number of Korean letters to 'KA-HA', the number up to '1-9', the number of stimuli presented A blank space is presented (FIG. 9). The subject memorizes stimuli presented through audio, and rearranges the order in the head. First, the numbers are arranged from small numbers to large numbers, and then the Hangul characters are arranged in alphabetical order. For example, if "car-2-a" is presented as a stimulus, the respondent should arrange the stimulus in the order of "2-a-car". After the presentation of the stimulus is completed through audio, the letters on the uppermost lin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numbers from 1 to 9 below the letters are listed on the screen. At the bottom of the list, a blank is displayed in the form of the number of stimuli presented, so that stimuli touched by the examinee are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empty space.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과제는 총 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3회의 시행으로 구성된다. 첫 문항에서는 3개의 조합자극이 제시되며, 이후에는 다음 문항으로 진행되면서 자극이 하나씩 추가된다. 피검사자의 반응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다음 시행이 실시되도록 하며, 모든 시행을 완료하거나 한 문항내의 3시행을 모두 틀릴 경우 자동으로 다음 과제로 넘어가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consists of a total of six items, each of which consists of three trials. In the first question, three combination stimuli are presented, and then one stimulus is added to the next question. When the testee's response is completed, the next test is automatically performed. If all the tests are completed, or if all three tests in one item are incorrect, the test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next test.

3-4-2. 시각-공간 작업기억
3-4-2. Visual-space working memory

시각-공간 작업기억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자극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화면에 9개(3×3)의 전구그림을 제시하고, 전구에 순서대로 불이 들어오도록 한다. 불은 500ms동안 들어오며, 자극 간 간격은 1000ms로 유지한다. 문제화면이 제시된 후에는 불이 모두 꺼진 응답화면을 제시하여 피검사자가 순서대로 화면의 전구를 터치하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ine (3x3) bulb pictures are presented on the screen and the bulbs are lit in sequence. The fire comes in for 500 ms and the interval between stimuli is kept at 1000 ms. After the problem screen is presented, a response screen is displayed in which all the lights are turned off so that the examinee can touch the screen bulb in order.

상기 시각-공간 작업기억 검사방법으로, 지시문이 제시된 후에 별도의 연습검사가 진행되지 않으며, 예시화면을 통해 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검사는 전구의 불이 켜진 순서를 그대로 기억하는 Forward과제와 불이 켜진 순서를 거꾸로 기억해야 하는 Backward과제로 구성되며, Forward과제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Backward과제로 넘어가도록 한다. 먼저 진행되는 Forward 과제에서는 화면에 9개(3×3)의 전구 그림이 제시되고 각 시행 별로 2개에서 9개까지의 전구에 순차적으로 불이 켜지도록 한다(도면11). 문제화면이 제시된 후에는 모든 전구에 불이 꺼진 응답화면이 나타나며, 피검사자는 불이 켜진 순서를 기억하여 전구를 순차적으로 터치한다(도면10). 피검사자가 터치한 전구에는 불이 다시 들어와 자신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visual-space working memory test method, a separate exercise test is not performed after the directive is presented, and the test method will be described through an example scree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consists of a Forward task, which memorizes the order in which the light bulbs are lit, and a Backward task, which must remember the order in which the lights are turned on in reverse order. . In the first Forward task, nine (3 × 3) light bulbs are shown on the screen, and each light bulb is sequentially lit from two to nine light bulbs (Figure 11). After the problem screen is presented, a response screen is displayed in which all the bulbs are off, and the examinee memorizes the order in which the lights are turned on and sequentially touches the bulbs (FIG. 10). The bulb that the examinee touched touches the fire again so that they can check their reac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과제는 총 8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2회의 시행으로 구성된다. 첫 문항에서는 2개의 전구에 순차적으로 불이 들어오게 되며, 이후에는 다음 문항으로 진행되면서 불이 들어오는 전구의 개수가 하나씩 추가되도록 한다. 피검사자의 반응이 완료되거나 10초 이상 반응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다음 시행으로 넘어가도록 하며, 모든 문항을 완료하거나 한 문항 내의 2시행을 모두 틀릴 경우 자동으로 Backward 과제로 넘어가도록 한다. Backward 과제에서는 전구에 불이 들어오는 순서를 거꾸로 기억하여, 마지막에 불이 켜진 전구부터 시작하여 제시된 자극의 반대순서로 전구를 터치하도록 한다. 기타 검사방법은 동일하며, 모든 문항을 완료하거나 한 문항 내의 2시행을 모두 틀릴 경우 자동으로 다음 과제로 넘어가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k is composed of a total of 8 items, each item consisting of two exercises. In the first item, two light bulbs are lit sequentially, and then the next item is added, adding the number of lit light bulbs one by one. If the testee's response is completed or if there is no response for more than 10 seconds, the test will automatically proceed to the next test. If all the items are completed, or if all 2 items in one item are incorrect, the test will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Backward test. The Backward task reverses the order in which the light bulbs are lit, and starts with the light bulb at the end and touches the light bulb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esented stimulus. Other methods of testing are the same, and if you complete all the questions or if all 2 items in one item are wrong, you will be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next one.

작업기억 점수는 모든 시행에 대해 정반응을 1점으로 배정하며,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0-16점],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0-32점]의 점수범위를 지니게 되며, 이를 합산하여 [0-48점]의 원점수 범위를 지니도록 한다. 원점수 총점은 각 연령집단별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균=10, 표준편차=3]을 지니는 표준화된 환산점수로 변환하게 된다.
The working memory score is assigned to one point for all the tests, the score range of 0-16 points for auditory-language task memory task, and 0-32 points for visual-spatial task memory task, Add them together to have a range of [0-48 points]. The total points of origin are converted into standardized conversion scores with [average = 10, standard deviation = 3]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age group.

작업기억지수(Working Memory Quotient: WMQ)는 청각-언어 작업기억 과제와 시각-공간 작업기억 과제의 환산점수를 합산하여 [평균=100, 표준편차=15]가 되도록 작업기억지수(WMQ)를 산출한다. 작업기억지수(WMQ)에 대한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The Working Memory Quotient (WMQ)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conversion scores of the auditory-language working memory task and the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task to produce a working memory index (WMQ) such that the average is 100 and the standard deviation is 15 do. The calculation formula for the working memory index (WMQ) is as follows.

WM=(청각-언어 작업기억 환산점수 + 시각-공간 작업기억 환산점수)/2
WM = (auditory-language task memory conversion score + visual-spatial task memory conversion score) / 2

작업기억지수 (WMQ)=100+15(XWMi-10)/3
Working memory (WMQ) = 100 + 15 (X WM i-10) / 3

상기 값의 해석은 청각-언어 작업기억과 시각-공간 작업기억의 환산점수를 바탕으로 수준별 조합에 따라 자동화되어 제시되도록 한다.
The interpretation of the values is automa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level combinations based on the conversion scores of the auditory-language working memory and the visual-spatial working memory.

3-5.3-5. 실행기능 검사Run function check

실행기능 검사는 Trail Making Test-A(TMT-A)와 Trail Making Test-B(TMT-B)로 구성되며, 자극을 순차적으로 모두 연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현재 지필검사를 통해 실시되는 TMT 검사와 동일한 실시방법을 지니며, 자극 간 연결은 터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는 청각-언어기억 검사 및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즉시회상 또는 즉시재인, 장기지연 회상 및/또는 재인 검사 이후에 실시한다.
The performance test consists of Trail Making Test-A (TMT-A) and Trail Making Test-B (TMT-B) and measures the time required to connect all the stimuli sequentially. The current method has the same method as the TMT test, which is performed through current paper insp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ecutive function test is performed after immediate recall or immediate recall, long-term delay recall, and / or re-examination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and visual-spatial memory test.

상기 실행검사를 위한 검사자극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필용 TMT 과제와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TMT-A 검사에서는 화면에 특정 배열로 1-23까지 숫자들을 제시하며, TMT-B 과제에서는 1-12까지의 숫자와 함께 애국가의 첫소절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의 문자가 제시된다.
In order to avoid redundancy with the TMT task currently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spection stimulus for the performance test, the TMT-A test presents numbers 1-23 in a specific arrangement on the screen, and TMT-B In the assignment, the characters of "East Sea Water and Mt. Paekdusa", the first measure of the national anthem,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numbers from 1-12.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검사방법으로 화면에 지시문과 검사 실시방법에 대한 예시화면이 제시되고, 피검사자가 연습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연습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TMT-A 과제가 실시된다. 화면에 1-23까지의 숫자들이 특정 배열을 따라 제시되며, 피검사자는 1부터 시작하여 23까지 숫자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자극을 터치하도록 한다(도면12). 터치가 인식된 경우에는 피검사자가 터치인식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짧은 확인음이 제시되며, 자동적으로 이전 자극과 선택한 자극을 연결하는 선이 나타난다. 잘못된 자극을 선택한 경우에는 경고음과 함께 X 표시가 된 선이 나타나며, 이전 자극부터 다시 선택하도록 직전 자극이 활성화 되도록 한다. 23까지의 숫자를 모두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TMT-B과제에 대한 지시문과 연습시행이 자동적으로 제시된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screen for a directive and an inspection method is presented on the screen by the inspection method, and a testee conducts a practice test. After the exercise test is completed, the TMT-A task is carried out. The numbers 1-23 on the screen are presented along a specific arrangement, and the examinee sequentially touches the stimulus in numerical order starting from 1 to 23 (FIG. 12). When a touch is recognized, a short confirmation sound is presented so that the examinee can confirm the touch recognition, and a line connecting the previous stimulus and the selected stimulus automatically appears. If the wrong stimulus is selected, an X-marked line will be displayed with a beep, and the previous stimulus will be activated to select again from the previous stimulus. If you touch all the numbers up to 23 sequentially, the instruction and exercise practice for the TMT-B task will automatically be presented.

TMT-B 과제에서는 화면에 1-12까지의 숫자와 애국가의 첫 소절인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의 문자가 특정 배열에 따라 함께 제시된다(도면13). 피검사자는 1부터 시작하여 숫자와 글자를 번갈아가며 터치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1-동-2-해”와 같은 순서로 제시된 숫자와 글자를 번갈아가며 각 범주의 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터치하도록 한다. 이 외의 검사방법은 TMT-A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In the TMT-B task, the numbers 1-12 and the first measure of the national anthem, "East Sea Water and Mt. Paektu," are presen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specific arrangement (Figure 13). Test takers should touch the numbers and letters alternately starting at 1. For example, you should touch the numbers and letters presented in the same order as "1-D-2-D" and sequentially touch the order of each category. The other inspection methods are kept the same as TMT-A.

상기 실행기능 과제의 원점수는 TMT-A와 TMT-B 각각의 소요시간을 포함한다. 원점수는 각 연령집단별 평균,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평균=10, 표준편차=3]을 지니는 표준화된 환산점수로 변환하게 되며, 환산점수 산출공식은 다음과 같다. 환산점수=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4

The origin score of the execution function task includes the time required for each of TMT-A and TMT-B. The original score i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conversion score with [average = 10, standard deviation = 3]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age group. The conversion score calculation formula is as follows. Conversion score =
Figure 112014013466953-pat00004

Claims (36)

소음이 차단된 검사실에 설치된 단말과 상기 단말이 유무선으로 연결된 기억력 평가 서버를 이용한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에 있어서,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 과정을 검사하는 검사자가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보내온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요청을 평가서버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단말로부터 기억력 평가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기억력 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질문항목정보에 대해 상기 피검자가 하는 터치스크린 터치, 버튼 누름 또는 구두 보고를 답변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정보인 답변선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순차적으로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 세부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질문항목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과제별 세부답변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하는 단계가 끝나면 상기 검사자의 상기 기억력 평가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종합하여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는 주의력 검사 과제,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작업기억 검사 과제, 및 실행기능 검사 과제를 포함하고,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로 성별, 나이별 표준 인지능력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나이별 표준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 및 60세 이상 74세 이하 노년층으로 구분하며,
중장년층의 나이는 5년 단위로 나누고, 노년층의 나이는 3년 단위로 나누고,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주의력 검사, 작업기업 검사 및 실행기능 검사를 고려하여 청각-언어기억 검사와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기억력 점수를 반영한 기억력 지수를 결과로 제공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a memory capacity of a middle-ag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using a terminal installed in a test room where noise is blocked and a memory evalu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by wire /
The evaluation server receiving a memory evaluation request of the subject sent by an inspector examining a memory evaluation process of the subject using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memory power evalua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outputs a plurality of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xamining th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in response to the memory power evaluation request,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To be audible;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receives, as answer information, a touch screen touch, a button press, or a verbal report of the subject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item information, and when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answer information agreeing with the ques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emory unit to sequentially output detailed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ach memory task to be out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or the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Checking the cognitive ability of each task;
Receiving the memory evaluation termination request of the examiner after the inspecting step is completed;
Calcul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y summing up the cognitive abilities per unit task; And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includes a step of evalu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ased on a predetermined normality database,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task, a hearing-language memory test task, a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a work memory test task, and an execution function test task,
The norm database store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standard cognitive ability by sex and age by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The above-mentioned age-specific standards are classified into middle-aged persons between 40 and 60 years old and older person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The age of the elderly is divided into five years, the age of the elderly is divided into three years,
The evaluating step is a step of providing a memory index that reflects the memory score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and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ttention test,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검사 도중 검사가 중단되는 경우 그때까지 입력된 답변정보 및 답변선택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controls to store the answer information and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hat have been input so far when the inspection is interrupted during the inspection,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에게 복수개의 청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회상,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회상 및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복수개의 시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재인 및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에 피검자에게 주의력 검사 과제 및 작업기억 검사 과제를 실시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ditory-linguistic memory test task includes recall immediately after presenting a plurality of auditory test stimuli to the subject, long-term delayed recall and re-examination to check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visual inspection stimuli presented to a terminal of a subject, and immediately after the examination, and a long-term delay test to check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And performing an attention test task and a work memory test task to the subject at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는 특별한 언어적/시각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 과제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task memory test task is a task that does not have a particular linguistic / visual meaning,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청각-언어기억 검사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방법은,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3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는 2글자 또는 3글자로 이루어진 표적 단어를 상기 피검자에게 청각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장기지연 회상 단계;
상기 장기지연 회상 단계에서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표적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표적 단어를 비표적 단어와 함께 제시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및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표적단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ing task comprises a hearing-language memory testing method,
Presenting a target word consisting of two letters or three letters belonging to one of the thre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to the subject by auditory stimulation;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the subject to pronounce a word stored in the subject;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and the target word;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long-term delay recall step of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pronounce a word memorized to the subject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after the third execution step;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a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in the long term delay recalling step and the target word;
A step of presenting the target word together with a non-target word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can select a target word; And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word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 term delay material.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5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5개씩의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2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4개씩의 단어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case of a middle-aged person aged between 40 and 60 years, the above-mentioned stimuli are total 15 words and include five words each in the category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are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the stimulus is a total of 12 words, each of which includes four words in the category of animal, vegetable,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시각-공간기억 검사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방법은,
피검자의 단말에 시각 자극으로 미리 정한 자극제시 시간 동안 친숙한 한글 자모의 변형으로 디자인한 복수개의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한 자극제시 시간 경과 후 복수개의 검사 도형보다 더 많은 수의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보기 도형으로부터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선택한 보기 도형이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의 단말에 보기도형만 제시하여 검사도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검사도형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visual-spatial memory test method, the visual-
Presenting a plurality of examined graphic patterns designed as variations of a familiar Korean character during a stimulant time predetermined by a visual stimulus on a terminal of a subject;
Presenting a larger number of view figures than a plurality of test figures after a lapse of time in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select the same figure as the figure to be examined from the view figure;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view figure selected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checked figure;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step of selecting a figure to be examined by presenting a view figure only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the step of performing three times;
And storing information of the graphic form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도형은,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인 경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인 경우에 비해 획수가 더 많은 도형이고,
상기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상기 보기 도형의 수는 상기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도형 수보다 많고,
상기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은 10초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person who is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the test figure is a figure with a larger number of strokes than the case where the examinee i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Wherein the number of the view figure presented at the step of presenting the view figure is greater than the figure number presented at the step of presenting the figure to be examined,
Wherein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s 10 seconds,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검사 과제는 주의력검사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주의력검사 방법은,
피검자의 단말에 주의력 문자를 무선적(random)으로 균일하지 않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된 주의력 문자 중 두 개의 순서가 정해진 주의력 조건에 부합하는 표적 자극의 경우에 상기 피검자의 반응을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반응으로 분류되는 경우 정반응 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tention tes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method,
Presenting the attention letters to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in a random manner in success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are not uniformly stimulated; And
The two kinds of attention letters are classified into missing error, false alarm error, and positive reaction in the case of target stimuli meeting the predetermined attention condition, and when the positive reaction is classified as the positive reaction, Determining and storing the deviation;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 문자는 한글 자음이고,
상기 표적 자극의 노출빈도 비율은 20%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attention letter is a Korean consonant,
Wherein the ratio of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target stimulus is 20%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6 항, 제 8 항 또는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은 15분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11.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8 or 10,
Wherein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is 15 minutes,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비언어적 자극 과제는, 비언어적 자극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비언어적 자극 방법은,
위치로 구분되는 자극들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순서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위치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위치 자극이 상기 제시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위치 자극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non-verbal stimulus task presented during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non-verbal stimulus method, wherein the non-verbal stimulus method comprises:
Sequentially presenting stimuli classified into position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position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ed rule.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언어적 자극 과제는 언어적 자극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언어적 자극 방법은,
복수개의 언어자극을 청각으로 상기 피검자에게 작업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상기 작업 자극이 상기 규칙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erbal stimulus task presented during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verbal stimulus method, wherein the verbal stimulus method comprises:
Presenting a plurality of language stimuli audibly to the subject as a work stimulus;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working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working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rule.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 과제는 실행기능 검사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기능 검사 방법은,
순서를 가지는 복수개의 실행 검사 자극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동시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실행 검사 자극이 상기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ecution function checking task includes an execution function checking method,
Simultaneously presenting a plurality of execution test stimuli having a sequence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d
And displaying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execution examination stimulus sequentially input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above-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 자극은, 제 1단계와 제 2단계로 나누어 제시되며,
상기 제 1단계 검사 자극은 1부터 23까지의 숫자이고,
상기 제 2단계 검사 자극은 “1 내지 12”까지의 숫자와“동, 해, 물, 과, 백, 두, 산, 이, 마, 르, 고”의 문자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execution function check stimulus is divided into a first step and a second step,
Wherein the first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23,
The second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12 and a letter of "Dong, sun, water, veil, bag, two, mountain,
Methods for assessing memory of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소음이 차단된 검사실에 설치된 단말과 상기 단말이 유무선으로 연결된 기억력 평가 서버를 이용한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 과정을 검사하는 검사자가 상기 단말을 이용하여 보내온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 평가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기억력 평가 요청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정보를 조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질문항목정보에 대해 상기 피검자가 하는 터치스크린 터치, 버튼 누름 또는 구두 보고를 답변정보로 수신하고, 상기 질문에 동의하는 답변정보인 답변선택정보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되면, 순차적으로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 세부질문항목정보가 상기 단말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되거나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에 들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세부질문항목정보에 대응하는 단위 과제별 세부답변선택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검자의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검사하는 단계가 끝나면 상기 검사자의 상기 기억력 평가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종료부;
상기 단위 과제별 인지능력을 종합하여 상기 피검자의 기억력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미리 마련된 규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평가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음성송수신용 해드셋을 포함하며,
상기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는 주의력 검사 과제,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작업기억 검사 과제, 및 실행기능 검사 과제를 포함하고,
상기 규준 데이터베이스는 기억력 평가 단위 과제별로 성별, 나이별 표준 인지능력 측정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나이별 표준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 및 60세 이상 74세 이하 노년층으로 구분하며,
중장년층의 나이는 5년 단위로 나누고, 노년층의 나이는 3년 단위로 나누고,
상기 평가결과는 상기 주의력 검사, 작업기업 검사 및 실행기능 검사를 고려하여 청각-언어기억 검사와 시각-공간기억 검사의 기억력 점수를 반영한 기억력 지수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A middle-aged and elderly memory evaluation system using a terminal installed in a test room where noise is blocked and a memory evalu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via wired /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A receiver for receiving a memory evaluation request of the subject sent by an examiner examining a memory evaluation process of the subject using the termi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xamining information of the examinee according to the memory evaluation request to be out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or audible to the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en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answer information agreeing with the question, is in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sequentially receives a memory evaluation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etailed question item information for each task to be out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or to be heard in the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 examining unit for examining the ability;
An ending unit for receiving the memory evaluation end request of the examiner when the inspecting step is finishe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memory capacity of the subject by summing up the cognitive abilities per unit task; And
And a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evaluation result based on a previously prepared norm database,
Th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and a headset for voice transmission / reception,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task, a hearing-language memory test task, a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a work memory test task, and an execution function test task,
The norm database store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the standard cognitive ability by sex and age by the memory evaluation unit task,
The above-mentioned age-specific standards are classified into middle-aged persons between 40 and 60 years old and older person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The age of the elderly is divided into five years, the age of the elderly is divided into three years,
The above-mentioned evaluation result is a memory index which reflects the memory score of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and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ttention test,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력 평가 서버는, 검사 도중 검사가 중단되는 경우 그때까지 입력된 답변정보 및 답변선택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억력 평가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memory evaluation server controls to store the answer information and the answer selection information that have been input so far when the inspection is interrupted during the inspection,
Memory assess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에게 복수개의 청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회상,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회상, 및 재인 검사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피검자의 단말에 복수개의 시각 검사 자극을 제시한 뒤 검사하는 즉시재인 및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검사하는 장기지연 재인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에 피검자에게 주의력 검사 과제 및 작업기억 검사 과제를 실시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includes recall immediately after presenting a plurality of auditory test stimuli to the subject, long-term delayed recall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and re-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includes a plurality of visual inspection stimuli presented to a terminal of a subject, and a long-term delay material that is inspected immediately after the inspection an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has elapsed.
And performing an attention test task and a work memory test task to the subject at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는 특별한 언어적/시각적 의미를 지니지 않는 과제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5. The method of claim 24,
The task memory test task is a task that does not have a particular linguistic / visual meaning,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는 청각-언어기억 검사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방법은,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3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하는 2글자 또는 3글자로 이루어진 표적 단어를 상기 피검자에게 청각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에게 기억나는 단어를 발음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장기지연 회상 단계;
상기 장기지연 회상 단계에서 피검자가 기억하여 발음하는 단어가 상기 표적 단어와의 관계에 대해 정반응, 보속반응, 또는 오반응 중 하나로 확인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표적단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표적 단어를 비표적 단어와 함께 제시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및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표적단어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ing task comprises a hearing-language memory testing method,
Presenting a target word consisting of two letters or three letters belonging to one of the three categories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to the subject by auditory stimulation;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the subject to pronounce a word stored in the subject;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and the target word;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long-term delay recall step of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pronounce a word memorized to the subject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elapses after the third execution step;
Storing an evaluation confirmed as one of a normal reaction, a sagittal reaction, and an erroneous reaction with respect to a relationship between a word to be memorized and pronounced by the subject in the long term delay recalling step and the target word;
A step of presenting the target word together with a non-target word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so that the subject can select a target word; And
And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word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 term delay material.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5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5개씩의 단어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의 경우, 상기 자극은 총 12개로 상기 동물, 채소, 및 운송수단의 범주에서 각각 4개씩의 단어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7. The method of claim 26,
In the case of a middle-aged person aged between 40 and 60 years, the above-mentioned stimuli are total 15 words and include five words each in the category of animal, vegetable, and transportation means,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are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the stimulus is a total of 12 words, each of which includes four words in the category of animal, vegetable,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는 시각-공간기억 검사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방법은,
피검자의 단말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바탕으로 하여 변형한 복수개의 검사 도형을, 시각 자극으로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 동안 상기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복수개의 검사 도형보다 더 많은 수의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보기 도형으로부터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 도형을 선택하라는 지시문을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가 선택한 보기 도형이 상기 검사 도형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3회 시행하는 단계;
상기 3회 시행하는 단계 후 미리 정한 지연시간 경과 후 피검자의 단말에 보기도형만 제시하여 검사도형을 선택하도록 하는 장기지연 재인 단계;
상기 장기지연 재인 단계에서 피검자가 선택한 검사도형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5.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visual-spatial memory test method, the visual-
Presenting a plurality of examined figure deformed on the basis of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to the examinee's terminal during a stimulus presentation time predetermined by visual stimulation;
Presenting a larger number of viewing graphics than a plurality of examined graphics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Presenting an instruction to select the same figure as the figure to be examined from the view figure;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the view figure selected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checked figure;
Repeating the above steps three times;
A step of selecting a figure to be examined by presenting a view figure only to a terminal of the subject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delay time after the step of performing three times;
And storing information of the graphic form selected by the subject in the step of the long-term delay material.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도형은, 상기 피검자가 40세 이상 60세 미만인 중장년층인 경우, 피검자가 60세 이상 74세 이하인 노년층인 경우에 비해 획수가 더 많은 도형이고,
상기 보기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상기 보기 도형의 수는 상기 검사 도형을 제시하는 단계에서 제시되는 도형 수보다 많고,
상기 미리 정한 자극 제시시간은 10초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9. The method of claim 28,
In the case of the middle-aged person who is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the test figure is a figure with a larger number of strokes than the case where the examinee is between 60 and 74 years of age,
Wherein the number of the view figure presented at the step of presenting the view figure is greater than the figure number presented at the step of presenting the figure to be examined,
Wherein the predetermined stimulus presentation time is 10 seconds,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검사 과제는 주의력검사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주의력검사 방법은,
피검자의 단말에 주의력 문자를 무선적(random)으로 균일하지 않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시된 주의력 문자 중 두 개의 순서가 정해진 주의력 조건에 부합하는 표적 자극의 경우에 상기 피검자의 반응을 누락오류, 오경보오류, 및 정반응으로 분류하고, 상기 정반응으로 분류되는 경우 정반응 시간평균, 정반응시간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ttention test task includes an attention test method,
Presenting the attention letters to the terminal of the examinee in a random manner in success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at are not uniformly stimulated; And
The two kinds of attention letters are classified into missing error, false alarm error, and positive reaction in the case of target stimuli meeting the predetermined attention condition, and when the positive reaction is classified as the positive reaction, Determining and storing the deviation;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의력 문자는 한글 자음이고,
상기 표적 자극의 노출빈도 비율은 20%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31. The method of claim 30,
The attention letter is a Korean consonant,
Wherein the ratio of the exposure frequency of the target stimulus is 20%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4 항, 제 26 항 또는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지연시간은 15분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9. The method of claim 24, 26 or 28,
Wherein the predetermined delay time is 15 minutes,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청각-언어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비언어적 자극 과제는 비언어적 자극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비언어적 자극 방법은,
위치로 구분되는 자극들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순서에 따라 제시하는 단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상기 위치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위치 자극이 상기 제시된 규칙에 따라 배열된 위치 자극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non-verbal stimulus task presented during the auditory-language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non-verbal stimulus method, wherein the non-verbal stimulus method comprises:
Sequentially presenting stimuli classified into position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position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stimulu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ed rule.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억 검사 과제 중 상기 시각-공간기억 검사 과제 도중에 제시하는 언어적 자극 과제는 언어적 자극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언어적 자극 방법은,
복수개의 언어자극을 청각으로 상기 피검자에게 작업 자극으로 제시하는 단계;
상기 작업 자극을 배열할 규칙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배열한 상기 작업 자극이 상기 규칙과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verbal stimulus task presented during the visual-spatial memory test task comprises a verbal stimulus method, wherein the verbal stimulus method comprises:
Presenting a plurality of language stimuli audibly to the subject as a work stimulus;
Presenting a rule for arranging the working stimulus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nd
And storing an evaluation of whether the working stimulus arranged by the subject is the same as the rule.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 과제는 실행기능 검사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기능 검사 방법은,
순서를 가지는 복수개의 실행 검사 자극을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동시에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피검자가 순차적으로 입력한 실행 검사 자극이 상기 순서와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상기 피검자의 단말에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execution function checking task includes an execution function checking method,
Simultaneously presenting a plurality of execution test stimuli having a sequence to the terminal of the subjec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d
And displaying and storing an evaluation as to whether or not an execution examination stimulus sequentially input by the examinee is the same as the above-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기능 검사 자극은, 제 1단계와 제 2단계로 나누어 제시되며,
상기 제 1단계 검사 자극은 1부터 23까지의 숫자이고,
상기 제 2단계 검사 자극은 “1 내지 12”까지의 숫자와“동, 해, 물, 과, 백, 두, 산, 이, 마, 르, 고”의 문자인,
중장년층 및 노년층 기억력 평가 시스템.













36. The method of claim 35,
The execution function check stimulus is divided into a first step and a second step,
Wherein the first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23,
The second stage test stimulus is a number from 1 to 12 and a letter of "Dong, sun, water, veil, bag, two, mountain,
Memory assessment system for middle - aged and elderly people.













KR1020140015708A 2013-05-09 2014-02-11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KR1015729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3591 WO2014181982A1 (en) 2013-05-09 2014-04-24 Memory power test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773 2013-05-09
KR20130052773 2013-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12A KR20140133412A (en) 2014-11-19
KR101572975B1 true KR101572975B1 (en) 2015-11-30

Family

ID=5245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708A KR101572975B1 (en) 2013-05-09 2014-02-11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7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098A1 (en) * 2017-03-13 2018-09-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ognitive and memory test device and method
KR102064683B1 (en) 2018-09-21 2020-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language develompment state of chil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64681B1 (en) 2018-09-21 2020-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creening method for measuring working memoery using non-word repetition task,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82057B1 (en) 2018-09-21 2020-02-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easuring nonverbal working memoery using flash pattern of matrix,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10042459A (en) * 2019-10-10 2021-04-20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 modified staircase method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under allowance of repeated logi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768B1 (en) * 2015-12-24 2017-03-15 주식회사 뉴페이지 System and method for implicit memory test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printout for executing the same
KR101697929B1 (en) * 2016-01-15 2017-01-19 주식회사 뉴페이지 Method of learning method offering refer cerebral cognitive style based on test result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nd printout for executing the same
KR102013142B1 (en) * 2018-07-31 2019-08-22 도로교통공단 A method for evaluating driving ability based on cognitive test using driving ability evaluation system
KR20240006364A (en) * 2022-07-06 2024-01-15 서울대학교병원 Test System for Cognitive Ability
JP7372716B1 (en) * 2023-03-27 2023-11-01 株式会社パルプランニング Driving aptitude test program, driving aptitude tes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340A (en) 2009-06-23 2011-01-13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source manag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08340A (en) 2009-06-23 2011-01-13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source managing method, and progra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098A1 (en) * 2017-03-13 2018-09-2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ognitive and memory test device and method
KR102064683B1 (en) 2018-09-21 2020-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language develompment state of chil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64681B1 (en) 2018-09-21 2020-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Screening method for measuring working memoery using non-word repetition task,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082057B1 (en) 2018-09-21 2020-02-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measuring nonverbal working memoery using flash pattern of matrix,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10042459A (en) * 2019-10-10 2021-04-20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 modified staircase method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under allowance of repeated logins
KR102440937B1 (en) * 2019-10-10 2022-09-06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 modified staircase method for psychological evaluation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under allowance of repeated log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412A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7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mory Tests
US7347818B2 (en) Standardized medical cognitive assessment tool
Daniels et al. The impact of performance feedback on counseling self‐efficacy and counselor anxiety
JP4662505B2 (en) Dementia test support system and dementia test support device
US6350128B1 (en) Rapid automatized nam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70117070A1 (en) Vocational assessment testing device and method
Jessee et al. Pursuing improvement in clinical reasoning: Development of the clinical coaching interactions inventory
Hogue et al. The impact of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adolescent greater life stress, coping appraisals, and experience of shame.
Kitsos et al. Assessments in Australian stroke rehabilitation uni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post-stroke validity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N110876611A (en) Remote evaluation method for neurocognitive disorder of old people
Aronson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counselor and client characteristics in client-centered therapy
Cocchini et al. Assessing anosognosia: a critical review
WO2013042418A1 (en) Stress sensitivity evaluation form and program
Flowers et al. Make changes early! High stress levels predict lower academic performance in first-year physical therapy students: A pilot study
Knotek et al. Response consistency on a semantic memory task in persons with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Lee Executive functions underlie word reading and reading fluency in Chines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reading disabilities, and comorbi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reading disabilities
RU2502475C1 (en) Method of estimating cognitive functions in children
KR101914736B1 (en) Online evaluation method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brain disorders
Rippey et al. A study of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s criteria for admission into medical school
Greenberg Tools for well-being: an effective approach to enhance mindfulness and decrease trauma for public social service employees?
RU2793542C2 (en) Method for integrat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method of the attention concentration assessment
RU2649137C2 (en)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human attention characteristics
WO2014181982A1 (en) Memory power testing system and method
Park et al. Development of computerized screening test items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Sharpley et al. Effects of level of academic training on client-perceived rapport and use of verbal response modes in counselling dy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