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33B1 -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 Google Patents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33B1
KR101572633B1 KR1020140034806A KR20140034806A KR101572633B1 KR 101572633 B1 KR101572633 B1 KR 101572633B1 KR 1020140034806 A KR1020140034806 A KR 1020140034806A KR 20140034806 A KR20140034806 A KR 20140034806A KR 101572633 B1 KR101572633 B1 KR 101572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foot
lid member
lower li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8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1190A (en
Inventor
김홍태
Original Assignee
김홍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태 filed Critical 김홍태
Priority to KR102014003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33B1/en
Publication of KR20150111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의 발을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에 있어서, 지게차의 발보다 길게 형성되어 지게차의 발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재, 지게차의 발의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부 덮개부재와 면접촉하여 결합되도록 면 가공된 하부 덮개부재,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 및,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결합되며 중공을 가지는 보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가 게시된다.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installed to extend a foot of a forklift, comprising: an upper lid member formed to be longer than a foot of a forklift and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a foot of a forklift; A pair of side wall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and a pair of side wall members coupled to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And a reinforcing pipe having a hollow portion coupled to the forklift extension fork.

Description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AN EXTENDING FORK OF FORKLIFT}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하여 포크의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which can be mounted on a fork of a forklift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ork.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발(포크)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물품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도록 운반한다.Generally, a forklift has a fork that can load the goods and uses it to transport the goods for shipment or unloading.

도 1은 일반적인 지게차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지게차(10)의 전방에 한 쌍의 발(20)이 리프트유닛(30)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20)은 두 개가 소정 길이 앞으로 돌출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물품이 적재되는 일정 규격의 파렛트의 하단을 받쳐들어서 운반할 수 있다.Fig. 1 shows a general forklift truck. A pair of feet 20 are installed in front of a forklift truck 10 so as to be liftable by a lift unit 30. Fig. The foot 20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pieces protrude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lower end of a pallet of a standard size on which the articles are stacked can be supported and transported.

그 외에 롤러 형태의 감긴 코일이나 패널은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직접 운반할 수 있다.In addition, rolled coils and panels can be transported directly without the use of a pallet.

또한, 발(20)의 선단으로 물건을 밀어서 이동할 수도 있고, 받쳐서 들어올리기 어려운 구조의 물건은 견인줄 등을 이용하여 옮기되, 견인줄 등을 발(20)에 묶거나 걸어서 옮길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can be moved by pushing the object to the tip of the foot 20, or the object having a structure which is difficult to lift and lift can be moved by using a towing line or the like, and the towing line or the like can be bound to the foot 20 or carried by walking.

그런데 지게차로 운반하고자 하는 패널의 사이즈가 발(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 경우, 이동 중 이탈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발의 일단에 보조 포크를 장착하여 발의 길이를 연장하고 패널 등을 안전하게 운반하여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보조 포크는 지게차의 발을 씌우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보조 포크가 지게차의 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when the size of the panel to be transported by the forklift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eet 20, it often occurs that the panel is removed during the move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an auxiliary fork was attached to one foot of the foot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oot, and the panel and the like were carried safely. That is, the conventional auxiliary fork is generally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ork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foot of the forklift by using a fixing pin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fork is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foot of the forklift.

그런데 보조 포크를 지게차의 발에 단순히 씌우는 방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옮기는 물품의 무게 등에 의해 보조 포크의 결합이 불안정해지고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auxiliary fork is simply installed on the foot of the forklift, the coupling of the auxiliary fork becomes unstable due to the weight of the article to be moved, and the joined state is loosened.

또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보조포크를 지게차의 발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하더라도, 용접면적이 협소하여 견고하게 용접하여 결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view of this, even when the auxiliary fork is coupled to the foot of the forklift through welding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weld and firmly weld the auxiliary fork with a narrow welding area.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498호(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09-0000498 (Forklift Extension Fork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지게차의 발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지게차의 연장포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which is improved in construction to be firmly mounted on a foot of a forklif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게차의 연장포크 장치는, 지게차의 발을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발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게차의 발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재; 상기 지게차의 발의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면접촉하여 결합되도록 면 가공된 하부 덮개부재;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 및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결합되며, 중공을 가지는 보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installed to extend the foot of a forklift, wherein the extension fork device is longer than the foot of the forklift, An upper cover member; A lower lid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orklift so a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A pair of side wall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And a reinforcing pip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having a hollow.

여기서,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또한,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지게차 발의 끝단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가 상기 지게차 발의 후단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provided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forklift foot to prevent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leg.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 테두리 또는 하부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용접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용접돌기에 대응되는 보강부재 용접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may have at least one wel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an upper rim and a lower rim, and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may be formed with a reinforcing member welder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protrusion good.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에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 및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보강부재 용접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보강부재 용접공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용접 결합 가능한 것이 좋다.Further,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are formed with reinforcing member welds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member weld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welding is possible.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members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하부 덮개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는 상기 지게차 발의 후단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Further, the lower lid member and the side wall member may be formed to extend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foot, and the side wall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inhole to which the fixing pin is coupled.

본 발명의 지게차의 연장포크 장치에 따르면, 지게차의 발을 덮도록 결합되며, 지게차의 발보다 길게 연장되어 결합되는 부분에서의 접촉면적(결합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켜서 외력에 의한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klift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combined area) of the portion of the forklift which is longer than the foot of the forklift is joined to cover the foot of the forklift, And the like can be solved.

특히,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 사이에 보강부재를 더 설치함으로써, 포크 연장장치의 휨이나 변형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지게차 발에 걸려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가짐으로써 포크 연장장치의 입구에서의 터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by further providing a reinforcing memb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warpage and deformation of the fork extending device, and to prevent the forklift from being pushed against the forklift foo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breakdown phenomenon and the like.

또한, 보강부재에 용접돌기를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거나, 보강부재가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접면적으로 넓게 확보하여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어 포크 연장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eld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reinforcing member to expose the upper and lower cover members, or the reinforcing member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cover members, The durability of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일반적인 지게차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게차 연장포크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지게차 연장포크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neral forklift.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the forklift extension fork device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rklift extension fork apparatus of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nsion fork apparatus shown in FIG. 4. FIG.
8 and 9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forklift shown in FIG.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forklift shown in Fig.
14 and 15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forklift shown in Fig.
17 and 18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forklift shown in Fig. 17;
20 and 21 are views showing an extension fork device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of the forklift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포크장치(40)는, 지게차의 발(20)의 상부와 하부 각각을 덮어서 결합되는 상부덮개(41)와 하부덮개(42), 지게차 발(20)의 양측면을 덮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덮개(41,42)에 테두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43,44)를 구비한다.2 and 3, the extension fork device 40 of the forklif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lid 41 and a lower lid 41 which are coupled to cove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oot 20 of the forklift, A cover 42 and a pair of side wall members 43 and 44 coupled to the rim of the upper and lower lids 41 and 42 so as to cover both sides of the forklift foot 20. [

상부덮개(41)는 지게차 발(20)의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발(20)과의 경계면을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덮개(41)의 길이는 지게차 발(20)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하부덮개(41)는 지게차 발(20)의 하부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하부덮개(41)는 상부덮개(41)보다 길게 형성되며, 지게차 발(20)의 후단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는 소정 영역이 상부덮개(41)와 면접촉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부덮개(41)의 선단부에서 상부덮개(41)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42a)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면 가공된다. 면 가공된 부분(42a)에 의해 상부덮개(41)와 하부덮개(42)의 결합면적이 넓게 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안정된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e upper lid 41 is welded to the interface with the foot 20 in a state of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rklift foot 20. [ The length of the upper lid 41 is formed to be sufficiently longer than that of the forklift foot 20. [ The lower cover 41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orklift foot 20. The lower lid 41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upper lid 41 and extends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foot 20 and a predetermined region thereof is engaged with the upper lid 41 in surface contact. To this end, the portion 42a, whi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cover 41 at the tip end of the lower cover 41, is processed to be thinner than the other portion. The combined area of the upper lid 41 and the lower lid 42 is increased by the surface-processed portion 42a, so that the bonding force can be improved and the stable coupled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측벽부재(43,44)는 상부덮개(41)와 하부덮개(42)의 테두리에 각각 용접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벽부재들(43,44)을 하부 덮개(42)의 테두리에 용접에 의해 결합시킨 상태에서, 하부덮개(42)를 발(20)의 하측에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측벽부재들(43,44)의 상단 테두리를 상부덮개(41)와 용접에 의해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측벽부재들(43,44)의 후단에는 고정핀(45)을 결합하기 위한 핀 홀(43a,44a)이 형성된다. 핀 홀(43a,44a)에 고정핀(45)을 결합하면, 고정핀(45)이 발(20)의 후단에 걸려서 포크 연장장치(40)가 발(20)에서 빠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ide wall members 43 and 44 are welded to the rim of the upper lid 41 and the lower lid 42, respectively. The lower cover 4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nderside of the foot 2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wall members 43 and 44 are welded to the rim of the lower cover 42. Then, the upper edges of the side wall members 43 and 44 are welded to the upper cover 41 to securely fix them. At this time, pin holes 43a and 44a are formed at the rear ends of the side wall members 43 and 44, respectively, to engage the fixing pin 45. When the fixing pin 45 is engaged with the pin holes 43a and 44a, the fixing pin 45 is caught by the rear end of the foot 20 to prevent the fork extension device 40 from falling off or separating from the foot 20 .

또한, 상부 및 하부덮개부재(41,42)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h1,h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구멍(h1,h2)에 견인고리를 걸면서도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관(46)이 설치된다. 보강관(46)은 너트구조를 가지며, 구멍(h1,h2)에 끼워져서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와 용접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관(46)에 의해 견인고리 기능을 부여함은 물론,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are formed with holes h1 and h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are engaged with the holes h1 and h2, 41 and 4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reinforcing pipe 46 has a nut structure and is welded to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by being fitted in the holes h1 and h2. The reinforcing pipe 46 can provide a traction ring function and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포크 연장장치(40)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에 의해 지게차 발(2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결합력이 우수하여 오랜 시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ork extens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orklift foot 20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forklift foot 20 with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used safely for a long time due to its excellent bonding force,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포크 연장장치(40')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에 보강부재(47)가 더 설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보강부재(47)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가 직접 마주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부 덮개부재(41)에 용접 결합되고, 하부 덮개부재(42)에도 용접 결합된다. 이때, 하부 덮개부재(42)로 발(20)의 하부를 덮은 상태에서, 하부 덮개부재(42)와 보강부재(47)를 외측에서 용접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47)가 하부 덮개부재(4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보강부재 용접공(42b)이 하부 덮개부재(42)에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47)는 보강부재 용접공(42b)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용접돌기(47b)를 가진다.4 to 7, the forklift fork extens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47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 The reinforcing member 47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directly face each other and is welded to the upper lid member 41 and welded to the lower lid member 42 as well. At this time, in the stat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20 is covered with the lower lid member 42, the reinforcing member 47 is attached to the lower lid member 42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 welding holes 42b are formed in the lower lid member 42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reinforcing member 47 has a welding projection 47b which is coupled to the reinforcing member weld hole 42b and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보강부재(47)는 날(20)의 선단(21)에 접촉되어 스토퍼역할을 하는 스토퍼부(47a)를 더 구비한다. 스토퍼부(47a)는 보강부재(47)의 일측 상단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날(20)의 선단(21)에 마주하여 접촉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포크 연장장치(40')의 선단 즉,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결합된 선단부(A)를 이용하여 물건을 밀어서 이동시킬 때, 포크 연장부재(40')가 후단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47a)에 의해 포크 연장부재(40')가 후단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부 덮개부재(41)가 후단으로 밀릴 경우, 상부 덮개부재(41)의 후단(41b)이 발(20)의 후단부 절곡부(23)의 라운드면에 접촉되어 발(20) 상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reinforcing member 47 further includes a stopper portion 47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ip end 21 of the blade 20 and serves as a stopper. The stopper portion 47a is join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47 by welding or the like and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tip end 21 of the blade 20. Therefore, when the article is pushed and moved using the tip end of the fork extension device 40 ', that is, the combined tip end A of the upper and lower cover members 41 and 42, the fork extension member 40' . When the upper lid member 41 is pushed to the rear end by preventing the fork extension member 40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rear end by the stopper portion 47a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41b of the upper lid member 41 is pushe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lift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20 by contacting the round surface of the rear end bent portion 23 of the foot 20.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47)는 복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보강부재(47)를 설치하고, 스토퍼부(47a)는 복수의 보강부재(47) 각각에 연결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스토퍼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으며, 복수 보강부재(47) 상호 간의 결합력과 지지력이 향상되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Further,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members 47 may be provided. The stopper portion 47a is provid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members 47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topper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engagement forc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members 47 And the supporting force is improved, so that a stable coupled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포크 연장장치(40")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47')가 상부 및 하부 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용접돌기(47b,47c)를 가지며, 상기 용접돌기(47b,47c)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각각에 보강부재 용접공(41b,42b)이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용접돌기(47b,47c)를 보강부재(47')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형성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와의 용접결합면적을 넓히고, 용접부위를 여러 곳으로 분산시킴으로써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8 and 9, the forklift fork extension device 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47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are wel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elding protrusions 47b and 47c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respectively, The welding protrusions 47b and 47c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inforcing member 47 ',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vers 45, It is possible to widen the welding connection area with the members 41 and 42 an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y dispersing the welding part in several places.

또한, 보강부재(47')의 일단이 지게차 발(20)의 끝단(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게 설치함으로써, 보강부재(47')의 일단 자체가 지게차 발(20)의 끝단(21)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가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47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21 of the forklift foot 20 so that on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47'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보강부재(47')를 복수 설치하여 지지력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47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and the coupling force.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연장장치(50)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에 보강부재(57)가 설치되되,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거리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57)의 일단은 지게차 발(20)의 끝단(21)에 접촉되거나 인접되게 설치되어 스토퍼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57)를 복수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11 and 12, a fork extension device 50 for a forklif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57 between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id members 41 and 42. [ One end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may be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end 21 of the forklift foot 20 to serve as a stopp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57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연장장치(50')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57')의 하부 및 상부 각각에 복수의 용접돌기(57b,57c)가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복수의 용접돌기(57b,57c)는 보강부재(57')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고, 용접돌기(57b,57c)에 대응되는 복수의 보강부재 용접공(41b,42b)이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각각에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 용접공(41b,42b)을 복수 형성하여 복수 지점에서 보강부재(57')의 용접돌기(57b,57c)와 용접결합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결합력을 높여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57')는 복수 설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14 and 15, a fork extension device 50 'of a forklif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57' installed between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And a plurality of welding protrusions 57b and 57c are formed on the upper and upper portion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welding protrusions 57b and 57c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 weld holes 41b and 42b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protrusions 57b and 57c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 weld holes 41b and 42b are formed and welded to the welding protrusions 57b and 57c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at a plurality of point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The reliability can be enhanced. It should be noted that, as shown in Fig. 16,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57 'may be provided.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연장장치(50")는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각각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부재 용접공(41b',42b')이 보강부재(57")의 전체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보강부재(57")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 전체가 슬릿 형상의 보강부재 용접공(41b',42b') 전체에 걸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용접 결합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보강부재(57")의 상부 및 하부테두리 전체가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각각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면, 용접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그만큼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57")는 복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강부재 용접공(41b',42b')도 복수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17 and 18, the fork extension device 50 "of the forklift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welder 41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42b 'ar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entir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and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reinforcing member 57''are entirely formed in the slit-shaped reinforcing member welders 41b' and 42b '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 are entirely weld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respectively. If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welding area, and the bonding force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9, 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57 ''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member welders 41b 'and 42b' are also formed in parallel.

또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연장장치(60)는 앞서 도 17 및 도 18에서 설명한 보강부재(57")가 길이를 짧게 하여 덮개부재(41,42)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지점에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보강부재(57")가 결합되는 슬릿 형상의 보강부재 용접공(41b',42b')도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57")가 복수 열로 설치될 수도 있다.
20 and 21, in the fork extending device 60 of the forklif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member 57 " described in Figs. 17 and 18 is shortened, The reinforcing member welding holes 41b 'and 42b', which are slit-shaped and to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57 '' is coupled, are also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Further, as shown in Fig. 22, the reinforcing members 57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row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에 따르면, 지게차의 발(20)을 덮도록 설치되어 발(20)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되, 발(20)에 견고하게 용접 결합되어 오랜 시간 사용하더라도 분리되거나 파손 및 변형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orklift extension fork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fork of the forklift is provided to cover the foot 20 of the forklift truck and is extended from the foot 20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y can not be separated, broken or deformed even if they are used for a long time.

특히,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의 공간에 다양한 형태의 보강부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의 휨을 방지하고,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reinforcing members are selectively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to prevent warpage of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 42) can be increased.

또한,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보강관(46)을 설치하여 용접에 의해 결합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견인줄 등을 이용하여 물건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ipe 46 is provid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so as to vertically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so as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by welding.

또한,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41,4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에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장 포크장치의 선단으로 물건을 밀어서 이동시킬 때 연장 포크장치가 지게차의 발(20) 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덮개부재(41)의 일단이 지게차 발(20)의 절곡부분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연장 포크장치를 지게차 발(20)에서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여 오랜 시간 보수나 고장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41 and 42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when the object is pushed and moved to the tip of the extension fork device, the extension fork device is moved toward the foot 20 of the forklif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ne end of the upper lid member 41 from lifting at the bent portion of the forklift foot 20, thereby preventing the extension fork devi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orklift foot 20, There is an advantage to use.

10..지게차 20..지게차 발
30..리프트유닛
40,40',40",50,50',50",60..지게차의 포크연장장치
41..상부 덮개부재 42..하부 덮개부재
43,44..측벽부재 45..고정핀
46..보강관
47,47',47",57,57',57"..보강부재
10 .. forklift 20 .. forklift foot
30. Lift unit
40, 40 ', 40 ", 50, 50', 50", 60. Fork extenders for forklifts
41. Upper cover member 42 .. Lower cover member
The side wall members 45,
46. Reinforcing pipe
47, 47 ', 47 ", 57, 57', 57"

Claims (7)

지게차의 발을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발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게차의 발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재;
상기 지게차의 발의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면접촉하여 결합되도록 면 가공된 하부 덮개부재;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 및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결합되며, 중공을 가지는 보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부 테두리 또는 하부 테두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용접돌기를 가지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용접돌기에 대응되는 보강부재 용접공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installed to extend the foot of a forklift,
An upper lid member formed to be longer than a foot of the forklift and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a foot of the forklift;
A lower lid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orklift so a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A pair of side wall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And
And a reinforcing pipe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nd having a hollow,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has at least one wel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an upper rim and a lower rim,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is formed with a reinforcing member welder corresponding to the welding proj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에는 상기 지게차 발의 끝단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가 상기 지게차 발의 후단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to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forklift foot to prevent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foot.
삭제delete 지게차의 발을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발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게차의 발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상부 덮개부재;
상기 지게차의 발의 하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면접촉하여 결합되도록 면 가공된 하부 덮개부재;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의 양측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부재;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각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에 결합되며, 중공을 가지는 보강관; 및
상기 상부 덮개부재와 하부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에는 상기 보강부재의 길이 및 폭에 대응되는 길이의 보강부재 용접공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덮개부재에 형성되는 보강부재 용접공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용접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
An extension fork device for a forklift installed to extend the foot of a forklift,
An upper lid member formed to be longer than a foot of the forklift and coupl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a foot of the forklift;
A lower lid membe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orklift so as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A pair of side wall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A reinforcing pip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respectively, and having a hollow; And
And a reinforc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lid member and the lower lid member,
Wherein the upper and lower lid members are formed with reinforcing member welders each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reinforcing member,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welded to the reinforcement member weld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cover members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membe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는 상기 지게차 발의 후단보다 더 뒤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재에는 고정핀이 결합되는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장 포크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Wherein the lower lid member and the side wall member are formed so as to extend further rea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forklift foot, and the side wall member is formed with a pinhole to which the fixing pin is coupled.
KR1020140034806A 2014-03-25 2014-03-25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KR101572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06A KR101572633B1 (en) 2014-03-25 2014-03-25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806A KR101572633B1 (en) 2014-03-25 2014-03-25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90A KR20150111190A (en) 2015-10-05
KR101572633B1 true KR101572633B1 (en) 2015-12-01

Family

ID=5434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806A KR101572633B1 (en) 2014-03-25 2014-03-25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30A (en) 2021-05-10 2022-11-17 김승환 Apparatus for preventing secession of secondary fork of forklift tr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830A (en) 2021-05-10 2022-11-17 김승환 Apparatus for preventing secession of secondary fork of forklift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90A (en)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436B1 (en) Synthetic resin pallet
CN105939939B (en) The synthetic material container that can be stacked
KR20120125175A (en) Skid pallet in particular for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s for liquids
KR101572633B1 (en) An extending fork of forklift
CN204586944U (en) Material transfer vehicle
KR100983828B1 (en) A iron material palette
JP3141978U (en) Carriage cart corner material
KR101142304B1 (en) Pallet having guard frame
JP6841423B2 (en) palette
KR101115606B1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trength in pallet
KR101400684B1 (en) Assembly structure for metal frame of furniture
KR101498946B1 (en) Aluminium alloy pallet
KR200486070Y1 (en) Folk gloves for folk lift
KR20090015960A (en) Pall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goods
JP2019073067A (en) Carrier cart
KR200481875Y1 (en) cover plate for vehicle
KR101570426B1 (en) Pallet
US3943860A (en) Pallet skid device
JP6313690B2 (en) Fixing jig and method of transporting building unit
JP3190665U (en) Pallet for conveyance
JP7436131B2 (en) Forklift attachment
KR20080109390A (en) Fork processing method
JP5708534B2 (en) Vehicle rear structure
JP6830276B1 (en) Auxiliary tool for scaffolding of transportation vehicles
JP5940777B2 (e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