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549B1 -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549B1
KR101572549B1 KR1020140175892A KR20140175892A KR101572549B1 KR 101572549 B1 KR101572549 B1 KR 101572549B1 KR 1020140175892 A KR1020140175892 A KR 1020140175892A KR 20140175892 A KR20140175892 A KR 20140175892A KR 101572549 B1 KR101572549 B1 KR 10157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ensor
vacuum hose
hos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복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송용복
조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복, 조용석 filed Critical 송용복
Priority to KR102014017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07Monitoring milking processes; Control or regulation of milking machines
    • A01J5/01Milkmeters; Milk flow s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07Monitoring milking processes; Control or regulation of milk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5/00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5/04Milking machines or devices with pneumatic manipulation of teats
    • A01J5/10Pulsators arranged otherwise than on teat-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는 통로인 진공호스와; 상기 진공호스의 내부에 교호적으로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멕동기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에 연결되고 젖소의 유두에 흡착되어 진공호스내에 교호적으로 생성되는 진공작용에 따라 우유를 짜는 착유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몸체에 일정간격(D)으로 연결설치되어 진공호스내에 흐르는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를 포함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착유기의 진공호스에 진공센서가 일정간격 이내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진공호스에서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진공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써, 착유기시스템을 장시간사용하여도 진공센서에 결로현상과 공명신호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그에 따라 진공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Milking Inspection System having a Vacuum Sensor Prot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유기의 진공호스에 진공센서가 일정간격 이내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진공호스에서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진공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소로부터 생산되는 우유는 유아기 이후 아동들의 성장에 필요한 물질을 다량으로 제공해주는 유익한 식품이기 때문에 이러한 우유를 생산하고 이용하는 낙농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지금은 세계전역에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우유를 얻기위해서 젖소의 젖은 손으로 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손으로 젖을 짜기 위해서는 숙달된 기술과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최근에 이르러서는 착유기 (milking machine) 를 이용하여 착유 작업을 수행하는 낙농가들이 대부분이다. 예컨대, 상기 젖소의 젖을 착유하는 작업은 착유되는 소가 착유스톨(착유실)에 입실되어 있을 때 젖소의 유방 젖꼭지들에 소독된 착유기를 부착하여 소정량의 젖을 착유하여 원유를 얻는 과정이 보편적이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착유기시스템을 도 1a-b를 참고로 살펴보면, 내부에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는 통로인 진공호스(70)와; 진공호스(70)의 내부에 교호적으로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멕동기유니트(71)와; 상기 진공호스(70)의 타단에 연결되고 젖소의 유두(72)에 흡착되어 진공호스(70)내에 교호적으로 생성되는 진공작용에 따라 우유를 짜는 착유유니트(73)와; 상기 진공호스(70)에 일정간격의 이격거리를 두고 측정을 위해 연결설치되어 진공호스(70)내에 흐르는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멕동기유니트(71)의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75)와, 유입구(7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공기를 진공호스(70)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혹은 차단시키는 멕동기추(76)와, 상기 멕동기추(76)의 작용에 의해 진공호스(70)내에 흐르는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77)를 포함한다. 또는 상기 착유유니트(73)에는 소의 유두(72)에 끼워서 수축/이완을 통한 소의 젓을 짜는 고무재질의 라이너(78)와, 상기 라이너(78)를 감싸서 진공을 라이너에 전달하는 쉘(79)과, 상기 진공호스(70)의 진공을 라이너(78)로 전달하는 숏호스(80)와, 상기 라이너(78)에 의해 배출되는 우유를 모아서 저장소로 전송하는 클러스터(8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착유기시스템을 점검하기위해서는 진공센서(74)를 진공호스(70)에 일정간격의 이격거리를 두고 연결설치시키고 통상의 착유과정을 실행한다. 예컨대, 상기 멕동기유니트(71)는 내부의 멕동기추(76)를 작용시켜 유입구(75)의 경로를 차단하므로 유입구(7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진공호스(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반면, 진공호스(70)내에 흐르는 기류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킨다. 따라서, 상기 진공호스(70)에는 진공이 형성되고 그 진공흐름이 도 1a의 화살표처럼 착유유니트(73)의 쉘(79)내에서 진공호스(70)를 경유하여 멕동기유니트(71)의 배출구(77)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쉘(79)내에 위치한 라이너(78)가 팽창되어 젖소의 유두(72)로부터 우유를 모아 하부의 클러스터(81)를 통해 저장소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진공센서(74)는 진공호스(70)에 흐르는 진공기류를 측정하여 진공이 정상값을 형성하는지를 측정한다. 한편, 일정시간뒤에, 상기 멕동기유니트(71)가 멕동기추(76)를 개방하여 도 1b의 화살표처럼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75)를 통해 진공호스(70)로 유입되게하면 진공호스(70)내로 흐르는 대기압에 의해 라이너(78)가 수축되어 우유생산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종래 화분과 관련된 선행기술자료로는 2003년05월22일자로 Senseability, Inc에 의해 (발명의 명칭: 착유기시스템의 맥동모니터내의 수분을 제거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출원된 미국등록특허 6,755,152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착유기시스템은 착유기시스템을 점검하기위해 진공센서를 진공호스에 일정간격의 이격거리를 두고 연결설치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진공호스내에서 외부공기와 진공기류가 반복적으로 교호함에 따라 발생되는 공명현상 혹은 공진신호가 그 연결된 진공호스를 통해 직접 진공센서로 강하게 전달되므로 그에 따라 진공센서의 파손이 빈번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진공호스내에 생성된 과다한수분이 그 연결된 진공호스를 통해 직접 진공센서로 전달되기 때문에 그러한 수분으로 인해 동절기에 부식이나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진공호스를 경화시키거나 진공센서를 오작동시켜 착유기를 점검하는데 동작안정성이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착유기의 진공호스에 진공센서가 일정간격 이내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착유기시스템을 장시간사용하여도 진공센서에 결로현상과 공명신호가 영향을 미치지 못해 그에 따라 진공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유기의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나 공명신호가 진공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써, 진공호스내에서 발생되는 결로현상과 공명신호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는 통로인 진공호스와;
상기 진공호스의 내부에 교호적으로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멕동기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에 연결되고 젖소의 유두에 흡착되어 진공호스내에 교호적으로 생성되는 진공작용에 따라 우유를 짜는 착유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몸체에 일정간격(D)으로 연결설치되어 진공호스내에 흐르는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를 포함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착유기의 진공호스에 진공센서가 일정간격 이내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진공호스에서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 진공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써, 착유기 점검 시스템을 장시간사용하여도 진공센서에 결로현상과 공명신호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그에 따라 진공센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발명은 착유기의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압력차에 의해 발생된 수분이나 공명신호가 진공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므로써, 진공호스내에서 발생되는 결로현상과 공명신호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동작안정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a은 종래 착유기시스템에서 진공이 형성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b는 종래 착유기시스템에서 대기압이 형성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진공센서가 진공호스에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진공센서가 진공호스에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a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이중경로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b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이중경로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진공센서가 진공호스에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진공센서가 진공호스에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사이에 보호부재가 부착된 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이중경로구조에서 진공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 제4 실시예의 이중경로구조에서 대기압이 생성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은, 도 2a-b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는 통로인 진공호스(1)와; 상기 진공호스(1)의 내부에 교호적으로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멕동기유니트(2)와; 상기 진공호스(1)의 타단에 연결되고 젖소의 유두(3)에 흡착되어 진공호스(1)내에 교호적으로 생성되는 진공작용에 따라 우유를 짜는 착유유니트(4)와; 상기 진공호스(1)의 몸체에 일정간격(D)으로 연결설치되어 진공호스(1)내에 흐르는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멕동기유니트(2)의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구(6)와, 유입구(6)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공기를 진공호스(1)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혹은 차단시키는 멕동기추(7)와, 상기 멕동기추(7)의 작용에 의해 진공호스(1)내에 흐르는 기체를 배출시키는 배출구(8)를 더 포함한다. 또는 상기 착유유니트(4)에는 소의 유두(3)에 끼워서 수축/이완을 통한 소의 젓을 짜는 고무재질의 라이너(9)와, 상기 라이너(9)를 감싸서 진공을 라이너(9)에 전달하는 쉘(10)과, 상기 진공호스(1)의 진공을 라이너(9)로 전달하는 숏호스(11)와, 상기 라이너(9)에 의해 배출되는 우유를 모아서 저장소로 전송하는 클러스터(1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도 2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진공호스(1)와 연결설치되는 진공센서(5)의 일정간격(D)은 최대 100mm이내로 설치한다. 또한 상기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설치거리는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설치각도를 90도를 이루게 설치 하거나 또는 90도 보다 더 크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진공센서(5)의 일정간격(D)을 최대 100mm이내로 설치하는 이유는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의 거리를 최단으로 하여 멕동기유니트(2)와 착유유니트(4)간에 발생하는 압력차이로 생기는 결로현상을 최소화하기위해서이고, 멕동기유니트(2)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리와 진동이 진공센서(5)로 전달되지 않으면서도 공명 현상을 발생하지 않게하기 위해서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설치거리는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는 이유는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거리가 너무 가까울 경우 라이너(9), 진공호스(1), 숏호스(11)의 파손이 미미할 경우 진공호스의 잔여 진공량이 손실된 진공호스의 진공량을 보존해 주어 라이너(9) 및 진공호스(1)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진공값 유출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설치각도를 90도를 이루게 설치 하거나 또는 90도 보다 더 크게 설치하는 이유는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수분이 진공호스(1)의 아래로 향하게 해서 진공센서(5)에 수분이 고이지 않게 하여 동파로 인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도 3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는 진공호스(1)측에 연결되어 진공호스(1)내의 기류를 차단시키고 그 발생된 압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제1 유체보호막(13)과, 상기 진공센서(5)측에 연결되어 압력의 흐름을 진공센서(5)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제2 유체보호막(14)과, 상기 제1 유체보호막(13)과 제2 유체보호막(14)사이에 설치되어 제1 유체보호막(13)으로부터 전송된 압력신호를 제2 유체보호막(14)으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1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 실시예와 같이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 보호부재 즉, 제1 유체보호막(13), 유체(15) 및 제2 유체보호막(14)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진공호스(1)에서 발생하는 진공압과 대기압은 제1 유체보호막(1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고여서 진공호스(1)에 동파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간접적으로만 진공센서(5)로 전달되기되기 때문에 진공센서(5)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 도 4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는 진공호스(1)측에 연결되어 진공호스(1)내의 기류를 차단시키고 그 발생된 압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보호막부재(16)와, 상기 유체보호막부재(16)과 진공센서(5)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보호막부재(16)으로부터 전송된 압력신호를 진공센서(5)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부재(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실시예와 같이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 유체보호막부재(16)와 유체부재(17)의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진공호스(1)에서 발생하는 진공압과 대기압은 유체보호막부재(1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고여서 진공호스(1)에 동파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간접적으로만 진공센서(5)로 전달되기되기 때문에 진공센서(5)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체보호막(13)과, 제2 유체보호막(14) 및 유체보호막부재(16)는 필름 재질 또는 금속 박막으로(metalic diaphragm)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15)와 유체부재(17)는 오일 종류는 알킬벤젠,폴리부텐,알킬나프탈렌,알킬디레닐에탄 및 실리콘오일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 도 5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호스(1)의 몸체에 이중경로로 형성되는 보조진공호스부재(18)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진공호스부재(18)에 진공센서(5)를 최대 100mm이내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수분량을 검출하는 수분확인센서(19)와, 상기 수분확인센서(19)로부터 검출한 수분의 량을 분석하여 가열량을 산출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가열량에 따라 열을 가하여 진공센서(5)의 전단에 수분을 증발시키는 가열부(21)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공명신호를 검출하는 공명확인센서(22)와, 상기 공명확인센서(22)로부터 검출한 공명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23)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제어에 따라 분석된 공명신호의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발생된 공명신호를 상쇄시키는 공명상쇄부(24)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발명에 따른 착유기 점검 시스템의 착유과정은 먼저, 멕동기유니트(2)가 내부의 멕동기추(7)를 작용시켜 유입구(6)의 경로를 차단하므로 유입구(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진공호스(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용에 의해 진공호스(1)내에 흐르는 기류는 도 3a-b 내지 도 5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공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진공이 형성될 경우 그 진공흐름은 도 3a 내지 도 5a의 화살표처럼, 착유유니트(4)의 쉘(10)내에서 진공호스(1)를 경유하여 멕동기유니트(2)의 배출구(8)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쉘(10)내에 위치한 라이너(9)가 팽창되어 젖소의 유두(3)로부터 우유를 모아 하부의 클러스터(12)를 통해 저장소로 전송한다. 반면에, 설정된 시간이 되면, 상기 멕동기유니트(2)는 멕동기추(7)를 개방하여 도 3b 내지 도 5b의 화살표처럼,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6)를 통해 진공호스(1)로 유입되게하면 진공호스(1)내로 흐르는 대기압에 의해 라이너(9)가 수축되어 우유생산을 차단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진공센서(5)는 진공호스(1)에 흐르는 진공기류를 측정하여 진공이 정상값을 형성하는지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제1 실시예에서는 도 2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가 연결설치되는 일정간격(D)이 최대 100mm이내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설치거리 역시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며, 상기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설치각도도 90도를 이루게 설치 하거나 또는 90도 보다 더 크게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진공센서(5)의 일정간격(D)을 최대 100mm이내로 설치하게될 경우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의 거리가 최단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멕동기유니트(2)와 착유유니트(4)간의 압력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결로현상이 최소화된다. 뿐만아니라 상기와 같이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설치거리를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게될 경우 멕동기유니트(2)의 동작으로 발생하는 소리와 진동 역시 진공센서(5)로 전달되지않게되어 공명현상이 진공센서(5)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설치거리 역시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는 이유는 멕동기유니트(2)와 진공센서(5)의 거리가 너무 가까울 경우 라이너(9), 진공호스(1), 숏호스(11)의 파손이 미미할 경우 진공호스의 잔여 진공량이 손실된 진공호스의 진공량을 보존해 주어 라이너(9) 및 진공호스(1)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진공값 유출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설치각도를 90도를 이루게 설치 하거나 또는 90도 보다 더 크게 설치할 경우 결로 현상으로 발생한 수분이 진공호스(1)의 아래로 향하게 해서 진공센서(5)에 수분이 고이지 않게 하여 동파로 인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진동센서 점검과정중에, 도 3a-b의 제2 실시예처럼,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 제1 유체보호막(13), 유체(15) 및 제2 유체보호막(14)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진공호스(1)에서 발생하는 진공압과 대기압은 제1 유체보호막(13)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고여서 진공호스(1)에 동파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간접적으로만 진공센서(5)로 전달되기되기 때문에 진공센서(5)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와 같은 진동센서 점검과정중에, 도 4a-b의 제3 실시예처럼, 진공호스(1)와 진공센서(5)의 사이에 유체보호막부재(16)와 유체부재(17)의 구조를 가지게 될 경우 진공호스(1)에서 발생하는 진공압과 대기압은 유체보호막부재(16)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고여서 진공호스(1)에 동파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간접적으로만 진공센서(5)로 전달되기되기 때문에 진공센서(5)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진공센서(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와 같은 진동센서 점검과정중에, 도 5a-b의 제4 실시예처럼, 진공호스(1)의 몸체에 이중경로 보조진공호스부재(18)를 설치하고 상기 보조진공호스부재(18)에 진공센서(5)를 최대 100mm이내로 부착시키는 구조를 가질 경우 진공센서(5)가 진공호스(1)로부터 직접 공명신호를 전달받지 않기 때문에 진공센서(5)가 반복되는 강력한 공명신호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진동센서 점검과정중에, 도 6의 제5 실시예에서는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된 수분확인센서(19)가 진공센서(5)내의 수분량을 검출하여 제어부(20)로 입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수분확인센서(19)로부터 검출한 수분의 량을 분석하여 가열량을 산출한 후 그 산출된 가열량신호를 가열부(21)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열부(21)는 제어부(20)의 가열량신호에 따라 열을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가 인접한 부위로 가하여 진공센서(5)의 전단에 수분을 증발시키므로써, 진공센서(5)가 결로현상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진동센서 점검과정중에, 도 7의 제6 실시예에서는 진공센서(5)와 진공호스(1)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된 공명확인센서(22)가 진공호스(1)내에 발생된 공명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23)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3)는 공명확인센서(22)로부터 검출한 공명신호를 분석한후 공명상쇄신호를 생성하여 공명상쇄부(24)로 입력시킨다. 그러면, 상기 공명상세부(24)는 제어부(23)의 공명상쇄신호에 따라 분석된 공명신호의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발생된 공명신호를 상쇄시키므로써, 진공센서(5)가 공명신호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1 : 진공호스 2 : 멕동기유니트
3 : 유두 4 : 착유유니트
5 : 진공센서 6 : 유입구
7 : 멕동기추 8 : 배출구
9 : 라이너 10: 쉘
11: 숏호스 12: 클러스터
13: 제1 유체보호막 14: 제2 유체보호막
15: 유체 16: 유체보호막부재
17: 유체부재 18: 보조진공호스부재
19: 수분확인센서 20: 제어부
21: 가열부 22: 공명확인센서
23: 제어부 24: 공명상쇄부

Claims (11)

  1. 내부에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는 통로인 진공호스와;
    상기 진공호스의 내부에 교호적으로 진공 혹은 대기압이 형성되도록 제어하는 멕동기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타단에 연결되고 젖소의 유두에 흡착되어 진공호스내에 교호적으로 생성되는 진공작용에 따라 우유를 짜는 착유유니트와; 상기 진공호스의 몸체에 일정간격(D)으로 연결설치되어 진공호스내에 흐르는 진공압력을 측정하는 진공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의 사이에는 진공호스측에 연결되어 진공호스내의 기류를 차단시키고 그 발생된 압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제1 유체보호막과; 상기 진공센서측에 연결되어 압력의 흐름을 진공센서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제2 유체보호막과; 상기 제1 유체보호막과 제2 유체보호막사이에 설치되어 제1 유체보호막으로부터 전송된 압력신호를 제2 유체보호막으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호스와 연결설치되는 진공센서의 일정간격(D)은 최대 100mm이내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멕동기유니트와 진공센서의 설치거리는 최소 10mm이상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의 설치각도는 90도 이상 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호스와 진공센서의 사이에는 진공호스측에 연결되어 진공호스내의 기류를 차단시키고 그 발생된 압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보호막부재와, 상기 유체보호막부재과 진공센서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보호막부재로부터 전송된 압력신호를 진공센서로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유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보호막, 제2 유체보호막 및 유체보호막부재는 필름 재질 또는 금속 박막으로(metalic diaphrag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와 유체부재는 알킬벤젠,폴리부텐,알킬나프탈렌,알킬디레닐에탄 및 실리콘오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호스에는 진공센서가 최대 100mm이내로 부착된 이중경로를 형성하는 보조진공호스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센서에는 진공센서와 진공호스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수분량을 검출하는 수분확인센서와, 상기 수분확인센서로부터 검출한 수분의 량을 분석하여 가열량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가열량에 따라 열을 가하여 진공센서의 전단에 수분을 증발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센서에는 진공센서와 진공호스가 연결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 공명신호를 검출하는 공명확인센서와, 상기 공명확인센서로부터 검출한 공명신호를 분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기능제어에 따라 분석된 공명신호의 상쇄신호를 생성하여 현재 발생된 공명신호를 상쇄시키는 공명상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KR1020140175892A 2014-12-09 2014-12-09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KR10157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92A KR101572549B1 (ko) 2014-12-09 2014-12-09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892A KR101572549B1 (ko) 2014-12-09 2014-12-09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549B1 true KR101572549B1 (ko) 2015-11-27

Family

ID=5484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892A KR101572549B1 (ko) 2014-12-09 2014-12-09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5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4163B1 (en) 1999-01-06 2002-12-17 Lely Research Holdings Ag Vacuum control system
US6755152B1 (en) * 2003-05-22 2004-06-29 Sensea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moisture in milking system pulsation monitor
JP3660688B2 (ja) 1995-06-26 2005-06-15 デラヴァール ホルディング アクチボラゲット 搾乳機における真空レベル調節方法および搾乳機
US7063043B2 (en) 2001-02-13 2006-06-20 Global Tech Systems, Inc. Milk flow meter for a milking system having a substantially stable vacuum level and method for u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0688B2 (ja) 1995-06-26 2005-06-15 デラヴァール ホルディング アクチボラゲット 搾乳機における真空レベル調節方法および搾乳機
US6494163B1 (en) 1999-01-06 2002-12-17 Lely Research Holdings Ag Vacuum control system
US7063043B2 (en) 2001-02-13 2006-06-20 Global Tech Systems, Inc. Milk flow meter for a milking system having a substantially stable vacuum level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755152B1 (en) * 2003-05-22 2004-06-29 Sensea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moisture in milking system pulsation moni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5614B2 (ja) 搾乳機の作動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搾乳機
US9855395B2 (en) Pressure based gas leak testing
JP2016529994A5 (ko)
EA011794B1 (ru) Тестирование до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EP0997733A3 (en) Animal exhalation monitoring
US10881552B2 (en) Vacuum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an ophthalmological patient interface
CN204745126U (zh) 包含泄漏检测的体外血液治疗机及用于检测透析流体系统中的泄露的方法
US6722208B2 (en) Milk flow meter for a milking system having a substantially stable vacuum level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230059967A1 (en) Breast pump device
EA200900871A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молока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KR101572549B1 (ko) 진공센서 보호구조를 갖는 착유기 점검 시스템
US20090199769A1 (en) Adaptive Milking System
US104630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reparation cup attachment
US67551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moisture in milking system pulsation monitor
CA2854104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milking process
EP12077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iner slips
US20040244700A1 (en) Milking device and method
WO200701522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milk characteristics during milking
CN103918560A (zh) 一种用于监测牛奶流速的装置
WO2004034774A2 (en) Sensing system for a milking installation
WO2016162654A1 (en) Automated milking
NZ505956A (en) Milk flow analyser with sensor(s) located on shoulder in passageway, with shoulder trapping mi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