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348B1 -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348B1
KR101572348B1 KR1020140004947A KR20140004947A KR101572348B1 KR 101572348 B1 KR101572348 B1 KR 101572348B1 KR 1020140004947 A KR1020140004947 A KR 1020140004947A KR 20140004947 A KR20140004947 A KR 20140004947A KR 101572348 B1 KR101572348 B1 KR 10157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computing device
interactive computing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5258A (ko
Inventor
김남수
김소영
양희수
윤정은
이란경
이상진
이은경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스트릭트홀딩스 filed Critical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00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34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 시스템은,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IMAGE DATA PROCESS METHOD USING INTERACTIVE COMPU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공연장 또는 전시장에 입장하는 관객에게 어트랙션을 제공하기 위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싱 장치와 이미지 출력 장치가 보급되면서, 복수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촬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 10-2010-0055145호는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공개특허는 촬영 이미지 편집 및 합성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개특허에 따른 무선통신단말은 입력부와 표시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캔버스 촬영 모드의 활성화에 따라 촬영 화면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촬영 화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를 삽입하고, 나머지 촬영 화면에 상기 입력부나 상기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삽입하여 상기 촬영 화면들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공개특허는 피사체를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텍스트, 메모, 주소록, 문자 메시지, 기 저장된 이미지/동영상을 상기 촬영 중인 화면에 삽입할 수 있는 촬영 기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공개특허는 단순히 합성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을 뿐,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른 합성 방법은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에 따른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이 요구된다. 나아가, 공연장 또는 전시장의 특성에 맞는 삽입 이미지의 합성 및 삽입 이미지의 모션 제어가 요구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촬상이 이행되면,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로 송신하는 촬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상기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으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고, 상기 삽입 이미지가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타겟 이미지 및 상기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정보는, 관객의 상기 게이트에 입장 여부, 상기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및 관객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관객의 상기 게이트에 입장 여부, 상기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및 관객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수에 따라 상기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모션이 미리 정해진 모션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상기 그래픽 효과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동선을 따라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상기 타겟 이미지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으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있어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이미지가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이미지 및 상기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촬상 장치(110),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 및 출력 장치(130)를 포함한다.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공연장 또는 전시장의 입구에서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은, 관객이 촬상된 이미지에 유명인의 이미지를 합성하고, 합성된 유명인의 이미지가 관객의 모션에 대응하는 모션을 갖도록 촬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타겟 이미지는 공연장 또는 전시장의 관객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고, 삽입 이미지는 유명인의 이미지일 수 있다. 유명인의 이미지는 가수, 연기자, 개그맨, 진행자, 방송인, 작가, 미술가, 감독, 운동 선수, 또는 정치인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특히, 유명인인의 이미지는 공연 또는 전시와 관계된 인사의 이미지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명인의 이미지는 로보카폴리 혹은 뽀로로와 같은 캐릭터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장치(110)는, 촬상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로, 촬상이 이행되면, 촬상에 따른 촬상 데이터를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촬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촬상 장치(110)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데이터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이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130)가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출력 장치(130)로 전송한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할 때,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사람 형상의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촬상 데이터 상에 미리 정해놓은 영역이거나,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 공간에 대한 표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된 이미지에서 중앙부의 일정 영역을 액티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이미지에서 중앙부의 일정 영역에 포함된 사람 형상의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공연장 또는 전시장 출입구에 일정한 표식이 있는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데이터에서 상기 일정한 표식을 액티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촬상 이미지에서 상기 일정한 표식에 위치한 사람 형상의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으로 타겟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삽입 이미지인 유명인의 이미지가 양 팔을 벌린 모션으로 타겟 이미지인 관객의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모션은, 손가락으로 타겟 이미지를 가리키는 모션, 달려가는 모션 또는 촬상 장치(110)를 가리키며 촬영을 유도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때,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고, 삽입 이미지가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식별된 타겟 이미지의 변화를 추적하고, 타겟 이미지의 변화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에 미리 저장된 모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여,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다. 모션 데이터베이스는 점프하는 모션, 악수를 청하는 모션,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는 모션, 어깨동무를 하는 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한 경우, 삽입 이미지가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모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점프하는 모션에 대응하는 모션은 점프하는 모션일 수 있고, 악수를 청하는 모션에 대응하는 모션은 반대편 손으로 악수에 응하는 모션일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는 모션에 대응하는 모션은 반대편 손의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는 모션일 수 있고, 어깨동무를 하는 모션에 대응하는 모션은 반대편에서 어깨동무를 하는 모션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타겟 이미지인 관객의 이미지의 모션이 왼손으로 악수를 청하는 모션인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삽입 이미지인 유명인의 이미지의 모션이 오른손으로 악수에 응하는 모션을 갖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타겟 이미지 및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타겟 이미지의 포즈가 손가락으로 V자를 그리는 포즈인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는,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플레쉬 효과란 사진기의 플레쉬가 터지는 것과 같이 영상이 번쩍이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출력 장치(130)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용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와 출력 장치(13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의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촬상 장치(110)와 출력장치(130)가 공연장 또는 전시장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있다. 또한, 촬상 장치(110)가 촬상하는 방향에 표식(210)이 도시되어 있다.
촬상 장치(110)는 촬상이 이행되면 촬상에 따른 촬상 데이터를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로 송신한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220)는 촬상 장치(110)가 촬상한 이미지에서 표식(210)에 위치한 사람 형상의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220)는, 식별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출력 장치(130)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 제어 시스템(300)은, 센싱 장치(310),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 및 출력 장치(330)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시스템(300)은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공연장 또는 전시장에 설치된 게이트에서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센싱 장치(310)는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한다. 센싱 정보는 관객의 게이트에 입장 여부,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및 관객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장치(310)는 영상 센서, 음향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는 버튼 또는 발판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330)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효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를 출력 장치(3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픽 효과는 출력 장치(330)에 의해 출력되는 색, 이미지, 이미지의 움직임, 이미지의 크기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수에 따라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관객의 수에 따라 게이트의 벽면을 구성하는 출력 장치(330)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의 색이 변경되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모션이 미리 정해진 모션에 일치하는 경우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관객이 손을 드는 모션을 취할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관객의 모션을 판단하고, 게이트의 벽면을 구성하는 출력 장치(330)에 특정 모양이 출력되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그래픽 효과가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동선을 따라 출력되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관객의 동선을 따라 관객에게 날개 모양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장치(330)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그래픽 효과를 출력한다. 출력 장치(330)는 레이저 출력 장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영상을 출사하는 프로젝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LCD, 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의 게이트 제어 시스템을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410), 센싱 장치(310),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 및 출력 장치(330)가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410)는, 공연장 또는 전시장에서 관객의 통행을 위한 것이다. 게이트(410)에는 센싱 장치(310) 및 출력 장치(330)가 설치될 수 있다.
센싱 장치(310)는 게이트(410)의 출입구나 게이트(4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410)의 출입구에 설치된 센싱 장치(310)는 관객의 게이트(410)에 입장 여부나 게이트(410)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센싱 장치(310)는 입장 관객과 퇴장 관객을 카운팅하여 관객의 수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410)의 내부에 설치된 센싱 장치(310)는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또는 관객의 소리에 대한 센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410)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330)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그래픽 효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를 출력 장치(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320)는, 센싱 정보 및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센싱 장치(310) 및 출력 장치(33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출력 장치(330)는 게이트(4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게이트(410)의 벽면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410)의 내부에는 레이저 빔을 출력하기 위한 레이저 출력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410)의 벽면에 영상을 출사하기 위한 스크린 및 프로젝터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출력 장치(330)는 여러 개의 장소에서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한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촬상 장치로부터 촬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촬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촬상 장치와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타겟 이미지로 식별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은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촬상 데이터 상에 미리 정해놓은 영역이거나,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일정 공간에 대한 표시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갖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으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고 삽입 이미지가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타겟 이미지 및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출력 장치가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출력용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와 출력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고, 상기 삽입 이미지가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타겟 이미지 및 상기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하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촬상이 이행되면, 상기 촬상에 따른 촬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로 송신하는 촬상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상기 타겟 이미지로 식별하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으로 상기 타겟 이미지에 접근하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상 데이터 처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게이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에 대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게이트 내부에 출력되는 그래픽 효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 장치가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정보는, 관객의 상기 게이트에 입장 여부, 상기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및 관객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관객의 상기 게이트에 입장 여부, 상기 게이트를 통행하는 관객의 수, 관객의 동선, 관객의 모션 및 관객의 소리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수에 따라 상기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모션이 미리 정해진 모션에 일치하는 경우 상기 그래픽 효과가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그래픽 효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는,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된 상기 그래픽 효과가 상기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한 관객의 동선을 따라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게이트 제어 시스템.
  13. 촬상 데이터로부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타겟 이미지를 포함하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삽입 이미지를 합성하여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출력 장치가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삽입 이미지가 상기 타겟 이미지의 모션에 대응한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이미지 및 상기 삽입 이미지 중에 적어도 하나의 포즈가 미리 정해진 포즈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에 플레쉬 효과를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데이터에 포함된 액티브 영역에서 감지된 이미지를 상기 타겟 이미지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삽입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모션을 갖도록 상기 출력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의 촬상 데이터 처리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04947A 2014-01-15 2014-01-15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57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47A KR101572348B1 (ko) 2014-01-15 2014-01-15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947A KR101572348B1 (ko) 2014-01-15 2014-01-15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258A KR20150085258A (ko) 2015-07-23
KR101572348B1 true KR101572348B1 (ko) 2015-11-26

Family

ID=5387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947A KR101572348B1 (ko) 2014-01-15 2014-01-15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43A (ko)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더브이엑스 댄싱 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43A (ko)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더브이엑스 댄싱 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258A (ko)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0909B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US10074012B2 (en) Sound and video object tracking
US98119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 based on non-virtual reality content
JP571584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80072A1 (en) Karaoke and dance game
JP6932206B2 (ja) 空間オーディオの提示の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10727341A (zh) 基于增强现实效果的事件增强
KR20140082610A (ko)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증강현실 전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60112898A (ko) 증강현실 기반 동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6464773B (zh) 增强现实的装置及方法
US10970932B2 (en) Provi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JP2020520576A5 (ko)
US20140298379A1 (en) 3D Mobile and Connected TV Ad Trafficking System
JP2017208676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732706B2 (en) Provi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JP6126272B1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454883B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
US11086587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to enhance realistic feeling of augmented or mixed reality space
KR20150085254A (ko) 라이브 댄스 클래스 및 라이브 뮤직 룸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JP2018033107A (ja) 動画の配信装置及び配信方法
KR101572348B1 (ko) 인터렉티브 컴퓨팅 장치를 이용한 촬상 데이터 처리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2017208808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56632B1 (ko) 화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자막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6763154B2 (ja) 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14361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공연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의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