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30B1 -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330B1
KR101571330B1 KR1020140107325A KR20140107325A KR101571330B1 KR 101571330 B1 KR101571330 B1 KR 101571330B1 KR 1020140107325 A KR1020140107325 A KR 1020140107325A KR 20140107325 A KR20140107325 A KR 20140107325A KR 101571330 B1 KR101571330 B1 KR 101571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input device
coordinates
display
absol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
정시원
Original Assignee
정헌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헌, 초당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시원 filed Critical 정헌
Priority to KR102014010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3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상대 좌표와 매칭시켜 절대좌표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 및 디바이스의 본체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각각이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절대좌표를 전달받아 이 절대좌표가 디스플레이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각각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대좌표 및 입력장치의 제어신호를 디바이스의 본체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MULTI DEVICE OP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입력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본체와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 등을 각각 조작한다.
한편, 컴퓨터에 마우스를 연결하는 포트 방식으로는 크게 PS2 포트 방식과 USB 포트(Universial port)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의 컴퓨터에 PS2 방식보다 신호 체계가 간단하고 안정된 USB 포트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USB 포트 연결 가능 제품으로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MP3 플레이어, 메모리 카드리더기, 이동식 컴퓨터, 소형 저장 매체 등이 있다. 그리고, 마우스는 컴퓨터 주변기기 중 기본이 되는 장치로서 가장 빈번히 사용하는 입력 및 제어 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빛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고속으로 연산하여 마우스의 좌표를 읽어내는 광센서 칩을 이용한 옵티컬 마우스가 등장하면서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방식이 USB 방식으로 대부분 전환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USB 포트는 직류 5V의 전압 양극과 음극케이블 2개와 신호전송용 2개의 케이블, 보호 실드 1개 총 5가닥의 케이블로 컴퓨터와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 안정된 구성 요건을 갖고 있다.
또한, 마우스는 단순히 X-Y 좌표신호와 각 기능의 버튼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하므로 아주 간단한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볼마우스에 비해 구성이 간단한 광마우스로 전환되면서 마우스 내부의 구성물의 공간 및 중량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회로의 추가 설계 등이 용이해졌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마우스는 컴퓨터의 주변 기기와 1:1 방식으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컴퓨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별도의 마우스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0726호(2012.07.1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입력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입력장치로 복수 개의 디바이스를 각각 제어하고, 각 디바이스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각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상대 좌표와 매칭시켜 절대좌표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각각이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절대좌표를 전달받아 이 절대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각각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대좌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이동 감지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 상기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신호송수신부; 및 상기 위치이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이동에 따라 절대좌표를 계산하여 상기 제1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트랜시버로 전달하거나, 상기 버튼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입력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장치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트랜시버 각각에 설정된 식별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의 상대좌표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설정된 상대좌표와 매칭시킨 절대좌표를 생성한 후, 상기 트랜시버 각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디바이스와 접속되는 접속부; 상기 입력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신호송수신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절대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기 저장된 절대좌표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대좌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트랜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시버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면, 상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대 좌표 및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시버는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랜시버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어느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어져 드래그되면, 상기 파일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단말 및 오실로스코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 및 상기 트랜시버에 설정된 식별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상대좌표를 기준좌표로 설정하여 기준좌표를 중심으로 절대좌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입력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입력장치로 다수의 디바이스를 각각 제어하고, 각 디바이스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각 디바이스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서 이동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서 이동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다바이스 운영 장치는 트랜시버(20) 및 입력장치(3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0)는 복수 개의 디바이스(10)와 일대일 대응되게 복수 개가 마련되어 각각의 디바이스(10)에 접속 및 접속 해제될 수 있다. 각 트랜시버(20)는 접속된 디바이스(10) 각각으로부터 디스플레이(11)에 설정된 상대 좌표를 전달받아 자신에게 기 설정된 식별정보와 함께 입력장치(30)로 전달하고,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절대 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절대좌표에 매칭된 상대좌표와 제어신호를 디바이스(10)로 전달함으로써, 디바이스(10) 각각이 상기한 하나의 입력장치(30)에 의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는 버튼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버튼 신호에는 클릭 신호, 드래그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로는 컴퓨터 등과 연결되는 통상의 모니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터치 스크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대좌표는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11)별로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해당 디스플레이(11)의 해상도가 1024x768이면, (x1,y1)에서부터 (x1024,y768)까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대좌표는 x,y 평면 이외에도 3차원 좌표로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절대좌표는 각 트랜시버(20)에 설정된 식별정보와 상대좌표를 토대로 생성되며, 이들은 각 디스플레이(11)의 상대좌표와 일대일 매칭된다. 일 예로, 2개의 디바이스(10) 각각의 디스플레이(11)는 각 화소에 대해 상대 좌표가 존재하는데, 이들 상대좌표 모두에 절대좌표가 매칭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디스플레이(11) 각각이 해상도가 1024x768이면, 각 디스플레이(11)의 상대좌표는 (x1,y1)에서부터 (x1024,y768)이므로, 이들 디스플레이(11) 중 어느 하나의 절대좌표는 (X1,Y1)부터 (X1024,Y768)까지 설정되고, 나머지 디스플레이(11)의 절대좌표는 (X1025,Y1)부터 (X2048,Y768)까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대좌표는 트랜시버와 본체가 연결될 때마다,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통해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대 좌표와 일대일 매칭되어 생성되거나, 디스플레이 각각의 상대좌표별로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로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오실로스코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다양한 데이터 저장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트랜시버(2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1), 제2 신호송수신부(22), 데이터 송수신부(23) 및 트랜시버 제어부(24)를 포함한다.
접속부(21)는 USB(Universial Serial Bus) 단자 등을 통해 상기한 디바이스(10)의 본체(12)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본체(12)로부터 해당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정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의 사이즈 정보, 해상도 정보및 상대좌표를 수신하고, 트랜시버 제어부(24)로부터 전달받은 상대좌표 및 각종 제어신호를 본체(12)로 전달한다.
여기서, 접속부(21)를 통해 본체(12)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는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버튼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체(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부(21)를 통해 상대좌표 및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이 상대좌표 및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에는 디스플레이(11) 상에서의 커서 이동, 파일 실행, 및 해당 트랜시버(2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파일 추출 및 트랜시버(20)로의 전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신호송수신부(22)는 입력장치(3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2 신호송수신부(22)는 해당 디스플레이(11)의 상대좌표 및 트랜시버(20)의 식별정보를 입력장치(30)로 전달하며, 입력장치(30)로부터 절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트랜시버 제어부(24)로 전달한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정보는 해당 디스플레이(11)의 사이즈 정보와 해상도 정보 및 상대좌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부(23)는 트랜시버(20) 상호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각 트랜시버(20)에 구비된 데이터 송수신부(20)는 상호간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파일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 데이터 송수신부(23)의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이 채용될 수 있다.
트랜시버 제어부(24)는 상기한 접속부(21)가 본체(12)와 접속되면, 본체(12)에 해당 디스플레이(11)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요청하고 본체(12)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받아 이 디스플레이 정보를 토대로 해당 디스플레이(11)의 상대 좌표를 검출한다. 이후 트랜시버 제어부(24)는 해당 트랜시버(20)에 설정된 식별정보 및 상대 좌표를 제2 신호송수신부(22)를 통해 입력장치(30)로 전달한다.
이후, 트랜시버 제어부(24)는 입력장치(30)로부터 제2 신호송수신부(22)를 통해 절대좌표를 전달받아 저장한다.
즉, 트랜시버 제어부(24)는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절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해당 절대좌표를 분석하여 이 절대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해당 절대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이면, 해당 절대좌표와 매칭된 상대좌표를 본체(12)로 전달하여 해당 본체(12)가 상기한 상대좌표와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체(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입력장치(30)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의 파일이 선택(클릭)된 후, 해당 파일이 다른 디스플레이(11)로 드래그되면, 해당 파일을 접속부(21)를 통해 트랜시버 제어부(24)로 전달하고, 해당 트랜시버 제어부(24)에 선택된 파일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트랜시버 제어부(24)는 본체(12)로부터 전달받은 파일을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수신측 트랜시버(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 트랜시버(20)는 해당 파일을 자신과 연결된 본체(12)로 전달한다.
한편, 입력장치(30)는 트랜시버(20) 각각으로부터 식별정보 및 상대 좌표를 각각 전달받아 상대 좌표 각각에 대해 절대좌표를 매칭시킨 후, 이 절대좌표와 상대좌표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함과 더불어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신호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입력장치(30)로는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장치(30)를 마우스를 예시로 설명한다.
이러한 입력장치(3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버튼부(31), 위치정보 감지부(32), 제1 신호송수신부(33), 초기화 버튼부(34) 및 입력장치 제어부(35)를 포함한다.
실행 버튼부(31)는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실행 버튼부(31)는 좌측 버튼(미도시), 우측 버튼(미도시) 및 휠버튼(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 버튼은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드래그, 파일 선택 등을 위한 버튼신호를 입력하며, 우측 버튼은 환경설정 등의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한 버튼신호를 입력하며, 및 휠버튼은 화면을 스크롤시키기 위한 버튼신호 등을 입력한다. 이러한 좌측 버튼, 우측 버튼 및 휠버튼 각각의 신호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정보 감지부(32)는 입력장치(30)의 위치이동을 감지한다. 위치정보 감지부(32)는 볼 타입과 광 타입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신호송수신부(33)는 각 트랜시버(20)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제1 신호송수신부(33)는 트랜시버(20) 각각의 제2 신호송수신부(22)로부터 식별정보 및 상대좌표를 전달받고, 트랜시버(20) 각각의 제2 신호송수신부(22)로 절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초기화 버튼부(34)는 상기한 각 디스플레이(11)의 상대 좌표 각각에 매칭된 절대좌표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초기화 명령을 입력장치 제어부(35)에 입력한다.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입력장치(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제1 신호송수신부(33)로부터 식별정보 및 상대좌표가 입력되면, 이 식별정보와 상대좌표를 이용하여 절대좌표를 생성하여 각각의 상대좌표와 매칭시킨다. 이후,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생성된 절대좌표와 상대좌표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다.
이 경우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이들 식별정보와 상대좌표를 이용하여 본체(12)의 디스플레이(11) 중 어느 하나의 상대좌표를 기준좌표로 설정한다. 이후, 위치정보 감지부(32)에 의해 입력장치(30)의 위치이동이 감지되면, 이 위치이동을 토대로 해당 기준좌표로부터 절대좌표를 계산하고, 이 절대좌표 및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른 버튼신호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30)가 절대좌표(X1,Y1)를 각각의 트랜시버(20)로 전송하면, 이들 트랜시버(20) 각각은 해당 절대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이면, 해당 트랜시버(20)는 이 상대좌표와 제어신호를 본체(1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본체(12)는 해당 상대좌표(x1,y1)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해당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절대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가 아닌 나머지 트랜시버(20)는 해당 제어신호를 스킵하고, 그 결과 해당 본체(12)는 디스플레이(11)에 커서를 표시하거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입력장치(30)를 이동시켜 각각의 트랜시버(20) 및 본체(12)가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절대좌표가 다른 트랜시버(20)의 절대좌표와 일치하면, 해당 트랜시버(20)는 이 절대좌표(X2,Y2)와 매칭되는 상대좌표(x2,y2) 및 제어신호를 본체(12)로 전달하고, 해당 본체(12)는 이 상대좌표(x2,y2) 및 제어신호에 따라 커서를 해당 상대좌표의 위치에 표시한다. 그 결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디스플레이(13)에서 타측 디스플레이(13)로 커서가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과정에서 각각의 본체(12)는 트랜시버(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실행 버튼부(31)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의 파일이 선택(클릭)된 후, 해당 파일이 다른 디스플레이(11)로 드래그되어 선택 해제(언클릭)되면, 입력장치 제어부(35)는 해당 파일을 송수신할 송신측 트랜시버(20)와 수신측 트랜시버(20)를 절대좌표, 상대좌표 및 식별정보를 통해 인식한다. 이 경우, 입력장치(20)는 그 위치이동에 따라 절대좌표를 계산하고, 이 절대좌표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송신측 트랜시버(20)와 수신측 트랜시버(20)를 인식한다.
이후,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송신측 트랜시버(20)로 수신측 트랜시버(20)의 식별정보 및 해당 파일에 대한 전송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송신측 트랜시버(20)는 기 접속된 본체(12)에 해당 파일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고, 본체(12)는 요청받은 파일을 송신측 트랜시버(20)로 전달한다.
이어 송신측 트랜시버(20)는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신측 트랜시버(20)를 인식하고, 본체(12)로부터 전달받은 파일을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수신측 트랜시버(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 트랜시버(20)는 해당 파일을 자신과 연결된 본체(12)로 전달한다.
한편,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초기화 버튼부(34)로부터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각 디스플레이(11)의 상대좌표 각각에 매칭된 절대좌표를 초기화시키고, 아울러,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초기화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각 트랜시버 제어부(24)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절대좌표를 입력장치 제어부(35)로부터 전달받은 초기화 명령에 따라 초기화시킨다.
이에 따라, 각각의 트랜시버(20)는 서로 다른 디바이스(10)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트랜시버(20)는 디바이스(10)의 본체(12)에 각각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각 트랜시버(20)는 자신과 접속된 본체(12)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요청하고, 본체(12)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트랜시버(20)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달한다.
각각의 트랜시버(20)는 해당 본체(12)로부터 전달받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토대로 상대좌표를 검출(S10)하고, 자신의 식별정보 및 검출된 상대좌표를 입력장치(30)로 전달한다(S12).
입력장치(30)는 트랜시버(20) 각각으로부터 전달받은 식별정보 및 상대좌표를 이용하여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를 생성하고(S14), 상대좌표 및 절대좌표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다(S16).
이 과정에서, 입력장치(30)는 상기한 상대좌표 중 어느 하나를 기준좌표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절대좌표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 후, 입력장치(30)는 사용자가 입력장치(30)를 이동시키거나 실행 버튼부(31)를 조작하는지를 판단하고(S18), 단계(S18)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입력장치(30)를 이동시키거나 실행 버튼부(31)를 조작하면, 입력장치(30)는 위치이동에 따른 절대좌표를 계산하고, 실행 버튼부(31)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이 절대좌표와 제어신호를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전달한다(S20).
각 트랜시버(20)는 입력장치(30)로부터 절대좌표와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이 절대좌표가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자신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이면, 해당 절대좌표와 매칭된 상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본체(12)에 전달한다(S22).
이에 따라, 트랜시버(20)로부터 상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은 본체(12)는 상대좌표 및 제어신호를 토대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실행 버튼부(31)에 의해 어느 하나 이상의 파일이 선택(클릭)된 후, 해당 파일이 다른 디스플레이(11)로 드래그되어 선택 해제(언클릭)되면, 입력장치 (30)는 해당 파일을 송수신할 송신측 트랜시버(20)와 수신측 트랜시버(20)를 식별정보를 통해 결정한다.
이후, 입력장치(30)는 송신측 트랜시버(20)로 수신측 트랜시버(20)의 식별정보 및 해당 파일에 대한 전송명령을 전달하고, 식별정보 및 전송명령을 전달받은 송신측 트랜시버(20)는 기 접속된 본체(12)에 해당 파일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여 본체(12)로부터 해당 파일을 전달받는다.
본체(12)로부터 파일을 전달받은 송신측 트랜시버(20)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인식된 수신측 트랜시버(20)로 데이터 송수신부(23)를 통해 해당 파일을 수신측 트랜시버(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수신측 트랜시버(20)는 해당 파일을 자신과 연결된 본체(12)로 전달한다.
한편, 입력장치 제어부(35)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기화 버튼부(34)로부터 초기화 명령이 입력되면, 각 디스플레이(11)의 상대좌표 각각에 매칭된 절대좌표를 초기화시키고, 아울러, 트랜시버(20) 각각으로 초기화 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각 트랜시버(20)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절대좌표를 입력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초기화 명령에 따라 초기화시킨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컴퓨터 등과 같은 디바이스 복수 개를 하나의 입력장치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입력장치로 다수의 디바이스를 각각 제어하고, 각 디바이스간에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각 디바이스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디바이스 11: 디스플레이
12: 본체 13: 마우스
20: 트랜시버 21: 접속부
22: 제2 신호송수신부 23: 데이터 송수신부
24: 트랜시버 제어부 30: 입력장치
31: 실행 버튼부 32: 위치정보 감지부
제1 신호송수신부 34: 초기화 버튼부
35: 입력장치 제어부

Claims (11)

  1. 복수 개의 디바이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설정된 상대 좌표와 매칭시켜 절대좌표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장치; 및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속되어 각각이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절대좌표를 전달받아 이 절대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절대좌표인지를 각각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대좌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어신호를 상기 디바이스의 본체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트랜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이동 감지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버튼부; 상기 트랜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신호송수신부; 및 상기 위치이동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입력장치의 위치이동에 따라 절대좌표를 계산하여 상기 제1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트랜시버로 전달하거나, 상기 버튼부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트랜시버로 전달하는 입력장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 제어부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트랜시버 각각에 설정된 식별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의 상대좌표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에 설정된 상대좌표와 매칭시킨 절대좌표를 생성한 후, 상기 트랜시버 각각으로 전달하며,
    상기 트랜시버는 상기 디바이스와 접속되는 접속부; 상기 입력장치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2 신호송수신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절대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좌표와 매칭된 기 저장된 절대좌표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상대좌표 및 상기 입력장치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트랜시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제어부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면, 상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대 좌표 및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상기 제2 신호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서로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제어부는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어느 하나의 파일이 선택되어져 드래그되면, 상기 파일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단말 및 오실로스코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트랜시버가 상기 본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 및 상기 트랜시버에 설정된 식별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의 상대좌표를 기준좌표로 설정하여 기준좌표를 중심으로 절대좌표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좌표는 상기 트랜시버와 상기 본체가 연결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대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대 좌표와 일대일 매칭시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대좌표는 상기 디스플레이 각각의 상대좌표별로 사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KR1020140107325A 2014-08-18 2014-08-18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KR10157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325A KR101571330B1 (ko) 2014-08-18 2014-08-18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325A KR101571330B1 (ko) 2014-08-18 2014-08-18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330B1 true KR101571330B1 (ko) 2015-11-24

Family

ID=54845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325A KR101571330B1 (ko) 2014-08-18 2014-08-18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3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808A (ja) * 2000-08-11 2002-02-20 Ricoh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5808A (ja) * 2000-08-11 2002-02-20 Ricoh Co Ltd マルチ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758B2 (en) Interfacing a mobile device with a computer
US20120235926A1 (en) Handheld devices and related data transmission methods
EP2972669B1 (en) Depth-based user interface gesture control
KR101999119B1 (ko) 펜 입력 장치를 이용하는 입력 방법 및 그 단말
EP2381339A2 (en) User interface using hologram and method thereof
US7884806B2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keyboard emulation
US20130106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CN102566754A (zh) 移动装置和包括移动装置的计算系统
CN102681722A (zh) 坐标检测系统,信息处理装置和方法
US10423284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ensing unit to input a user command and a method thereof
US9285915B2 (en) Method of touch command integration and touch system using the same
KR101571330B1 (ko) 멀티 디바이스 운영 장치
CN116088698B (zh) 基于触控笔的使用方法和装置
US20160173564A1 (en) Handheld device for controlling compu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EP3834057A1 (en) Electromagnetically tracked three-dimensional air mouse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44921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for controlling a cursor
WO2014207288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elements
US10416852B2 (en) Display and interaction method in a user interface
KR101555830B1 (ko) 셋톱박스 시스템 및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
US11934602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one handed operation mode
KR101869063B1 (ko)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863555B1 (ko)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RU2733070C2 (ru) С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хранения и внешнего ввода данных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US10235890B1 (en) System for navigating an aircraft display with a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