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942B1 -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942B1
KR101570942B1 KR1020140183477A KR20140183477A KR101570942B1 KR 101570942 B1 KR101570942 B1 KR 101570942B1 KR 1020140183477 A KR1020140183477 A KR 1020140183477A KR 20140183477 A KR20140183477 A KR 20140183477A KR 101570942 B1 KR101570942 B1 KR 101570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yarn
roller
printing
uppe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영승
Original Assignee
홍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승 filed Critical 홍영승
Priority to KR102014018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9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06B1/16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the treating material being supplied from inside the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28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propelled by, or with the aid of, jets of the treating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73In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printing machine for printing on a general yarn entering between upper and lower rollers with a pigment; a first heater installed on the back end of the printing machine, and drying and fixing the yarn printed with the pigment at 100-140°C; a weaving machine installed on the back end of the first heater, and weaving the printed yarn dried in the first heater and the general yarnt to manufacture a fabric; a second heater drying the fabric manufactured in the weaving machine at 160-200°C, and fixing the fabric; and a dyeing machine for dyeing the fabric dried through the second heater, wherein the printing machine includes a collecting skein, an upper roller, a lower roller, a flexible member, and a pigment supply pipe.

Description

직물 제조장치{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0001]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내부에 균일 공급판을 구비한 롤러를 통해 일반실에 고품질이면서도 손쉽고 대량적으로 날염 가능하고, 안료가 날염된 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가지는 직물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직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and massively printing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a heat sensitive pigment in a general room through rollers having a uniform supply plate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can easily produce a fabric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by weaving a general room.

일반적으로 날염은 여러 가지 섬유나 섬유제품(실)을 착색하여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는 작업공정으로 날염방법에 따라 침염(浸染)과 날염(捺染)으로 크게 구분된다.In general, printing is a work process which expresses various colors by coloring various fibers or textile products (yarns). It is largely divided into infiltration (dyeing) and printing (printing) depending on the printing method.

그리고 상기 침염은 실이나 원단 전체에 동일한 색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러한 침염은 개략적으로 제직내지는 제사공정에서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공정, 표백제와 산액을 통해 표백 및 세정하는 표백·세정공정, 염액을 충진한 염욕에서 균일하게 동일한 색상을 날염하는 침염공정, 침염 후 잔존하는 염료와 약품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공정, 수세 후 탈수를 위한 탈수공정 및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In addition, the infiltration may represent the same color in the yarn or fabric as a whole. Such infiltration is roughly a refining process for removing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eaving or filing process, a bleaching and washing process for bleaching and cleaning through bleach and acid, A dyeing process in which the same color is uniformly printed in a salt bath filled with water, a water washing process to remove remaining dye and chemicals after the salt washing, a dehydration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to dehydrate the water after washing.

이에 반하여 날염은 실이나 직물, 특히 직물을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필요한 무늬를 표현하는 것으로, 날염작업방법에 따라 기계날염과 수날염으로 구분되며, 날염에 쓰이는 착색제에 따라 염료날염과 안료날염으로 다시 구분된다.On the other hand, printing is a process of coloring a yarn or a fabric, especially a fabric, and expressing a necessary pattern. It is divided into a machine printing and a water-based printing according to a printing operation method, and is classified again into a dye printing and a pigment printing according to a coloring agent used for printing. do.

상기 염료날염은 피염물 재료에 따라 착색용이한 염료를 선택하고, 이러한 염료에 호료(糊料)와 착색용 약제등을 첨가하여 교반한 날염풀을 이용하여 롤러 및 스크린을 통해 직물에 날인한 후 건조, 증열(蒸熱), 수세하여 완성한다.The dye-printing salt is prepared by selecting a dye easily dyeable according to the material to be dyed, adding a dye (glue) and a coloring agent to the dye, sealing the fabric through a roller and a screen using a stirring- Dried, steamed, and washed.

또한 안료날염은 안료에 합성수지(초기축합물), 용제, 물등으로 날염풀을 형성하고, 이러한 날염풀을 스크린을 통해 직물에 날인한 후 고온의 건열(乾熱)처리하여 수세공정을 거쳐 완성하며, 이러한 공정을 거친 안료는 직물과는 친화력이 없는 착색제이나 합성수지의 접착력에 의해 직물에 단단히 결합되는 특징을 가진다.In addition, pigment printing produces a printing paste with a synthetic resin (initial condensation product), a solvent and water on a pigment, and this printing paste is sealed on a fabric through a screen, followed by a high temperature dry heat treatment , And the pigments that have undergone such a proces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irmly bonded to the fabric by the adhesive force of a colorant or a synthetic resin having no affinity with the fabric.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료날염은 세척시 안료날염이 쉽게 빠지게 됨으로써 여러 번의 안료날염과정을 거쳐야하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igment printing has a problem that the pigment printing is easily removed during the washing, so that the pigment printing process has to be performed several times,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time and cost.

또한 종래의 안료날염은 안료에 각종 첨가물을 첨부하는 날염품 형성공정, 직물에 낙염풀을 날염하는 날염공정, 날염된 직물을 건조하는 건조공정, 잔존하는 염료와 약품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공정 등을 거치게 됨으로써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생산설비의 증가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고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igment printing has a process of forming a printing product to which various additives are attached to a pigment, a printing process of printing a fabric on a fabric, a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printed fabric, a washing process of removing residual dyes and chemicals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equipment and the difficulty in mass production.

또한 종래의 안료날염은 직물에 안료를 날염함으로써 다양한 무늬, 도형, 문자 등을 정확하게 인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igment printing has a difficulty in accurately printing various patterns, figures, characters and the like by printing pigments on fabrics and also has difficulty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roduct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297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00297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96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096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손쉽게 날염하여 날염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forming a printing yarn by easily printing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on a general room passing between upper and lower rollers.

또한 안료가 날염된 실과 상기 안료가 날염된 실이 포함되는 천을 이중으로 건조 및 고착시켜 세척시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from being detached when the cloth containing the pigment and the pigment is dried and fixed by double dry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직물 제조장치는, 상·하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일반실에 안료를 날염하여 날염된 실을 형성하는 날염기; 상기 날염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안료가 날염된 실을 100℃~140℃ 온도로 건조하여 고착시키는 제 1 히팅기; 제 1 히팅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1 히팅기에서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천을 제조하는 제직기; 상기 제직기에서 제직된 천을 160℃~200℃ 온도로 건조하여 고착시키는 제 2 히팅기; 및 상기 제 2 히팅기를 거쳐 건조된 천을 염색하는 염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printing machine for forming a printed yarn by printing pigment on a general room passing between upper and lower rollers; A first heater install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spinning machine to dry and fix the yarn to which the pigment is print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40 ° C; A weaving machin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heating machine to produce a fabric by weaving the printing room and the common room, which are dried in the first heating machine; A second heater for drying and fixing the cloth woven in the weaving machine at a temperature of 160 ° C to 200 ° C; And a dyeing machine for dyeing the cloth dried through the second heater,

상기 날염기는, 전방에 장착되고 실이 풀리는 공급 실타래, 및 상기 공급 실타래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안료가 날염된 실을 회수하는 회수 실타래; 공급 실타래와 회수 실타래의 사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 일 측에는 상부 회전부가 장착되고,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안료 공급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가 장착되는 상부 롤러와;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부 롤러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회전부와 대응하는 일 측에는 하부 회전부가 장착되며,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안료 공급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가 장착되는 하부 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작동부와 하부 롤러의 회전 작동부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하부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신축 부재;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연결부분에는 베어링이 각각 장착되고, 일 측에는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안료를 배출하는 안료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안료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안료가 안료 공급부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균일 공급판이 장착되는 안료 공급관;을 포함하며,The yarn base includes a supply thread which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in which the yarn is unwound, and a collection thread which is disposed at an interval from the supply thread and in which the yarn in which the pigment is printed is collected; An upper roller mounted on an outer side thereof, a pigment supply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roller, ; And a rotary supply uni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nd a lower rotation unit is mounted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rotation unit, A lower roller which is made of a material; A stretching member disposed vertically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of the upper roller and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of the lower roller and maintaining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t a constant interval; A pair of bearings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igment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igment to be supplied through the pum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nd a pigment, which is discharged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And a pigment supply pipe to which a uniform supply plate is mounted so that the pigment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pigment supply unit,

상기 균일 공급판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실의 진행방향 후단으로 5-30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안료 배출공은 실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균일 공급판의 후단으로 안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uniform supply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junction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to the trailing end of the yarn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yarn,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sprayed.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상부 롤러의 상부에는 회전 작동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작동부의 일부를 감싸는 곡면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곡면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이 장착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a curved surface member surrounding a part of the rotary operation unit, and an elastic member moun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urved surface member so as to press the rotary operation unit The pressing means is mounted.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료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이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gment is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a heat sensitive pig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손쉽게 날염하여 날염된 실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정을 통해 단시간에 안료가 날염된 실과 천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int a UV-sensitive pigment or a heat-sensitive pigment on a general room passing between upper and lower rollers to form a printed yarn, and also to form a yarn and cloth printed with a pigment in a short time through a simple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work time and cost.

또한 안료가 날염된 실과 상기 안료가 날염된 실이 포함되는 천을 이중으로 건조 및 고착시켜 세척시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나 열 조사에 따른 날염된 실이나 천의 색상의 발현으로 패션전시용 의류, 패션쇼용 의류, 조명에 따른 색상변화 복장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ltraviolet ray-sensitive pigment or the heat-sensitive pigment from coming off during washing by double-drying and fixing the cloth including the dye-coated yarn and the pigment-coated yarn, The appearance of cloth color can be used variously for fashion display clothes, clothes for fashion show, color changing clothes according to lighting,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안료 공급관과 균일 공급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inting base constituting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xtile weav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nting base which constitutes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pigment supply pipe and a uniform supply plate constituting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ressing means constituting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날염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안료 공급관과 균일 공급판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가압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inter unit constituting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extil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textil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pressurizing means constituting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pigment supply pipe and a uniform supply plate constituting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직물 제조장치(10)는 안료로 일반실을 날염하여 날염된 실을 형성하는 날염기(20)와, 안료가 날염된 실을 건조하는 제 1 히팅기(30)와,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천을 제조하는 제직기(40)와, 상기 천을 건조하는 제 2 히팅기(50)와, 건조된 천을 염색하는 염색기(60) 등으로 구성된다.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rinter (20) for printing a plain room with a pigment to form a printed yarn, a first heater (30) for drying the printed yarn with pigment, a drying room A second weaving machine 50 for drying the cloth, a dyeing machine 60 for dyeing the dried cloth, and the like.

상기 날염기(20)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일반실에 날염하게 된다. The printing base 20 prints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on the general room.

즉 상기 날염기(20)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설정된 온도에 반응하는 열 감응 안료를 일반실에 날염하여 날염된 실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rinting base 20 prints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responsive to ultraviolet rays or a heat sensitive pigment responsive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o a general room to form a printed yarn.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종래의 날염기는 일반실로 제직된 천을 안료로 날염하지만, 본원발명의 날염기(20)는 천을 구성하는 실을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로 날염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무늬, 형상 등을 표현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the conventional spinning machine has a fabric that is woven in a general room and is printed with a pigment. However, the spinning machin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int various types of colors, patterns, shapes and the like by printing the fabric constituting the fabric with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a heat-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날염기(20)는 간격을 두고 전, 후방에 각각 장착되는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와,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 롤러(22)와,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부 롤러(2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롤러(23)와,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형성되고 안료를 공급하는 안료 공급관(24)과,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신축 부재(27)과, 상기 상부 롤러(22)를 구성하는 회전 작동부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28) 등으로 구성된다. The yarn feeder 20 includes feeding and collecting threads 21a and 21b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spacing therebetween, an upper roller 22 mounted between the feeding and collecting threads 21a and 21b, A lower roller 23 disposed between the supply and recovery threads 21a and 21b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roller 22 and a lower roller 23 disposed horizontally inside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 pair of elastic members 27 for holding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t regular intervals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27 for supporting the upper roller 22, And a pressing means 28 for pressing the rotary actua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rotary actuating portion.

즉 상기 날염기(20)는 일반실이 감기는 공급 실타래(21a)와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날염된 실이 감기는 회수 실타래(21b)의 사이에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면서도 실의 이동 및 텐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을 배치한 후, 상기 안료 공급관(24)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공급하여, 상기 공급 실타래(21a)에서 회수 실타래(21b)로 이동하는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날염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spinning machine 20 rotates while the rotary roller 25 is operated between the feed thread 21a to which the general room is wound and the collecting thread 21b to which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is to be wound,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re arranged so as to maintain the movement and tension of the yarn and then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is supplied to the pigment supply pipe 24, And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can be printed on the general room moving to the collection thread 21b.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는 간격을 두고 전,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일반실을 공급하면서도 날염된 실을 회수하게 된다. The supply and collection threads 21a and 21b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spacing to collect the printed yarn while supplying the common room.

여기서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는 공지된 실타래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supply and collection threads 21a and 21b are formed by using a known thread, and a separ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의 사이에 장착되는 상부 롤러(22)는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2a)이 형성되며, 일 측 외면에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상부 회전부(22b)가 장착되고, 실이 통과하는 부분에는 안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료 공급부(22c)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22d)가 장착된다. The upper roller 22 mounted between the supply and recovery threads 21a and 21b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length, and a receiving space 22a is formed therein. An upper rotating portion 22b for interlocking operation in operation of the roller 25 is mounted and a pigment supply portion 22c is formed so as to supply a pigment to a portion where the thread passes and rotary operation portions 22d are mounted on both sides .

즉 상기 상부 롤러(22)는 하부 롤러(23)의 작동시 연동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공급되는 안료를 안료 공급부(22c)를 통해 외면에 공급하여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날염시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upper roller 22 operates to rotate the lower roller 23 interlockedly with the operation of the lower roller 23, and supplies the pigment suppli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to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pigment supply unit 22c to form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It is to print the sensitizing pigment.

여기서 상기 상부 롤러(22)를 회전작동시키는 상부 회전부(22b)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정확한 회전비와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 구동방식 이외에도 공지된 기어 구동방식이나 벨트 구동방식이 택일하여 구성된다. Here, the upper rotating portion 22b for rotating the upper roller 22 may be constructed by a gear driving method or a belt driving method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a gear driving method that provides an accurate rotation ratio and driving force as shown in the drawing.

그리고 상기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공급되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실에 날염시키는 안료 공급부(22c)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미세 배출공으로 형성된다. The pigment supply portion 22c for printing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suppli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to the yar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ne discharge holes as shown in the drawing.

즉 다수개의 미세 배출공으로 형성되는 안료 공급부(22c)는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전달되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공급받아 일반실에 공급하여 날염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gment supply part 22c formed of a plurality of fine discharge holes receives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deliver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and supplies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to the general room to be printed.

이때 상기 안료 공급부(22c)는 단순히 롤러의 표면에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관통공에 스펀지 등과 같은 쿠션 재질이 삽입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관통공에 삽입된 쿠션 재질이 안료를 일정량 머금게 되어서 날염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igment supply portion 22c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but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cush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cushion material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llows a certain amount of the pigment to be printed, so that the printing becomes more efficient.

또한 상기 상부 롤러(22)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회전 작동부(22d)는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 작동부(22d)의 외면에는 신축 부재(27)의 연결과 함께 가압 수단(28)의 연결을 위한 홈(미도시)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operation part 22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oller 22 in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operation part 22d is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Not shown) may be selectively formed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28 and 28 to each other.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부 롤러(2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롤러(23)는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23a)이 형성되며, 일 측 외면에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는 하부 회전부(23b)가 장착되고, 실이 공급되는 부분에는 안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료 공급부(23c)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23d)가 장착된다. The lower roller 23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22 positioned between the supply and recovery threads 21a and 21b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length, A lower rotating portion 23b which is rotated during operation of the rotary roller 25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and a pigment supply portion 23c is formed so as to supply a pigment to a portion to which the yarn is supplied, A rotary operation portion 23d is mounted.

즉 상기 하부 롤러(23)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공급되는 안료를 안료 공급부(23c)를 통해 외면에 공급하여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lower roller 23 rotates during operation of the rotary roller 25, and supplies the pigment suppli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to the outer surface through the pigment supply unit 23c to form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The pigment is supplied.

여기서 상기 하부 롤러(23)를 회전작동시키는 하부 회전부(23b)와 회전 롤러(25)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정확한 회전비와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 구동방식 이외에도 공지된 기어 구동방식이나 벨트 구동방식이 택일하여 구성된다. Here, the lower rotation part 23b and the rotary roller 25 for rotating the lower roller 23 are not limited to the gear driving method that provides accurate rotation ratio and driving force as shown in the drawing, .

그리고 상기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공급되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실에 날염시키는 안료 공급부(23c)는 도시된 도면과 같이 다수개의 미세 배출공으로 형성된다. The pigment supply part 23c for printing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suppli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to the yar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ine discharge holes as shown in the drawing.

즉 다수개의 미세 배출공으로 형성되는 안료 공급부(23c)는 안료 공급관(24)을 통해 전달되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공급받아 일반실에 공급하여 날염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gment supply part 23c formed of a plurality of fine discharge holes receives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delivered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and supplies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to the general room to be printed.

이때 상기 안료 공급부(23c)는 단순히 롤러의 표면에 관통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관통공에 스펀지 등과 같은 쿠션 재질이 삽입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관통공에 삽입된 쿠션 재질이 안료를 일정량 머금게 되어서 날염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igment supply portion 23c may be formed simply in the form of a through hole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but it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 cushion material such as a spong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In this case, the cushion material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allows a certain amount of the pigment to be printed, so that the printing becomes more efficient.

또한 상기 하부 롤러(23)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회전 작동부(23d)는 소정구간 돌출형성되되, 상기 회전 작동부(23d)의 외면에는 신축 부재(27)의 연결을 위한 홈(미도시)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rotary operation part 23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oller 23 in a horizontal direction is protruded by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groove for connecting the elastic member 27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operation part 23d May be selectively formed.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일 부가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안료 공급관(24)은 소정의 지름과 길이를 가지며,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안료 배출공(24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롤러(22) 및 하부 롤러(23)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베어링(24b)이 장착된다. The pigment supply pipe 24, which is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nd has one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has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length, and is provided with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A pigment discharge hole 24a is formed at an interval so as to discharge the sensitizing pigment and a bearing 24b is mounted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

즉 상기 안료 공급관(24)은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회전작동과 관계없이 제자리에 고정되고, 펌프(7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압을 이용하여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안료 배출공(24a)을 통해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수용공간(22a, 23a)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gment supply pipe 24 is fixed in plac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nd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23a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24a.

이때 상기 안료 공급관(24)의 안료 배출공(24a)은 안료 공급부(22c, 23c)에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수용공간(22a, 23a)에 위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된다. The pigment discharge hole 24a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is connected to the accommodating space 22a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so as to supply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to the pigment supply portions 22c, And 23a,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안료 공급관(24)의 외면에는 과도한 안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일 공급판(26)이 장착된다. At least one uniform supply plate 26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to prevent excessive pigment from being supplied.

즉 상기 균일 공급판(26)은 안료 공급부(22c, 23c)와 대응하는 안료 공급관(24)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상기 안료 배출공(24a)을 통해 배출되는 안료를 안료 공급부(22c, 23c)에 균일하게 공급하면서도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내면에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uniform supply plate 26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corresponding to the pigment supply units 22c and 23c to supply the pigment discharged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24a to the pigment supply unit 22c And 23c while preventing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from sticking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일 공급판(26)은 실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에 실이 맞닿는 부분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도 3은 상부 롤러의 단면도인데, 상부 롤러(22)의 경우에는 중심축에 해당하는 안료 공급관(24)의 하방 수직선을 기준으로 10-30도 경사지게 균일 공급판(26)이 설치되고, 균일 공급판(26)의 반시계 방향(롤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안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안료 공급관(24)의 표면에 다수의 안료 배출공(24a)이 형성된다.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펌프(70)에 의해 가압된 안료는 안료 공급관(24)을 거치면서 안료 배출공(24a)을 통하여 상부 롤러(22a)의 수용공간(22a)에 분사되고 중력에 의해 안료는 하부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상부 롤러(22a)의 내측에 묻게 된다. 여기서 상부 롤러(22a)의 수용공간(22a) 내측에 분사된 안료는 균일 공급판(26)에 의해 실과 맞닿는 부분까지 흐르지 못하고, 다만 안료 공급부(22c)를 통해서 상부 롤러(22)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배출된 안료만 실과 접하여 실에 안료가 도포된다.3, the uniform supply plate 26 is installed to be inclined rearward of the portion where the yar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with reference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yar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upper roller. In the case of the upper roller 22, the uniform supply plate 26 is installed at an angle of 10-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downward vertical line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A large number of pigment discharge holes 24a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so that the pigment can be spray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plate 26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ller) 70 is spray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a of the upper roller 22a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24a through the pigment supply pipe 24 and the pigment falls downward by the gravity, (22a). The pigment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2a of the upper roller 22a can not flow to the portion abutting the yarn by the uniform supply plate 26 bu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roller 22 through the pigment supply portion 22c So that only the discharged pigme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yarn and the pigment is applied to the yarn.

만약, 균일 공급판(26)이 없다면, 안료는 수용공간(22a)의 하부(실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고이게 되어 과량의 안료가 실에 묻는 문제가 있다.If the uniform supply plate 26 is not provided, the pigment becomes soli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ing space 22a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yarn), thereby causing an excessive amount of pigment to adhere to the yarn.

마찬가지로, 하부롤러(23)도 상부롤러(22)와 대칭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하부 롤러(23)의 경우에는 하부에 고인 안료중에서 과량으로 묻은 안료는 균일 공급판(26)에 의해 제거된 상태에서 실과 접하게 된다.Similarly, the lower roller 23 is also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the upper roller 22. In the case of the lower roller 23, the pigment exces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igment is removed by the uniform supply plate 26 Thread.

한편,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를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는 신축 부재(27)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s 27, which maintai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made of elastic rubber, silicon, or the like.

즉 상기 신축 부재(27)는 상부 롤러(22)의 회전 작동부(22d)와 하부 롤러(23)의 회전 작동부(23d)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상·하부 롤러(22, 23)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elastic member 27 is disposed on the vertical line of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22d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23d of the lower roller 23, so that the upper and lower rollers 22 and 23 And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하부 롤러(23)는 고정되면서 상부 롤러(22)가 이동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신축 부재(27)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롤러(22)를 일정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22 is formed as a moving structure while the lower roller 23 is fixed, and the elastic member 27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maintain the upper roller 2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날염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실이 접하는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가 완전히 밀착되어야 하는데, 장시간 사용에 따라서 룰러가 마모되는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가 완전히 밀착이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부롤러는 고정시키고, 상부롤러를 상하로 다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면서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가 항상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e upper rollers 22 and the lower rollers 23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yar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rollers 22 and the lower rollers 23 due to external circumstances such as abrasion of the ruler, May not be completely adher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re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lower roller is fixed and the upper roller can be moved up and down.

더 나아가, 상기 상부 롤러(22)를 구성하는 회전 작동부(22d)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28)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가압 수단(28)은 지지 부재(28a)와, 상기 회전 작동부(22d)의 일부를 감싸는 곡면부재(28b)와, 상기 지지 부재(28a)와 곡면부재(28b)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8c)로 이루어진다. The pressing device 28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ing member 28a and a pressing member 28b which presses the rotary actuating portion 22d constituting the upper roller 22, A curved surface member 28b surrounding a part of the curved surface 22d and an elastic member 28c such as a spring mount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 28a and the curved surface 28b.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28a)는 직물 제조장치(10)나 천장 등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회전 작동부(22d)를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Here, the support member 28a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10, the ceiling, or the like to press the rotary operation unit 22d.

즉 상기 가압 수단(28)은 상부 롤러(22)의 회전 작동부(22d)에 곡면부재(28b)를 장착한 후, 상기 곡면부재(28b)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지지 부재(28a)를 고정장착한 다음, 상기 지지 부재(28a)와 곡면부재(28b)의 사이에 탄성부재(28c)를 장착하여, 상기 상부 롤러(22)의 회전 작동부(22d)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pressing means 28 is configured to mount the curved surface member 28b on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22d of the upper roller 22 and to fix the supporting member 28a with an interval above the curved surface member 28b And then an elastic member 28c is moun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 28a and the curved surface 28b so that the rotary operation portion 22d of the upper roller 22 can be pressed.

다음으로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접촉부분으로 날염된 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센서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Next, a sensor is selectively mounted so as to check the state of the yarn printed with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즉 상기 센서는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전방이나 측면 또는 상부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날염되는 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sensor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the side, or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so that the state of the yarn to be printed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이때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사이에 통과하는 실 중 하나는 날염된 실의 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검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one of the yarns passing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can be used for inspection so as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printed yarn.

여기서 센서는 실에 날염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이는 실시간으로 날염상태를 항시 감시하여서 문제가 발생하면 바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sensor means a means for checking whether the yarn is properly printed on the yarn, so that the yarn is always monitored in real time so that the yarn can cope with the problem immediately.

상기 제 1 히팅기(30)는 날염기(20)를 통해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가 날염된 실을 건조 및 고착하게 된다. The first heating unit 30 is configured to dry and fix the yarn to which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is printed through the printing base 20. [

즉 상기 제 1 히팅기(30)는 안료로 날염된 실을 100℃~140℃ 온도로 건조하여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나 열 감응 안료를 건조 및 고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heating unit 30 is formed by drying the pigment-printed yarn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40 ° C to dry and fix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to the general room.

이때 상기 제 1 히팅기(30)의 건조온도를 100℃~140℃로 한정한 것은, 건조온도를 100℃이하로 할 경우에는 안료가 날염된 실에서 색이 빠지고, 건조온도를 140℃로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건조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ing unit 30 is limited to 100 ° C to 140 ° C.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100 ° C or less, the color of the pigment is lost in the printed yarn, The drying cost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제 1 히팅기(30)의 건조시간은 날염된 실의 지름과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It is also noted that the drying time of the first heater 30 may vary depending on the diameter and application of the printed yarn.

더불어 상기 제 1 히팅기(30)는 공지된 히팅기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heating unit 30 is constructed by using a known heating uni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직기(40)는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목적 및 용도 등에 맞는 천을 제조하게 된다. The weaving machine 40 weaves the dried printing yarn and the general room to produce a fabric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use.

즉 상기 제직기(40)는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도록 제조하면서도 목적 및 용도 등에 따라 패턴, 문자, 도형 등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weaving machine 40 is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size of the dried printing yarn and the general room, but also to form patterns, letters, figures and the like according to purposes and uses.

여기서 상기 제직기(40)는 공지된 제직기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weaving machine 40 is configured by using a known weaving machin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 2 히팅기(50)는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형성되는 천을 건조 및 고착하게 된다. The second heating unit 50 may dry and fix the cloth formed by weaving the dried printing yarn and the general room.

즉 상기 제 2 히팅기(50)는 날염실과 일반실로 제직된 천을 160℃~200℃ 온도로 건조 및 고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econd heating unit 50 is configured to dry and fix the cloth woven in the printing room and the general room at a temperature of 160 ° C to 200 ° C.

이때 상기 제 2 히팅기(50)의 건조온도를 160℃~200℃로 한정한 것은, 건조온도를 160℃이하로 할 경우에는 안료가 날염된 실에서 색이 빠지고, 건조온도를 200℃로 이상으로 할 경우에는 원단이 상상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er 50 is limited to 160 ° C to 200 ° C is that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160 ° C or less, the color of the pigment is lost in the printed yarn, The fabric is imagined.

또한 상기 제 2 히팅기(50)의 건조시간은 천의 크기와 상기 천에 형성되는 문자, 도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The drying time of the second heater 5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loth, the characters formed on the cloth, and the like.

더불어 상기 제 2 히팅기(50)는 공지된 히팅기를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heating unit 50 is constructed by using a known heating uni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안료가 날염된 실을 제 1, 2 히팅기(30, 50)를 통해 두 번이나 건조 및 고착한 것은 날염된 실이 포함된 천의 세척시 상기 천을 구성하는 안료가 포함된 날염된 실에서 안료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And the pigment is dried and fixed twic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units 30 and 50 when the cloth is washed with the printed yarn, In order to prevent the pigment from falling off.

건조된 천을 날염하는 염색기(60)는 날염실과 일반실로 제조된 천을 염색하게 된다. The dyeing machine (60) which prints the dried cloth is to dye the fabric made from the printing room and the common room.

즉 상기 염색기(60)는 날염된 실과 일반실로 제조된 천을 용도와 목적 등에 맞춰 원하는 색상으로 천을 염색한 후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dyeing machine 60 may dye the cloth to a desired colo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printed fabric and the cloth prepared in the general room, and then dry the cloth.

여기서 상기 염색기(60)는 도시된 도면의 염색기 이외에도 공지된 염색기가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dyeing machine 60 may be constructed by a known dyeing machine in addition to the dyeing machine shown in the draw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직물 제조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간격을 두고 전, 후방에 각각 장착되고 실을 공급 및 회수하는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 21b)를 장착한다. First, the supply and recovery threads 21 and 21b, which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with intervals therebetween, supply and recover the yarn are mounted.

그리고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21a, 21b)의 사이로 내부에 수용공간(22a)이 형성되며, 일 측 외면에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는 상부 회전부(22b)가 장착되고, 실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안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료 공급부(22c)가 장착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22d)가 장착되는 상부 롤러(22)를 장착한다. An accommodating space 22a is formed in the inside between the supply and recovery threads 21a and 21b and an upper rotation part 22b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for rot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rotary roller 25, A pigment supply portion 22c is mounted so as to supply a pigment, and on both sides, an upper roller 22 to which a rotary operation portion 22d is mounted is mounted.

다음으로 상기 상부 롤러(22)의 하부로 내부에 수용공간(23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회전부(22b)와 대응하는 외부에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회전작동하는 하부 작동부(23b)가 장착되고, 실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안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안료 공급부(23c)가 장착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23d)가 장착되는 하부 롤러(23)를 장착한다.A receiving space 23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22 and a lower operating portion 23b rotatably operated when the rotating roller 25 operates in the out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rotating portion 22b. A pigment supply portion 23c is mounted so as to supply the pigment to the portion to be contacted with the yarn and a lower roller 23 to which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23d is attached is mounted on both sides.

그리고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수용공간(22a, 23a)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면서 일 측이 돌출형성되고, 내부에는 공급되는 안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두고 안료 배출공(24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연결부분에는 베어링(24b)이 장착되고, 외면에는 회전작동하는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내면에 형성되는 이물질의 제거와 함께 안료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균일 공급판(26)이 장착되는 안료 공급관(24)을 각각 장착한 후 상기 회전 작동부(22d, 23d)의 양측 동일선상에 신축부재(27)를 장착하여 날염기(20)를 설치한다.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re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s 22a and 2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 bearing 24b is mounted o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nd an upper roller 22 and a lower roller 23 are rotatably op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 pigment supply pipe 24 on which at least one or more uniform supply plates 26 are mounted is mounted so as to prevent the pigments from sticking together with the removal of the foreign substances to be formed and then the two sides of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s 22d, A stretchable member (27) is mounted on the wire to install the printing base (20).

다음으로 상기 날염기(20)와 간격을 두고 안료로 날염된 실을 100℃~140℃ 온도로 건조하여 일반실에 자외선 감응 안료와 열 감응 안료를 날염하는 제 1 히팅기(30)를 설치한다. Next, a yarn printed with pigment is spaced apart from the knife base 20 by drying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40 ° C, and a first heater 30 for printing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and a heat sensitive pigment is installed in a general room.

그리고 상기 제 1 히팅기(30)와 간격을 두고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목적 및 용도 등에 맞게 제조하여 천을 형성하는 제직기(40)를 장착한 후, 상기 제직기(40)와 간격을 두고 안료된 실과 일반실로 제직된 천을 160℃~200℃ 온도에서 건조하는 제 2 히팅기(50)를 장착하면 직물 제조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After the fabricator and the general room are dried at intervals with the first heater 30 and the general room is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and use to attach the fabricator 40 forming the fabric, And the second heater 50 for drying the fabric woven in the fabric and the general room at a temperature of 160 ° C to 200 ° C is installed, the fabrication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직물 제조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in, it is noted that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 직물 제조장치를 통한 직물의 제조방법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state of use of the fabric manufacturing method through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날염기(20)를 구성하는 안료 공급관(24)에 펌프(70)를 이용하여 용도와 목적에 맞게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로 형성되는 하나의 안료를 공급한 후 상기 직물 제조장치(10)를 작동시킨다. First, a pigment, which is formed of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heat sensitive pigment, is supplied to a pigment supply pipe (24) constituting the knife base (20) using a pump (70) ).

그리고 상기 직물 제조장치(10)가 작동되면, 상기 공급 실타래(21a)에 위치하는 일반실은 전방에 위치하는 회수 실타래(21b)에 감기고, 상기 공급 실타래(21a)와 회수 실타래(21b)의 사이에 위치한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는 회전작동하면서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사이를 통과하는 일반실을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를 날염시게 된다. When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10 is operated, the general room located in the supply thread 21a is wound around the collection thread 21b located at the front side, and the supply thread 21a is placed between the supply thread 21a and the collection thread 21b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re rotated to print the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the heat sensitive pigment on the general room passing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즉 상기 안료 공급관(24)의 안료 배출공(24a)을 통해 배출되는 안료는 균일 공급판(26)을 일정양의 안료만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안료 공급부(22c, 23c)에 각각 공급된 후 상기 회전부(22b, 23b)와 결합되는 회전 롤러(25)의 작동시 상기 상부 롤러(22)와 하부 롤러(23)의 사이를 통과하는 실과 접촉하면서 외면 전체를 동시에 날염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pigment discharged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24a of the pigment supply pipe 24 is supplied to the uniform supply plate 26 through the pigment supply portions 22c and 23c of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And then contacted with the yarn passing between the upper roller 22 and the lower roller 23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otary roller 25 engaged with the rotary parts 22b and 23b, It will be done.

다음으로 상기 날염기(20)를 통과한 날염된 실은 120℃ 온도로 작동하는 제 1 히팅기(30)를 거치면서 건조와 함께 고착된 후, 기존에 설치된 일반실과 함께 제직기(40)를 통해 천을 제조하게 된다. Next, the printed yarn passed through the knitting machine 20 is fixed together with the knitting machine through a first heater 30 operating at a temperature of 120 ° C. Then, the knitted yarn is passed through the knitting machine 40, .

이때 상기 제 1 히팅기(30)를 거쳐 형성된 실은 용도와 환경 등에 따라 바로 또는 시간을 두고 제직기(40)에 공급됨은 당연한 것이다. At this time, the yarn formed through the first hitting unit 30 may be supplied to the knitting machine 40 immediately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depending on the use and the environment.

그리고 상기 제직기(40)를 통해 형성된 천은 180℃ 온도로 작동하는 제 2 히팅기(50)를 거치면서 건조와 함께 날염된 실을 다시 한번 더 고착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원하는 직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cloth formed through the weaving machine 40 is formed through a process of fixing the printed yarn again with the drying process through the second heating device 50 operating at 180 ° C.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직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안료가 날염된 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다양한 색상 및 무늬를 가지는 직물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the fabric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dvantageous in that fabrics having various colors and patterns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weaving yarn and plain yarn with pigment.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직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 직물 제조장지, 20 : 날염기,
21a : 공급 실타래, 21b : 회수 실타래,
22 : 상부 롤러, 23 : 하부 롤러,
24 : 안료 공급관, 25 : 회전 롤러,
26 : 균일 공급판, 27 : 신축 부재,
28 : 가압 수단, 30 : 제 1 히팅기,
40 : 제직기, 50 : 제 2 히팅기,
60 : 염색기, 70 : 펌프.
10: Fabric manufacturing cloth, 20: Printing base,
21a: supply thread, 21b: return thread,
22: upper roller, 23: lower roller,
24: pigment supply pipe, 25: rotating roller,
26: uniform supply plate, 27: elastic member,
28: pressure means, 30: first heating device,
40: loom, 50: second hitter,
60: dyeing machine, 70: pump.

Claims (3)

상·하부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일반실에 안료를 날염하여 날염된 실을 형성하는 날염기;
상기 날염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안료가 날염된 실을 100℃~140℃ 온도로 건조하여 고착시키는 제 1 히팅기;
제 1 히팅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 1 히팅기에서 건조된 날염실과 일반실을 제직하여 천을 제조하는 제직기;
상기 제직기에서 제직된 천을 160℃~200℃ 온도로 건조하여 고착시키는 제 2 히팅기; 및
상기 제 2 히팅기를 거쳐 건조된 천을 염색하는 염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날염기는,
전방에 장착되고 실이 풀리는 공급 실타래, 및 상기 공급 실타래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안료가 날염된 실을 회수하는 회수 실타래;
공급 실타래와 회수 실타래의 사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외부 일 측에는 상부 회전부가 장착되고,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안료 공급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가 장착되는 상부 롤러와;
상기 공급 및 회수 실타래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부 롤러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 회전부와 대응하는 일 측에는 하부 회전부가 장착되며, 외면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안료 공급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 작동부가 장착되는 하부 롤러와;
상기 상부 롤러의 회전 작동부와 하부 롤러의 회전 작동부의 수직 동일선상에 배치되고 상·하부 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신축 부재;
상기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의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면서 연결부분에는 베어링이 각각 장착되고, 일 측에는 펌프를 통해 공급되는 안료를 배출하는 안료 배출공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상기 안료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안료가 안료 공급부에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균일 공급판이 장착되는 안료 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균일 공급판은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접합면을 기준으로 실의 진행방향 후단으로 5-30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안료 배출공은 실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균일 공급판의 후단으로 안료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제조장치.
A printing machine for forming a printed yarn by printing pigment on a general room passing between upper and lower rollers;
A first heater installed at a downstream end of the spinning machine to dry and fix the yarn to which the pigment is printed at a temperature of 100 ° C to 140 ° C;
A weaving machine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heating machine to produce a fabric by weaving the printing room and the common room, which are dried in the first heating machine;
A second heater for drying and fixing the cloth woven in the weaving machine at a temperature of 160 ° C to 200 ° C; And
And a dyeing machine for dyeing the dried cloth through the second heater,
The above-
A feed yarn mounted on the front side and being loosened by the yarn, and a take-up yarn arranged to be spaced from the feed yarn and recovering the yarn in which the pigment is printed;
An upper roller mounted on an outer side thereof, a pigment supply part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upper roller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roller, ;
And a rotary supply uni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nd a lower rotation unit is mounted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upper rotation unit, A lower roller which is made of a material;
A stretching member disposed vertically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of the upper roller and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of the lower roller and maintaining the upper and lower rollers at a constant interval;
A pair of bearings are moun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pigment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pigment to be supplied through the pump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and a pigment, which is discharged through the pigment discharge hole, And a pigment supply pipe to which a uniform supply plate is mounted so that the pigment can be uniformly supplied to the pigment supply unit,
Wherein the uniform supply plate is inclined at an angle of 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junction of the upper roller and the lower roller to the trailing end of the yarn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yarn,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spray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롤러의 상부에는 회전 작동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작동부의 일부를 감싸는 곡면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곡면부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가압 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ssing means including an elastic member mounted between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urved surface member is mounted on the upper roller so as to press the rotary actuating unit. Fabric manufacturing equip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자외선 감응 안료 또는 열 감응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gment is an ultraviolet sensitive pigment or a heat sensitive pigment.
KR1020140183477A 2014-12-18 2014-12-18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570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77A KR101570942B1 (en) 2014-12-18 2014-12-18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477A KR101570942B1 (en) 2014-12-18 2014-12-18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942B1 true KR101570942B1 (en) 2015-11-20

Family

ID=5484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477A KR101570942B1 (en) 2014-12-18 2014-12-18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94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6457A (en) * 2018-03-09 2018-08-14 中原工学院 A kind of online cold and hot transfer printing and dyeing are synchronous to realize pattern weaving function braid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83Y1 (en) 2005-10-25 2006-01-20 박근식 A sizing apparatus for printing yarn
KR100842149B1 (en) 2007-02-16 2008-06-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Rotary printing machine
KR100927951B1 (en) 2009-05-29 2009-11-23 한두표 Textile fiber pigment dyeing process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083Y1 (en) 2005-10-25 2006-01-20 박근식 A sizing apparatus for printing yarn
KR100842149B1 (en) 2007-02-16 2008-06-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Rotary printing machine
KR100927951B1 (en) 2009-05-29 2009-11-23 한두표 Textile fiber pigment dyeing process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6457A (en) * 2018-03-09 2018-08-14 中原工学院 A kind of online cold and hot transfer printing and dyeing are synchronous to realize pattern weaving function braid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8762B (en) Cloth wrinkle removing equipment for spinning
US2419695A (en) Machine for stencilling fabric with suction
KR101570940B1 (en) Yarn dyeing device using roller
CN106739557A (en) It is a kind of with it is bilateral by repoussage scald function digital inkjet printing machine
CN107618273A (en) A kind of tubular fabric stamp digital inkjet printing machine and printing method
KR101570942B1 (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ITTV20070137A1 (en) EQUIPMENT FOR DYEING AND / OR WASHING OF DELICATE ITEMS WITH DOUBLE BASKET.
KR200406083Y1 (en) A sizing apparatus for printing yarn
KR101570941B1 (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using roller
CN111421951A (en) Textile fabric printing and dyeing equipment
KR9000049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dyeing long fabric materials
CN102978858A (en) Spinning/dyeing integrated machine
KR100842149B1 (en) Rotary printing machine
KR101684233B1 (en) Method for Dyeing Crepe Yarn Space of Several Color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052100A (en) Yarn dyeing device using roller
CN103741419A (en) Dye liquor concentration compensation structure
KR100850150B1 (en) Transcription printing method and the system
KR20160052101A (en)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16008575A1 (en) Method and plant for the treatment of fabrics after digital printing
CN210481843U (en) Padding finishing device for composite functional fabric
CN211994729U (en) Production equipment for digital ink-jet warp-printed hazy flower fabric
CN106004022A (en) Weaving and printing device for spinning
CN107215104B (en) A kind of single motor nozzle group Synchronous Transmission digital inkjet printing machine and printing method
CN207984301U (en) A kind of energy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digital thermal transfer printing equipment for ribbon product
EP15209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yarns and fabric obtained from the printed ya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