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624B1 - MoOx arreste - Google Patents

MoOx arre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624B1
KR101569624B1 KR1020140063182A KR20140063182A KR101569624B1 KR 101569624 B1 KR101569624 B1 KR 101569624B1 KR 1020140063182 A KR1020140063182 A KR 1020140063182A KR 20140063182 A KR20140063182 A KR 20140063182A KR 101569624 B1 KR101569624 B1 KR 101569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oox
molybdenum
thin film
z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39434A (en
Inventor
성열문
Original Assignee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13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6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1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having a single gap or a plurality of gaps in parallel

Landscapes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레스터(피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등 통신기기용 저전압 아레스터 소자로서 활용 가능하고, ZnO 대체 차세대 전력보호전달 기기용 아레스터 소자로서 적용 가능성하며, 소자의 반영구적 특성에 의한 전력 계통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전압의 작동에 의한 통신장비 등의 보호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몰리브덴 아레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몰레브덴 아레스터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과,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을 에워싸는 세라믹 재질의 애자와,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전도성 전극으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와 상기 애자 사이의 공극에는 SiO2 재질의 소호재가 충진되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estor (arreste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used as a low-voltage arrestor element f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ntenna and can be applied as an arrestor element for a next generation power protection transmission device alternative to ZnO. To a molybdenum arrester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of a power system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and improving the protection function of a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like.
The molybdenum arres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connected in series, a ceramic material insulato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a conductive electrode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respectively And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the insulator is filled with a soho made of SiO 2 .

Description

몰리브덴 아레스터{MoOx arreste}Molybdenum arrester {MoOx arreste}

본 발명은 아레스터(피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 등 통신기기용 저전압 아레스터 소자로서 활용 가능하고, ZnO 대체 차세대 전력보호전달 기기용 아레스터 소자로서 적용 가능성하며, 소자의 반영구적 특성에 의한 전력 계통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전압의 작동에 의한 통신장비 등의 보호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몰리브덴 아레스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estor (arrester),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used as a low-voltage arrestor element f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n antenna and can be applied as an arrestor element for a next-generation power protection transmission device alternative to ZnO. To a molybdenum arrester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of a power system due to low voltage operation and improving the protection function of a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like.

전력의 안전공급이 필수인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전력유통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경제성과 환경 조화의 관점에서 전력기기의 사용 환경이 더욱 엄격해지고 있고, 특히 기기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Electricity distribu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formation society where the safe supply of electric power is essential, and the use environment of electric power equipment is becoming more strict from the viewpoint of economic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harmony.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변전소 등의 전력 유통 설비의 용지가 지극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 빌딩 등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변전소 건설이 현재 검토,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소형화의 필요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다. Especially, in the urban area, since the paper of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such as substations is very limited, the construction of substations utilizing underground spaces such as large buildings is currently being reviewed and promoted. Especially, the necessity of miniaturization is increasing.

변전기기에서는 그 절연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피뢰기의 역할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The role of lightning arresters is of utmost importance in performing the insulation protection function in substation equipment.

지금까지 피뢰기 개발에 있어서는, 보호 특성을 향상시켜 변전기기의 소형화를 위한 성능향상의 관점과 피뢰기 자체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측면에서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Up to now, in the development of arrester, research and development have been made in terms of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miniaturization of substation equipment and improvement of miniaturization of arrester itself by improving protection characteristics.

최근, 변전소의 축소화를 위해, 절연성이 뛰어난 SF6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피뢰기의 소형화는 이러한 GIS용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당명과제이다.In recent years, a gas insulated switchgear (GIS) using SF6 gas excellent in insulation has been widely used for miniaturization of a substation,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lightning arrester is a particularly important task for such GIS use.

현재 피뢰 소자는 탄화규소(SiC)나 산화아연(ZnO)를 소재로 하는 비선형 저항 형과 전극 양단에서의 아크방전 열에 의해 전극표면으로부터 발생하는 고압가스에 의해 소호(消弧)를 하도록 하는 방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Currently, the lightning protection element is a non-linear resistance type using silicon carbide (SiC) or zinc oxide (ZnO) as a base material and an emission type that extinguishes by high pressure gas generated from the electrode surface by arc discharge heat at both ends of the electrode This is the mainstream.

또한, 종래의 통신 회로와 같은 약 전력 회로를 보호하려고 하면, 300V이하의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피뢰기가 요구된다. ZnO 방식의 피뢰소자를 저 전압에서 동작하는 소자에 적용하려면 정전용량이 크게 되어, 고주파 손실이 많은 단점이 있다. Further, if a weak power circuit such as a conventional communication circuit is to be protected, a lightning arrester operating at a low voltage of 300 V or less is required. Application of a ZnO-based light-emitting element to a device operating at a low voltag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apacitance is large and high frequency loss is large.

그래서, 종래에는 정전용량이 적은 기중 방전 갭 혹은 특수 가스를 주입한 방전관 등이 사용되어 왔다. Therefore, conventionally, a discharge tube having a small capacity discharge gap or a special gas injected therein has been used.

이들의 단점으로서는, 먼저 방전 갭 형의 경우, 300V라고 하는 매우 낮은 전압에서 방전해야하므로 양 전극간의 갭이 0.1mm 이하의 매우 짧은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데, 대 전류의 직격뢰에 의해서 전극이 용해되어 단락파괴로 이행하고 마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As a disadvantage of these, discharge gap type discharge must be performed at a very low voltage of 300 V, so that a gap between both electrodes should be kept at a very short distance of 0.1 mm or l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ition to short circuit breakdown is being raised.

가스주입 방전관의 경우, 직격뢰에서 가스구성이 변화되어 손상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배전 및 통신 설비의 경제성 운용을 위해서, 소형화가 용이하고, 직격뢰에 강하여 반영구적인데다, 정전용량이 작고, 응답 속도가 빠른 우수한 성능의 피뢰 소자 개발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gas injection discharge tub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gas composition is easily changed at a direct discharge lamp and is easily damage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and necessity for developing a lightning protection device having a small size, easy to miniaturize, strong against direct lightning, semi-permanent, small capacitance, and high response speed.

그런데, 현재 고압선로 측에는 ZnO 소자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나, 저압 선로의 경우, ZnO 소자의 사용이 어렵고, 국내에서는 아직 적합한 소자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currently, ZnO devices occupy the market in the high-voltage line side, but in the case of low-voltage lines, it is difficult to use ZnO devices and development of suitable devices has not yet been made in Korea.

한국 특허출원번호 : 제 1020080051990 호, 발명의 명칭, "고속응답 장수명 몰리브덴 아레스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출원인: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Korean Patent Application Number: No. 1020080051990, entitled " Molybdenum Arrester with Fast Response Ti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나노 산화물 구조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저가이면서 만들기 쉬운, 고효율의 MoOx 소자를 개발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develop a low-cost, easy-to-manufacture, high-efficiency MoOx device utilizing nano-oxide structure fabrication technology.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금속산화물 MoOx 소자는 금속 몰리브데늄의 표면을 전기 화학적으로 가열시켜 표면에 나노구조의 미세한 MoOx 피막을 형성시킨 MoOx/Mo 구조의 아레스터이다. For reference, the metal oxide MoOx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restor of a MoOx / Mo structure in which a surface of a metal molybdenum is electrochemically heated to form a nanostructured fine MoOx film on the surface.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몰레브덴 아레스터는 The molybdenum arres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직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과,A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connected in series,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을 에워싸는 세라믹 재질의 애자와,An insulator of ceramic material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전도성 전극으로 구비되며,And a conductive electrode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와 상기 애자 사이의 공극에는 SiO2 재질의 소호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the gap between the insulators are filled with an alumina material of SiO 2 .

본 발명의 경우, 안테나 등 통신기기용 저전압 아레스터 소자로서 활용 가능하고, ZnO 대체 차세대 전력보호전달 기기용 아레스터 소자로서 적용 가능성하며, 소자의 반영구적 특성에 의한 전력 계통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전압의 작동에 의한 통신장비 등의 보호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used as a low-voltage arrestor elem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n antenna and can be applied as an arrestor element for a next-generation power protection transmission device substituting for ZnO, and contributes to enhancement of stability of a power system due to the semi-permanent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tec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equipment by the operation of the low voltag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몰리브덴 아레스터의 소자의 일예이다.
도 2는 Si 기판위에 성장시킨 MoOx 박막의 SEM 사진이다.
도 3은 MoOx 박막의 XRD 사진이다.
도 4는 스퍼터링에 의해 얻어진 ZnO 박막의 기판 온도에 따른 XRD 특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스퍼터링에 의해 얻어진 SiO2 박막의 가스유량에 따른 XRD 특성을 나타낸다
도 6과 7은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얻어진 ZnO 박막의 SEM 관측결과로, 표면과 파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ZnO/SiO2/ZnO 박막을 형성하여 SEM 관측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스퍼터링에 의해 제작된 아레스터 소자의 직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아레스터 소자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과 12는 각각 샘플 A와 샘플 B의 임펄스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13과 14는 뇌 임펄스 시험 후, SEM으로 관측한 샘플 A의 표면사진과 확대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도 15는 절연파괴와 서지 전압에 대해 MoOx 아레스터의 표준 임펄스전압(8/20us)을 인가하여 얻어진 전류-전압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1 is an example of a device of a molybdenum arres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SEM photograph of a MoOx thin film grown on a Si substrate.
3 is an XRD photograph of a MoOx thin film.
4 shows the XRD characteristics of the ZnO thin film obtained by sputtering according to the substrate temperature.
5 shows the XR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as flow rate of the SiO 2 thin film obtained by sputtering
Figs. 6 and 7 are SEM observations of the ZnO thin films obtained by the sputtering method, showing the surface and the fractured surface, respectively.
8 shows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of the ZnO / SiO 2 / ZnO thin film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9 shows the D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arrestor element fabricated by sputterin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n arrestor element.
11 and 12 show the impuls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 and the sample B, respectively.
Figures 13 and 14 show a surface photograph and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sample A observed by SEM after the brain impulse test, respectively.
Fig. 15 shows the current-voltage waveform obtained by applying the standard impulse voltage (8/20us) of MoOx arrester against dielectric breakdown and surge voltag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몰리브덴 아레스터 소자의 일예이다.1 is an example of a molybdenum arreste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몰레브덴 아레스터는 직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과,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을 에워싸는 세라믹 재질의 애자와,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전도성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와 상기 애자 사이의 공극에는 SiO2 재질의 소호재가 충진되어 있다.1, the molybdenum arreste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connected in series, a ceramic material insulator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Respectively.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the insulator is filled with a soho made of SiO 2 .

본 발명의 아레스터 소자는 일반적인 가열법에 의해 제작된 MoOx 피뢰 소자 구조의 일예로, MoOx 피뢰 소자는 직렬로 접속된 특성 요소인 4개의 MoOx 소자가 세라믹 소재의 애자와 알미늄 전극으로 밀봉되어 있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arrestor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example of a MoOx element, which is manufactured by a general heating method. In the MoOx element, four MoOx elements, which are serially connected elements, are sealed with an insulator and an aluminum electrode of a ceramic material It consists of simple structure.

소자와 세라믹 애자 사이에는 속류 차단을 위해서 소호재(SiO2)가 채워져 있다. Between the device and the ceramic insulator is filled with SiO2 for blocking the flow.

직렬 갭 방식은, 갭 길이와 방전개시 전압과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므로, 갭 길이의 설정으로 인한 방전개시 전압의 조절이 가능하다. In the series gap system, since there is a cons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ap length and the discharge start volta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ischarge start voltage due to the setting of the gap length.

전극소재인 Mo는 융점은 높으나(2620℃),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열(600℃)에 의해 쉽게 탄화하는 특성도 겸비하고 있다. Molybdenum (Mo), which is an electrode material, has a high melting point (2620 ° C), but also has a characteristic of easily carbonizing by heat (600 ° C) when an overcurrent flows.

Mo의 산화 피막은 높은 절연성을 지닌 반도체적 성질을 가진다. Mo를 피뢰소자로서 적용할 경우, 종래의 다른 소자들과 비교할 때, 극미량의 전류로써 방전이 개시되고, Junction streamer 작용에 의해 뇌 서지 등에 의한 노이즈 침입에 대해서도 서지 전류를 신속히 통과시켜 응답 속도가 약 4ns 정도로, 종래의 20배 정도의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e oxide film of Mo has a semiconductor property with high insulation. When Mo is used as a surge suppression element, discharging is started with a very small amount of current as compared with other conventional elements, and surge current is quickly passed through noise surge caused by a surge of a brain due to a junction streamer action, Is about 4 ns, and is known to have a response speed as high as about 20 times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정전용량 또한 1.5-10㎊ 정도로써 통신 장비 등에도 적합하며, 방전내량이 20㎄ 이상으로 큰 절연 내력을 보유하고 있다. The capacitance is also about 1.5-10 써, which is suitable for communication equipments.

그리고, 산화 몰리브덴(MoO3) 피막은 절연 파괴/재생의 반복 능력이 우수하여, 서지 전압으로부터 발생된 에너지를 한순간 방출시키고, 속류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다.And, the molybdenum oxide (MoO3) coating has excellent repetitive ability of breakdown / regeneration of insulation, so that the energy generated from the surge voltage can be released momentarily and the flux can be quickly blocked.

보다 구체적으로 살명하면 다음과 같다.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금속산화물 MoOx 소자의 경우, 평상시에는 전극표면에 형성된 MoOx피막으로 인해 절연성이 유지되며, 전극 간의 정전용량 또한 무시할 만큼 작아서 정상전압이 대지로 흘러나가기 어렵고, 전압 또한 교란되지 않으며, 산화피막의 절연파괴전압은 산화피막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metal oxide MoOx device, the MoOx film formed on the electrode surface maintains the insulation property and the capaci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negligibly small, so that the steady voltage is hardly discharged to the ground, the voltage is not disturbed, The voltage is freely adjustabl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예를 들어, 정상전압을 250V로 설정하고, 10kV 정도의 이상전압이 MoOx 소자에 인가되었다고 하면, 이상전압 10kV는 산화막의 설정치 전압 250V보다 훨씬 고전압이므로, 그림과 같이 나노구조의 절연막 중에 도통하기 쉬운 부분을 집중적으로 통과하여 대지로 흘러나간다. For example, if a normal voltage is set to 250V and an abnormal voltage of about 10kV is applied to the MoOx device, the abnormal voltage of 10kV is much higher than the set voltage of 250V of the oxide film, It passes through the part intensively and flows to the earth.

이때 접촉부가 과열되면서 산화막의 두께는 증가하여, 그 지점의 절연내압이 재 상승하면, 절연내압이 낮은 다른 포인트로 위치를 계속 변경해 가면서 반복적으로 아레스터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정상전압에 의한 전류의 누출은 차단하고, 낙뢰 등과 같은 큰 충격파 전류는 순간적으로 대지로 방류시키면서, 다시 절연성을 회복하는, 소위 반복동작이 가능한 반 영구적 아레스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contact portion is overheated,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increases, and when the dielectric strength of the point rises again, the arrester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position to another point with low dielectric strengt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o-called repetitive semi-permanent arrestor function in which leakage of current due to a normal voltage is blocked and a large shock wave current such as a lightning stroke is instantaneously discharged to the earth and the insulation property is restored again.

[[ MoOxMoOx 의 물성 분석 결과]Results of physical property analysis]

본 발명에서는 먼저 아레스터의 핵심소자인 MoOx 박막의 표면특성을 조사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oOx thin film, which is a core element of Arrestor, were investigated.

도 2는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Si 기판위에 성장시킨 MoOx 박막의 SEM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2 is a SEM photograph of a MoOx thin film grown on a Si substrate using a sputtering apparatus.

본 발명에서는 MoOx 박막을 얻기 위해, 가스 압력 8 mTorr, 고주파 RF 전력 400W, 아르곤-산소 혼합비율 5%, 기판온도 300, 증착시간 60분으로 최적화된 공정조건에서 제작되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Ox thin film was fabricated under optimized process conditions at a gas pressure of 8 mTorr, a high frequency RF power of 400 W, an argon-oxygen mixing ratio of 5%, a substrate temperature of 300, and a deposition time of 60 minutes.

MoOx 층의 두께는 20~22um였고, 기판의 온도와 반응도는 박막의 구조 및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thickness of the MoOx layer was 20 ~ 22 urn, and the temperature and reactivity of the substrate greatly affected the structure and growth of the thin film.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산소분압에 따른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MoOx 박막의 특성을 조사해보았으나, 박막의 물성적인 특성에 큰 변화는 없었다.
In reactive sputt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oOx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depending on the oxygen partial pressur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hin films.

도 3은 MoOx 박막의 XRD 사진이다.3 is an XRD photograph of a MoOx thin film.

박막의 결정 성장 배향이 기판의 온도에 따라 (100)면에서 (210)면으로 변하였다. The crystal growth orientation of the thin film changed from the (100) plane to the (210) plane depending on the substrate temperature.

이러한 변화는 기판 온도에 따라 박막의 결정성장이 제어됨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 growth of the thin fil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ubstrate temperature.

그리고 기판의 온도를 400까지 상승시키면 박막의 부착력 및 구조적인 특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최적의 기판온도는 400이었다.
And, if the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is increased up to 400, the adhesion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hin film can be improved. The optimal substrate temperature in this experiment was 400.

본 발명에서는 몰리브덴 산화막에 대한 XPS 분석도 행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XPS analysis was also performed on the molybdenum oxide film.

표 1은 Mo3d와 O1s의 XPS의 스펙트럼을 보여 주고 있다. Table 1 shows the XPS spectra of Mo3d and O1s.

성분ingredient 결합 에너지Bonding energy 밀도비Density ratio
표 면

surface
Mo(3d)Mo (3d) 228.9/232.4228.9 / 232.4 21.621.6
O(1s)O (1s) 532.6532.6 76.276.2 C(is)C (is) 292.6292.6 2.22.2
10nm 깊이

10 nm depth
Mo(3d)Mo (3d) 228.3/231.5228.3 / 231.5 26.126.1
O(1s)O (1s) 534534 73.973.9 C(is)C (is) -- --

표 1은 XPS의 분석에 따라 얻어진 각 성분의 스펙트럼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Mo3d 광전자의 두 개의 피크들은 결합 에너지가 228.9eV와 232.4eV임을 나타내며, O1s 피크의 결합 에너지는 532.6eV이었다. Table 1 shows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obtained by XPS analysis. The two peaks of the Mo3d photoelectron indicate that the binding energies were 228.9 eV and 232.4 eV, respectively, and the binding energy of the O1s peak was 532.6 eV.

표면의 탄소(C1s)의 피크는 결합 에너지가 약 292.6eV이었다. 이는 XPS 분석에서 흔히 나타나는 일반적 특성이다. The peak of carbon (C1s) on the surface was about 292.6 eV in binding energy.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is common in XPS analysis.

결합 에너지 292.6eV에서의 C1s 피크는 박막의 표면에서 매시간 얻어졌다. 이러한 피크는 XPS의 측정 과정에서 대기 중에 시료가 노출되면서 탄소 성분이 표면에 흡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The C1s peak at the bond energy of 292.6 eV was obtained hourly at the surface of the thin film. These peaks appear to be due to the adsorption of carbon onto the surface as the sample is exposed in the atmosphere during the XPS measurement.

몰리브덴과 산소의 농도비율은 표면 층에서 21.6:76.2이었고, 10nm 깊이에서는 26.1:73.9 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양호한 박막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The concentration ratio of molybdenum and oxygen was 21.6: 76.2 in the surface layer and 26.1: 73.9 in the 10 nm depth.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a good thin film was obtained.

[종래의 [Conventional ZnOZnO Wow SiOSiO 22 에 대한 물성분석 결과]Results of physical properties analysis for

종래의 아레스터 소재인 ZnO와 SiO2와의 성능 비교를 위해 스퍼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Si 기판위에 성장시킨 ZnO와 SiO2박막을 제작하여 제반 물성 특성을 관측하고 MoOx 와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 2는 박막의 제작조건을 정리한 것이다.In order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ZnO and SiO 2 , ZnO and SiO 2 thin films grown on a Si substrate were prepared by sputtering. Table 2 summarizes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thin film.

TargetTarget ZnO (99.99%)ZnO (99.99%) SiO2 (99.99%)SiO 2 (99.99%) Ar-O2 Pressure (m Torr)Ar-O 2 Pressure (m Torr) 2020
Rate (sccm)

Rate (sccm)
ArAr 10~5010 to 50
O2 O 2 1010 T-S Distance (mm)T-S Distance (mm) 50(constant)50 (constant) RF Power (W)RF Power (W) 400400 Sputtering time (min)Sputtering time (min) 3030 Substrate temperature (℃)Substrate temperature (℃) room temperature~700room temperature ~ 700 SubstrateSubstrate p-Si(100),Quartz glassp-Si (100), Quartz glass

도 4는 스퍼터링에 의해 얻어진 ZnO 박막의 기판 온도에 따른 XRD 특성을 나타낸다. 4 shows the XRD characteristics of the ZnO thin film obtained by sputtering according to the substrate temperature.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 가열온도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t can be seen that a large difference occurs depending o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ubstrate.

상온에서 얻어진 박막은 피크가 작고 완만한 특성을 보여 아몰퍼스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The thin film obtained at room temperature had a small peak and a gentle characteristic, indicating that it had amorphous characteristics.

이에 비해, 기판 온도가 높을수록 (002) 피크가 성장하며, 300 에서부터 뚜렷한 피크가 나타나서 결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as the substrate temperature is higher, the (002) peak grows and a sharp peak appears from 300 and crystallize.

도 5는 스퍼터링에 의해 얻어진 SiO2 박막의 가스유량에 따른 XRD 특성을 나타낸다. 5 shows the XR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as flow rate of the SiO 2 thin film obtained by sputtering.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Ar 가스만을 사용하여 제작한 경우, 스퍼터 율이 상승하면서 박막의 두께가 증가하고 결정성이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using only Ar gas,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increases and the crystallinity tends to deteriorate as the sputter rate increases.

따라서 박막의 피크가 작고 완만한 특성을 보여 아몰퍼스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hin film has a small and gentle characteristic and shows an amorphous structure.

이에 비해, 반응성 가스(O2)를 도입하여 박막을 제작한 경우, 산소분압이 높을수록 결정성이 향상되며, Ar과 O2의 분압비가 1:1일 때, 결정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In contrast, when a thin film was prepared by introducing a reactive gas (O 2 ), the higher the oxygen partial pressure, the better the crystallinity. When the partial pressure ratio of Ar and O 2 was 1: 1, the crystallinity was the best.

도 6과 7은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얻어진 ZnO 박막의 SEM 관측결과로, 표면과 파단면을 각각 나타낸다. Figs. 6 and 7 are SEM observations of the ZnO thin films obtained by the sputtering method, showing the surface and the fractured surface, respectively.

도 4의 XRD 결과에서 예측할 수 있듯이, 상온과 기판온도 300 의 경우를 비교하면, 기판온도 300의 박막에서 결정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XRD results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linity is increased in the thin film having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300 by comparing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substrate temperature of 300.

결정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서지전류가 흘렀을 경우, 내부 결정립사이의 간극에서 아크방전 등에 의한 소호능력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The increase in crystallinity means that the ability to extinguish by arc discharge is improved in the gap between the internal crystal grains when the surge current flows.

도 8은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ZnO/SiO2/ZnO 박막을 형성하여 SEM 관측한 결과를 나타낸다. 8 shows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of the ZnO / SiO 2 / ZnO thin film formed by the sputtering method.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ZnO 박막의 경우 1.4㎛의 두께를 나타내었으며, SnO2 박막의 경우 300nm로 나타났다. 이 방식에 의하면, 서지 대 전류가 흘렀을 경우, 반도체인 ZnO 층을 통과한 대 전류는 절연 층인 SiO2 층을 터널효과로 통과하여 대지로 소호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As can be seen from FIG. 8, the thickness of the ZnO thin film was 1.4 μm, and that of the SnO 2 thin film was 300 nm. According to this method, when a surge current flows, a large current passed through the ZnO layer, which is a semiconductor, passes through the SiO 2 layer, which is an insulating layer, through the tunnel effect, and exerts its effect on the ground.

비록 SiO2 층이 절연내력이 뛰어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그림과 같이 nm 범위로 박막의 두께가 극소화되면 터널효과로 인해 대 전류가 절연 층을 통과하여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지전류를 소호하고 계통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ZnO/SiO2/ZnO 박막의 제작조건은 표 3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Although the SiO 2 layer has excellent dielectric strength, when the thickness of the thin film is minimized in the nm range as shown in the figure, a large current flows through the insulating layer due to the tunnel effect. In this process, the surge current can be suppressed and the system can be protected. The fabrication conditions of the ZnO / SiO 2 / ZnO thin film are summarized in Table 3.

박막구조Thin film structure 스퍼터링 조건Sputtering conditions
ZnO/SiO2/ZnO

ZnO / SiO2 / ZnO
ZnO(1)ZnO (1) 타겟: ZnO 화합물, 4-inch 직경
가스 : Ar+02, 20mTorr,RF전력:400W, Si 기판온도: 700℃
Target: ZnO compound, 4-inch diameter
Gas: Ar + 02, 20 mTorr, RF power: 400 W, Si substrate temperature: 700 캜
ZnO(2)ZnO (2) 타겟: ZnO 화합물, 4-inch 직경
가스 : Ar+02, 20mTorr,RF전력:400W, Si 기판온도: 700℃
Target: ZnO compound, 4-inch diameter
Gas: Ar + 02, 20 mTorr, RF power: 400 W, Si substrate temperature: 700 캜

[[ ZnOZnO // SiOSiO 22 // ZnOZnO 방식의 비선형성 결과] Nonlinearity result of method]

도 9는 스퍼터링에 의해 제작된 아레스터 소자의 직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9 shows D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arrestor element fabricated by sputtering.

상부전극에 정극성과 부극성을 인가하였을 때, 전압-전류 특성에서 비선형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t can be seen that nonlinearity is exhibited in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when positive polarity and negative polarity are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아레스터가 이상전압과 전류를 어떤 형태로 통과시키는가에 대한 여러 이론들이 있으나, 실험결과로부터 현재 정설로 알려진 이론은 이중 소트키 장벽 모델이다. There are various theories about how the arrestor passes the abnormal voltage and current, bu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theory known as the orthodox is the dual sort key barrier model.

ZnO/SiO2/ZnO 접합구조의 아레스터에서 양극성 방향에서 비선형 특성을 보임으로써 2중 쇼트키 장벽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arrester of ZnO / SiO 2 / ZnO junction structure, nonlinear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he bipolar direction, indicating that a double Schottky barrier is formed.

ZnO에 첨가된 첨가물에 의해 결정입계에 다수의 준위가 형성되며, 이들 준위에 포집된 전자의 전하보상을 위해 2중 쇼트키 장벽이 형성된다.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일부 전자는 여기되어 이 장벽을 넘어간다. A number of levels are formed in crystal grain boundaries by additives added to ZnO, and a double Schottky barrier is formed to compensate the charge of the electrons collected at these levels.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device, some electrons are excited and cross this barrier.

장벽을 넘어간 전자의 에너지를 가전자대에 있는 전자가 받아서 여기되면, 가전자대에 정공이 형성된다. 이 정공들이 이동해서 계면준위에 있는 전자와 결합하여 장벽이 낮아진다. 이로 인해 전류가 급격히 흐르게 된다. When the electrons in the valence band receive the energy of the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barrier, holes are formed in the valence band. These holes move and combine with the electrons at the interface level to lower the barrier. This causes the current to flow rapidly.

한편 극성방향에 따라 비대칭으로 나타난 도 9의 실험결과로부터 비 대칭성의 원인으로서 첫 번째 ZnO 박막과 두 번째 ZnO 박막의 도너 밀도의 차이에 기인된 것을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9 showing asymmetry according to the polarity direc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eason for the asymmetry is due to the difference in donor density between the first ZnO thin film and the second ZnO thin film.

[[ MoOxMoOx 아레스터Aristarch 박막소자의  Thin film device 임펄스Impulse 성능 테스트 결과] Performance Test Results]

본 발명에서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제작된 MoOx 박막형 아레스터에 8/20㎛ 표준 임펄스 전압을 여러 차례 인가하여 전류-전압 특성 및 여 수명 평가를 수행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and lifetime evaluation were performed by applying a standard impulse voltage of 8/20 占 퐉 several times to the MoOx thin film type arrester manufactured by the sputtering method.

표준 임펄스 전압은 서지 시험기를 사용하여 발생시켜, 오실롯그코프 및 컴퓨터로 파형을 관측하였다. The standard impulse voltage was generated using a surge tester, and waveforms were observed with an oscilloscope and a computer.

도 10은 아레스터 소자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평가에 사용된 MoOx 아레스터의 제작 조건은 표 4에 나타내었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n arrestor element, and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MoO.sub.x arrestor used in the evaluation are shown in Table 4.

샘플 ASample A 샘플 BSample B 타겟 target MoOxMoOx MoOxMoOx Ar-O2 압력 (mTorr)Ar-O 2 pressure (mTorr) 2020 2020 가스 유량 (Ar:O2)Gas flow rate (Ar: O 2 ) 40:440: 4 40:440: 4 타겟-기판 거리 (mm) Target-substrate distance (mm) 100100 100100 RF 전력 (W) RF power (W) 400400 400400 기판 온도 (℃) Substrate temperature (캜) 600600 600600 기판 재질 Substrate Material MoMo MoMo 스퍼터 시간 (min) Sputter time (min) 120120 6060 가열 온도 (℃) Heating temperature (℃) R. T.R. T. 600600 가열 시간 (min) Heating time (min) 00 3030 마스킹 Masking OO XX

도 11과 12는 각각 샘플 A와 샘플 B의 임펄스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11 and 12 show the impuls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 and the sample B, respectively.

그림 13과 14는 뇌 임펄스 시험 후, SEM으로 관측한 샘플 A의 표면사진과 확대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Figures 13 and 14 show a surface photograph and an enlarged photograph of the sample A observed by SEM after the brain impulse test, respectively.

8/20㎛ 표준 임펄스 대전류 시험전에 소자간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샘플 A와 샘플 B는 절연상태임을 확인하였다. 8/20 탆 standard impuls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esistance between devices before the high current test, it was confirmed that Sample A and Sample B were in an insulated state.

샘플 A는 인가전압 900V에서 동작을 시작하였으며, 시험 직후의 절연특성을 측정한 결과 절연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mple A was operated at an applied voltage of 900 V, and the insulation properties were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tes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ulation properties remained unchanged.

그 후, 인가전압을 900V에서 20회 시험을 진행하였고, 시험 후 소자의 절연특성을 조사한 결과, 절연성이 큰 변화없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after, the test was conducted 20 times at an applied voltage of 900 V, and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the device after the test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ulation property was maintained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

샘플 B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가전압 700V에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20회 임펄스 시험을 실시한 후 절연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절연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Similarly, in the case of Sample B, a current started to flow at an applied voltage of 700 V, and after 20 times impulse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insulation property was maintained as it was.

동작 원리상 임펄스 전압이 인가되면 MoOx 입자 간의 마이크로 갭에서 갭 방전이 발생하여 대 전류가 소호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principle, when the impulse voltage is applied, a gap discharge occurs in the micro gap between the MoOx particles, and the large current is determined to be extinguished.

제작된 아레스터 소자는 시험결과 절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1회성이 아닌 다수의 소호 동작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s a result of the test, the produced arrestor element maintains its insulation property.

도 15는 2013년도 5월 기초전력공동연구원에서 실시한 절연파괴와 서지 전압에 대해 MoOx 아레스터의 표준 임펄스전압(8/20us)을 인가하여 얻어진 전류-전압 파형을 보여주고 있다. Fig. 15 shows the current-voltage waveform obtained by applying the standard impulse voltage (8/20us) of the MoOx arrester to insulation breakdown and surge voltage conducted by the Institute of Basic Electricity, May 2013.

광전자 증배관으로 부터 얻어진 발광 신호는 절연파괴 시 발생하는 아-크 방전이 서지 전압으로 인해 MoOx 소자 시료 내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It was found that the light emission signal from the photomultiplier tube occurred in the MoOx element sample due to the surge voltage generated during the insulation breakdown.

서지 전압으로 방전시험은 연속적으로 10회 수행되었다. Discharge tests with surge voltage were performed 10 times continuously.

전류-전압 특성곡선으로부터, 400V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시료의 초기 및 평균 저항치는 각각 1.4MO과 800kO이었다.
From the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 curve, initial and average resistance values of the samples were 1.4 and 800 kOV, respectively, when a voltage of 400 V was applied.

다음, 표 5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몰리브덴 박막 피뢰소자 시료(A)와 열처리된 산화몰리브덴 박막 피뢰소자 시료(B)을 제작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이다. Next,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experiment in which a molybdenum oxide thin-film transmission element sample (A) without heat treatment and a heat-treated molybdenum oxide thin-film transmission element sample (B) were produced.

실험조건Experimental conditions 시료 ASample A 시료 BSample B

Ar/O2(10%)




Ar / O 2 (10%)


기판온도Substrate temperature 상 온A constant temperature 400℃400 ° C
압 력pressure 18 mTorr18 mTorr 18 mTorr18 mTorr RF전력RF power 600 W600 W 600 W600 W 증착거리Deposition distance 60 분60 minutes 60 분60 minutes 기판거리Substrate distance 100 mm100 mm 100 mm100 mm MN fieldMN field 5°/ 분5 ° / min 5°/ 분5 ° / min

두 시료의 절연 상태는 실험 전에 확인하였으며, 반복동작 상태는 시료(A)에 비해 시료(B)가 우수하였다. The insulation state of the two samples was confirm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repeated operation was superior to the sample (A).

이것은 열처리된 MoOx 소자의 갭 사이에 다수의 방전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a plurality of discharge paths are formed between the gaps of the heat-treated MoOx devices.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연구에서 제작된 MoOx 박막은 아레스터 응용의 관점에서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MoOx thin film prepared in this study is very useful from the viewpoint of the application of the arrestor.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아레스터에의 적용을 위해 MoOx 박막을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제작하였다. Consequent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Ox thin film was formed by sputtering for application to arrestor.

MoOx 박막에 대해서 XPS 및 SEM 분석 등을 통하여 기본 물성들이 조사한 결과, 스퍼터링 장치로 MoOx 박막의 양호한 균일도 ±0.26%가 얻어졌다. MoOx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through XPS and SEM analyzes. As a result, good uniformity of MoOx thin film was obtained by sputtering device of ± 0.26%.

MoOx 박막의 발광, 전압, 전류, 저항치 등은 표준 임펄스전압(8/20us)을 인가한 상태에서 MoOx 박막의 갭 길이를 조정하면서 측정한 결과, 400V의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MoOx 소자의 초기 및 평균 절연 저항치는 각각 1.4MO과 800㏀이었다. The emission, voltage, current, and resistance values of the MoOx thin film were measured while adjusting the gap length of the MoOx thin film with a standard impulse voltage (8 / 20us) applied. As a result, The average insulation resistance values were 1.4 MO and 800 K OMEGA, respectively.

MoOx 박막의 증착결과로, 스퍼터링 방식은 균일한 반응성 박막형성에 매우 유용한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the deposition of the MoOx thin film, it was confirmed that the sputtering method is a very useful system for forming a uniform reactive thin fil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ZnO의 대체 재료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몰리브덴(Mo) 소재에 주목하여, 상기의 요구 사항들에 대응 가능하고 보다 소형화된 박막형의 차세대 피뢰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ttention has been paid to molybdenum (Mo) material,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substitute material of ZnO, and a thin film type next generation lightning preven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hich can meet the above requirements and is further downsized has been proposed.

또한, 반응성 RF 스퍼터링에 의한 박막 갭형 MoO3소자를 제작하고, MoO3 피뢰 소자의 물성적 특성과 박막 제작과정의 열처리 공정에 따른 특성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We also fabricated thin film gap type MoO3 devices by reactive RF sputtering, and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O3 el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nealing process in the thin film fabrication process.

그리고 전류-전압 측정, 표면분석 그리고 ZnO와의 비교 실험 등을 통해, Mo 피뢰소자의 전기 물성적 특성에 대해 분석, 평가하였다.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Mo element are analyzed and evaluated by current - voltage measurement, surface analysis and comparison with ZnO.

Claims (1)

직렬로 접속된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과,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을 에워싸는 세라믹 재질의 애자와,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커버하는 전도성 전극으로 구비되며,
상기 산화 몰리브덴은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되고 소정 온도에서 열처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산화 몰리브덴와 상기 애자 사이의 공극에는 SiO2 재질의 소호재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 몰레브덴 아레스터.
A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connected in series,
An insulator of ceramic material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a conductive electrode cover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The molybdenum oxide is formed by sputtering and is formed by heat treatmen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Wherein a plurality of molybdenum oxides and a gap between the insulators are filled with an alumina material of SiO 2 .
KR1020140063182A 2013-05-27 2014-05-26 MoOx arreste KR10156962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607 2013-05-27
KR20130059607 2013-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434A KR20140139434A (en) 2014-12-05
KR101569624B1 true KR101569624B1 (en) 2015-11-16

Family

ID=5245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82A KR101569624B1 (en) 2013-05-27 2014-05-26 MoOx arre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62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7161A (en) * 2004-03-25 2005-10-06 Sanyo Electric Industries Co Ltd Lightning arre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7161A (en) * 2004-03-25 2005-10-06 Sanyo Electric Industries Co Ltd Lightning arr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434A (en) 2014-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4490A (en) Method of fabricating stabilized threshold switching material
CN104335353B (en) Thin film transistor (TFT)
Li et al. Improvement of surface flashover performance in vacuum of ABA insulator by adopting ZnO varistor ceramics as layer A
CN103022220B (en) Photoconductive switch high in withstand voltage and low in on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Nahm Electr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praseodymium oxide-based ZnO varistor ceramics doped with Er2O3
Meng et al. Tailoring electrical properties of multiple dopant-based ZnO varistor by doping with yttrium, gallium, and indium
CN108885929A (en) Ceramic material, varistor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eramic material and varistor
KR101569624B1 (en) MoOx arreste
JP2009117735A (en) Antistat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2977498U (en) Photoconductive-semiconductor switch structure
KR100714115B1 (en) Abrupt MIT device, circuit for removing high voltage noise adapting the same device, and electrical and electronic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rcuit
Park Effect of Al2O3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ZnO-Pr6O11-based varistor ceramics
Nahm Effect of La 2 O 3 addition on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ZnO-Pr 6 O 11-based varistor ceramics
Meng et al. High voltage gradient zinc oxide varistors for line surge arresters and GIS tank-type arresters
KR2010001816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tection devices for esd prevention and the protection devices
NZ207972A (en) Electrical insulators of coated glass or porcelain
Nahm Influence of CoO on stability of nonlinear electrical properties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in Pr6O11-based ZnO varistor ceramics
Meng et al. Novel ZnO Varistors for Dramatically Improving Protective Effect of Surge Arresters
JPH0992429A (en) Surge absorbing element
Meng et al. Excellent electrical properties of zinc-oxide varistors by tailoring sintering process for optimizing line-arrester configuration
Lei et al. Improving insulating performance of alumina ceramic in vacuum through surface modification
WO1990000827A1 (en)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Liu et al. The AC aging characteristics of high voltage gradient ZnO varistors doped with different content of Bi 2 O 3
Berdnikov et al. Conductivity switching effect in MIS structures with silicon-based insulators, fabricated by low-frequency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s
Sudarshan et al. High field effects in high resistivity silicon carbide in lateral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