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43B1 -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143B1
KR101569143B1 KR1020140093236A KR20140093236A KR101569143B1 KR 101569143 B1 KR101569143 B1 KR 101569143B1 KR 1020140093236 A KR1020140093236 A KR 1020140093236A KR 20140093236 A KR20140093236 A KR 20140093236A KR 101569143 B1 KR101569143 B1 KR 10156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ear
power
flow rat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춘행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09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 공정에 이용되는 집진 설비에 설치되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 내부의 유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타입(diaphragm type)의 가스 유량 조절부와; 상기 가스 유량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상기 유량에 의하여 발전하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덕트 내부에 흐르는 유량을 제어하면서도 유속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 장치{Electric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 공정, 특히 제철소 작업 공정 중 용강을 만드는 과정 등에서 분진 및 퓸(Fume)을 포집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집진 설비에 설치되며, 상기 집진 설비에 의해서 수집되는 집진 가스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강 조업 과정 중에 산화 환원 반응이 진행되면서 화염과 일산화탄소(CO) 가스가 발생되며, 그에 따라 제강 조업 및 제철소 용강을 취급하는 개소에는 집진 설비가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가동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집진 설비(10)는 정련로 집진기(11), 전기로 집진기(12), 열교환기(13), 믹싱 챔버(Mixing Chamber, 14), 필터(15), 댐퍼(16), 팬(17), 스택(Stack, 1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집진 설비(10)의 각 구성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9)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집진 설비(10)는 포집 작업 후 이동된 공기 또는 집진 가스 등을 스택(18)으로 방출하게 한다.
현재, 포집 작업 후 이동된 공기 또는 집진 가스를 이용하여 재생 에너지를 확보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479호인 '배출공기로 재생에너지 전기를 생산하도록 풍력발전장치가 일체된 풍력발전집진기'가 있다.
상기 배출공기로 재생에너지 전기를 생산하도록 풍력발전장치가 일체된 풍력발전집진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입자상 물질을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기계적 공기를 이용하여 후드에서 포집한 후 덕트를 통해 공기와 함께 집진기(21) 내부로 이송시켜 공기와 분리시키고 분리된 공기를 이용하여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며, 회전날개(22)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기(23)를 구동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제강 조업 과정에 이용되는 집진 설비(10)의 경우 덕트 내부의 유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바, 상기 풍력발전집진기(20)를 이용하기 어려우며 설사 상기 풍력발전집진기(20)를 이용하더라도 덕트(19) 내부의 유량을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진 설비의 덕트 내부의 유량을 조절하면서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생산 공정에서 발생된 집진 가스를 이용한 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 가스가 유통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제공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진 가스를 매개로 발전토록 구성되되, 상기 덕트에 제공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상기 집진 가스 유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타입(diaphragm type)의 가스 유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발전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유량 조절부는,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이 조절되게 작동하는 조리개부; 및 상기 조리개부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일영역이 상기 덕트의 외부로 노출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개부는 받침판과, 상기 조절 기어의 회동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판과 상기 조절 기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 각각에는 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일측은 상기 받침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기어는 상기 핀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며, 상기 조절 기어의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날개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 기어는 외측 둘레에 형성된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치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 기어를 동작하게 하는 조리개 조절 레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부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하는 전력 장치; 및 상기 전력 장치와 상기 임펠러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동력을 상기 전력 장치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는 덕트 내부에 흐르는 유량을 제어하면서도 유속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 내부에 흐르는 유량은 조리개 타입의 가스 유량 조절부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출공기로 재생에너지 전기를 생산하도록 풍력발전장치가 일체된 풍력발전집진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의 가스 유량 조절부와 임펠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유량 조절부의 조리개부와 조절 기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유량 조절부의 조리개부와 조절 기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유량 조절부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는 필터(15)와 팬(17) 사이에 설치되어 덕트(19) 내부에 흐르는 집진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면서도 유속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용강 취련, 고로 용선 제조 과정, 전기로 용해 작업 등에 이용되는 집진 설비에 있어서, 덕트(19)의 후단측에 제강 작업 중 발생하는 산화 반응 과정에서 일산화탄소(CO) 가스가 발생되며, 상기 가스를 포집하는 과정에서 덕트(19) 내부에는 강한 유속이 흐르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는 덕트(19) 내부에 흐르는 집진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면서도 강한 유속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는 덕트(19)에 설치되는 조리개 타입(diaphragm type)의 가스 유량 조절부(100)와 발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9)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스 유량 조절부(100)는 본체(110), 조절 기어(130), 조리개 조절 레버부(150) 및 조리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9)에 연결되어 덕트(19)를 통하여 이동하는 가스가 발전부(200)로 이동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본체(1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절 기어(130)와 조리개부(170)는 본체(110)에 설치되며, 조절 기어(130)의 회동에 따라 조리개부(170)가 동작하여 상기 가스의 유량을 조절한다.
조절 기어(130)는 조리개부(170)가 본체(110) 내부를 개폐하는 동작을 조절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조절 기어(130)의 일영역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조리개부(170)의 개폐 동작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조절 기어(1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천공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132)에는 후술되는 날개(172)에 설치되는 핀부재(173)의 일측이 삽입된다. 그에 따라, 조절 기어(130)의 회동시 날개(172)가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 기어(130)의 외측 둘레에는 기어치(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기어치(131)는 조절 기어(130)의 회동의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조리개 조절 레버부(150)는 조절 기어(130)의 회동을 조절한다.
조리개 조절 레버부(150)는 부채꼴 부재(151), 기어치(152) 및 레버(153)를 포함할 수 있다.
부채꼴 부재(151)의 기어치(152)는 조절 기어(130)의 기어치(131)에 형합한다. 그에 따라, 부채꼴 부재(151)의 회동에 따라 조절 기어(130)의 회동 범위는 조절된다.
레버(153)는 부채꼴 부재(15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레버(153)를 이용하여 부채꼴 부재(151)의 회동 범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부(170)는 받침판(171), 날개(172) 및 날개(172)가 회동할 수 있도록 날개(172)에 설치되는 핀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받침판(171)은 판상에 다수의 유선형의 날개(172)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용돌이 형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핀부재(173)로 연결되어 있고, 조절 기어(130)는 상기 날개 받침대(15)와 같은 환형으로 되어 있으며 판상에 상기 날개(172)의 일측에 돌출된 핀부재(17)가 삽입될 수 있는 천공부(132)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용돌이 형상으로 상기 날개(172)의 수만큼 천공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받침판(171)에 연결된 다수의 날개(172)의 일측으로 돌출된 핀부재(173)가 조절 기어(130)의 천공부(132)에 삽입되고, 받침판(171)과 조절 기어(130)가 포개어져 결합된 후 본체(110)에 설치됨으로써 가스 유량 조절부(1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스 유량 조절부(1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환형의 받침판(171)의 판상에 다수의 유선형으로 된 날개(172)가 핀부재(173)에 의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조절 기어(130)에 형성된 다수의 천공부(132) 각각에 날개(172)의 일측으로 돌출된 핀부재(173)가 하나씩 삽입됨으로써 조절 기어(130)와 받침판(171)이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가스 유량 조절부(100)의 조절 기어(130)가 회동되면 받침판(171)에 연결된 다수의 날개(172)가 조절 기어(13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원리에 의해, 덕트(19)에 설치되는 가스 유량 조절부(100)에 의하여 유량이 조절된다.
즉, 조절 기어(130)가 일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9) 내의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날개(172)가 원심방향으로 소용돌이처럼 회전하게 되고 상기 다수의 날개(172)가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카메라 렌즈의 조리개와 같이 움직임으로써 유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날개(172)의 회전 반경을 최대로 하여 유로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로 유량의 증가하기 위해서는 조절 기어(130)를 타 방향으로 움직여 날개(172)를 원심방향의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써, 유로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171)에 연결된 다수의 날개(172)는 조리개 타입으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가스와 날개(172)가 접촉하는 부분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어 가스의 양은 균일하게 토출이 된다.
결론적으로, 가스 유량 조절부(100)는 카메라 렌즈의 조리개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유량을 조절하면서도 가스가 균일하게 토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조절 기어(130)와 받침판(171)으로 결합된 가스 유량 조절부(25)는 카메라 렌즈의 조리개처럼 작동되기 때문에 토출 유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한편, 발전부(200)는 임펠러(210), 동력 전달부(220) 및 전력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량 조절부(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가스 유량 조절부(100)를 통과한 집진 가스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임펠러(210)의 회전력은 임펠러(210)의 축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230)에 의하여 전력 장치(230)로 전달된다. 여기서, 동력 전달 장치(230)는 베벨 기어와 같은 기어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장치(230)는 임펠러(21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 장치(1)는 가스 유량 조절부(100)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토출되는 집진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고, 상기 집진 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발전 장치 10 : 집진 설비
18 : 스택(stack) 19 : 덕트
100 : 가스 유량 조절부 110 : 본체
130 : 조절 기어 150 : 조리개 조절 레버부
170 : 조리개부 171 : 받침판
172 : 날개 173 : 핀부재
200 : 발전부 210 : 임펠러
220 : 동력 전달부 222 : 전력 장치

Claims (8)

  1. 생산 공정에서 발생된 집진 가스를 이용한 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 가스가 유통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 제공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상기 집진 가스를 매개로 발전토록 구성되되,
    상기 덕트에 제공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상기 집진 가스 유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타입(diaphragm type)의 가스 유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 유량 조절부는,
    상기 덕트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이 조절되게 작동하는 조리개부; 및
    상기 조리개부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일영역이 상기 덕트의 외부로 노출되며,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는,
    받침판과;
    상기 조절 기어의 회동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상기 받침판과 상기 조절 기어의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각각에는 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일측은 상기 받침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기어는
    상기 핀부재의 타측이 삽입되며, 상기 조절 기어의 회전할 때 상기 다수의 날개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기어는 외측 둘레에 형성된 기어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치와 연결되어 상기 조절 기어를 동작하게 하는 조리개 조절 레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하는 전력 장치; 및
    상기 전력 장치와 상기 임펠러의 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동력을 상기 전력 장치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장치.
KR1020140093236A 2014-07-23 2014-07-23 발전 장치 KR10156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36A KR101569143B1 (ko) 2014-07-23 2014-07-23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236A KR101569143B1 (ko) 2014-07-23 2014-07-23 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143B1 true KR101569143B1 (ko) 2015-11-13

Family

ID=5461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236A KR101569143B1 (ko) 2014-07-23 2014-07-23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1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055B1 (ko) * 2002-07-1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KR100500709B1 (ko) * 2002-01-03 2005-07-11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709B1 (ko) * 2002-01-03 2005-07-11 박길준 배출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KR100463055B1 (ko) * 2002-07-19 2004-1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40723B (zh) 一种扫风机构及其空调器
JP4682230B2 (ja) 風力発電用ブースター風車風洞体
CA2787509A1 (en) Low-profile power-generating wind turbine
JP2010001881A5 (ko)
CN105546647B (zh) 轴流柜机
CN206801909U (zh) 一种带有可控导流叶片的风机
WO2019076212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101569143B1 (ko) 발전 장치
CN207500182U (zh) 风机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513872A (zh) 出风结构及风扇
JP2014139499A (ja) 開閉装置及び空調システム
WO2022166571A1 (zh) 送风装置、空调
CN209877306U (zh) 一种新风净化空调的可调出风口结构
US20120086203A1 (en) Exhaust Generator Assembly
CN103398461B (zh) 空调排风窗
CN210977981U (zh) 吸油烟机的蜗壳、风机及吸油烟机
CN110030821B (zh) 一种粮食烘干同轴侧入式混流变量装置
CN110017302A (zh) 风机及油烟机
CN207961075U (zh) 风机及油烟机
CN208595618U (zh) 一种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08057465U (zh) 风机组件及燃气热水器
CN210320016U (zh) 燃烧器入口弯头和燃烧器
CN215719670U (zh) 一种多级式斜流风机
US4846260A (en) Cooling system
CN209228669U (zh) 一种抽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