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85B1 - Chuck for tap - Google Patents

Chuck for t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85B1
KR101569085B1 KR1020140003237A KR20140003237A KR101569085B1 KR 101569085 B1 KR101569085 B1 KR 101569085B1 KR 1020140003237 A KR1020140003237 A KR 1020140003237A KR 20140003237 A KR20140003237 A KR 20140003237A KR 101569085 B1 KR101569085 B1 KR 10156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tap
shock
connecting member
low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3940A (en
Inventor
피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메디
Priority to KR102014000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85B1/en
Publication of KR2015008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8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 means for adjustment
    • B23G5/14Tapping-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6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 B23B31/0261Chucks the radial or angular position of the tool being adjustable for centering the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6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holding the threa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절삭 작업 중 공구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탭 척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은,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한다.DISCLOSURE TECHNICAL FIELD [0001] This 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a tap chuck capable of mitigating impact applied to a tool during a cutting operation, wherein the tap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tool; A first body having the tool detachably fix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 second body disposed above the first body; And an impact absorbing part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respectively, and an elastic member absorb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tool.

Description

탭 척{CHUCK FOR TAP}Tap Chuck {CHUCK FOR TAP}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탭 척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 공정에 의해 형성된 홀의 내면에 나사 산을 형성하는 탭핑 공정의 가공 안정성과 속도를 향상시키고,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탭 척에 관한 것이다.Disclosure relates generally to a tap ch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ap chuck capable of improving machining stability and speed of a tapping process for forming a screw thread on the inner surface of a hole formed by a drilling process, .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in, the background art relat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and these are not necessarily meant to be known arts.

드릴링 머신은 전동기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드릴과 같은 절삭 공구를 고정시키고, 회전시키면서 수직 운동을 하여 구멍을 뚫거나, 홈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공작 기계이다.The drilling machine is a machine tool used to fix a cutting tool such as a drill to a shaft rotated by an electric motor, to make a hole while making a vertical motion while rotating, and to form a groove.

드릴링 머신을 사용하여 가장 많이 하는 중요한 작업은 드릴로 구멍을 뚫는 드릴링, 드릴로 뚫은 구멍을 리머로 정밀하게 다듬질하는 리밍, 드릴로 뚫은 구멍을 넓히는 보링, 구멍의 안쪽에 암나사를 깎는 탭핑, 볼트나 나사를 박을 경우 머리 부분이 표면 속에 묻히거나 올바른 자리를 갖게 하기 위해 더 깊이 절삭해 내려가는 스폿페이싱(spot facing), 카운터싱킹(counter sinking), 카운터보링(counter boring) 등이 있다.The most important tasks using a drilling machine are drilling with a drill, reaming to drill a drilled hole with a reamer, boring to drill a drilled hole, tapping to cut a female thread inside a hole, There are spot facing, counter sinking, and counter boring, where the head is buried in the surface when the screw is screwed, or it is cut deeper to get it in place.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가공을 위한 공구를 드릴링 머신에 고정하기 위해 공구 척이 사용되는데,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4145호에 개시된 탭 척을 보인 도면이다. For this purpose, a tool chuck is used to fix a tool for machining to a drilling machine. Fig. 1 is a view showing a tap chuck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4145.

도 1을 참조하면, 탭 척(10)은 콜릿 수용부(30), 콜릿 수용부(30)의 내측에 체결되어 탭 공구(T)를 고정하는 콜릿(50), 콜릿(50)을 가압하여 탭 공구(T)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70)로 구성된다.1, the tap chuck 10 includes a collet accommodating portion 30, a collet 50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collet accommodating portion 30 to fix the tap tool T, a collet 50 And a fixing member 70 for fixing the tapping tool T.

이는, 탭 공구(T)가 회전시 흔들려서 제품의 불량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나, 탭 공구(T)가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것이다.This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ap tool T is shaken at the time of rotation to increase the defect rate of the product, but the problem that the tap tool T is released and safety accident occurs is solved.

그러나, 탭 공구(T)는 절삭 공정 중 절삭 대상이 모재에 의해 수시로 변화하는 충격을 받게 되는데, 종래 탭 척(10)은 이러한 충격의 흡수를 위한 구조가 구비되지 않아 탭 공구(T)의 망실 및 제품의 불량 원인이 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tap tool T is subjected to an impact that is frequently changed by the base material during the cutting process, the conventional tap chip 10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absorbing such impact, And cause defective products.

여기서, 탭 공구(T)의 파손 및 제품의 가장 큰 불량 원인이 되는 탭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은 1) 탭 가공을 위해서는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지 못하고,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탭 공구(T)의 반경 방향으로 오프셋(offset) 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2) 탭 공구(T)의 길이 방향과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못하고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 지는 경우, 3) 탭 공구(T)의 회전속도(스핀들 속도)와 진행속도(Z축 이송속도)간의 동기제어가 이루어 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이다. Here, the impact applied to the tap tool T, which is the cause of breakage of the tap tool T and the largest defect of the product, is as follows: 1) the tap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 2) when the tap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offset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p tool T, 2) when the tap tool T is tang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 tool T, (3) a case where a tapp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 groove or a hole to be tap-processed is positioned in an inclined position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not being straight, 3) a case in which a gap between the rotational speed (spindle speed) This is an impact that occurs when synchronization control is not performed.

특히 3)의 경우는 탭 가공공정 중에서 탭 공구(T)가 홀에 진입하여 탭 가공을 완료하는 시점(감속구간)과 탭 가공을 완료한 후 홀에서 탭 공구(T)를 이탈시키기 위해 탭 공구(T)가 역회전을 시작하는 시점(가속구간)에서 주로 발생하는 문제로서 이 문제의 발생 여부는 탭 공구(T)의 회전속도와 진행속도를 동기 제어하는 제어기의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3), in order to release the tap tool T from the hole after the tap tool T enters the hole and completes the tap processing (deceleration section) (Acceleration period) at which the rotation of the tap tool T starts to occur. The occurrence of this problem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that synchronously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and the advancing speed of the tap tool T.

즉, 고가인 고성능의 제어기인 경우는 동기제어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저성능의 제어기일 경우에는 동기제어 속도를 높일 수가 없는데 이것은 전체적으로 탭 가공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That is,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the synchronous control speed in the case of a high-performance controller with a high performance and to increase the synchronous control speed in the case of a controller with a low performance.

본 개시는 탭 공정 중 탭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 수단이 구비되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tap chuck equipped with shock absorbing means capable of reduc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tap tool T during the tapping process.

본 개시는 탭 공정 중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 사이의 가공 오차(예: 오프셋, 경사)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tap chuck capable of mitigating impacts due to a machining error (e.g., offset, tilt) between a tapping tool T and a groove or hole to be tapped during the tapping process.

본 개시는 탭 공구(T)의 회전속도(스핀들 속도)와 진행속도(Z축 이송속도)간의 비동기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충격완화 수단이 구비되는 탭 척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provide a tap chuck equipped with an impact relaxation means capable of reducing an impact due to asynchronism between a rotation speed (spindle speed) and an advancing speed (Z-axis transfer speed) of the tap tool T.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은,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한다.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tap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ool; A first body having the tool detachably fix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 second body disposed above the first body; And an impact absorbing part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respectively, and an elastic member absorbing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tool.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되,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각각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ap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pact mitigati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r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공구의 반경방향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ap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pact relieving portion alleviates the radial impact of the tool.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impact relieving portion, wherein the impact reliev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y fixed to the second body.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1 충격 완화부;와,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2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part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respectively.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되어, 상기 충격 완화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ap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And a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the connecting member.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 chu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hielding member against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고리모양의 판 스프링을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각각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tab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mpact relie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nnular leaf spring,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spacer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shock-absorbing portion.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에 의하면, 탭 척과 드릴 홀의 중심축이 어긋나 있거나, 탭 척에 대해 드릴 홀이 비스듬하게 되어 있어도 탭 척의 반경방향으로의 중심축 이동 메카니즘에 의해 탭과 드릴 홀 중심축을 일치시켜줌으로써 탭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탭 가공 충격 완화부에 의해 탭 가공이 최저점에 도달하기 완료되기 직전과 드릴홀로부터 탭의 이탈을 위해 탭이 역회전을 시작하는 시점과 같이 탭의 회전과 진행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과정에서 회전속도와 진행속도 간의 비동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흡수되어 완화되므로, 공구의 파손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공구 수명을 연장시키고 가공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ab chuck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center axis of the tap chuck and the drill hole are shifted or the drill hole is slanted with respect to the tap chuck, the center axis movement mechanism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ab chuck, The center axis is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o allevi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tab, and a time point at which the tap starts to be reversed immediately before completion of tapping reaching the lowest point by the tapping shock absorbing portion and for releasing the tab from the drill hole,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tap and the speed of the tap change rapidly, the shock that is caused by the asynchronous operation between the rotation speed and the speed of progression is absorbed and mitigated, so that not only the breakage of the tool is prevented, but also the tool life is prolonged, .

도 1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4145호에 개시된 탭 척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2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탭 척의 일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탭 척의 다른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4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ap chuck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4145,
2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first embodiment of a tap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BB in Fig. 2,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onceptual illustration of a second embodiment of a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conceptu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tap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view showing a working example of the tap chuck shown in Fig. 7,
9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tap chuck of Fig. 7 and Fig.
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A의 단면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B-B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FIG. 2 is a conceptu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3 is a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line B-B in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100)는 공구(T),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충격 완화부(130)를 포함한다.2 to 4, the tap chu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ool T, a first body 110, a second body 120, and an impact mitigating part 130.

공구(T)는 탭(Tap)으로 구비된다. 이 외에, 드릴 공정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공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tool T is provided with a tap. Of course, various types of tools used in the drilling process can be employed.

제1 바디(110)는 공구(T)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면은 평평하게 구비된다. The first body 110 is provided to detachably fix the tool T,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flat.

여기서, 공구(T)는 제1 바디(110)의 하부에 결합 된다. 공구(T)의 착탈을 위해 제1 바디(110)에는 콜릿이 구비될 수 있다. 콜릿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배경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Here, the tool 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may be provided with a collet for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tool T.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llet is provided in the Background section.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제1 바디(110)의 상면과 평행한 하면을 가지는 제2 바디(120)가 구비된다.The second body 120 is disposed on the first body 110 and includes a second body 120 having a lower surfac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한편,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는 충격 완화부(130)에 의해 결합 된다.Meanwhile,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upled by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충격 완화부(130)는 제1 바디(110)의 상면과 제2 바디(120)의 하면에 각각 결합된다.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여기서, 충격 완화부(130)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서 제1 바디(110)의 상면과 제2 바디(120)의 하면에 결합 된다. 이에 의해 충격 완화부(130)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되며,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에 대한 위치 변위가 가능하게 된다. Here,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t a plurality of different positions. As a result, the impact modifier 13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first body 110 can be displaced relative to the second body 120.

충격 완화부(130)는 탄성부재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고리형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The shock absorbing portion 130 is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Preferably a circular or annular plate spring.

구체적으로, 충격 완화부(130)는 제1 바디(110)의 상부와 제2 바디(120)의 하부 사이에 개재되는 설정된 굽힘 강도를 가지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며, 제1 바디(110)의 상부와 제2 바디(120)의 하부에 결합 되어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is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bending strength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econd body 1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20.

여기서, 충격 완화부(130)의 굽힘 탄성 강도가 너무 큰 경우 탄성 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본 개시에 따른 목적 달성에 어려움이 발생 되며, 굽힘 탄성 강도가 너무 작은 경우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너무 쉽게 변형이 발생 되어 가공오차 및 가공의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최적의 탄성 강도가 선택될 수 있다.Here, when the bending elasticity of the impact modifier 130 is too large, elastic deformation hardly occur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bending elasticity is too small, Which can cause processing errors and difficulty in machining. Therefore, an optimum elastic strength capable of effectively absorbing the impact generated in the processing can be selected.

한편, 충격 완화부(130)와 제1 바디(110)의 결합은 둘 사이에 설정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또한 충격 완화부(130)와 제2 바디(120)의 결합도 둘 사이에 설정된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설정된 간격은 충격 완화부(130)의 변형을 위한 공간으로서, 실험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upling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the first body 110 is provided to establis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the second body 120 is also set between the two. So that a gap is formed. The interval set here is a space for deformation of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can be optimized by experiment.

설정된 간격은 제1 바디(110)와 충격 완화부(130) 사이, 제2 바디(120)와 충격 완화부(130)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1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formed by the spacers 133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between the second body 120 and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한편, 도 2의 (b)와 같이, 충격 완화부(130)와 제1 바디(11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2 바디(120)의 하면에는 그 결합방향, 즉 탭 공구(T)의 길이방향으로 홈(120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충격 완화부(130)와 제2 바디(120)가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1 바디(110)의 상면에도 같은 방식의 홈(11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b),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the first body 110 are coupled is connected with the tab tool T, The grooves 120a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bstrate. 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110a of the same typ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coupled.

이에 의하면, 설정된 간격을 줄이더라도 제2 바디(120)의 하면에 형성된 홈(120a)과 제1 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홈(110a)에 의해 충격 완화부(130)의 탄성변형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The elastic deformation spac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130 is formed by the groove 120a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and the groove 110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10,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secured.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선도로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탭 척(100)에 의한 공작과정, 특히 탭 가공에서의 공구(T)의 회전속도(Vθ)와 공구(T)의 길이방향 이송속도(Vz) 사이의 관계를 보인 선도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ap chu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articular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ool T V &thetas; ) of the tool 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feed velocity Vz of the tool T. Fig.

기본적으로 탭의 피치를 p라고 하였을 때, 이송속도(Vz)는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과 일치하여야 한다. 이들이 서로 다른 경우, 공구에 외력이 가해지며 이는 공구의 진동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Basically, when the pitch of the tap is p, the feed speed (Vz) should be equal to the product of the rotational speed (V ? ) And the pitch (p). If they are differen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ool, which causes the tool to vibrate and break.

도 5를 참조하면, 공구(T)와 가공 대상인 모재의 접촉 순간부터 일정시간(Ta) 동안 공구(T)와 모재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공구(T)의 회전속도(Vθ)가 점차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속도(Vz)를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과 일치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제어동작이 요구된다. 5, the rotational speed V ? Of the tool T gradually increase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ool T and the base material for a predetermined time Ta from the moment when the tool T contacts the base material to be processed At this time, it is very difficult and complicated to perform the control operation to match the feed speed Vz with the product of the rotation speed V ? And the pitch p.

본 예에 따른 탭 척의 메카니즘은 이러한 이송속도(Vz)와, 회전속도(Vθ)와 피치(p)의 곱의 오차를 보상시켜줌으로서 공구(T)에 가해지는 충격을 제거하여 공구(T)의 파손을 방지하고 탭 가공속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The mechanism of the tap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example corrects the error of the product of the feed speed Vz and the rotational speed V ? And the pitch p to elimin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tool T, It is effective to prevent breakage and increase tapping speed.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탭 가공이 완료되어 감에 따라 일정시간(Td) 동안 공구(T)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소하게 되며, 공구(T)의 회전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공구(T)의 이송속도도 공구(T)의 회전속도와 피치의 곱에 대응되도록 감소 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이 역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공구(T)의 파손 및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며, 충격 완화부(130)는 이 경우 공구(T)에 인가되는 외력을 흡수하여 공구(T)를 파손시키는 외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기존의 탭 척인 경우 공구(T)의 회전속도와 이송속도의 정확한 동기제어를 위해 일정 범위 내에서 속도를 유지해야 하는데 본 개시의 탭 척을 적용할 경우에는 정확한 동기제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탭 가공속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5, as the tapping is complete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ool T gradually decreases for a predetermined time Td, and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ool T decreases, the tool T ) Should be contro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duct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tool (T) and the pitch. This also causes the breakage of the tool T and the product failure if the precise control is not performed and the shock mitigating part 130 absorb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tool T in this case and breaks the tool T Thereby alleviating the external force. Furth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ap chuck,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peed within a certain range for precise synchronous control of the rotation speed and the feed speed of the tool T. Since the accurate synchronous control is not required when the present tap chuck is used The tap processing speed can be maximized.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2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6 is a conceptu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2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연결부재(240)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재(2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the tap chu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tab chuck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240. Therefore,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member 2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부재(240)는 제2 바디(220)와 충격 완화부(230) 사이에 개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220 and the impact relieving portion 230.

충격 완화부(230)는 연결부재(240)의 하부와 제1 바디(210)의 상부에 양측이 각각 결합 된다. The shock absorbing portion 23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210, respectively.

또한, 연결부재(240)는 제2 바디(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220)의 하부에서 돌출된 축이 연결부재(240)에 형성된 홀에 결합 된다. Also, the connecting member 2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220. Specifically, an axi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220 is coupled to a hol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240.

이에 의하면, 연결부재(240) 또는 제1 바디(210)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제2 바디(220)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size of the connecting member 240 or the first body 210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econd body 220 to the second body 220.

여기서, 도 2의 (b)와 같은 원리로, 충격 완화부(230)와 제1 바디(210)의 간격 및 충격 완화부(230)와 연결부재(240)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 제1 바디(210)와 연결부재(240)에 각각 충격 완화부(230)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2B, in order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shock absorbing part 230 and the first body 210 and the space between the impact reducing part 230 and the connecting member 240, It is needless to say that grooves (not shown) for the elastic deformation space of the shock absorbing part 230 may be formed on the body 210 and the connecting member 240, respectively.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탭 척의 일 작용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탭 척의 다른 작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7 is a conceptu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tab chuck of FIG. 7,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operation example of the tab chuck of FIG. .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3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연결부재(340)가 더 구비되는 점, 충격 완화부(330)가 제1 충격 완화부(331) 및 제2 충격 완화부(332)로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40)와 제1 충격 완화부(331) 및 제2 충격 완화부(332)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tap chuck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tap chuck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34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31 and the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 332 are provide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nection member 340, the first shock mitigation section 331, and the second impact mitigation section 33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바디(320)와 제1 바디(310) 사이에는 제2 충격 완화부(332), 연결부재(340), 제1 충격 완화부(331)가 순차로 구비된다.A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 332, a connecting member 340 and a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31 are sequentially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320 and the first body 310. [

구체적으로, 제2 충격 완화부(332)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제2 바디(320)의 하부 및 연결부재(34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제1 충격 완화부(331)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연결부재(340)의 하부 및 제1 바디(310)의 상부에 각각 결합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 33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32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4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4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10, respectively.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에 의해, 가공과정에서 발생 되는 공구(T)에 대한 다양한 크기의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331 and the second shock mitigation portion 332 can cope with external forces of various sizes with respect to the tool T generated in the machining process.

여기서, 도 2의 (b)와 같은 원리로, 제2 바디(320)의 하부 및 연결부재(340)에는 제2 충격 완화부(332)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해 홈(미도시)이 형성되며, 또한 연결부재(340)와 제1 바디(310)의 상부에는 제1 충격 완화부(331)의 탄성변형 공간을 위해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 (b),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320 and in the connecting member 340 for the elastic deformation space of the second shock absorbing portion 332 And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340 and the first body 310 for the elastic deformation space of the first shock absorbing portion 331.

한편,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3 실시형태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n operation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ap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a)는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으로 일치되지 못하고,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탭 공구(T)의 반경 방향으로 d 만큼 오프셋(offset) 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b)와 같이 홀 가공 오차 또는 위치결정 오차에 의해 발생된 오프셋(offset)에 대해 탭 공구(T)가 모따기면(C)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가 변형되어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치하게 된다.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ab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not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ab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the tab tool T, The tap tool T is offset from the offset generated by the hole machining error or the positioning error as shown in (b)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331 and the second shock mitigation portion 332 are deformed so as to be moved along the chamfered surface C so that the tab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a)는 탭 공구(T)의 길이 방향과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방향이 일직선이 되지 못하고 θ만큼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탭 가공이 이루어지는 예를 보인 것으로서, (b)와 같이 제1 충격 완화부(331)와 제2 충격 완화부(332)의 변형에 의해, 탭 공구(T)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이 길이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탭 공구(T)가 자연스럽게 θ만큼 경사지게 구비된다.9, (a)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app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pping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s not straight and inclined by? (B), the tab tool (T)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are longitudinally aligned by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331) and the second impact damping portion (332) T) is naturally inclined by?.

다만, 여기서 설명되는 오프셋 d와 경사 θ는 홀 가공 오차 또는 위치결정 오차 수준의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은 탭 공구와 탭 가공 대상인 홈 또는 홀 사이의 이러한 가공오차 수준의 것에 의해 탭 공구(T)가 파손 되거나 가공 불량이 발생 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However, the offset d and the inclination [theta] described herein mean a hole machining error or a positioning error level, and the tap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such a process error level between the tap tool and the groove or hole to be tapped So that the tap tool T is damaged or a machining failure occurs.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탭 척의 제4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10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tab chuck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탭 척(400)는 다른 구성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와 대동소이하나, 차폐부재(450) 및 탄성 지지부재(453)가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고, 이하에서는 차폐부재(450) 및 탄성 지지부재(453)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10, the tap chuc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tab chuck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urther provided with a large one, a shielding member 450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453 There is a difference. Therefore,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third embodiment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shielding member 450 and the elastic support member 45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450)는 제1 충격 완화부(431), 연결부재(440), 제2 충격 완화부(432)를 차폐하도록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ielding member 450 is provided to shield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431, the connecting member 440, and the second shock mitigation portion 432.

차폐부재(450)는 제2 바디(420)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제1 바디(410)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된다.One end of the shielding member 45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20 and the other end of the shielding member 450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41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차폐부재(450)는 상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450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open top and bottom.

차폐부재(450)는, 제1 충격 완화부(431), 연결부재(440) 및 제2 충격 완화부(432)의 결합에 의한 복잡한 구조로 인한 외관 손상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The shielding member 450 can improve the appearance damage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431, the connecting member 440, and the second shock mitigation portion 432.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폐부재(450)와 제1 바디(410)의 측면 사이에는 탄성 지지부재(45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453 is provid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45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ody 410.

이에 의하면, 탄성 지지부재(453)는 제1 충격 완화부(431)와 제2 충격 완화부(432)에 의한 충격 흡수를 보완하게 된다. According to this, the elastic support member 453 compensates for the shock absorption by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431 and the second shock mitigation portion 43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 및 도 9의 예와 같이 탭 공구(T)가 제1 충격 완화부(431)와 제2 충격 완화부(432)의 탄성 변형에 의해 오프셋(offset) 또는 경사에 대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and 9, the tapping tool T is offset or inclin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shock mitigation portion 431 and the second impact mitigation portion 432 in the present embodiment, Of course.

이상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로 설명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변경, 변형 또는 치환할 수 있는 범위까지 포함됨을 밝혀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ordinary skilled in the art, To the extent possible.

Claims (8)

공구;
상기 공구가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며, 상기 공구를 통해 상기 제1 바디에 전달되는 외력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판 상의 부재로 구비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결합 되되,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각각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ool;
A first body having the tool detachably fix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 second body disposed above the first body; And
And an impact absorbing part having an elastic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at an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absorbs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rst body through the tool,
The impact mitigation portion may include a plate-lik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t different positions ,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respectively.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공구의 반경방향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relieves the radial impact of the tool.
청구항 1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And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shock-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formed by joining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rst body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detachably fixed to the second body.
청구항 1 및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화부는,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제1 바디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1 충격 완화부;와, 상기 제2 바디와 상기 연결부재가 각각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 되는 제2 충격 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And a connec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first body,
Wherein the shock-
And a second shock absorbing part in which the second body and the connecting member are coupled 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respectively, Features a tab chuck.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에 일 단이 결합 되고, 타 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상대운동 가능하게 접촉되어 구비되어, 상기 충격 완화부 및 상기 연결부재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of claim 5,
And a shielding memb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relative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so as to shiel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제1 바디의 측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측면에 대해 상기 차폐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shield member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shield member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부는, 고리모양의 판 스프링을 구비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에 각각 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져 결합 되도록 상기 제1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와 상기 충격 완화부 사이에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ock absorber may include an annular plate spring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And a spacer is provided between the shock-absorbing portions.



KR1020140003237A 2014-01-10 2014-01-10 Chuck for tap KR101569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en) 2014-01-10 2014-01-10 Chuck for t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en) 2014-01-10 2014-01-10 Chuck for t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40A KR20150083940A (en) 2015-07-21
KR101569085B1 true KR101569085B1 (en) 2015-11-13

Family

ID=5387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37A KR101569085B1 (en) 2014-01-10 2014-01-10 Chuck for t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915A (en) 2022-01-24 2023-08-01 (주)서강정밀 Tap chuck for center positio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922A1 (en) * 2021-10-25 2023-05-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ghtweight tool holder capable of vibration damping, and machine tool hav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915A (en) 2022-01-24 2023-08-01 (주)서강정밀 Tap chuck for center positioning
KR102624937B1 (en) 2022-01-24 2024-01-15 (주)서강정밀 Tap chuck for center pos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40A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56977A1 (en) Machine Tool and Workpiece Machining Method
JP2006524582A (en)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holder assembly and adapter therefor
KR101569085B1 (en) Chuck for tap
CN102271846A (en) Machine tool having adjustable plate element
EP1977854A1 (en) Combined machining lathe
KR20160072390A (en) Chuck for machine tool
JP2009262307A (en) Boring tool
JP2010064228A (en) Machine tool with rest apparatus and machining method using the rest apparatus
CN110860708B (en) Adjustable anti-seismic boring tool
EP3760350B1 (en) Metal cutting tool comprising a vibration damping member
JP2008290167A (en) Cutting device
CN208374287U (en) Non-standard ball bearing oilhole mold
CN208162648U (en) A kind of high-precision lathe for machining
KR101963780B1 (en) Detailed eccentricity bushing boring tool
US2547522A (en) Floating toolholder
CN211331361U (en) Cutter for machining inner ring groove of deep hole
KR101502813B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Level Of Milling Machine Working Tool
JP4534687B2 (en) Tool clamp mechanism, machine tool
KR20090066474A (en) Gripper clamping structure of automatic tool changer arm
CN204159882U (en) For instrument and the lathe of hole end surface chamfer machining
JP4621569B2 (en) Machining method of spindle crossing inner circumference in lathe
KR20190109694A (en) Milling cutter attached wedge type blade having sequential cutting tip
KR100394673B1 (en) Spindle structure for machine tools
CN208961031U (en) A kind of heavy boring device for the processing of reducer shell axis hole
CN103506648A (en) High-precision bench drill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