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36B1 -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 Google Patents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36B1
KR101569036B1 KR1020140070004A KR20140070004A KR101569036B1 KR 101569036 B1 KR101569036 B1 KR 101569036B1 KR 1020140070004 A KR1020140070004 A KR 1020140070004A KR 20140070004 A KR20140070004 A KR 20140070004A KR 101569036 B1 KR101569036 B1 KR 10156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hanger
hook
branch point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원
Original Assignee
이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원 filed Critical 이현원
Priority to KR102014007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08Securing to the vehicle floor o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걸이구에 걸려진 로프에 당김력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걸이구에서 로프가 느슨하게 결속이 해제되지 않아 작업자 단독으로 결속 작업이 가능하도록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물을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탄성이나 비 탄성 로프를 이용하여 결속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로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에 설치되는 설치단의 반대편 끝단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대를 삼각형태의 분기지점을 갖도록 형성하여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도록 하여 당김력을 유지하지 않더라도 로프가 이탈하거나 풀림되지 않는 개선된 로프걸이구를 구성하여, 로프가 당겨져 분지기점에 끼임되어 풀림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로프를 당기지 않더라도 로프가 걸이대에서 풀림되지 않아 일인 작업자가 단독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어 인건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Hook the rope locking device features}
본 발명은 로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에 적재물을 로프로 결속할 때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걸이구에 로프를 걸림시킨 상태에서 당김력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걸이구에서 로프가 느슨하게 결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의 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함의 양 측면 및 후방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게이트의 외측 면에는 복수개의 로프후크가 등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프후크는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뒤에 화물이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로프를 줄걸이 할 때 상기로프가 풀려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로프후크는 대부분 끝단이 적재함의 내측을 향하도록 곡률된 형태이다.
그리고, 적재물을 많이 취급하는 운송업계에 이용하는 트럭에는 적재물을 결속하기 위해 반듯이 로프를 이용하는 적재물의 특정에 따라 로프를 이용하거나, 특수한 경우 직물띠를 이용하거나 금속체인 등을 이용한다.
흔히 로프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소규모 적재물이나 소형 트럭일 경우 로프를 결속할 때 로프후크에 걸림 시키더라도 로프의 탄성력이나 자중에 의해 걸림력을 상실하여 풀림되는 문제점이 있어 반듯이 2인 이상으로 같이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하고 인건비의 상승적인 요소를 지니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로프의 형태나 특성에 관계없이 로프후크에 걸었을 때 당김력을 제거하더라도 로프후크에 걸림되어진 로프가 재 풀림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 1인이 충분히 결속 작업이 가능한 개선된 로프걸이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20-0143425 (트럭 적재함의 로프걸이) 2. 공개번호 실1998-040733 (화물차량의 로프 걸이 고정구조) 3. 공개번호 실1998-051253 (트럭 적재함의 로프걸이) 4. 등록번호 10-0384106 (덮개를 갖는 트럭적재함) 5. 공개번호 10-2005-0089281 (트럭 적재함의 후크 장착구조) 6. 공개번호 10-2006-0067604 (화물차종 적재함의 로프후크장치) 7. 등록번호 20-0450694 (화물차 적재함의 적재 고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함에 다수개로 형성된 로프 걸이대에 적재물을 결속하는 로프가 끼임되어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가 적재물 결속시 당겨져 분지기점에 끼임되어 풀림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로프를 당기지 않더라도 로프가 걸이대에서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일인 작업자가 단독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를 분기지점에 끼임시켜 풀림을 방지하거나 끼임 시킨 후 걸이대에 로프를 감아서 결속력과 지지력을 증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이대의 단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모서리를 형성하여 로프가 끼임시 물림기능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재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로프에 절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어 풀림이 방지됨으로써 전체 결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물을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탄성이나 비 탄성 로프를 이용하여 결속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로프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단과 반대편에는 끝단에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대를 분할되게 형성하며, 상기 걸이대는 분할된 지점을 기준으로 각 끝단의 간격이 넓어지게 배치되어 분기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가 세 개이며 역 더불류자 형태로 배치 형성할 경우 분기지점이 이루는 제1내각과 제2내각이 각각 20~30°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2내각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분할걸이대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의 분기지점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의 직경이 작아지며 분기지점에 삽입 끼임시킨 후, 상기 로프에 당김력을 해제하면 분기지점에 삽입 끼임된 로프의 직경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의 로프의 직경은 원상복원되며 걸이대에 걸림되어 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의 분기지점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가 분기지점의 틈새에 끼임되어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적재함에 다수개로 형성된 로프 걸이대에 적재물을 결속하는 로프가 당겨져 분지기점에 끼임되어 풀림방지를 위해 지속적으로 로프를 당기지 않더라도 로프가 걸이대에서 풀림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일인 작업자가 단독으로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어 인건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아울러, 로프를 분기지점에 끼임시켜 풀림을 방지하거나 끼임 시킨 후 걸이대에 로프를 감아서 결속력과 지지력을 증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대의 단면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모서리를 형성하여 로프가 끼임시 물림기능을 증대시켜 지지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재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로프에 절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어 풀림이 방지됨으로써 전체 결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가 적용된 트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에서 도면 a는 로프걸이구(100A)의 사시도, 도면 b는 로프걸이구(100A)의 정면도, 도면 c는 로프걸이구(100A)의 측면도,
도 3에서 도면 a는 로프걸이구(100B)의 사시도, 도면 b는 로프걸이구(100B)의 정면도, 도면 c는 로프걸이구(100B)의 측면도,
도 4에서 도면 a는 로프걸이구(100C)의 사시도, 도면 b는 로프걸이구(100C)의 정면도, 도면 c는 로프걸이구(100C)의 측면도,
도 5는 로프걸이구(100D)의 조립과정도,
도 6에서 도면 a는 로프걸이구(100E)의 사시도, 도면 b는 로프걸이구(100E)의 정면도, 도면 c는 로프걸이구(100E)의 측면도,
도 7은 로프걸이구(100E)의 다른 실시 사시도,
도 8에서 도면 a는 걸이대의 수평배치도, 도면 b는 걸이대의 경사배치도, 도면 c는 걸이대의 수직배치도,
도 9에서 도면 a는 삼각형 형태의 걸이대 단면도, 도면 b는 마름모꼴 형태의 걸이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가 적용된 트럭에 로프로 적재물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에서 도면 a는 로프걸이구(100A)의 로프가 걸려지는 과정의 사시도, 도면 b는 로프걸이구(100A)의 로프가 걸려지는 과정의 정면도, 도면 c는 로프걸이구(100A)에 걸려지는 로프의 변형을 나타낸 과정도,
도 12는 로프걸이구(100B)에 로프가 끼임 협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
도 13은 로프걸이구(100C)를 이용하여 로프를 걸림시키는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는 로프걸이구(100D)를 이용하여 로프를 걸림된 상태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로프걸이구(100E)를 이용하여 로프를 걸림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 예로 로프걸이구(100A)의 걸이대에 고무피복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는 적재물을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탄성이나 비 탄성 로프(R)를 이용하여 결속하기 위하여 적재함(2)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로프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적재함(2)에 설치되는 설치단(11)의 반대편 끝단으로 하나 이상의 걸이대(13)를 삼각형태의 분기지점(14)의 내각 크기를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하고, 상기 로프(R)가 분기지점(14)에 끼임되도록 하여 당김력을 유지하지 않더라도 로프(R)가 이탈하거나 풀림되지 않는 개선된 분할걸이대(10)로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2)은 적재물을 실을 수 있도록 함 형태이거나 판 형태의 적재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적재함(2)은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3)의 양 측면 및 후방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게이트(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게이트(4)의 난간(5) 하부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적재함(2)은 각종 여러 형태의 트럭(화물자동차)이나 창고 등에서 사용하는 적재함, 오토바이, 자전거, 경운기 등에 사용되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R)는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탄성이나 비 탄성을 갖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상기 분할걸이대(10)는 적재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단(11)과 반대편에는 끝단에 걸림돌기(12)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대(13)를 분할되게 형성하며, 상기 걸이대(13)는 분할된 지점을 기준으로 각 끝단의 간격이 넓어지게 확장되도록 분기지점(14)을 형성하는 구성하여 분기지점(14)의 형상은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공간 면적인 넓은 부분은 로프(R)가 유입되는 입구(14a)가 되고 꼭지점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은 로프(R)가 끼임되는 협착부(14b)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이구(100A)의 분할걸이대(10)는 한 쌍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 형태로 배치하여 분기지점(14)의 내각(θ)이 20~30°로 형성되도록 분할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 로프가 끼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이구(100B)의 분할걸이대(10)는 세 개의 걸이대(13)를 역 더불류자 형태로 배치하여 분기지점(14)이 이루는 제1내각(θ1)과 제2내각(θ2)이 각각 20~30°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2내각(θ1)(θ2)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내각(θ1)(θ2)이 다르게 형성하는 이유는 단면적이 다양한 로프(R)를 사용할 경우 단면적이 작은 로프(R)는 내각이 작은 부분에 사용하고, 단면적이 큰 경우에는 내각이 큰 부분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이구(100C)의 분할걸이대(10)는 한 쌍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 형태로 배치하거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역 더불류자 형태로 배치하여 분기지점(14)을 각각 형성하고 각 걸이대(13)의 끝단은 서로 평행하게 평행단(13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분기지점(14)에는 로프가 끼임되고 평행단(13a)에는 로프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는 로프(R)가 끼움되어 걸림되고 평행단(13a)에는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로프(R)를 수 회전시켜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이구(100D)의 분할걸이대(10)는 두 개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나 역 더불류자 형태의 분기지점(14)이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13)의 끝단이 만나는 끝단에는 설치단(11)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회전단(15)을 일체로 구성한다.
즉, 상기 설치단(11)과 걸이대(13)가 분리된 상태로써 설치단(11)에 걸이대(13)가 회전되게 결합되기 위한 구성적 실시 예는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는 적재함(2)과 고정되는 설치단(11)의 반대편 끝단의 상부에는 지지단(11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단(11a)이 형성된 하부 끝단에는 수나선단(11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이대(13)의 회전단(15)을 통해 수나선단(11b)을 통과시킨 다음 걸이대(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11c)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걸이대(13)의 회전단(15)이 설치단(11)에 회전되게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걸이구(100E)의 분할걸이대(10)는 적재함에 설치되어진 기존걸이구(1)와 결합되는 결합단(16)을 적재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단(11)의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기존걸이구(1)는 자동차 회사에 제조되는 적재함에 상용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치단(11)과 연장되는 반대편에는 끝단에 걸림돌기(12)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이대(13)를 기존걸이구(1)와 역 브이자 형태의 분기지점(14)을 형성하게 설치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분할걸이대(10)는 적재함(2)에 설치된 기존걸이구(1)를 이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단면이 'C'형상인 결합단(16)의 내부공간을 기존걸이구(1)를 삽입시킨 후 용접방식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분할걸이대(10)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기존걸이구(1)에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대(13)는 설치단(11)과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결합단(16)을 이용하여 기존걸이구(1)에 결합하여 분기지점(14)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공통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대(13)의 단면은 삼각형이나 마름모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걸이대(13)의 단면 모서리는 라운드로 구성한다.
즉, 상기 걸이대(13)의 단면은 본 발명에 원형 형태로 구성하나 삼각형이나 마름모형태로 형성하여 모서리(13b)에 로프(R)가 끼임 후 물림되어 지지되는 기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고, 모서리(13b)에 라운드를 형성하는 구성은 날카롭게 각진 부분에 의해 로프(R)가 절단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걸이대(13)의 배치를 수평배치나 경사배치나 수직배치로 구성하여 다양한 로프(R) 결속 방법에 따라 로프(R)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결속 방향에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의 분할걸이대(10) 설치단(11)과 두 개 이상의 걸이대(13)는 서로 용접방식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면서 분기지점(14)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리고 설치단(11)의 일 끝단을 분기시켜 두 개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의 분할걸이대(10) 설치단(11)과 두개 이상의 걸이대(13)는 사출방식으로 일체의 형태가 되며 대량 생산의 체제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는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의 직경이 작아지며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시킨 후, 상기 로프에 당김력을 해제하면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된 로프의 직경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의 로프의 직경은 원상복원되며 걸이대(13)에 걸림되어 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는 비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가 분기지점(14)의 틈새에 끼임되어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걸이대(10)의 걸이대(13)에는 연질 또는 경질의 원형 튜브 형태의 고무피복(17)이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어 로프(R)와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고무피복(17)은 장시간 로프(R)와 접촉시 마찰로 인한 마모현상이 발생하여 기능을 상실하면 교체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의 분할걸이대(10)를 설치단(11)과 걸이대(13)를 용접방식이나 설치단(11)의 일 끝단을 분기시켜 두 개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형성하여 한 개나 두 개의 분기지점(14)을 형성하도록 제작한다.
이때, 상기 로프걸이구(100D)의 분할걸이대(10)는 설치단(11)의 상부 끝단 일부분을 난간(5)의 하부면에 밀착시킨 다음 용접방식으로 결합한 후, 걸이대(13)의 회전단(15)을 통해 수나선단(11b)을 통과시킨 다음 너트(11c)를 체결하여 고정하여 제작한다.
이후,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의 분할걸이대(10)를 적재함(2)의 게이트(4)을 이루는 난간(5)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방법은 설치단(11)의 상부 끝단 일부분을 난간(5)의 하부면에 밀착시킨 다음 용접방식으로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아울러, 상기 로프걸이구(100E)의 분할걸이대(10)는 결합단(16)의 내부공간을 기존걸이구(1)를 삽입시킨 후 용접방식으로 결합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다음으로,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의 분할걸이대(10)를 이용하여 적재함(2)의 적재물(M)을 결속하는 과정 및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을 하기 위한 로프(R)의 이용방법은 로프(R)의 일 끝단을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걸이대(13)에 걸은 후 타 끝단은 적재물(M)의 상부에 올려지도록 하며 반대편으로 넘기고 다른 걸이대(13)에 로프(R)를 걸면서 강하게 당긴 다음 이웃하는 걸이대(13)에 걸어 로프(R)의 끝단을 다시 반대편으로 넘겨 동일 작업을 반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걸이구(100A)(100B)의 분할걸이대(10)는 로프(R)를 두 개 또는 세 개의 걸림대(13)가 이루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지점(14)의 입구(14a)를 통해 로프(R)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강하게 당기면서 협착부(14b)로 삽입시킨다.
이로써, 상기 로프(R)는 적재물(M)을 결속하는 로프(R)의 배열과 로프걸이구(100A)(100B)에 걸려진 로프(R)가 직각 배열을 이루거나, 로프(R)가 이웃하는 로프걸이구(100A)(100B)에 걸림하기 위하여 수평 배열을 이루더라도 로프(R)가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 협착 끼임되어 로프(R)에 당김력을 해제하더라도 당기전 상태로 풀림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걸이구(100C)의 분할걸이대(10)는 로프(R)를 두 개 또는 세 개의 걸림대(13)가 이루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지점(14)의 입구(14a)를 통해 로프(R)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강하게 당기면서 협착부(14b)로 삽입시키는 동시에 평행단(13a)에 로프(R)를 동일 회전방향으로 감거나 팔자형태 지그재그 형태로 감는다.
이로써, 상기 로프(R)는 적재물(M)을 결속하는 로프(R)의 배열과 로프걸이구(100C)에 걸려진 로프(R)가 직각 배열을 이루거나, 로프(R)가 이웃하는 로프걸이구(100C)에 걸림하기 위하여 수평 배열을 이루더라도 로프(R)가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 협착 끼임되어 로프(R)에 당김력을 해제하더라도 당기전 상태로 풀림되지 않는 특징과 함께 두 개 또는 세 개의 걸림대(13)에 동일 회전방향으로 감거나 팔자형태 지그재그 형태로 감아 권취력으로 인한 풀림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걸이구(100D)의 분할걸이대(10)는 로프(R)를 두 개 또는 세 개의 걸림대(13)가 이루는 하나 또는 두 개의 분기지점(14)의 입구(14a)를 통해 로프(R)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강하게 당기면서 협착부(14b)로 삽입시킨다.
이로써, 상기 로프(R)는 적재물(M)을 결속하는 로프(R)의 배열과 로프걸이구(100D)에 걸려진 로프(R)가 직각 배열을 이루거나, 로프(R)가 이웃하는 로프걸이구100D)에 걸림하기 위하여 수평 배열을 이루더라도 로프(R)가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 협착 끼임되어 로프(R)에 당김력을 해제하더라도 당기전 상태로 풀림되지 않는 특징과 함께 회전단(15)을 기준으로 걸이대(13)가 회전함으로써 로프(R)가 결속을 위해 수직, 수평, 경사 방향으로 진행하더라도 쉽게 분기지점(14)으로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4.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걸이구(100E)의 분할걸이대(10)는 로프(R)를 상용 제조사에서 적재함(2)을 제작할 때 함께 제작된 기존걸이구(1)를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걸이구(1)와 결합단(16)으로 연결되는 걸이대(13)에 의해 형성되는 분기지점(14)의 입구(14a)를 통해 로프(R)를 삽입시키는 동시에 강하게 당기면서 협착부(14b)로 삽입시킨다.
이로써, 상기 로프(R)는 적재물(M)을 결속하는 로프(R)의 배열과 로프걸이구(100E)에 걸려진 로프(R)가 직각 배열을 이루거나, 로프(R)가 이웃하는 로프걸이구(100E)에 걸림하기 위하여 수평 배열을 이루더라도 로프(R)가 분기지점(14)의 협착부(14b)에 협착 끼임되어 로프(R)에 당김력을 해제하더라도 당기기전 상태로 풀림되지 않는 특징과 함께 기존걸이구(1)를 이용함으로써 기존걸이구(1)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결속 보강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로프(R)는 당기기전 최초직경(D)에서 당김력에 의해 당겨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며 신장직경(D1)으로 변형되어 협착부(14b)에 끼움되어 협착직경(D2)로 변형되며, 상기 로프(R)에 당김력을 해제하면 협착부(14b)에 끼임된 협착직경(D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로프(R)의 나머지 부분은 최초직경(D)으로 복원되어 최초직경(D)이 걸이대(13)에 걸림되어 로프(R)가 당기기 전 상태로 복귀하지 않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로프걸이구(100A)(100B)(100C)(100D)(100E)의 공통적인 작용적 특징으로써는 탄성인 로프를 사용할 경우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의 직경이 작아지며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시킨 후, 상기 로프에 당김력을 해제하면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된 로프의 직경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의 로프의 직경은 원상복원되며 걸이대(13)에 걸림되어 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당김력의 차이에 의해 일시적 또는 장기적으로 로프(R)를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비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가 분기지점(14)의 틈새에 끼임되어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로프(R)를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적재물을 많이 취급하는 운송업계에 이용하는 트럭에는 적재물을 결속하기 위해 반듯이 로프를 이용하는 적재물의 특정에 따라 로프를 이용하거나, 특수한 경우 직물띠를 이용하거나 금속체인 등을 이용하는데, 흔히 로프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소규모 적재물이나 소형 트럭일 경우 로프를 결속할 때 걸이구에 걸림 시키더라도 로프의 탄성력이나 자중에 의해 걸림력을 상실하여 풀림되는 문제점이 있어 반듯이 2인 이상으로 같이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하고 인건비의 상승적인 요소를 지니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로프가 분기지점(14)의 틈새에 끼임되어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로프(R)를 고정할 수 있어 작업자 혼자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구성과 작용 및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로프걸이대는 적재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로프에 절단 현상이 발생하면 로프가 로프걸이대와 걸림된 상태를 유지못하고 결속 전체가 풀림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은 적재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로프에 절단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로프가 분기지점에 끼임되어 풀림이 방지됨으로써 전체 결속이 해제되지 않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기존걸이구 2 : 적재함
3 : 플로어패널 4 : 게이트
5 : 난간
10 : 분할걸이대 11 : 설치단
11a : 지지단 11b : 수나선단
11c : 너트 12 : 걸림돌기
13 : 걸이대 13a : 평행단
13b : 모서리 14 : 분기지점
14a : 입구 14b : 협착부
15 : 회전단 16 : 결합단
17 : 고무피복
100A,100B,100C,100D,100E : 로프걸이구
M : 적재물 R : 로프
D : 원래직경 D1 : 신장직경
D2 : 협착직경

Claims (9)

  1. 적재물을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탄성이나 비 탄성 로프를 이용하여 결속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로프 걸이구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단(11)과 반대편에는 끝단에 걸림돌기(12)가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걸이대(13)를 분할되게 형성하며, 상기 걸이대(13)는 분할된 지점을 기준으로 각 끝단의 간격이 넓어지게 배치되어 분기지점(14)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13)가 세 개이며 역 더불류자 형태로 배치 형성할 경우 분기지점(14)이 이루는 제1내각(θ1)과 제2내각(θ2)이 각각 20~30°로 형성하거나 상기 제1,2내각(θ1)(θ2)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분할걸이대(10)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의 직경이 작아지며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시킨 후, 상기 로프에 당김력을 해제하면 분기지점(14)에 삽입 끼임된 로프의 직경은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부분의 로프의 직경은 원상복원되며 걸이대(13)에 걸림되어 풀림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비 탄성인 로프를 분할걸이대(10)의 분기지점(14)에 끼움하며 당김력을 작용시킬 때 로프가 분기지점(14)의 틈새에 끼임되어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걸이대(10)는 한 쌍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 형태로 배치하여 분기지점(14)의 내각(θ)이 20~30°로 형성되도록 분할 형성하여,
    상기 분기지점(14)에는 로프가 끼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걸이대(10)는 한 쌍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 형태로 배치하거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역 더불류자 형태로 배치하여 분기지점(14)을 각각 형성하고 각 걸이대(13)의 끝단은 서로 평행하게 평행단(13a)을 형성하여,
    상기 분기지점(14)에는 로프가 끼임되고 평행단(13a)에는 로프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걸이대(10)는 두 개나 세 개의 걸이대(13)를 역 브이자나 역 더불류자 형태의 분기지점(14)이 형성하고, 상기 걸이대(13)의 끝단이 만나는 끝단에는 설치단(11)에 회전되게 끼움되는 회전단(15)을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3)의 단면은 삼각형이나 마름모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걸이대(13)의 단면 모서리는 라운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3)의 배치를 수평배치나 경사배치나 수직배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걸이대(10)는 적재함에 설치되어진 기존걸이구(1)와 결합되는 결합단(16)을 적재함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단(11)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설치단(11)과 연장되는 반대편에는 끝단에 걸림돌기(12)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이대(13)를 기존걸이구(1)와 역 브이자 형태의 분기지점(14)을 형성하게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걸이대(10)의 걸이대(13)에는 연질 또는 경질의 고무피복(17)이 억지 끼움으로 결합되어 로프(R)와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KR1020140070004A 2014-06-10 2014-06-10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KR10156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04A KR101569036B1 (ko) 2014-06-10 2014-06-10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04A KR101569036B1 (ko) 2014-06-10 2014-06-10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036B1 true KR101569036B1 (ko) 2015-11-13

Family

ID=5461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04A KR101569036B1 (ko) 2014-06-10 2014-06-10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670B1 (ko) 2020-11-11 2021-08-09 김창균 로프 걸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92Y1 (ko) * 2003-12-22 2004-03-18 이흥재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KR200376130Y1 (ko) * 2004-12-01 2005-03-08 이형우 화물차량용 적재함의 로프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92Y1 (ko) * 2003-12-22 2004-03-18 이흥재 화물 고정용 밧줄 체결고리
KR200376130Y1 (ko) * 2004-12-01 2005-03-08 이형우 화물차량용 적재함의 로프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7670B1 (ko) 2020-11-11 2021-08-09 김창균 로프 걸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58659C (zh) 电缆布线夹具
AU2016101941A4 (en) Shackle or clevis mount fitting for steel cable and synthetic rope end loops
CA2942362C (en) Cable lacing tie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1369630B1 (en) Cinch strap
US9062801B2 (en) Attachment collar for elongate elements
KR101569036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로프 걸이구
US20070067968A1 (en) Connectable Bungee Cord
US7461501B1 (en) Chain assembly
US10486582B1 (en) Ratchet strap keeper
US10814772B2 (en) Rope tie down apparatus
KR100895636B1 (ko) 차량의 커버링 쉘프 힌지 브래킷
US6353982B1 (en) Net repair bridge
KR101164771B1 (ko) 트럭의 적재화물 결속장치
KR101572728B1 (ko)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EP3067517B1 (fr) Conduit d'aeration souple disjonctable et dispositif de separation de conduit
KR101632501B1 (ko) 화물 고정용 로프 결착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KR200480031Y1 (ko) 다 방향 로프 연결 고리용 다중 체결 고리
JP4231654B2 (ja) 物品の吊り下げ具
GB2510023A (en) Retaining assembly and device for securing items to a trailer bed
KR20150070992A (ko) 화물 고정용 걸림고리 및 이를 이용한 로프 결착방법
US11041519B2 (en) Latch for winch line hook
JP5832006B2 (ja) 結束具
JP2013220813A (ja) スノーチェーンの接地面ネットの接続装置
KR101455323B1 (ko) 차량 트렁크용 그물
JP3150203U (ja) 自動車用タイヤ滑り止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