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498B1 -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498B1
KR101568498B1 KR1020130160788A KR20130160788A KR101568498B1 KR 101568498 B1 KR101568498 B1 KR 101568498B1 KR 1020130160788 A KR1020130160788 A KR 1020130160788A KR 20130160788 A KR20130160788 A KR 20130160788A KR 101568498 B1 KR101568498 B1 KR 10156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wire
present
low temperatur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007A (ko
Inventor
양요셉
석병설
김한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6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4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1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wire rods, bars, merchant bars, rounds wire or material of like smal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21B3/02Rolling special iron alloys, e.g. stainless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코어부 등에 사용되는 강선으로서, 전선의 사용온도인 약 100~250℃ 사이의 온도에서 350시간 이상 장시간 유지시켰을 때, 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선재 또는 강선은 중량비율로, C: 0.7~0.9%, Si: 1.0~2.0%, Mn: 0.07% 이하, P: 0.1~0.2%, S: 0.010%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STEEL WIRE ROD FOR STEEL WIRE HAVING LOW TEMPERATURE RESISTANCE, STEEL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의 코어부 등에 사용되는 강선으로서, 전선의 사용온도인 약 100~250℃ 사이의 온도에서 350시간 이상 장시간 유지시켰을 때, 전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선은 강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확보하기 위해 고탄소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둘러사는 도체부로 이루어졌다. 도체로서는 Al과 Cu 등이 주로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Cu가 고가원소이기 때문에, Al의 사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코어부에 사용되는 고탄소 강선으로는 경강을 신선한 것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1500MPa 이하의 저강도 강선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선은 태풍 등으로 인한 전선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전선의 평균 수명은 25-30년 정도이다. 그런데, 전류가 흐르는 전선에는 줄(Joule) 열이 발생하므로, 사용시에는 250℃ 이하의 열이 전선에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그 결과 전선은 처음에 설계되었던 이도를 벗어나서, 지상으로 더욱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런데, 전선이 처질 경우 지상과 근접하게 되므로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도심 이외의 지역에서는 고강도 강선이 전선의 코어부로 이용되나, 사람이 밀집한 도심에서는 Ni이 38~40% 포함된 인바(INVAR) 합금이 코어부로 사용된다. 상기 인바 합금은 250℃ 이하의 온도에서 선팽창계수가 낮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처짐 현상이 적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바 합금은 Ni 등과 같은 고가의 합금을 다량 사용하므로 탄소강에 비하여 가격이 높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따라서, 고탄소강으로 인바 합금을 대체할 수 있다면 가격적인 장점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러나, 고탄소강은 전선의 사용온도인 250℃ 이하의 저온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변형이 발생하는 소위 저온 저항성이 나빠서 인바 합금을 대체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저온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처짐의 발생이 적은 강선을 제조하기 위한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내용으로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선재는 중량비율로, C: 0.7~0.9%, Si: 1.0~2.0%, Mn: 0.07% 이하, P: 0.1~0.2%, S: 0.010%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선재는 95% 이상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내부 조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한가지 측면에 따른 강선은 중량 비율로, C: 0.7~0.9%, Si: 1.0~2.0%, Mn: 0.07% 이하, P: 0.1~0.2%, S: 0.010%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강선은 95% 이상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내부 조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펄라이트에 포함되는 페라이트의 비커스 경도(Hv)가 140~180 Hv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가지 측면에 따른 강선의 제조방법은, 제 1 항에 기재된 선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선재에 대하여 신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선은 건식신선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신선 패스당 감면량을 10~20%, 총 감면량을 79~87%로 하여 신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재 내의 합금성분을 적절한 범위내로 제어하고, 기타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저온에서 가열되는 강선의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와 발명예의 저온 저항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는 Si 함량에 따른 페라이트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3은 P 함량에 따른 페라이트 경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저온이라 함은, 전선의 가열온도 및 이와 유사한 범위의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한가지 예를 든다면 100~250℃의 온도 범위를 들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강재가 가열됨으로써 변형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한 저항성이 요구되는 강재 분야는 모두 본 발명의 대상 분야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선 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강선이 저온에서 가열될 때 처짐 현상 등과 같은 변형이 생기는 원인을 검토한 결과 고탄소강이 저온으로 가열될 경우 전위가 발생하는데, 상기 전위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구가 강선 내에 특별히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위가 이동하기 쉽게 되어 처짐이 발생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온으로 가열되는 강선 내에서 전위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합금 성분과 조직 조건 및 기타 제반 조건 등을 제어하는 것을 한가지 측면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합금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합금성분의 함량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C: 0.7~0.9%
C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주요 원소이다. C는 대부분 세멘타이트로 존재하며,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C가 증가할 경우 세멘타이트 두께 및 분율은 증가하고, 펄라이트 층간간격은 감소하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얻기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상기 C는 0.7%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C 함량이 0.9%를 초과할 경우에는 중심 편석이 형성되고 초석 세멘타이트가 입계에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0.9%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1.0~2.0%
Si는 본 발명에서 저온 저항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요한 원소이다. 즉, Si는 페라이트 내에 고용됨으로써 페라이트의 경도와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강재의 저온 가열시에 Si 등의 원소가 고용된 상태로 존재한다면 전위 주위에 응력장이 인가되고 그로 인하여 전위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Si는 용융도금시 강도의 저하를 막는 역할도 한다. 즉, Si은 세멘타이트 계면에 놓이기 때문에, 용융도금 시 페라이트로 C가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며 최종 구형화가 방지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Si는 1.0% 이상의 함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함량이 2.0%를 초과하면 표면에 파이야라이트(Fe2SiO4) 등과 같은 박리성이 나쁜 스케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케일 박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Mn: 0.07% 이하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며, 탈산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강내 존재하는 S와 반응하여 MnS를 형성함으로써 황에 의한 적열취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소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정 냉각속도 확보시 펄라이트 노즈를 통과하여 균일한 펄라이트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일정량 첨가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Mn은 세멘타이트 내 Fe와 치환이 쉬운 원소이며, Fe-C의 결합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신선 가공시 세멘타이트의 분해를 촉진한다. 세멘타이트 분해가 촉진되면 탄소가 페라이트로 확산되어 페라이트를 고용강화시켜 저온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오히려 세멘타이트 분해가 활발해져서 형상이 판형으로 존재하지 않으면, 세멘타이트와 페라이트의 계면적이 증가하여 균열 형성을 유발할 수 있는 자리가 많아져서 신선가공성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첨가를 적극 억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제강과정상의 부하를 고려하여 Mn은 0.07%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0.1~0.2%
P 역시 본 발명에서 강선의 저온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는 원소이다. 즉, 고용강화 효과는 C, N > P > Si > Cu의 순서로 크게 나타나는데, P는 치환형 합금 원소(P, Si, Cu) 중 가장 고용효과가 큰 원소로 미량 첨가에 의해서도 강도 향상효과가 크며, 또한 강재가 저온으로 가열되더라도 전위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 유용하게 첨가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P는 0.1% 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신선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P는 0.2%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S: 0.010% 이하
S는 불순물로서 강재의 적열취성을 유발하므로 그 첨가량은 작을 수록 좋다. 그러나, 그 함량을 너무 극한으로 낮게 제한할 경우에는 제강 공정에서 불순물 제거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게 되므로 적절한 범위에서 상한을 두는 것이 좋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S를 제어하는 원소 중 하나인 Mn의 함량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멘타이트 분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0.07% 이하로만 첨가되므로 S의 함량도 비교적 낮은 범위인 0.01%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조성을 가지는 선재를 대상으로 한다. 제조되는 강선이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선재는 면적비율로 펄라이트가 95% 이상이고, 나머지 불순조직(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초석세멘타이트, 탈탄, 파이얼라이트 스케일, 초석 페라이트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5% 이하인 내부조직을 가진다.
선재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한가지 방법에 따르면, 1000~1100℃에서 60분 이상 가열하는 단계, 마무리 온도가 950~1050℃의 범위가 되도록 열간 압연하는 단계, 출구 온도가 900~1000℃가 되도록 정밀압연(RSM)하여 강선재를 얻는 단계, 상기 강선재를 800~850℃까지 수냉하는 단계, 선재 온도 850~950℃로 레잉 헤드에 진입시켜서 8~12℃/초의 평균냉각속도로 500℃ 이하까지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재를 신선하여 강선을 제조한다. 신선 방법에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나, 한가지 예를 든다면 다음과 같다.
신선 전 열처리 단계: 신선 전 열처리는 미세한 펄라이트 조직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950~1050℃에서 오스테나이트화를 실시한 후, 바로 ?칭하여 550~650℃에서 90-180초 등온 열처리 한 후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선: 신선 방법은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건식신선법에 의해 신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신선 패스당 감면량 10~20%, 총 감면량 79~87%로 하는 것이 충분한 신선량을 확보하고 단선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때, 윤활제로서 Mo가 혼합된 스프레이식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강선은 Si, P등의 고용강화 원소로 인하여 펄라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페라이트의 경도가 140-180Hv로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선은 170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온 인장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전선용 강선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저온 가열되는 조건에서도 강선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그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
실시예1 - 선재 및 강선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관찰
표 1에 나타낸 조성(단위 중량%)을 가지는 블룸을 빌렛 압연 및 선재 압연하였다. 선재 압연시 가열온도는 1050℃로 정하였다. 그외의 조건으로는, 열간압연 마무리 온도: 1000℃, RSM(Reducing & Sizing Mill) 출구온도: 950℃, 수냉 후 선재 온도: 800℃, 레잉 헤드 진입온도: 880℃, 냉각속도: 10℃/초, 냉각정지온도: 500℃으로 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선재는 모두 실질적으로 펄라이트만으로 이루어진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선재의 인장강도(TS, 단위: MPa)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하여 얻어진 선재를 가지고 신선처리하여 강선을 얻었다. 신선 과정은 선재를 1000℃에서 오스테나이트화 처리 한 후 바로 켄칭하여 600℃에서 등온 열처리하는 열처리 과정을 우선 수행한 후, 상기 열처리된 선재를 단두식 신선기를 이용하여 패스당 감면량 20%, 총감면량: 83.2%의 조건으로 건식 신선하여 얻었다. 신선시 Mo가 혼합된 스프레이식 파우더를 윤활제로 사용하였다. 얻어진 강선의 인장강도(TS)를 측정하고 그 결과 역시 표 1에 나타내었다(단위: MPa). 표에서 일부의 데이터는 단선이 발생하여 최종 선경까지 신선할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그러할 경우에는 부득이하게 강선의 인장강도를 기재하지 못하고 X표로만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C Si Mn P S 선재 TS 강선 TS 신선성
비교예1 0.81 0.49 0.069 0.014 0.010 1,103 1,658 단선없음
비교예2 0.80 2.53 0.066 0.015 0.010 1,359 X 단선발생
비교예3 0.81 3.01 0.069 0.014 0.008 1,408 X 단선발생
비교예4 0.82 1.99 0.068 0.051 0.009 1,340 1,792 단선없음
발명예1 0.80 1.98 0.069 0.102 0.008 1,391 1,866 단선없음
발명예2 0.80 2.00 0.067 0.154 0.010 1,464 1,888 단선없음
발명예3 0.81 1.98 0.069 0.200 0.009 1,553 1,904 단선없음
비교예5 0.83 2.00 0.066 0.248 0.008 1,674 X 단선발생
비교예6 0.82 1.01 0.068 0.015 0.009 1,175 1,720 단선없음
비교예7 0.83 1.52 0.068 0.014 0.010 1,244 1,762 단선없음
비교예8 0.83 2.00 0.069 0.013 0.009 1,305 1,783 단선없음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i 함량과 P 함량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에 미달되는 비교예1의 경우는 선재의 인장강도가 1103MPa 수준으로서 발명예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강선의 강도 역시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1800MPa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도 향상을 위하여 Si는 본 발명에서 정하는 범위보다 많이 첨가하고, P는 본 발명에서 정하는 범위보다 적게 첨가한, 비교예2, 3 및 4는 선재 상태에서의 강도는 매우 높아 강선의 강도도 높게 기대할 수 있었으나, 신선성이 열악하거나 1800MPa 미만의 강도가 관찰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P를 다량 첨가하여 선재의 강도를 크게 높인 비교예5 역시 선재의 강도는 1674MPa로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신선시 단선이 발생하여 최종 선경의 강선을 얻을 수가 없었다. Si 함량은 본 발명의 범위내로 하되 P 함량이 부족한 비교예6, 7, 8의 경우 역시 발명예에 비하여 강도가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으로부터, 선재의 강도를 확보함은 물론 강선의 강도까지 본 발명의 범위내로 확보함으로써 저온 저항성이 높은 강선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성분의 조성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내로 동시에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발명예와 실시예의 선재 강도 비교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Si 함량이 0.5%에서 3.0%로 증가됨에 따라서 선재의 인장강도가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Si 함량이 선재의 인장강도 증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Si 함량이 2.0%를 초과하면 선재의 인장강도는 향상되지만, 단선이 발생하여 최종 강선을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Si 함량의 상한은 2.0%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의 함량에 따른 강선 강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C: 0.82%, Si: 2.0%, Mn: 0.068%, S: 0.008%로 고정하되, P 함량을 0.05~0.25%로 변화시켜 제조(상세한 제조조건은 상기 상술한 실시예의 조건과 동일하다)한 강선의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P 함량을 증가시킬 수록 강선의 인장강도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P: 0.20%일 경우에는 강선 인장강도가 1900MPa 이상까지 확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P: 0.20%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에는 단선이 발생하여 최종 강선을 얻을 수가 없었다.
실시예2 - 저온 저항성 확인
본 발명의 조건에 따라 강도를 확보한 강선이 충분한 저온 저항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비교예1, 비교예8 및 발명예3의 강선에 대하여 저온 저항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저온 저항성 시험은 250℃의 유지온도에서 강선 인장강도의 1/3~1/2 수준인 800~1000MPa 범위에서 강선에 인가응력을 부여하면서 350시간 강선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도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일한 인가응력이 작용하였음에도 비교예1, 비교예8에 비하여 발명예3의 변형량이 월등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변형량이 작을수록 저온에서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조건에 의하여 제조한 발명예가 훨씬 우수한 저온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3 - 페라이트 경도 확인
도 2 및 도 3에 Si 및 P 함량의 변화에 따른 페라이트 경도(Hv: 비커스 경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는 Si 외의 나머지 원소의 함량을 C: 0.82%, Mn: 0.068%, P: 0.10%, S: 0.010%로 고정한 경우에 대한 결과이며, 도 3은 P외의 나머지 원소의 함량을 C: 0.82%, Si: 2.0%, Mn: 0.068%, S: 0.010%로 고정한 경우에 대한 결과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Si 함량이 증가할 때마다 페라이트 경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약 0.1%의 Si 함량 증가는 2.5Hv 정도의 경도 증가를 일으킬 수 있음을 계산할 수 있다. 다만, Si 함량이 2.0%를 초과할 경우에 단선이 발생하여 그 이상의 Si 함량에서는 경도 측정이 불가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P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페라이트 경도도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P가 0.05%에서 0.2%로 증가할 경우 페라이트 경도는 141Hv에서 181Hv로 39Hv 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때, P가 0.1% 증가할 때마다 페라이트 경도는 2.6Hv 정도 증가함을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i와 P의 첨가는 강선의 페라이트 경도를 증가시키며 그 결과 저온으로 가열되어 장시간 사용되더라도 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선용으로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중량비율로, C: 0.7~0.9%, Si: 1.0~2.0%, Mn: 0.07% 이하(0%는 미포함), P: 0.1~0.2%, S: 0.010%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2. 제 1 항에 있어서, 95% 이상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내부 조직을 가지는 선재.
  3. 중량비율로, C: 0.7~0.9%, Si: 1.0~2.0%, Mn: 0.07% 이하(0%는 미포함), P: 0.1~0.2%, S: 0.010% 이하, 잔부 Fe 및 불가피한 원소를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
  4. 제 3 항에 있어서, 95% 이상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내부 조직을 가지는 강선.
  5. 제 4 항에 있어서, 펄라이트에 포함되는 페라이트의 비커스 경도(Hv)가 140~Hv180인 강선.
  6. 제 1 항에 기재된 선재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선재에 대하여 신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선은 건식신선법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신선 패스당 감면량을 10~20%, 총 감면량을 79~87%로 하여 신선하는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의 제조방법.
KR1020130160788A 2013-12-20 2013-12-20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KR10156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788A KR101568498B1 (ko) 2013-12-20 2013-12-20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788A KR101568498B1 (ko) 2013-12-20 2013-12-20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07A KR20150073007A (ko) 2015-06-30
KR101568498B1 true KR101568498B1 (ko) 2015-11-11

Family

ID=5351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788A KR101568498B1 (ko) 2013-12-20 2013-12-20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537B1 (ko) * 2016-11-07 2018-02-20 주식회사 포스코 피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954A (ja) 2010-12-15 2012-07-05 Kobe Steel Ltd 乾式伸線性に優れた高炭素鋼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6954A (ja) 2010-12-15 2012-07-05 Kobe Steel Ltd 乾式伸線性に優れた高炭素鋼線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07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5213B1 (en) Steel wire for bolt, bolt, and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EP2083094A1 (en) High-strength steel wire excelling in duct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50121081A (ko) 생드로잉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선용 선재 및 고강도 강선
KR101568498B1 (ko) 저온 저항성이 우수한 강선용 선재, 강선 및 강선의 제조방법
KR101726074B1 (ko) 템퍼 취성 저항성이 우수한 고탄소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5367B1 (ko) 충격인성이 향상된 냉간압조용 선재, 이를 이용한 가공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318383B1 (ko) 열연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7173A (ko) 강선 제조장치, 고탄소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572A (ko) 강도와 연성이 우수한 열처리 경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822B1 (ko) 내부식성이 우수한 고강도 선재, 이를 이용한 강선 및 그들의 제조방법
JP4772703B2 (ja) 磁気特性に優れた電磁軟鉄製部品並びに電磁軟鉄製部品用棒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60877B1 (ko) 충격인성이 우수한 중탄소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11724B1 (ko) 고강도 선재 및 강선과 그 제조 방법
KR10156090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냉간압조용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12331B1 (ko) 고강도 도금 강선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552837B1 (ko) 보론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2448756B1 (ko) 수소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간압조용 선재, 열처리부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053305B1 (ko) 저탈탄형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8338B1 (ko) 신선용 선재 및 열처리재와 고강도 강선
KR101449113B1 (ko) 굽힘 피로 특성 및 연성이 우수한 고탄소 강선 및 그 제조방법
KR102448754B1 (ko) 열처리 특성 및 수소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간압조용 선재, 열처리부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80196B1 (ko) 우수한 강도와 연성을 갖는 초세립 선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35460B1 (ko) 스틸코드용 강선의 제조방법
KR102470032B1 (ko)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이 우수한 합금강의 제조방법
KR101543844B1 (ko) 고강도 선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