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01B1 -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01B1
KR101567501B1 KR1020150081421A KR20150081421A KR101567501B1 KR 101567501 B1 KR101567501 B1 KR 101567501B1 KR 1020150081421 A KR1020150081421 A KR 1020150081421A KR 20150081421 A KR20150081421 A KR 20150081421A KR 101567501 B1 KR101567501 B1 KR 101567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nspection table
oscillator
detector
dual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무
Original Assignee
한승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무 filed Critical 한승무
Priority to KR102015008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61B5/4509Bone density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검사 테이블; 상기 검사 테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각각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는 면에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원호 형상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 상기 회전체의 타 측에 구비되되 상기 X선 발진기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디텍터;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시키는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환형 안내 레일에 구비되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Bone densitometer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ype}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밀도 측정 장치는 골다공증 진단 등을 위해 뼈의 밀도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방식에 따라 방사선 흡수 계측(radiographic absorptiometry),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DE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정량적 초음파 검사(QUS; quantitative ultrasound), 정량적 컴퓨터 단층촬영(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방식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자(P)가 누울 수 있는 검사 테이블(11)과, 검사 테이블(11)로부터 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12)와, 그리고 테이블(11)로부터 상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되 X선 발진기와 대향되게 구비되며 X선을 받는 디텍터(detector)(13)를 포함한다.
나아가, 검사 테이블(11)은 그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X선 발진기(12)와 디텍터(13)는 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기존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X-Y 평면 이동을 통해 검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하여 에너지가 높은 X선과 에너지가 낮은 X선으로 두 번 스캔하는 방식으로 골밀도를 측정한다.
하지만, 기존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2차원 평면 이동을 통해 스캔 영상을 획득하므로 면적 골밀도만을 구할 수 있으며 뼈 내부의 정확한 상태를 진단하는 데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검사 테이블; 상기 검사 테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각각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는 면에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원호 형상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 상기 회전체의 타 측에 구비되되 상기 X선 발진기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디텍터;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시키는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환형 안내 레일에 구비되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Y축 이송 유닛은,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검사 테이블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각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상부 안내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상부 안내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각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하부 안내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하부 안내 브라켓;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안내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선형 안내 레일;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안내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 선형 안내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상기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Y축 이송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암나사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암사사공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 바; 및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상기 제2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상기 검사 테이블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X축 방향으로 상기 X선 발진기와 상기 디텍터를 이동시키는 X축 이송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이송 유닛은, 상기 회전체와 상기 X선 발진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X선 발진기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발진기 안내 레일; 상기 X선 발진기를 상기 발진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X축 이송부; 상기 회전체와 상기 디텍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텍터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디텍터 안내 레일; 및 상기 디텍터를 상기 디텍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X축 이송부; 및 상기 X선 발진기와 상기 디텍터가 항상 대향되게 같은 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X축 이송부와 상기 제2 X축 이송부를 동기화시키는 동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검사 테이블,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 회전체, X선 발진기, 디텍터, 제1 구동원, 피니언 기어, 그리고 랙 기어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여러 각도에서 골밀도를 정보를 구함으로써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방향으로 스캔하므로 파노라마 방식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본 본 도면이다.
도 4는 동기 제어부와 제1 및 제2 X축 이송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를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잘라본 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동기 제어부와 제1 및 제2 X축 이송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테이블(110)과,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과, 회전체(140)와, X선 발진기(150)와, 디텍터(160)와, 그리고 회동 유닛(170)을 포함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검사 테이블(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대상자(P)가 누울 수 있도록 검사 대상자(P)의 키 보다 큰 길이로 설계된다.
제1 환형 안내 레일(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테이블(1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구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환형 안내 레일(130)과 대향되는 면에 제1 환형 안내홈(121)을 가진다. 제2 환형 안내 레일(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테이블(1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개구(도 3 참조)되며, 제1 환형 안내 레일(120)과 대향되는 면에 제2 환형 안내홈(131)을 가진다.
회전체(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을 가지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121)(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을 따라 회전된다.
X선 발진기(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40)의 일 측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킨다. 디텍터(1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40)의 타 측에 구비되되 X선 발진기(150)에 대향되게 구비되며 X선을 받는다.
회동 유닛(170)은 회전체(1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회동 유닛(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형 안내 레일(120)에 구비되는 제1 구동원(171)과, 제1 구동원(171)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172)과, 그리고 피니언 기어(172)에 맞물리도록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 기어(17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구동원(171)으로는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제1 구동원(171)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면 랙 기어(173)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7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인 회전체(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반대로 제1 구동원(171)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면 랙 기어(173)와 맞물린 피니언 기어(17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인 회전체(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되는 동안, X선 발진기(150)에서 발진된 X선이 디텍터(160)를 향해 이동되면서 검사 대상자(P)를 투과하여 얻은 영상을 통해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각도에서 골밀도를 정보를 구함으로써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어 보다 정확히 진단이 가능하고, 또한 회전 방향으로 스캔하므로 파노라마 방식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기존의 2차원 평면 이동을 하는 골밀도 측정 장치와도 호환이 가능하여, 축적되어 있는 기존의 임상 데이터베이스도 그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이 회전체(140)의 양 측을 동시에 지지하므로, 회전체(140)가 회전되는 동안 한 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 이송 유닛(180)을 더 포함할 있다.
Y축 이송 유닛(180)은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을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Y축 이송 유닛(18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지지대(181)(182), 제1 및 제2 상부 안내 브라켓(183)(184), 제1 및 제2 하부 안내 브라켓(185)(186), 상부 선형 안내 레일(187), 하부 선형 안내 레일(188), 그리고 Y축 이송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81)는 검사 테이블(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검사 테이블(110)의 일 단을 지지하고, 제2 지지대(182)는 검사 테이블(1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검사 테이블(110)의 타단을 지지한다.
제1 상부 안내 브라켓(183)은 제1 환형 안내 레일(120)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상부 안내공(183a)을 가지고, 제2 상부 안내 브라켓(184)은 제2 환형 안내 레일(130)의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2 상부 안내공(184a)을 가진다.
제1 하부 안내 브라켓(185)은 제1 환형 안내 레일(120)의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하부 안내공(185a)을 가지고, 제2 하부 안내 브라켓(186)은 제2 환형 안내 레일(130)의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2 하부 안내공(186a)을 가진다.
상부 선형 안내 레일(187)은 검사 테이블(110)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제1 및 제2 지지대(181)(182)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및 제2 상부 안내공(183a)(18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하부 선형 안내 레일(188)은 검사 테이블(110)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격되어 제1 및 제2 지지대(181)(182)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및 제2 하부 안내공(185a)(18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Y축 이송부(189)는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을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Y축 이송부(189)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 전달 부재(189a), 제2 동력 전달 부재(189a 참조), 스크류 바(189b), 그리고 제2 구동원(189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력 전달 부재(189a)는 제1 환형 안내 레일(120)의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암나사공(189e)을 가지고, 제2 동력 전달 부재(189a 참조)는 제2 환형 안내 레일(130)의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2 암나사공(189e 참조)을 가지고, 스크류 바(189b)는 검사 테이블(110)로부터 이격되어 제1 및 제2 지지대(181)(182)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및 제2 암사사공(189e)(189e 참조)에 나사 체결되며, 그리고 제2 구동원(189c)은 제2 지지대(182)에 구비되며 스크류 바(189b)를 회전시킨다. 나아가, 제2 구동원(189c)으로는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보면, 제2 구동원(189c)이 스크류 바(189b)를 회전시키면 스크류 바(189b)에 나사 체결된 제1 및 제2 동력 전달 부재(189a)(189a 참조)를 통해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120)(130)과 회전체(140)에 고정된 X선 발진기(150)와 디텍터(160)가 Y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을 하게 된다. 이렇게 Y축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을 하는 동안 상술한 회동 유닛(170) 등에 의해 회전이 함께 일어나므로, X선 발진기(150)에서 발진된 X선이 디텍터(160)를 향해 이동되면서 획득된 검사 대상자(P)의 머리에서 발 끝까지에 대한 영상을 통해 체적 골밀도를 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이송 유닛(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X축 이송 유닛(190)은 검사 테이블(110)에 대해 평행하고 검사 테이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X축 방향으로 X선 발진기(150)와 디텍터(16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X축 이송 유닛(19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기 안내 레일(191), 제1 X축 이송부(192), 디텍터 안내 레일(193), 제2 X축 이송부(194), 그리고 동기 제어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발진기 안내 레일(191)은 회전체(140)와 X선 발진기(150) 사이에 구비되어 X선 발진기(150)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제1 X축 이송부(192)는 X선 발진기(150)를 발진기 안내 레일(191)을 따라 이동시키고, 디텍터 안내 레일(193)은 회전체(140)와 디텍터(160) 사이에 구비되어 디텍터(160)를 X축 방향으로 안내하고, 제2 X축 이송부(194)는 디텍터(160)를 디텍터 안내 레일(193)을 따라 이동시키며, 그리고 동기 제어부(195)는 X선 발진기(150)와 디텍터(160)가 항상 대향되게 같은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1 X축 이송부(192)와 제2 X축 이송부(194)를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 및 제2 X축 이송부(192)(194)로는 LM 가이드나 볼 스크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를 기준으로 하여 보면, 동기 제어부(195)가 제1 및 제2 X선 이송부(192)(194)를 통해 동기화된 상태(synchronized state)로 X선 발진기(150)와 디텍터(160)를 X축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킨다. 이렇게 X축 방향으로 좌우 이동되는 동안, 상술한 Y축 이송 유닛(180)과 회동 유닛(170) 등에 의해 Y축 이동과 회전이 함께 일어나므로, X선 발진기(150)에서 발진된 X선이 디텍터(160)를 향해 이동되면서 획득된 검사 대상자의 좌우 및 머리에서 발 끝까지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영상을 통해 체적 골밀도를 보다 정확히 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골밀도 측정 장치 110: 검사 테이블
120: 제1 환형 안내 레일 121: 제1 환형 안내홈
130: 제2 환형 안내 레일 131: 제2 환형 안내홈
140: 회전체 150: X선 발진기
160: 디텍터 170: 회동 유닛
171: 제1 구동원 172: 피니언 기어
173: 랙 기어 180: Y축 이송 유닛
181: 제1 지지대 182: 제2 지지대
183: 제1 상부 안내 브라켓 183a: 제1 상부 안내공
184: 제2 상부 안내 브라켓 184a: 제2 상부 안내공
185: 제1 하부 안내 브라켓 185a: 제1 하부 안내공
186: 제2 하부 안내 브라켓 186a: 제2 하부 안내공
187: 상부 선형 안내 레일 188: 하부 선형 안내 레일
189: Y축 이송부 189a: 제1 동력 전달 부재
189b: 스크류 바 189c: 제2 구동원
189e: 제1 암나사공 190: X축 이송 유닛
191: 발진기 안내 레일 192: 제1 X축 이송부
193: 디텍터 안내 레일 194: 제2 X축 이송부
195: 동기 제어부

Claims (6)

  1.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에 있어서,
    검사 테이블;
    상기 검사 테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각각 개구되며 서로 대향되는 면에 제1 및 제2 환형 안내홈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따라 회전되는 원호 형상의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 측에 구비되며 X선을 발진시키는 X선 발진기;
    상기 회전체의 타 측에 구비되되 상기 X선 발진기에 대향되게 구비되는 디텍터;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시키는 회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유닛은,
    상기 제1 환형 안내 레일에 구비되는 제1 구동원;
    상기 제1 구동원에 축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랙 기어
    를 포함하고,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송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Y축 이송 유닛은,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검사 테이블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각 상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상부 안내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상부 안내 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각 하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하부 안내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하부 안내 브라켓;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부 안내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선형 안내 레일;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하부를 향해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안내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 선형 안내 레일; 및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을 상기 Y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 이송부
    를 포함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Y축 이송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환형 안내 레일의 일 측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제1 및 제2 암나사공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동력 전달 부재;
    상기 검사 테이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암사사공에 나사 체결되는 스크류 바; 및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상기 제2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원
    을 포함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는,
    상기 검사 테이블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검사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X축 방향으로 상기 X선 발진기와 상기 디텍터를 이동시키는 X축 이송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X축 이송 유닛은,
    상기 회전체와 상기 X선 발진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X선 발진기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발진기 안내 레일;
    상기 X선 발진기를 상기 발진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 X축 이송부;
    상기 회전체와 상기 디텍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텍터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안내하는 디텍터 안내 레일; 및
    상기 디텍터를 상기 디텍터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 X축 이송부; 및
    상기 X선 발진기와 상기 디텍터가 항상 대향되게 같은 속도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X축 이송부와 상기 제2 X축 이송부를 동기화시키는 동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KR1020150081421A 2015-06-09 2015-06-09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KR101567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21A KR101567501B1 (ko) 2015-06-09 2015-06-09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21A KR101567501B1 (ko) 2015-06-09 2015-06-09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501B1 true KR101567501B1 (ko) 2015-11-11

Family

ID=5460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21A KR101567501B1 (ko) 2015-06-09 2015-06-09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886A (ko) 2018-08-31 2020-03-10 (주) 뉴케어 가변영상단면 투영법을 이용한 엑스선 영상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엑스선 영상화 장치
KR102211389B1 (ko) * 2020-01-08 2021-02-03 (주)웨버인스트루먼트 인공지능형 회전방식을 구현하는 3차원 골밀도 및 골연령 측정장치
CN113662572A (zh) * 2021-08-20 2021-11-19 重庆市中医骨科医院 X线骨密度检测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375A (ja) 2001-10-15 2005-0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体積スキャナ
KR101254097B1 (ko) 2011-12-08 2013-04-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촬영 모듈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
JP2013202103A (ja) 2012-03-27 2013-10-07 Sumitomo Heavy Ind Ltd X線撮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5375A (ja) 2001-10-15 2005-0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インターベンショナル体積スキャナ
KR101254097B1 (ko) 2011-12-08 2013-04-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촬영 모듈 회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획득 장치
JP2013202103A (ja) 2012-03-27 2013-10-07 Sumitomo Heavy Ind Ltd X線撮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886A (ko) 2018-08-31 2020-03-10 (주) 뉴케어 가변영상단면 투영법을 이용한 엑스선 영상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엑스선 영상화 장치
KR102211389B1 (ko) * 2020-01-08 2021-02-03 (주)웨버인스트루먼트 인공지능형 회전방식을 구현하는 3차원 골밀도 및 골연령 측정장치
CN113662572A (zh) * 2021-08-20 2021-11-19 重庆市中医骨科医院 X线骨密度检测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8195B2 (en) X-ray scatter reducing device for use with 2D mammography and tomosynthesis
US7924974B2 (en) X-ray machine for breast examination in a standing position
US7676021B2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US11020071B2 (en) X-ray computed tomography apparatus with scanner function
KR101567501B1 (ko)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 방식의 골밀도 측정 장치
JP2006051234A (ja) スキャン制御方法およびx線ct装置
EP3097854B1 (en) Ct photographic device
KR101401927B1 (ko) 치과용 파노라마 및 씨티 겸용 x선 촬영장치
CN109480878B (zh) C形臂x射线设备及获取x射线图像的方法
JP2013116143A (ja) X線コンピュータ断層撮影装置
EP2366333A1 (en) Medical imaging device comprising radiographic acquisition means and guide means for ultrasound probe
TW201515638A (zh) 一種三維造影掃描系統
JP6608117B2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放射線画像撮影方法、及び放射線画像撮影プログラム
JP2012245329A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00239063A1 (en) Rotating anode x-ray tube wibh a saddle shaped anode
KR101661055B1 (ko) 영상 촬영 방법 및 장치
KR101660129B1 (ko) X선 촬영장치
KR20160066388A (ko) 스마트 환자영상획득장치
JP2016036515A (ja) X線診断装置
JP2010184037A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
KR101660130B1 (ko) X선 촬영장치
US20160206262A1 (en) Extended volume imaging
KR102314303B1 (ko) 방사선 촬영장치 및 방사선 촬영방법
JP6681256B2 (ja) X線ct装置
CN116784870A (zh) 一种混合探测器装置及扫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