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150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7150B1 KR101567150B1 KR1020130148477A KR20130148477A KR101567150B1 KR 101567150 B1 KR101567150 B1 KR 101567150B1 KR 1020130148477 A KR1020130148477 A KR 1020130148477A KR 20130148477 A KR20130148477 A KR 20130148477A KR 101567150 B1 KR101567150 B1 KR 1015671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gen
- pressure
- fuel cell
- supply valve
-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42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at auxiliary devices, e.g. reformers, compressors, bur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고압 레귤레이터(HPR: High Pressure Regulator)의 동작 불량시 연료 전지 스택 입구단 압력만을 모니터링 하는 중 과압이 발생한 이후에 일련의 차량 셧다운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닌, 과압이 발생한 시점(수소 공급 밸브(HSV:Hydrogen Supply Valve) 의 동작성과는 무관)에 신속한 과정을 거쳐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의 고압 수소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vehicle having a series of vehicle shutdown procedures Fuel cell vehicle to prevent the inflow of high-pressure hydrogen into the inlet of the fuel cell stack through a rapid process at the point of occurrence of overpressure (irrespective of the performanc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Hydrogen Supply Valve)). Pressure hydrogen inflow and outflow device and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 전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중 고압 레귤레이터(HPR: High Pressure Regulator)의 동작 불량시 연료 전지 스택 입구단 압력만을 모니터링하는 중 과압이 발생한 이후에 일련의 차량 셧다운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닌, 과압이 발생한 시점(수소 공급 밸브(HSV:Hydrogen Supply Valve) 의 동작성과는 무관)에 신속한 과정을 거쳐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의 고압 수소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cell vehicle having a series of vehicle shutdown procedures Fuel cell vehicle to prevent the inflow of high-pressure hydrogen into the inlet of the fuel cell stack through a rapid process at the point of occurrence of overpressure (irrespective of the performanc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Hydrogen Supply Valve)). Pressure hydrogen inflow and outflow device an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시동시에는 수소 라인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면 시동 절차를 거치지 않아 차량 시동 실패 경우가 많았던 반면, 이전 차량 셧다운 절차 중에 이미 퍼지를 통해 라인 압력 상승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 이후인 관계로, 다음 시동시에는 정상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Also,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solves the problem of line pressure rise through purge during the previous vehicle shutdown procedure, when the hydrogen lin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during start-u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cut-off device and method for a fuel cell vehicle that enables normal start-up at the next start-up.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차량에 사용되는 수소 탱크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해 고압 레귤레이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압 레귤레이터 단품내에 들어있는 고무 오링(O-ring)이 낮은 온도에 의해 수축되면서 기밀 기능이 불량해져 고압 레귤레이터내 미세 leak가 발생한다. Generally, a high-pressure regulator is us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used in the fuel cell vehicle. However, the rubber o-ring contained in the high-pressure regulator is shrunk due to low temperature, resulting in poor air-tightness, resulting in a micro leak in the high-pressure regulator.
결과적으로는 수소 라인압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가 지속 발생시에는 수소 공급 밸브(HSV:Hydrogen Supply Valve)의 제어 문제를 발생시켜 연료 전지 스택내로 들어가는 수소 압력이 높아져 연료 전지 스택내 분리판 및 연료 전지 스택 단품 자체의 내부 파열과 단품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hydrogen line pressure is increased. When this problem persists, the control problem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Hydrogen Supply Valve) is generated to increase the hydrogen pressure into the fuel cell stack, And internal rupture of the fuel cell stack itself and damage of the single product.
왜냐하면 스택 내부에는 매우 얇은 막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고압에 대해 매우 민감하며, 얇은 막이 찢어져 차량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차량 제어기에서는 HPR의 정상 동작 여부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차량 시동초기부터 수소 라인압이 기준값 이상이 되면 연료전지시스템의 시동절차를 밟지 않도록 하고 있다. Because it contains a very thin film inside the stack, it is very sensitive to high pressure and the thin film is torn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deteriorat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the normal operation of the HPR in the vehicle controller. Therefore, when the hydrogen line pressure beco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from the start of the vehicle, the start-up procedure of the fuel cell system is not performed.
또한, 차량 주행 중 수소 탱크로부터 고압 레귤레이터(HPR)를 통해 감압된 10bar의 고압 라인(수소 탱크 - 스택간 라인)은 다시 수소 공급 밸브(HSV:Hydrogen Supply Valve)를 통해 최대 1.5bar로 다시 감압하여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 수소를 공급하게 된다.The high-pressure line (hydrogen tank-stack line) of 10 bar reduced from the hydrogen tank through the high pressure regulator (HPR) during the running of the vehicle is again reduced to 1.5 bar through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Thereby supplying hydrogen to the inside of the fuel cell stack inlet.
그런데, 차량 주행 중 고압 레귤레이터가 동작 불량을 일으킴에도 불구하고 차량 셧다운 과정은 바로 발생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연료 전지 스택내로 유입되는 일정 기준값 압력 이상 상승만으로 판단하며, 이에 대한 원인은 수소 공급 밸브(HSV)의 제어성 불량으로 판단한다.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high-voltage regulator causes malfunction during driving, the vehicle shutdown process is judged to be only a rise above a certain reference value pressure that flows into the fuel cell stack without causing the shutdown process, It is judged that the controllability is poor.
이러한 기술의 단점은 수소 입구내 압력을 모니터링을 하는 중에, 수소 압력이 기준값 이상으로 센싱된 이후에 차량 정상 셧다운 절차를 밟으면, 이미 스택 내부로의 과압 수소 유입은 막을 수 없게 된다는 점이었다.The disadvantage of this technique is that during the monitoring of the pressure in the hydrogen inlet, if the normal pressure shutdown procedure is followed after the hydrogen pressure is sensed above the reference value, the overflow of hydrogen into the stack has already been prevented.
왜냐하면 과압의 수소 유입을 인지한 이후에 차량 정상 셧다운 절차를 밟기 때문이다. 또한 차량 정상 셧다운 절차 역시 바로 수소 탱크 밸브를 닫지 않고, 먼저 공기 공급 차단 및 기존 연료 전지 스택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형성된 고전압을 제거한 후에 수소 탱크 밸브를 닫는다. This is because the vehicle is subjected to a normal shutdown procedure after recognizing the hydrogen inflow of the overpressure. The normal vehicle shutdown procedure also closes the hydrogen tank valve without first shutting off the air supply and removing the high voltage formed 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xisting fuel cell stack.
일반적으로 차량 주행 중 연료전지차량 셧다운 되었을 때의 차량 제어기에서는 수소 압력제어 폴트(fault)로 수소 공급 밸브(HSV)의 제어성 불량으로 판단하여 비로소 차량을 셧다운 시키고 있다. 이때의 고압 레귤레이터(HPR) 라인압은 기준값 이상으로써, 연료 전지 스택내 압력 센서의 센싱값도 타겟 압력 대비 상승하였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즉 연료 전지 스택내 타겟 수소 압력 대비 0.25bar 이상 상승(100)됨을 볼 수 있다Generally, when the fuel cell vehicle is shut down during the vehicle running, the vehicl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can not be controlled with a hydrogen pressure control fault, and the vehicle is shut down. At this time, the lin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regulator (HPR) wa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pressure sensor in the fuel cell stack also increased compared to the target pressure. A diagram showing this is shown in Fig. That is, the target hydrogen pressure in the fuel cell stack is increased by at least 0.25 bar (100)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중 고압 레귤레이터의 동작 불량시 연료 전지 스택 입구단 압력만을 모니터링하는 중 과압이 발생한 이후에 일련의 차량 셧다운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닌, 과압이 발생한 시점에 신속한 과정을 거쳐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의 고압 수소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above backgroun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cell system that does not perform a series of vehicle shutdown procedures after an overpressure during monitoring only a fuel cell stack inl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cut-off device and method for a fuel cell vehicle that prevents inflow of high-pressure hydrogen into the inlet of a fuel cell stack through a quick process at the time of overpressure.
또한, 본 발명은 이전 차량 셧다운 절차 중에 이미 퍼지를 통해 라인 압력 상승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 이후인 관계로, 다음 시동시에는 정상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ine pressure rise through purge already during the previous vehicle shutdown procedure, a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cut-off device and method of a fuel cell vehicle that enables normal startup at the next startup There are other purposes to provide.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과압이 발생한 이후에 일련의 차량 셧다운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닌, 과압이 발생한 시점에 신속한 과정을 거쳐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의 고압 수소 유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system that prevents a high pressure hydrogen inflow into the inlet of a fuel cell stack through a quick process at the time of overpressure, rather than following a series of vehicle shutdown procedures after an overpressure has occurred Pressure hydrogen inflow and outflow device of a fuel cell vehicle.
상기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는,The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
수소 탱크;Hydrogen tank;
상기 수소 탱크를 개폐하는 수소 탱크 밸브;A hydrogen tan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ydrogen tank;
상기 탱크 밸브와 연결되어 수소를 1차 감압하는 고압 레귤레이터;A high-pressure regulator connected to the tank valve for primarily reducing hydrogen;
1차 감압된 수소를 2차 감압하여 개폐하는 수소 공급 밸브;A hydrogen supply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decompressed hydrogen by a second decompression;
상기 수소 공급 밸브로부터 2차 가압된 수소가 유입되는 연료 전지 스택; A fuel cell stack into which the hydrogen pressurized from the hydrogen supply valve flows;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와 수소 공급 밸브 사이의 수소 라인압을 모니터링하는 제 1 압력 센서;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onitoring the hydrogen line pressure between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the hydrogen supply valve;
모니터링 결과,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 A controller for performing dual control according to a state of the high-voltage regulat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제 2 압력 센서; 및A second pressure sensor for monitoring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료 전지 스택 내의 수소를 배출하는 수소 퍼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hydrogen purge valve for discharging hydrogen in the fuel cell stac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이때,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1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정상 상태로서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during the binary control may be a steady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또한,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when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in a steady state.
또한,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purge valve is opened and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are closed to stop the vehicle when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abnormal.
또한,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2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비정상 상태로서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during the bi-directional contro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ogen purge valve is opened as an abnormal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simultaneously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are closed to stop the vehicle.
또한,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second control may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는, 수소 공급 밸브를 이용하여 고압 레귤레이터에 의해 1차 감압된 수소를 2차 감압하는 감압 단계; 제 1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와 수소 공급 밸브 사이의 수소 라인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하는 이원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pressurizing step of secondarily depressurizing hydrogen primarily depressurized by a high-pressure regulator using a hydrogen supply valve;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a hydrogen line pressure between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the hydrogen supply valve using a first pressure sensor; And a dual control step of performing dual contro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as a result of monitoring the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 outflow of the fuel cell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고압 레귤레이터(HPR)의 동작 불량시 스택 입구단 압력만을 모니터링 하는 중 과압이 발생한 이후에 일련의 차량 셧다운 절차를 밟는 것이 아닌, 과압이 발생한 시점(HSV의 동작성과는 무관)에 신속한 과정을 거쳐 수소 공급 밸브(HSV)의 제어성 불량 초래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연료 전지 스택 입구 내부로의 고압 수소 유입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eries of vehicle shutdown procedures after an overpressure occurs while monitoring only the stack inlet end pressure during operation of the high pressure regulator (HPR) during vehicle run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ollability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HSV) through a rapid process, and ultimately to prevent the inflow of high-pressure hydrogen into the inlet of the fuel cell stack fundamental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연료 전지 스택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Another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ndurance performance of the fuel cell stack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추가적으로 일반적인 시동시에는 수소 라인 압력이 기준값 이상이면 시동 절차를 거치지 않아 차량 시동 실패 경우가 많았던 반면, 이전 차량 셧다운 절차 중에 이미 퍼지를 통해 라인 압력 상승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 이후이기 때문에 다음 시동시에는 정상 시동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ydrogen lin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during the normal start-up, the start-up procedure is not performed and the vehicle start-up failure is frequent.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previous vehicle shutdown procedure, Since this is after solving, it can be said that normal start is possible at the next start.
도 1은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 스택 입구의 압력 과다로 인한 차량의 셧다운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차량의 셧다운 절차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Figure 1 is a graph generally showing the shutdown of a vehicle due to pressure overload at the fuel cell stack inlet.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utdown procedure of a vehicle during ru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200)는, 수소 탱크(210), 상기 수소 탱크(210)를 개폐하는 수소 탱크 밸브(220), 상기 탱크 밸브(220)와 연결되어 수소를 1차 감압하는 고압 레귤레이터(230), 1차 감압된 수소를 2차 감압하여 개폐하는 수소 공급 밸브(250), 상기 수소 공급 밸브(250)로부터 2차 가압된 수소가 유입되는 연료 전지 스택(280),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와 수소 공급 밸브(250) 사이의 수소 라인압을 모니터링하는 제 1 압력 센서(240), 모니터링 결과,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201), 상기 제어기(201)의 제어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제 2 압력 센서(270), 및상기 제어기(2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료 전지 스택(280) 내의 수소를 배출하는 수소 퍼지 밸브(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
제어기(201)는 이들 탱크 밸브(220), 고압 레귤레이터(230), 압력 센서(240,280), 수소 공급 밸브(250) 등은 제어기(미도시)에 연결된다. 제어기(201)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구성되어 이들 구성 요소들과 제어 및/또는 데이터 신호등을 교환한다. The
연료 전지 차량은 수소 탱크(210)를 원료 탱크로 사용하는데, 이때 수소 탱크(210)내의 수소 압력은 최고 약 700bar의 높은 압력이다. 이러한 고압상태의 수소 압력을 연료 전지 스택(280)의 입구 내부로 직접 분사하게 되면 스택 단품의 내부 파열과 손상이 불가피하게 된다. The fuel cell vehicle uses the
이를 막기 위해 감압 장치인 고압 레귤레이터(HPR: High Pressure Regulator)(230)를 수소 탱크(210)와 연료 전지 스택(280) 사이에 적용하여 700bar의 고압을 10bar 내외로 감압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 high pressure regulator (HPR) 230 as a pressure reducing device is applied between the
수소 공급 밸브(HSV:Hydrogen Supply Valve)(250)를 적용하여 고압 레규귤레이터(230)로부터 들어오는 10bar의 고압 수소를 연료 전지 스택(280) 내부 환경에 적합한 최대 1.5bar까지 연료 전지 스택(280) 입구내 제 2 압력센서(270)를 이용하여 감압 및 압력 조절을 한다. Pressure hydrogen from the high-
여기서 고압 레귤레이터(230)가 기존 700bar에서 10bar로 정상 감압 동작이 아닌 동작 불량에 의해 기준값 이상으로 높게 감압 동작을 하게 되면 높은 압력으로 인해 수소 공급 밸브(250)는 압력조절이 어려워진다. When the high-
특히 이러한 고압 레귤레이터(230) 문제는 외기 온도가 낮은 겨울철 때에 많이 발생한다. Particularly, the problem of the high-
연료전지 스택(280) 내 수소 순도를 유지하기 위해 퍼지 밸브(260)를 이용한 퍼지 로직(퍼지 밸브를 이용해 연료전지 스택(280)내 들어온 수소를 스택 외부로 방출시킴)이 포함되어 있다. Purge logic using a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차량 주행 중 수소 탱크(210)로부터 고압 레귤레이터(230)를 통해 감압된 압력을 약 10bar의 고압 라인(수소 탱크-연료전지 스택 간 라인) 중간에 있는 수소 라인압을 측정하는 제 1 압력 센서(240)를 이용하여 압력을 모니터링 하면서,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정상 동작 여부에 따라 이원화 절차를 통해 이원화 제어를 수행한다.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reduced from the
이원화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정상 상태에서 동작하는 제 1 제어와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비정상 상태에서 동작하는 제 2 제어로 구성된다.The dual control is composed of a first control operating in a steady state of the high-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25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 2 압력 센서(270)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280)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물론, 이를 위해 제 2 압력 센서(270)는 연료 전지 스택(280)의 입구내에 설치된다.The first control is such that the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비정상 상태로서 상기 수소 퍼지 밸브(260)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250)와 수소 탱크 밸브(220)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한다. 즉, 제 2 제어는 수소 공급 밸브(250)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수소 공급 밸브(250)의 비정상 또는 정상 동작에 관계없이 제 2 제어가 이루어진다.The second control opens the
이와 달리,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250)의 비정상 또는 정상 동작 상태에 따라 달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소 공급 밸브(250)가 정상 동작 상태이면 상기 제 2 압력 센서(270)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280)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이와 달리, 수소 공급 밸브(250)가 비정상 동작 상태이면 상기 수소 퍼지 밸브(260)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250)와 수소 탱크 밸브(220)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한다.Alternatively, the first control is configu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bnormal or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연료 전지 스택(280)에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블로워(290)가 더 구성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행 중 차량의 셧다운 절차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압 레귤레이터(230)에 의해 수소 탱크(210)로부터의 고압 수소가 1차 감압되고, 1차 감압된 수소는 수소 공급 밸브(250)에 의해 2차 감압한다. 이때, 제 1 압력 센서(240)를 이용하여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와 수소 공급 밸브(250) 사이의 수소 라인압(P_line)을 모니터링하여 수소 라인압이 기준값1 보다 큰지를 비교한다(단계 S310,S320).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utdown procedure of a vehicle during run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the high-pressure hydrogen from the
부연하면,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dual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high-
즉, 수소 라인압이 기준값1보다 크면 제 2 제어가 수행되고, 기준값보다 작으면 고압 레귤레이터(230)가 정상 동작 상태이므로 제 1 제어가 수행된다.That is, if the hydrogen line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1, the second control is performed. If the hydrogen line pressur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first control is performed because the high-
우선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정상 동작시에는 연료 전지 스택(280)내 압력(Pi)을 기준값2와 비교한다(단계 S330). 비교 결과, 기준값보다 크지 않으면 수소 공급 밸브(250)가 정상 동작 상태이므로, 제 2 압력 센서(270)를 이용하여 연료 전지 스택(280) 입구단의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First, at normal operation of the high-
이와 달리, 단계 S330에서 연료 전지 스택(280) 내 수소 압력(Pi)이 기준값2보다 크면 수소 공급 밸브(250)가 비정상 동작 상태이므로, 제 2 제어에 따른다.Otherwise, if the hydrogen pressure Pi in the
제 2 제어는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동작 불량(즉, HPR 라인 수소압 (P_line)이 기준값1 이상)시에 수소 공급 밸브(250)의 동작성(스택 입구단 수소압(Pi)이 기준값2 이하)과는 무관하게 신속하게 수소 퍼지 밸브(260)를 오픈하여 연료 전지 스택(280)내 들어온 수소를 연료 전지 스택 외부로 방출시킴)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250)와 수소 탱크 밸브(220)를 클로즈하고, 공기 공급을 차단시켜 차량을 정지시킨다(단계 S340,S350 및 S360). The second control is the same as that of the
이러한 빠른 절차를 통해 수소 공급 밸브(250)의 제어성 불량 초래 방지 및 궁극적으로 연료 전지 스택(280)내로 유입되는 고압의 수소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Through this quick procedure,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control failure of the
또한, 수소 공급 밸브(250)의 제어성 불량 자체에 대한 원인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위해 수소 공급 밸브(250)의 제어 불량성과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동작 불량성을 각각 판단하는 제어기(201)와 고압 레귤레이터(230)의 동작 불량 판단 및 연료 전지 스택(280)내로 고압의 수소 유입 판단시 모두 대응할 수 있는 수소 퍼지 밸브(260)로 구성되어 있다The
200: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210: 수소 탱크
220: 수소 탱크 밸브
230: 고압 레귤레이터
240,270: 압력 센서
250: 수소 공급 밸브
260: 수소 퍼지 밸브
280: 연료 전지 스택
290: 공기 블로워200: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blocking device
210: hydrogen tank
220: Hydrogen tank valve
230: High-voltage regulator
240,270: Pressure sensor
250: Hydrogen supply valve
260: hydrogen purge valve
280: Fuel cell stack
290: Air blower
Claims (12)
상기 수소 탱크를 개폐하는 수소 탱크 밸브;
상기 탱크 밸브와 연결되어 수소를 1차 감압하는 고압 레귤레이터;
1차 감압된 수소를 2차 감압하여 개폐하는 수소 공급 밸브;
상기 수소 공급 밸브로부터 2차 가압된 수소가 유입되는 연료 전지 스택;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와 수소 공급 밸브 사이의 수소 라인압을 모니터링하는 제 1 압력 센서;
모니터링 결과,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제 2 압력 센서;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연료 전지 스택 내의 수소를 배출하는 수소 퍼지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1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정상 상태로서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2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비정상 상태로서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Hydrogen tank;
A hydrogen tank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ydrogen tank;
A high-pressure regulator connected to the tank valve for primarily reducing hydrogen;
A hydrogen supply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first decompressed hydrogen by a second decompression;
A fuel cell stack into which the hydrogen pressurized from the hydrogen supply valve flows;
A first pressure sensor for monitoring the hydrogen line pressure between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the hydrogen supply valve;
A controller for performing dual control according to a state of the high-voltage regulat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A second pressure sensor for monitoring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nd a hydrogen purge valve for discharging hydrogen in the fuel cell stac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Wherein the first control during the binary control is a steady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The second control during the bi-directional control is such that the hydrogen purge valve is opened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as an abnormal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simultaneously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are closed to stop the vehicle Pressure hydrogen inflow and outflow device of the fuel cell vehicle.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is such that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when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in a steady state.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trol is to open the hydrogen purge valve and simultaneously close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to stop the vehicle if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abnormal. Device.
제 1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와 수소 공급 밸브 사이의 수소 라인압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및
모니터링 결과,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상태에 따라 이원화 제어를 수행하는 이원화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1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정상 상태로서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원화 제어 중 제 2 제어는 상기 고압 레귤레이터의 비정상 상태로서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방법.
A pressure reducing step of secondaril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first reduced pressure hydrogen by the high pressure regulator using the hydrogen supply valve;
A monitoring step of monitoring a hydrogen line pressure between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the hydrogen supply valve using a first pressure sensor; And
And a duality control step of performing dual control according to a state of the high voltage regulator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Wherein the first control of the binary control is a steady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The second control during the bi-directional control is such that the hydrogen purge valve is opened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as an abnormal state of the high-pressure regulator, and simultaneously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are closed to stop the vehicle Wherein the high-pressure hydrogen inflow /
상기 제 1 제어는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제 2 압력 센서가 상기 연료 전지 스택의 입구단 수소 압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is such that the second pressure sensor continuously monitors the inlet-side hydrogen pressure of the fuel cell stack when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in the normal state.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수소 공급 밸브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이면 상기 수소 퍼지 밸브를 오픈하고, 동시에 수소 공급 밸브와 수소 탱크 밸브를 클로즈하여 차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차량의 고압 수소 유입 차단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control is to open the hydrogen purge valve and simultaneously close the hydrogen supply valve and the hydrogen tank valve to stop the vehicle if the state of the hydrogen supply valve is abnormal. Wa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477A KR101567150B1 (en) | 2013-12-02 | 2013-12-02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477A KR101567150B1 (en) | 2013-12-02 | 2013-12-02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742A KR20150063742A (en) | 2015-06-10 |
KR101567150B1 true KR101567150B1 (en) | 2015-11-13 |
Family
ID=5350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8477A KR101567150B1 (en) | 2013-12-02 | 2013-12-02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71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34867B2 (en) * | 2017-09-13 | 2021-02-2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Fuel cell system and fuel cell system abnormality diagnosis method |
KR20210048620A (en) * | 2019-10-23 | 2021-05-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icision system and dicision method of fuel cell hydrogen supply fail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2860A (en) | 2004-09-22 | 2006-04-06 | Toyota Motor Corp | Fuel cell system |
-
2013
- 2013-12-02 KR KR1020130148477A patent/KR1015671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92860A (en) | 2004-09-22 | 2006-04-06 | Toyota Motor Corp | Fuel cell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742A (en) | 2015-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580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 in hydrogen tank of fuel cell vehicle | |
US8720267B2 (en) |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coupled with fuel control valve | |
US20180138528A1 (en) | Fuel gas storage and supply system | |
US20090222233A1 (en) |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coupled with fuel control valve | |
KR20100014658A (en) | Method for the diagnosis of a shut-off valve | |
KR10156715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off high pressure inflow in fuel cell vehicle | |
CN108292763B (en) | Leak monitoring of fuel cell system | |
US201102774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washing and purging the liquid fuel system of a turbine with water | |
KR20080089656A (en) | Method for permanently monitoring pressurized pipelines and line systems which carry fluid media | |
KR102108219B1 (en) | Air pressure distributor for fluid supply | |
JP2014522967A (en) | Method for checking safety valve leakage prevention | |
KR101185033B1 (en) | Nonstop gas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tment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JP2013253672A5 (en) | ||
JP2005257340A (en) | Gas leak detection device for high-pressure tank system | |
US9133959B2 (en) | Virtual limit switch | |
US20130074945A1 (en) | Fuel system | |
KR10159265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cold starting failure in fuel cell vehicle | |
JP2014009887A (en) | Drain recovery system | |
DE102015219766A1 (en) | Pressure tank system for a fuel-gas-powered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verflow reduction in a fuel-gas-powered motor vehicle | |
US10557565B2 (en) | Positioner | |
JP4211001B2 (en) | Gas leak detector for high pressure tank system | |
KR101275890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a divided gas | |
WO2012160756A1 (en) | Fluid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fluid control device | |
KR101129178B1 (en) | Cooling and sealing system of dry quenched coke discharge utility | |
CN105955334A (en) | Temperature contro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