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22B1 - 다원 영상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다원 영상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022B1
KR101567022B1 KR1020130162478A KR20130162478A KR101567022B1 KR 101567022 B1 KR101567022 B1 KR 101567022B1 KR 1020130162478 A KR1020130162478 A KR 1020130162478A KR 20130162478 A KR20130162478 A KR 20130162478A KR 101567022 B1 KR101567022 B1 KR 10156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creen
unit
main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573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빔
Priority to KR102013016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9Arrangements for indoor wireless networking of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원 영상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스크린에 동시에 전부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하나의 스크린에 전부 분할 처리하거나, 하나의 스크린에 일부 영상만을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동시 또는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편집 영상을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외부기기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데이터들에 대하여 저장을 통한 백업,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가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Description

다원 영상 중계 장치{APPARATUS FOR RELAYING MULTIPLE IMAGE}
본 발명은 다원 영상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동시 또는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중계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무선 디바이스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다기능 무선 디바이스의 종류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으로 하여, 더욱 고도한 새로운 기능을 무선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무선 디바이스에는 기본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기능, MP3 음악 파일의 재생, TV 시청, DMB 방송 시청,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도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서는 큰 크기의 액정 화면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공개특허 제2007-0033697호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을 원격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 표시 장치, 예를 들면, GPS 네비게이션, 컴퓨터, TV, 프로젝터 등에 구비된 모니터와 같은 표시 수단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액정 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원격 영상 표시장치는 프로젝터 등의 표시 장치에 내장되어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일방으로 받아서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무선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주고받을 수 없고, 다른 표시 장치에 원격 영상 표시장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데이터들에 대하여 저장을 통한 백업,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동시 또는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중계하고, 편집 영상을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다원 영상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외부기기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외부기기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데이터들에 대하여 저장을 통한 백업,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은 다원 영상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원 영상 중계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스크린에 동시에 전부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하나의 스크린에 전부 분할 처리하거나, 하나의 스크린에 일부 영상만을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 및 백업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격관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관리부는 상기 원격관리부는 상기 개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부를 통해 외부기기의 스크린으로 출력하거나, 송신부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무선 디바이스에서 직접 영상의 밝기 조정 및 오디오 출력의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분할처리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화면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원 영상 중계 장치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외부기기를 통해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동시 또는 시계열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고, 편집 영상을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양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외부기기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 영상 데이터들에 대하여 저장을 통한 백업,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가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원격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원 영상 중계 장치를 적용한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원 영상 중계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표시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인 예시도.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원 영상 중계 장치를 적용한 시스템 구성을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110,120), 외부표시장치(200), 다원 중계 장치(300) 및 원격관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기(100,110,120)는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용 컴퓨터, IP TV, 휴대용 통신 장치(PDA, 노트북, 핸드헬드 피씨 등)을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원격에서 직접 외부표시장치(200)의 영상의 밝기 조정 및 오디오 출력의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원 영상 중계 장치(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수부(310), 메인 제어부(320), 영상처리부(330), 오디오처리부(340) 및 외부 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송수신수부(3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110,120)로부터의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120,130)로 송신한다.
메인 제어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스크린에 동시에 전부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영상처리부(330)는 상기 메인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외부표시장치(200)의 스크린에 전부 분할 처리하거나, 외부표시장치(200)의 스크린에 일부 영상만을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340)는 상기 메인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오디오 신호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오디오 외부표시장치(2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350)는 상기 외부표시장치(200)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로서, 상기 외부표시장치(200)의 포트(예를 들어 USB 포트, 등)에 접속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330) 및 오디오 처리부(340)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영상표시장치(200)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36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110, 120)로부터의 개별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격관리부(400)로부터의 편집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원격관리부(400)는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10,120,130)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 및 백업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원격관리부(400)는 상기 개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해 메인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320)는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부(330)를 통해 외부표시장치(200)의 스크린으로 출력하거나, 송수신부(310)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110,1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표시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먼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120)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송수신부(310)에서 이를 수신하여 메인 제어부(320)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20)는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스크린에 동시에 전부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처리부(330)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수신부(310)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하나의 스크린에 전부 분할 처리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에 일부 영상만을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메인 처리부(320)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부(330)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320)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상기 영상처리부(330)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별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화면 처리한다.
이후, 상기 메인 제어부(600)는 영상처리부(320)를 통해 출력한 영상 데이터는 저장부(360)에 저장한 후 소정 주기(예를 들어 24시간 등)마다 원격관리부(4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백업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원격관리부(4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 ~ 120)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인 제어부(320)로부터 전송받아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원격관리부(8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영상 데이터들을 편집(예를 들어 영상에 오디오를 추가(더빙 등)하거나 영상에 자막을 추가 등)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32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320)는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처리부(330)를 통해 외부표시장치(200)의 스크린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100 ~ 120)로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원 영상 중계 장치(300)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무선 디바이스(100 ~ 120)에서 직접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밝기 조정 및 오디오 처리부(340)를 통한 오디오 출력의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제공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원격 영상 표시장치
100~120 : 무선 디바이스
200 : 외부표시장치
300 : 다원 영상 중계 장치
310 : 송수신부
330 : 영상처리부
340 : 오디오 처리부
350 : 외부 인터페이스
360 : 저장부
400 : 원격관리부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하나의 스크린에 동시에 전부 표시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만을 표시할 것인지를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동시에 하나의 스크린에 전부 분할 처리하거나, 하나의 스크린에 일부 영상만을 표시되도록 분할 처리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직접 영상의 밝기 조정 및 오디오 출력의 볼륨 조절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들의 접속 상태정보와 개별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모니터링 및 백업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원격관리부를 포함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부는
    상기 개별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수신부를 통해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편집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처리부를 통해 외부기기의 스크린으로 출력하거나, 송신부를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분할처리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개별 영상 데이터를 무작위(random)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화면 처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원 영상 중계 장치.
KR1020130162478A 2013-12-24 2013-12-24 다원 영상 중계 장치 KR10156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78A KR101567022B1 (ko) 2013-12-24 2013-12-24 다원 영상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78A KR101567022B1 (ko) 2013-12-24 2013-12-24 다원 영상 중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73A KR20150074573A (ko) 2015-07-02
KR101567022B1 true KR101567022B1 (ko) 2015-11-13

Family

ID=5378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78A KR101567022B1 (ko) 2013-12-24 2013-12-24 다원 영상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959B1 (ko) * 2019-04-17 2020-03-06 최동준 원격 다중 접속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581A (ja) * 2007-01-10 2008-07-24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0581A (ja) * 2007-01-10 2008-07-24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573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US11711623B2 (en) Video stream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7071532B (zh) 图像显示装置
WO2018113675A1 (zh) 视频播放的方法及终端设备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EP3036911B1 (en) Method, terminal,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
CN103546453A (zh) 一种跨设备播放多媒体的方法及设备
US20130016483A1 (en) Adapter modul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932543B (zh) 利用多媒体配置多媒体采集设备的方法
US20150067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CN110166794B (zh) 一种直播音频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27892A (ko)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EP277962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KR201400935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방법
CN102857628A (zh) 一种多屏幕显示的设备
CN1987632B (zh) 用于投影显示装置的无线传输装置、系统及其方法
KR101567022B1 (ko) 다원 영상 중계 장치
US8910207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30040350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밝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57250B1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시스템 정보 수신 방법 및 장치, 프로그램
CN104156387A (zh) 显示方法及装置
US9965421B2 (en) Electronic device coupling system and method
CN103188543A (zh) 遥控方法及装置
EP3179361B1 (en) External display system and external display method therefor
CN103686258A (zh) 一种机顶盒及机顶盒干扰信号的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