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506B1 - 전시용 쇼케이스 - Google Patents

전시용 쇼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506B1
KR101566506B1 KR1020140143632A KR20140143632A KR101566506B1 KR 101566506 B1 KR101566506 B1 KR 101566506B1 KR 1020140143632 A KR1020140143632 A KR 1020140143632A KR 20140143632 A KR20140143632 A KR 20140143632A KR 101566506 B1 KR101566506 B1 KR 10156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se
fixing device
hole
show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수 filed Critical 이근수
Priority to KR102014014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 A47F3/145Closable display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djustable, foldable or easily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71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perishable go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단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관통시킨 복수의 경첩홀(13)과 고정구홀(14)을 형성하고, 하향 및 상향 개방되도록 한 내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상하부 케이스(10); 상하부 케이스(10)의 마주보는 외주연 단면를 따라 상향 및 하향 요입한 트랜치홈(15)을 따라 외주연 단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보관 물품(50)이 고정되도록 하는 물품 고정수단(20); 상하부 경첩홀(13)에 걸쳐 동시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고, 상부 경첩홀(13)에 삽입되는 경첩 상부(31)와 하부 경첩홀(13)에 삽입되는 경첩 하부(32) 및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휨변형되는 경첩 연결부(33)로서 이루어지는 경첩(30); 상부 케이스(11)의 고정구홀(14)측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하면서 상단의 절곡부 단부는 고정구홀(14)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고정구 상부(41)와 하부 케이스(12)의 고정구홀(14)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는 고정구 하부(42) 및 케이스(10)의 외측 단면을 관통하여 고정구 하부(42)의 상단부와 고정구 상부(41)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구 연결부(43)로서 구비되는 고정구(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시용 쇼케이스{Show case for displaying}
본 발명은 전시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는 투명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내부에 전시된 전시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전시물이 수용되는 내부는 전시물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이동과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한 전시용 쇼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케이스는 전시용 물품을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외부와 차단시킨 상태에서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런 쇼케이스는 주로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식품이나 고가의 귀중품을 전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즉, 쇼케이스에 보관되는 물품으로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온도나 먼지 및 습기 등과의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거나 보안 유지가 필요로 되는 것이며, 쇼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에서 물품의 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쇼케이스는 통상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쇼케이스는 내부에 수납되는 물품에 따라 사이즈나 형상이 매우 다양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쇼케이스 중 특히 보석이나 시계와 같은 귀중품이나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상품 및 전시품은 우선 소형의 쇼케이스에 넣고 뚜껑을 개방시켜 잘 볼 수 있도록 하거나 단순히 별도로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고정되도록 한 후 대형의 쇼케이스에 복수의 물품들이 동시에 전시되도록 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0388645호(2003.06.10.명칭:물품 수납용 포장 케이스)는 투명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부 케이스간 일측은 일체로 연결되어 힌지결합되도록 하며, 타단은 고정 클립이나 누름구 또는 이들을 동시에 이용하여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하부 케이스간 상호 마주보게 개방되는 면으로는 고마찰 저항성 신축 필름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이 신축 필름 사이에서 공중에 떠 있듯이 탄성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쇼케이스는 점착성 투명 필름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여 절곡이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일체로 성형해야만 하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결합은 별도의 클립으로 고정하거나 한 쌍의 고정후크와 후크 걸림홈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개폐되도록 하고 있어 고정후크를 상부 케이스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해야 하므로 고정후크의 파손 시 쇼케이스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3-0084436호(2013.07.25.명칭:케이스)는 양분되어 일측을 경첩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개폐되는 한 쌍의 분할체로서 구성되도록 하되 각 분할체의 상호 대향면에는 막형상의 수납요소들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자유단에서의 고정구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기한 기술에서와 같이 고정구의 파손 시 쇼케이스 자체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0388645호(2003.06.10.) 공개특허 제2013-0084436호(2013.07.2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경첩과 고정구를 별도로 성형하여 간단한 조립에 의해서 연결되게 함으로써 용이한 제작이 가능한 전시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이나 고정구의 부분적인 손상이나 파손 부위만을 간단히 교체하기만 하면 사용을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경제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한 전시용 쇼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는, 양측 단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관통시킨 복수의 경첩홀과 고정구홀을 형성하고, 하향 및 상향 개방되도록 한 내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상하부 케이스; 상하부 케이스의 마주보는 외주연 단면를 따라 상향 및 하향 요입한 트랜치홈을 따라 외주연 단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보관 물품이 고정되도록 하는 물품 고정수단; 상부 경첩홀과 하부 경첩홀에 걸쳐 동시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고, 상부 경첩홀에 삽입되는 경첩 상부와 하부 경첩홀에 삽입되는 경첩 하부 및 경첩 상부와 경첩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휨변형되는 경첩 연결부로서 이루어지는 경첩; 상부 케이스의 고정구홀측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하면서 상단 절곡부 단부는 고정구홀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고정구 상부와 하부 케이스의 고정구홀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는 고정구 하부 및 케이스의 외측 단면을 관통하여 고정구 하부의 상단부와 고정구 상부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구 연결부로서 구비되는 고정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물품 고정수단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호 마주보는 단면간으로 각각 신축 필름을 트랜치홈을 따라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쫄대에 의해 고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으나 상부 케이스에는 신축 필름이 고정되고,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신축 필름보다는 두꺼운 두께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서 보관 물품의 형상으로 수납홈을 형성하는 수용막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첩은 경첩 상부와 경첩 하부가 동일하게 일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경첩 상부의 상단부와 경첩 하부의 하단부에는 각각 경첩홀에서의 이탈이 방지되게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경첩은 경첩 연결부의 경첩 상부와 경첩 하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일측 단부에 대응되는 타측은 상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휨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는 고정구 하부의 하단부로 고정구홀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에 의해 상하부 케이스와는 별도로 경첩과 고정구가 제작되어 간단한 조립에 의해 결합되게 함으로써 케이스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이나 고정구의 파손이나 손상 시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케이스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스간 수직으로 적층 시 맞춤 결합되게 함으로써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경첩을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고정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에 보관 물품이 수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에 보관 물품이 수납시킨 상태에서 고정구에 의한 잠금 해제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에 보관 물품이 수납시킨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를 개방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에 보관 물품을 수용막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를 개방시키는 작동 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를 수직의 방향으로 적층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는 크게 케이스(10)와 물품 고정수단(20)과 경첩(30) 및 고정구(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본 발명은 경첩(30)과 고정구(40)가 케이스(10)와는 분리되게 구비되도록 하여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케이스(10)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상하로 대칭되게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투명한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중 적어도 상부 케이스(11)만이라도 투명한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개방된 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하는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평면도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부 케이스(11)는 하부 케이스(12)와 동일한 형상이며, 다만 하부 케이스(12)의 상부에서 외주연 단면간 상호 밀착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 케이스(12)의 외주연 단부는 일정한 두께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되 양측의 외주연 단부는 내측으로 일부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도록 하고, 두께가 두꺼워진 부위를 수직 관통시켜 경첩홀(13)과 고정구홀(14)을 형성한다.
즉,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일측의 두께를 보다 두껍게 형성되도록 한 외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 관통되게 복수의 경첩홀(13)을 형성하고, 타측의 외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쉭 관통되게 복수의 고정구홀(14)이 형성되도록 한다.
경첩홀(13)과 고정구홀(14)은 형성 갯수가 케이스(10)의 사이즈에 따라서 달리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내주연 단면과 외주연 단면 사이에는 일정 폭으로 트랜치홈(15)이 형성되도록 하되 경첩홀(13)과 고정구홀(14)이 형성되는 부위에서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내주연 단면과 경첩홀(13) 및 고정구홀(14) 사이의 주면을 따라서 폐회로형상으로 트랜치홈(15)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부 케이스(11)의 트랜치홈(15)과 하부 케이스(12)의 트랜치홈(15)으로는 물품 고정수단(2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물품 고정수단(20)으로는 투명의 신축 필름(21)으로 구비되도록 하며, 이 신축 필름의 외주연 단부가 트랜치홈(15)에 삽입되면서 트랜치홈(15)을 따라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쫄대(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쫄대(16)를 생략한 초음파 접합이나 열압착에 의해서도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물품 고정수단(20)으로 상부 케이스(11)에는 신축 필름(21)으로 구비하고, 하부 케이스(12)에는 신축 필름(21)보다는 두꺼운 두께로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로서 수용막(22)이 구비되도록 하되 이 수용막(22)은 수납하고자 하는 물품의 형상으로 수납홈(220)이 요입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12)에 형성되는 트랜치홈(15)은 수용막(22)의 삽입이 가능한 폭으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트랜치홈(15)으로의 수용막(22)은 신축 필름(21)과 동일한 쫄대(16)를 이용한 고정과 초음파 접합이나 열압착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다.
특히 수용막(22) 또한 신축 필름(21)과 마찬가지로 투명하게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다양한 컬러를 구현한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경첩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경첩은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일측의 외주연 단부 일부를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경첩홀(13)에 맞춤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중심 위치가 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경첩(30)은 하부 케이스(12)로부터 상부 케이스(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축고정 수단이다.
경첩(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가 경첩 연결부(3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다만 경첩 연결부(33)를 기준으로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는 대칭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의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는 각각 일측으로 동일하게 판면이 휘어지도록 하여 곡면을 이루고, 경첩 상부(31)의 상단과 경첩 하부(32)의 하단에는 각각 걸림턱(34)이 형성되도록 한다.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를 연결하는 경첩 연결부(33)는 케이스(10)의 내측으로는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하 돌출단부간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고, 케이스(10)의 외측으로는 외측단부만이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외측단부를 축으로 경첩 상부(31)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게 한다.
이때, 경첩 연결부(33)는 경첩 상부(31)측 연결부위와 경첩 하부(32)측 연결부위가 단순히 상호 면간 밀착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살빼기에 의한 재료비 절감을 위해 내측단부와 외측단부간을 원형으로 수평 관통되게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첩(30)은 케이스(10)의 일측으로 형성한 경첩홀(13)에 강제 압입되게 하여 경첩 상부(31)측 걸림턱(34)과 경첩 하부(32)측 걸림턱(34)이 경첩홀(13)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관통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상부면과 하부 케이스(12)의 하부면에 각 걸림턱(34)이 걸려지게 함으로써 경첩홀(13)로부터 이탈 방지되게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케이스(10)에서 일측의 경첩홀(13)과 반대의 타측으로 형성되는 고정구홀(14)에는 고정구(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시용 쇼케이스의 고정구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고정구(40)의 고정구 하부(42)는 경첩 하부(32)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경첩 하부(32)에서와 같이 판면이 케이스(10)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하단부에는 걸림턱(44)이 형성되도록 하여 경첩 하부(32)와는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고정구 하부(42)의 상단부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관통 연장되도록 한 고정구 연결부(43)의 외측으로 인출된 단부에 고정구 상부(41)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고, 고정구 상부(41)의 하단부는 상부 케이스(11)의 외측단면에 연하여 상향 연장되도록 하며, 상향 연장한 상단부는 다시 상부 케이스(11)의 외주연 상부면측으로 절곡되게 한 후 절곡된 단부에 걸림턱(44)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이 걸림턱(44)이 상부 케이스(11)의 상부면측 고정구홀(14)에 일부 삽입되어 상부 케이스(11)가 상향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구(40)는 경첩(30)과 반대측의 고정구홀(14)에 고정구 하부(42)만이 하부 케이스(12)의 고정구홀(14)에 강제 삽입되게 하여 하단부의 걸림턱(44)에 의해서 이탈 방지되도록 하고, 연결부(43)는 고정구 하부(42)의 상단부가 케이스(10)의 외측면을 수평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연장시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구(40)는 하부 케이스(12)에서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단지,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 분리가 가능한 상태에서 고정구 연결부(43)의 외측단부로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구 상부(41)를 상단부에 형성한 걸림턱(44)이 상부 케이스(11)에 형성한 고정구홀(14)로 탈착되면서 상부 케이스(11)의 개방을 단속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는 일측의 단부가 경첩(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면서 타측의 단부에서 고정구(40)에 의해 체해결됨에 의해 상부 케이스(11)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호 엇갈리도록 하여 수돌기(17)와 중앙에 돌기 수용홈(180)을 형성하는 암돌기(18)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부 케이스(11)의 상부면에는 상호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측으로 같은 형상의 수돌기(17)와 암돌기(18)가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케이스(12)의 하부면에는 상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수돌기(17)와 암돌기(18)와 반대로 하향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는 상부로 적층되게 하면서 하부측 전시용 쇼케이스의 상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수돌기(17)와 암돌기(18)는 그 상부측 전시용 쇼케이스의 하부 케이스(12)에 형성되는 암돌기(18)와 수돌기(17)에 맞춤 삽입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복수층으로 적층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는 소형이면서 외부와의 접촉이 지양되는 물품의 전시 및 보관을 위한 구성이다.
즉, 시계나 목걸이 또는 고급 장신구와 같은 귀금속 또는 고급 만년필 등을 별도의 보관용 케이스에 수용되도록 하여 대형의 쇼케이스에 전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용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용 케이스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는 비록 대형의 쇼케이스의 내부에서 외부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시용 물품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보관 물품(50)이 내장되게 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시가 된다.
이때, 보관 물품(50)은 상부와 하부에서 신축 필름(21)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고 있어 흡사 공중에 매달려 있는 효과를 보여주게 된다.
이렇게 전시된 상태에서 굳이 더 가까이 물품을 보기 위해서는 대형 쇼케이스로부터 본 발명의 전시용 쇼케이스를 꺼내 투명의 케이스(10)를 통해서 좀더 가깝게 확인이 가능하다.
다만, 단순히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만져보고 걸쳐보기 위해서는 부득이 내부의 물품을 꺼내야만 하는데 이때에는 우선 도 8에서와 같이 고정구 상부(41)측 걸림턱(44)을 외측으로 밀게 되면 걸림턱(44)이 고정구홀(14)로부터 이탈되는 상태가 된다.
고정구 상부(41)의 걸림턱(44)이 고정구홀(14)로부터 벗어나면서 상부 케이스(11)의 외측 단부로부터도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하면 상부 케이스(11)의 고정구홀(14)측 단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개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단부를 들어 올리게 되면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에 고정된 신축 필름(21)에 의해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서 하부 케이스(12)의 신축 필름(21)이 탄발력에 의해 수평의 상태가 되면서 보관 물품(50)을 일정 높이 들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상부 케이스(11)의 일측단부를 들어 올리게 될 때 타측단부에서 경첩(30)의 경첩 연결부(33)가 상하로 분리되도록 한 내측 부위의 상측이 상하를 연결되게 한 외측 단부를 축으로 상향 회전하게 된다.
즉, 연결부(33)의 외측 단부가 힌지가 되면서 내측 부위의 간극을 벌어지게 하면서 상부 케이스(11)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부 케이스(11)를 최대한 개방시킨 상태에서 노출된 보관 물품(50)을 직접 만져보거나 신체에 착용해볼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보관 물품(50)을 지지하는 물품 고정수단(20)으로 상부 케이스(11)에는 신축 필름(21)이 구비되도록 하고, 하부 케이스(12)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과 같은 탄성의 수용막(22)이 구비되도록 하면 수용막(22)에 형성한 수납홈(220)에 보관 물품(50)이 맞춤 삽입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좀더 안정된 수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수용막(22)에 수납된 보관 물품(50)에 대해서도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구(40)의 조작에 의해 상부 케이스(11)를 개방시키게 되면 보관 중에는 상부의 신축 필름(21)에 의해 견고하게 압착 고정된 상태이던 보관 물품(50)이 상부 케이스(11)의 회전에 의한 가압력이 사라지게 되면 보관 물품(50)은 수용막(22)의 수납홈(220)에서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히 고정구(40)의 조작에 의해 상부 케이스(1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보관된 보관 물품(50)을 필요 시에만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좀더 보안이나 보관 상태가 최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11)나 하부 케이스(12)를 동일하게 제작이 가능하므로 금형 제작비를 절감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경첩(30)이나 고정구(4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 중 일부 경첩(30)이나 일부 고정구(40)가 파손되더라도 그 부위만 교체해서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케이스(1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이동 중에라도 떨어트리거나 외부의 특정 구조물에 충돌하더라도 내부에서 물품 고정수단(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충돌 충격에 대해서도 안전한 고정 상태가 유지되면서 보관 물품(50)에는 어떠한 손상도 입히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시용 쇼케이스를 수직의 방향으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보관이 매우 유용하다.
즉, 단순히 전시용 쇼케이스를 수직으로 적층시키게 되면 상호 미끌어져 안정된 적층이 불가하나 본 발명은 상부 케이스(11)의 상부면과 하부 케이스(12)의 하부면으로 상호 엇갈리도록 하여 수돌기(17)와 암돌기(18)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적층 시 수돌기(17)와 암돌기(18)의 맞춤결합에 의해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귀중품일수록 대형의 쇼케이스에 보관하다 금고 등에 옮겨 보관 시 비교적 적은 공간에도 보다 많은 전시용 쇼케이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가 있으므로 최소한의 공간만으로도 보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한다.
10 : 케이스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경첩홀
14 : 고정구홀 15 : 트랜치홈
17 : 수돌기 18 : 암돌기
20 : 물품 고정수단 21 : 신축 필름
22 : 수용막 30 : 경첩
31 : 경첩 상부 32 : 경첩 하부
33 : 경첩 연결부 34 : 걸림턱
40 : 고정구 41 : 고정구 상부
42 : 고정구 하부 43 : 고정구 연결부
44 : 걸림턱 50 : 보관 물품

Claims (7)

  1. 양측 단부에는 각각 수직으로 관통시킨 복수의 경첩홀(13)과 고정구홀(14)을 형성하고, 하향 및 상향 개방되도록 한 내부는 수직 방향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상하부 케이스(10);
    상하부 케이스(10)의 상호 마주보는 단면에 상향 및 하향 요입한 트랜치홈(15)을 따라 삽입되는 합성수지재의 쫄대(16)에 의해 신축 필름(21)의 외주연 단부가 삽입 고정되면서 내부에서 탄력적으로 보관 물품(50)이 고정되도록 하는 물품 고정수단(20);
    일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부 경첩홀(13)에 걸쳐 동시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는 상부 경첩홀(13)에 삽입되는 경첩 상부(31)와 하부 경첩홀(13)에 삽입되는 경첩 하부(32) 및 상기 경첩 상부(31)와 경첩 하부(32)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휨변형되는 일측 단부에 대응되는 타측 단부는 상하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경첩 연결부(33)로서 이루어지는 경첩(30);
    상부 케이스(11)의 고정구홀(14)측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하면서 상단의 절곡부 단부는 고정구홀(14)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하는 고정구 상부(41)와 하부 케이스(12)의 고정구홀(14)에 탄성적으로 맞춤 삽입되는 고정구 하부(42) 및 케이스(10)의 외측 단면을 관통하여 고정구 하부(42)의 상단부와 고정구 상부(41)의 하단부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구 연결부(43)로서 구비되는 고정구(40);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전시용 쇼케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품 고정수단(20)의 하부 케이스(12)에는 상기 신축 필름(21)보다는 두꺼운 두께의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서 보관 물품의 형상으로 수납홈(220)을 형성하는 수용막(22)이 쫄대(1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전시용 쇼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첩(30)은 경첩 상부(31)의 상단부와 경첩 하부(32)의 하단부에는 각각 경첩홀(13)에서의 이탈이 방지되게 걸림턱(34)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시용 쇼케이스.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는 고정구 하부(42)의 하단부로 고정구홀(14)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44)이 형성되도록 하는 전시용 쇼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부면에는 상호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측으로 동일한 형상으로서 수돌기(17) 및 수돌기(17)를 맞춤 삽입되도록 하는 암돌기(18)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 케이스(12)의 하부면에는 상부 케이스(11)에 형성되는 수돌기(17)와 암돌기(18)와는 동일 수직선상에 반대 형상인 수돌기(17)와 암돌기(18)가 상향 및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전시용 쇼케이스.
KR1020140143632A 2014-10-22 2014-10-22 전시용 쇼케이스 KR101566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32A KR101566506B1 (ko) 2014-10-22 2014-10-22 전시용 쇼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632A KR101566506B1 (ko) 2014-10-22 2014-10-22 전시용 쇼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506B1 true KR101566506B1 (ko) 2015-11-05

Family

ID=5460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632A KR101566506B1 (ko) 2014-10-22 2014-10-22 전시용 쇼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5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824A (ja) 1998-07-08 2000-01-25 Chugoku Pearl Hanbai Kk 陳列用を兼ねた包装容器
KR200188244Y1 (ko) 2000-02-12 2000-07-15 주식회사해정지점 물품 수납용 포장 케이스
KR200386484Y1 (ko) * 2005-03-16 2005-06-13 김주영 안전포장용 투명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824A (ja) 1998-07-08 2000-01-25 Chugoku Pearl Hanbai Kk 陳列用を兼ねた包装容器
KR200188244Y1 (ko) 2000-02-12 2000-07-15 주식회사해정지점 물품 수납용 포장 케이스
KR200386484Y1 (ko) * 2005-03-16 2005-06-13 김주영 안전포장용 투명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9837B2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US9089193B2 (en) Clasp for ornamental chains
USD618546S1 (en) Container
USD613637S1 (en) Bracelet jewelry article
CN101525066A (zh) 互锁容器
US9314079B2 (en)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holding objects
USD670343S1 (en) Magnetic sign holder
US20220087386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attach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TWI583323B (zh) 拉鏈總成及開端拉鏈總成
US9400520B2 (en) Tablet terminal attachment
US9282791B1 (en) Bracelet having internal compartment
US20160166020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rranging jewelry
USD827484S1 (en) Combined heart hook and open heart eye clasp for jewelry
US20150001103A1 (en) Display Box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Housed Article
KR101566506B1 (ko) 전시용 쇼케이스
JP2008265837A (ja) 収納容器
KR200478012Y1 (ko) 화장품 용기
USD657279S1 (en) Jewelry element for earrings, necklaces, bracelets, brooches, hair jewelry or the like
US6884081B1 (en) Jewelry display and storage box with removable jewelry holding members and magnetic closure and magnetic stacking arrangement
JP2008206546A (ja) 合成樹脂製クリップ及び合成樹脂製クリップ付きハンガー
US10035636B1 (en) Framed display packaging for a product
KR101982803B1 (ko) 다중 밀폐구조를 가지는 방수팩
US20050183983A1 (en) Jewelry display and storage box with removable jewelry holding members and magnetic closure and magnetic stacking arrangement
USD843730S1 (en) Clasp for handbag
US20160066668A1 (en) Jewelry Storag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