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014B1 -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014B1
KR101566014B1 KR1020140013011A KR20140013011A KR101566014B1 KR 101566014 B1 KR101566014 B1 KR 101566014B1 KR 1020140013011 A KR1020140013011 A KR 1020140013011A KR 20140013011 A KR20140013011 A KR 20140013011A KR 101566014 B1 KR101566014 B1 KR 10156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let
air
space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530A (ko
Inventor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주)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티 filed Critical (주)씨엔티
Priority to KR102014001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0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격벽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과 구획된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케이스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수납장;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는 의류를 보관하는 옷장이나 수납장에 결합하여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옷장이나 수납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실내공간의 제습을 위해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The clothes dryer which have dehumidification and warm air function}
본 발명은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의류를 보관하기 위한 수납장과 결합하여 수납장에 수납된 의류에 습기가 제거된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제습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의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써, 여러 가지 제습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의 제습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제습수단에서 포집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로 구성된다.
상기의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팽창튜브)을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습기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제습기는 실내 공기의 습기뿐만 아니라, 의류를 보관하는 옷장이나, 수납장 등의 내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옷장이나 수납장 등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012306호에는 '수분전달부가 구비된 제습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수분전달부가 구비된 제습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를 가지는 수납장에 구비되는 제습유닛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면서 응축되는 응축공간이 형성된 응축부, 상기 응축공간과 구획된 증발공간이 형성된 증발부, 흡열단자가 상기 응축공간에 노출되고, 발열단자는 상기 증발공간에 노출되는 열전소자 및 일단은 상기 응축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증발부에 위치되어 상기 응축부에서 응축된 수분을 모세관현상에 의해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증발부에 전달하는 수분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분전달부가 구비된 제습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장'은 제습유닛 자체가 수납장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실내공간의 위해 제습유닛을 단독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납장을 개방시킨 상태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그 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수납장을 이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를 보관하는 옷장이나 수납장에 결합하여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옷장이나 수납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실내공간의 제습을 위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옷장이나 수납장 내부를 제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격벽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과 구획된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케이스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수납장;을 구비한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장착공간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 상기 케이스를 안내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장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수납장의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는 의류를 보관하는 옷장이나 수납장에 결합하여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사용하거나, 옷장이나 수납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실내공간의 제습을 위해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는 옷장이나 수납장 내부를 제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풍을 공급함으로써 의류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의 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안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1)는 제습 및 건조유닛(100)과, 수납장(200)을 구비한다.
제습 및 건조유닛(100)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120)과; 케이스(110) 내부의 유입구(111)와 배출구(112) 사이에 설치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130)와; 케이스(110) 내부의 제습부(130)와 배출구(112) 사이에 설치되어 제습부(13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140);를 구비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후좌우 면을 갖고, 전면에는 내부의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내부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11)와 배출구(112)에는 각각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 그릴(G)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10) 내부에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서로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덕트(115)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덕트(115)는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케이스(110) 자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풍로(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 하측에는 후술하는 제습부(130)에 응축된 수분이 흘러들어가 저장되는 물받이(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110)의 전면에서 물받이(160)를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전면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110)의 하단에는 케이스(11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부재(116)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재(116)들은 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한 볼 캐스터를 적용할 수 있다.
팬(120)은 유입부에 인접하는 덕트(115)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유입구(111)를 통해 덕트(115)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게 한다. 팬(120)은 후술하는 제어부(170)에 의해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배출구(112)로 배출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팬(120)에 의해 유입구(111)를 통해 덕트(11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후술하는 제습부(130) 및 가열부(140)를 거쳐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제습부(130)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덕트(115) 내부의 팬(120) 후방에 설치되어있다.
가열부(140)는 제습부(13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를 가열하는 것으로서, 덕트(115) 내부의 제습부(130)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170)는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팬(120)의 온오프 및 팬(120)의 회전속도 그리고 제습부(130)와 가열부(140) 및 후술하는 압축기(150) 등의 기기의 온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들을 포함한다.
상기의 제습부(130)와 가열부(140)는 압축기(150),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냉동사이클 장치의 구성요소 중에서 증발기와 응축기를 각각 적용한 것이며, 케이스(110) 내부에는 압축기(150) 및 팽창밸브(미도시) 등이 더 구비되어 있다.
제습부(130)로 적용된 증발기에서는 압축기(150)에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주변의 온도가 차가워지며 이때 증발기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된다. 한편, 가열부(140)로 적용된 응축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면서 주위로 열을 방출하여 주변의 온도가 뜨거워지며 이때, 응축기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가 가열되는 것이다.
즉, 제습부(130)와 가열부(140)를 통과하는 공기는 수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가열된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며, 이러한 공기는 후술하는 수납장(200)으로 공급되어 수납장(200)에 수납된 의류를 건조시킨다.
수납장(200)은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공간(210)과, 상기 수납공간(210)의 하부에 격벽(230)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210)과 구획된 장착공간(220)과, 상기 장착공간(220)에 상기 케이스(110)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220)과 연통되는 개구부(240) 및 상기 수납공간(21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250)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장(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공간(210)에는 옷걸이 등을 걸어 둘 수 있도록 봉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납공간(210)과 장착공간(220)을 구획하는 격벽(230)에는 수납공간(210)과 상기 장착공간(220)을 연통시키도록 관통된 연통구(231)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연통구(231)를 통해 수납공간(2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통구(2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구(112)가 위치하도록 장착공간(220)에 삽입 설치된다.
케이스(110)와 장착공간(22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를 장착공간(220)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 케이스(110)의 삽입 및 인출방향을 안내하면서 케이스(110)를 수납장(200)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다.
지지부는 수납장(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세하게는 장착공간(220)에 해당하는 수납장(200) 하부의 내벽으로부터 장착공간(220)을 향하여 돌출되며, 개구부(240) 측으로부터 케이스(110)가 삽입되는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기(310)와, 돌기(310)의 높이에 대응하는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돌기(31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된 인입홈(320)을 포함한다.
상기 인입홈(320)은 케이스(110)의 전면에 케이스(110)의 후면에서부터 전면을 향하여 연장되되, 케이스(110)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폭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310)는 개구부(240) 측으로부터 수납장(200)의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는 테이퍼진 형상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인입홈(320) 또한 돌기(3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기(310)는 인입홈(320)에 인입된 상태로 케이스(110)의 측방을 가압할 수 있도록 인입홈(320)의 깊이보다 소정길이 더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돌기(310)가 인입홈(320)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케이스(110)가 장착공간(220)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돌기(310)가 케이스(110)의 측면을 가압하는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케이스(110)가 장착공간(22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의류건조장치
100 : 제습 및 건조유닛
110 : 케이스
120 : 팬
130 : 제습부
140 : 가열부
150 : 압축기
160 : 물받이
170 : 제어부
200 : 수납장
210 : 수납공간
220 : 장착공간
230 : 격벽
240 : 개구부
250 : 도어
310 : 돌기
320 : 인입홈

Claims (5)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보호그릴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덕트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부재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과;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제습부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습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팬의 온오프, 회전속도 및 상기 제습부와 상기 가열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제어부와;
    의류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하부에 격벽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과 구획된 장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에 상기 케이스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수납장과;
    상기 케이스와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장착공간으로 삽입 또는 인출시 상기 케이스를 안내하면서 상기 수납장에 대하여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장착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통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장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인입된 인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개구부 측으로부터 상기 수납장의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인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를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습부에 응축된 수분이 흘러들어가 저장되는 물받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13011A 2014-02-05 2014-02-05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KR101566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11A KR101566014B1 (ko) 2014-02-05 2014-02-05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011A KR101566014B1 (ko) 2014-02-05 2014-02-05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30A KR20150092530A (ko) 2015-08-13
KR101566014B1 true KR101566014B1 (ko) 2015-11-05

Family

ID=5405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011A KR101566014B1 (ko) 2014-02-05 2014-02-05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82A (ko) 2018-09-10 2020-03-18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의류건조기능 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576B (zh) * 2018-04-25 2024-05-07 广州市骊庭智能家居有限公司 一种多功能衣柜
CN114575126B (zh) * 2021-06-01 2024-04-26 李子强 一种干衣柜
KR102600049B1 (ko) * 2021-09-16 2023-11-08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773B2 (ja) * 1988-07-28 1997-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除湿機
JP2005114221A (ja) * 2003-10-07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773B2 (ja) * 1988-07-28 1997-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除湿機
JP2005114221A (ja) * 2003-10-07 2005-04-28 Mitsubishi Electric Corp 除湿乾燥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282A (ko) 2018-09-10 2020-03-18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의류건조기능 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30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5582B1 (en) Drying machine
EP3045581B1 (en) Drying machine
ES2748337T3 (es) Deshumidificador
US9581344B2 (en) Dehumidifier
KR101566014B1 (ko) 제습 및 온풍 겸용 의류건조장치
US10001286B2 (en) Dehumidifier
KR101954633B1 (ko) 제습기
US20060117593A1 (en) Clothes dryer with a dehumidifier
CN106661815B (zh) 热泵式衣物干燥机
US8863405B2 (en) Clothes dryer
US20160168777A1 (en) Vented Dryer With Modular Heat Pump Subassembly
JP5625883B2 (ja) 除湿加温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衣類乾燥機
US20170261225A1 (en) Air cleaner
KR20170141635A (ko) 드레스룸용 제습기
US20210310179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190368771A1 (en) Dehumidifier
EP2527527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KR100690897B1 (ko) 에어컨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키트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JP2009066585A (ja) 冷風機能を備えた除湿機
CN101358427A (zh) 衣物处理设备
KR102378368B1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KR20150089818A (ko) 공기조화기
CN103911826A (zh) 一种带调温功能的热泵式节能衣物烘干装置
KR100407908B1 (ko) 냉각 건조 옷장
KR102392267B1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