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997B1 -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997B1
KR101565997B1 KR1020150031908A KR20150031908A KR101565997B1 KR 101565997 B1 KR101565997 B1 KR 101565997B1 KR 1020150031908 A KR1020150031908 A KR 1020150031908A KR 20150031908 A KR20150031908 A KR 20150031908A KR 101565997 B1 KR101565997 B1 KR 10156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discharge
clos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반석
Priority to KR102015003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욕실이나 주방 또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는 공기순환부(24)와 연결통로(25)들이 대칭형성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와, 상기 경사부(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통로(100)에 전달하는 배출부(23)로 이루어진 케이스(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21)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 가이드(26)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31)과 상기 수직부(21)의 외면에 장착되고 차단판(31)의 접촉시 점등하고 비 접촉시 소등하는 발광부(32)로 이루어진 공기 차단수단(3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1)와, 상기 필터(41)의 상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상기 팬(4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 조절하는 공기 가이드(43)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23)에는 정역모터(51)와, 상기 정역모터(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여 배출통로(100)를 통해 역류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판(53)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5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연결통로(25)에는 두 개 이상의 경사배관(6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경사케이스(60)가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케이스(60)의 하부 끝단에는 두 개 이상의 수직배관(7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수직케이스(70)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배관(71)에는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유입부(81)와, 상기 측면 유입부(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측면 곡면부(82)와, 상기 측면 곡면부(82)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팬(83)과, 상기 측면 유입부(81)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85)가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84)와, 상기 측면 케이스(84)의 전방에 장착되고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86)로 구성되는 측면 흡입수단(8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직배관(71)의 상부에는 공기 흐름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측정부(91)와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함(92)으로 구성되는 보조수단(9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공기 차단수단(30) 또는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1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폐감지부(220)가 상기 차단판에 대향되는 위치 또는 상기 통로 차단판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감지부(22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30)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폐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동부(210)가 상기 측면 흡입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110)이 개방되면 수직배관(71) 내부의 공기를 통로(113) 측으로 압송시키는 송풍배출부(250)가 수직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AIR DUCT ASSEMBLY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주방이나 욕실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쾌적한 외기를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유입 순환시켜 실내 공기 상태를 생활하기 적합하게 하기 위한 환기 시설이 구축 및 설계에 반영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환기 시설의 구축 및 설계 반영은 외기의 유입과 배출을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내부 설계에 반영시키거나, 이러한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외기 유입과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화장실과 욕실 공간 내에 설치하여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할 수 있다.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팬, 방향전환밸브, 플렉시블 호스, 댐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동력을 전달받은 팬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들인 후 방향 전환밸브와 플렉시블 호스 및 댐퍼를 경유시켜 주 배기관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4574호(1999년 02월 18일 공고, 고안의 명칭 :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시설은 천장의 상부에만 설치되는 환기시설에 의존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실내의 하부나 벽면에 위치하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배출하는데 장시간 소모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외부공기가 내부로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주방이나 욕실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욕실이나 주방 또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있어서,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는 공기순환부(24)와 연결통로(25)들이 대칭형성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와, 상기 경사부(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통로(100)에 전달하는 배출부(23)로 이루어진 케이스(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21)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 가이드(26)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31)과 상기 수직부(21)의 외면에 장착되고 차단판(31)의 접촉시 점등하고 비 접촉시 소등하는 발광부(32)로 이루어진 공기 차단수단(3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1)와, 상기 필터(41)의 상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상기 팬(4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 조절하는 공기 가이드(43)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23)에는 정역모터(51)와, 상기 정역모터(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여 배출통로(100)를 통해 역류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판(53)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5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연결통로(25)에는 두 개 이상의 경사배관(6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경사케이스(60)가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케이스(60)의 하부 끝단에는 두 개 이상의 수직배관(7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수직케이스(70)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배관(71)에는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유입부(81)와, 상기 측면 유입부(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측면 곡면부(82)와, 상기 측면 곡면부(82)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팬(83)과, 상기 측면 유입부(81)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85)가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84)와, 상기 측면 케이스(84)의 전방에 장착되고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86)로 구성되는 측면 흡입수단(8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직배관(71)의 상부에는 공기 흐름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측정부(91)와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함(92)으로 구성되는 보조수단(9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공기 차단수단(30) 또는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1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폐감지부(220)가 상기 차단판에 대향되는 위치 또는 상기 통로 차단판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감지부(22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30)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폐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동부(210)가 상기 측면 흡입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110)이 개방되면 수직배관(71) 내부의 공기를 통로(113) 측으로 압송시키는 송풍배출부(250)가 수직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개폐감지부는, 상기 차단판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의 단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통로 차단판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통로 차단판의 단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모터; 상기 개폐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개폐부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송풍배출부는, 상기 수직배관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곡면부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통로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곡면부; 및 상기 배출곡면부와 상기 수직배관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 측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배출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공동주택의 주방이나 욕실 또는 거실 등에 정체된 오염된 공기를 천장의 중앙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공기 흡입수단과 벽면에 설치되는 측면 흡입수단을 이용하여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배출부에 장착되는 역류방지수단과, 수직부에 장착되는 차단판과, 측면 케이스에 장착되는 개폐부를 이용하여 실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경사케이스와 수직케이스를 구성하는 경사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부분에 곡면부를 형성하여 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통해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차단판의 개폐여부 또는 통로 차단판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폐감지부와, 차단판이 개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측면 유입부를 개방하는 개폐구동부와, 통로 차단판이 개방되면 덕트 내부의 공기를 통로 외측으로 압송하는 송풍배출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도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수단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수단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는, 공기를 유입하면서 배출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에 구성되는 수직부(21)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 또는 유입시키는 공기 차단수단(30)과, 수직부(21)의 내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수단(40)과, 케이스(20)를 구성하는 배출부(23)에 장착되고 역류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50)과, 수직부(21)의 연결통로(25)에 장착되는 경사케이스(60)와, 경사케이스(60)와 결합되면서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케이스(70)와, 수직케이스(70)를 구성하는 수직배관(71)에 각각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측면 흡입수단(80)과, 수직배관(71)의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수단(90)과, 공기 차단수단(30) 또는 이물질 배출수단(1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폐감지부(220)와, 개폐감지부(22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230)와, 제어부(230)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개폐부(8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동부(210)와, 이물질 배출수단(110)이 개방되면 수직배관(71) 내부의 공기를 통로(113) 측으로 압송시키는 송풍배출부(250)를 포함한다.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10)는 공동주택의 욕실이나 주방 또는 실내 등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케이스(20)는 내부에 공기순환부(24)와 연결통로(25)들이 대칭형성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와, 상기 경사부(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통로(100)에 전달하는 배출부(23)로 구성된다.
배출부(23)의 상부에는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경사면(23a)이 형성된다.
케이스(20)는 수직부(21)를 통해 공기를 유입한 후 경사부(22)와 배출부(23)를 거쳐 배출통로(100)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수직부(21)는 하부에 차단 가이드(26)가 형성되고, 차단 가이드(26)의 상부에는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공기순환부(24)가 돌출형성되며, 공기순환부(24)의 상부에는 경사케이스(60)과 연결을 위해 연결통로(25)들이 형성된다.
차단 가이드(26)는 일측이 관통형성되고 반대 측에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케이스(20)에 구성되는 수직부(21)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 또는 유입시키는 공기 차단수단(30)은 상기 차단 가이드(26)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31)과 수직부(21)의 외면에 장착되고 차단판(31)의 접촉시 점등하고 비 접촉시 소등하는 발광부(32)로 구성된다.
공기 차단수단(30)은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10)의 비 사용시 차단 가이드(26)를 따라 차단판(31)을 이동시켜 수직부(21)의 통로를 차단하고 상기 발광부(32)의 점등 여부를 통해 차단판(31)의 개방 및 폐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직부(21)의 내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수단(40)은 상기 수직부(21)의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1)와, 상기 필터(41)의 상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팬(4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 조절하는 공기 가이드(43)로 구성되고, 공기 흡입수단(40)은 공기 가이드(43)를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다.
공기 흡입수단(40)은 수직부(21)의 하부와 필터(41)를 거쳐 전달되는 공기를 팬(42)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흡입한 후 공기 가이드(43)를 통해 상부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기 가이드(43)는 공기순환부(24)를 거쳐 전달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내면과 외면이 곡면지게 형성된다.
케이스(20)를 구성하는 배출부(23)에 장착되고 역류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수단(50)은 정역모터(51)와, 정역모터(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축(52)과, 회전축(5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여 배출통로(100)를 통해 역류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판(53)으로 구성된다.
역류방지수단(50)은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10)의 사용시 상기 역류방지판(53)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배출부(23)를 연통시켰다가 상기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10)를 비 사용하게 되면 역류방지판(53)을 수평으로 회전작동시켜 배출부(23)를 차단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수직부(21)의 연결통로(25)에 장착되는 경사케이스(60)는 두 개 이상의 경사배관(6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된다.
경사케이스(60)를 구성하는 경사배관(61)은 맞닿는 상부, 하부 내면에 곡면부(63)를 각각 형성하면서 일측 끝단에 결합돌기(64)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결합돌기(64)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65)을 형성한 것이다.
경사케이스(60)는 경사배관(61)과 경사배관(61)이 맞닿는 부분에 곡면부(63)를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4)를 통해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 것이다.
이때, 경사케이스(60)를 구성하는 내면에는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경사면(62)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케이스(60)와 결합되면서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케이스(70)는 경사케이스(60)의 하부 끝단에는 두 개 이상의 수직배관(7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된다.
수직케이스(70)를 구성하는 수직배관(71)은 맞닿는 상부, 하부 내면에 곡면부(73)를 각각 형성하면서 일측 끝단에 결합돌기(74)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결합돌기(74)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홈(75)를 형성한 것이다.
수직케이스(70)는 수직배관(71)과 수직배관(71)이 맞닿는 부분에 곡면부(73)를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4)를 통해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는 것을 차단한 것이다.
수직케이스(70)를 구성하고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배관(71)의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이물질 배출수단(110)이 장착된다.
이물질 배출수단(110)은 경사면(111)과, 상기 경사면(111)의 끝단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112)와, 연장부(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로(113)와, 상기 통로(113)의 전방에 장착되면서 통로(113)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통로 차단판(114)으로 구성된다.
이물질 배출수단(110)은 평상시 통로 차단판(114)을 이용하여 통로(113)를 차단하고 있다가, 일정시간이 경과 한 후 수직배관(71)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제거할 때, 상기 통로 차단판(114)을 상부로 이동시켜 통로(113)를 개방한 후 경사면(111)을 따라 연장부(112)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통로 차단판(114)의 외면에는 밀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무 패킹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수직케이스(70)를 구성하는 수직배관(71)에 각각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측면 흡입수단(80)은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유입부(81)와, 상기 측면 유입부(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측면 곡면부(82)와, 측면 곡면부(82)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팬(83)과, 측면 유입부(81)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85)가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84)와, 측면 케이스(84)의 전방에 장착되고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86)로 구성된다.
측면 흡입수단(80)은 케이스(20)와 함께 실내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측면 흡입수단(80)은 여과 필터(85)가 구비된 측면 케이스(84)를 통과한 후 측면 유입부(81)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를 송풍팬(83)을 이용하여 수직배관(71)의 내부로 신속하게 공기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공기는 측면 곡면부(82)를 따라 상부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고, 측면 케이스(84)의 전방에 장착되는 개폐부(86)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측면케이스(84) 및 여과 필터(85)를 개폐 가능하도록 회전축(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부(86)의 끝단에 형성되는 홀부(86a)와, 측면 케이스(84)의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고정돌기(86b)가 착탈되면서 개폐부(86)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부(86)는 평상시에 측면 케이스(84) 및 여과 필터(85)를 덮도록 배치되고, 고정돌기(86b)가 홀부(86a)에 삽입되어 개폐부(86)의 폐쇄상태가 유지되어 측면 케이스(84)를 차단하고 있다가 실내 환기시 고정돌기(86b)로부터 홀부(86a)가 분리되면서 개폐모터(218)의 동력에 의해 개폐부(86)가 회전되면서 측면 케이스(84) 및 여과 필터(85)가 개방된 다음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직배관(71)의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수단(90)은 수직배관(71)의 상부에는 공기 흐름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측정부(91)와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함(92)으로 구성된다.
보조수단(90)은 수직배관(71)의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와 외부에 장착되는 표시판을 통해 구성되는 측정부(91)를 이용하여 실내의 환기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함(92)을 통해 무게가 가벼운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감지부(220)는, 차단판(31)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차단판(31)의 단부가 감지되면 제어부(23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센서(222)와, 통로 차단판(114)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통로 차단판(114)의 단부가 감지되면 제어부(23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센서(224)를 포함한다.
제1센서(22)는 차단판(31)이 슬라이딩되는 차단 가이드(26)의 일측 외벽에 설치되고, 다수 개의 제1센서(222)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제2센서(224)는 통로 차단판(114)에 대향되도록 수직배관(71)의 외벽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배치된다.
제1센서(222) 및 제2센서(224)는 근거리감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차단판(31)이 개방되도록 슬라이딩되면 제1센서(222)가 차단판(31)의 단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3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제2센서(224)에 통로 차단판(114)이 감지되면 제2센서(224)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230)에 송신된다.
제어부(230)에 감지신호가 송신되면 제어부(230)의 판단에 의해 제1센서(22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팬(42), 개폐모터(218)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배기작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측면 유입부(81)를 개방하여 실내 공기의 배기공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센서(224)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30)로부터 팬(42), 정역모터(51) 및 배출팬(254)에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정역모터(51)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역류 방지판(53)이 폐쇄되고, 팬(42)이 구동되어 덕트 내부의 공기가 통로 측으로 압송되며, 배출팬(254)이 구동되어 팬(42)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가 통로(113)를 통해 실내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덕트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개폐구동부(210)는, 제어부(23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모터(218)와, 개폐모터(218)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216)와, 주동기어(216)와 기어연결되고 개폐부(86)의 회전축(21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1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로부터 구동신호가 송신되면 개폐모터(218)에 전원이 인가되고, 개폐모터(218)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이 주동기어(216), 종동기어(214)를 통해 회전축(212)에 전달되므로 개폐부(86)가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측면 유입부(81)를 개방하게 된다.
송풍배출부(250)는, 수직배관(71) 내벽에 형성되고 측면 곡면부(82)와 대칭을 이루도록 통로(113)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곡면부(252)와, 배출곡면부(252)와 수직배관(71)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통로(113) 측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배출팬(254)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배출팬(254)이 구동되면 수직배관(71) 내부의 공기를 통로(113) 측으로 압송하고, 배출곡면부(252)에 의해 배출팬(254) 후방의 공기가 통로(113) 측으로 안내된다.
이로써, 공동주택의 주방이나 욕실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공동배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 20 : 케이스,
21 : 수직부 22 : 경사부
23 : 배출부 24 : 공기순환부
25 : 연결통로 30 : 공기 차단수단
31 : 차단판 32 : 발광부
40 : 공기 흡입수단 41 : 필터,
42 : 팬 43 : 공기 가이드
50 : 역류방지수단 51 : 정역모터
52 : 회전축 53 : 역류방지판
60 : 경사케이스 61 : 경사배관
70 : 수직케이스 71 : 수직배관
80 : 측면 흡입수단 81 : 측면 유입부
82 : 측면 곡면부 83 : 송풍팬
84 : 측면 케이스 85 : 여과 필터
86 : 개폐부 90 : 보조수단
100 : 배출통로 110 : 이물질 배출수단
210 : 개폐구동부 220 : 개폐감지부
230 : 제어부 250 : 송풍배출부

Claims (3)

  1. 공동주택의 욕실이나 주방 또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가 유입되고 내부에는 공기순환부(24)와 연결통로(25)들이 대칭형성되는 수직부(21)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2)와, 상기 경사부(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통로(100)에 전달하는 배출부(23)로 이루어진 케이스(20)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21)에는 하부에 형성되는 차단 가이드(26)를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차단판(31)과 상기 수직부(21)의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차단판(31)의 접촉시 점등하고 비 접촉시 소등하는 발광부(32)로 이루어진 공기 차단수단(3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41)와, 상기 필터(41)의 상부에 장착되고 공기를 흡입하는 팬(42)과, 상기 팬(42)을 통해 전달되는 공기의 흐름 조절하는 공기 가이드(43)로 이루어진 공기 흡입수단(40)이 장착되고, 상기 배출부(23)에는 정역모터(51)와, 상기 정역모터(51)의 작동시 연동작동하는 회전축(52)과, 상기 회전축(52)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면서 연동작동하여 배출통로(100)를 통해 역류하는 공기를 차단하는 역류방지판(53)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수단(50)이 장착되며, 상기 수직부(21)의 연결통로(25)에는 두 개 이상의 경사배관(6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경사케이스(60)가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경사케이스(60)의 하부 끝단에는 두 개 이상의 수직배관(7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는 수직케이스(70)가 장착되며, 상기 수직배관(71)에는 공기를 유입하는 측면 유입부(81)와, 상기 측면 유입부(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측면 곡면부(82)와, 상기 측면 곡면부(82)에 장착되고 유입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팬(83)과, 상기 측면 유입부(81)의 전방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여과 필터(85)가 구비되는 측면 케이스(84)와, 상기 측면 케이스(84)의 전방에 장착되고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하는 개폐부(86)로 구성되는 측면 흡입수단(8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수직배관(71)의 상부에는 공기 흐름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측정부(91)와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함(92)으로 구성되는 보조수단(90)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공기 차단수단(30) 또는 이물질 배출수단(11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개폐감지부(220)가 상기 차단판(31)에 대향되는 위치 또는 상기 통로 차단판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감지부(220)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230)에서 송신되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개폐부(86)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구동부(210)가 상기 측면 흡입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110)이 개방되면 수직배관(71) 내부의 공기를 통로(113) 측으로 압송시키는 송풍배출부(250)가 수직배관 내부에 설치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에 있어서,
    상기 개폐감지부(220)는,
    상기 차단판(31)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31)의 단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1센서(222); 및
    상기 통로 차단판(114)에 대향되도록 복수 개가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설치되고 상기 통로 차단판(114)의 단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제2센서(224)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구동부(210)는,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모터(218);
    상기 개폐모터(218)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주동기어(214);
    상기 주동기어(214)와 기어연결되고 상기 개폐부(86)의 회전축(212)에 설치되는 종동기어(216)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배출부(250)는,
    상기 수직배관(71)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곡면부(82)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통로(113)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배출곡면부(252); 및
    상기 배출곡면부(252)와 상기 수직배관(71)의 내벽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113) 측으로 공기를 압송하는 배출팬(254)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31)이 개방되도록 슬라이딩되면 상기 제1센서(222)가 상기 차단판(31)의 단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30)에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센서(224)에 상기 통로 차단판(114)이 감지되면 상기 제2센서(224)로부터 감지신호가 상기 제어부(230)에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230)에 감지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제어부(230)의 판단에 의해 상기 제1센서(22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팬(42), 상기 개폐모터(218)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배기작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기 측면 유입부(81)가 개방되고, 상기 제2센서(224)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30)로부터 상기 팬(42), 상기 정역모터(51) 및 상기 배출팬(254)에 구동신호가 송신되어 상기 정역모터(51)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판(53)이 폐쇄되고, 상기 팬(42)이 구동되어 덕트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로(113) 측으로 압송되며, 상기 배출팬(254)이 구동되어 상기 팬(42)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가 상기 통로(113)를 통해 실내 내부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부(86)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 케이스(84) 및 상기 여과 필터(85)를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21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86)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86)의 끝단에 형성되는 홀부(86a)와, 상기 측면 케이스(84)의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고정돌기(86b)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31908A 2015-03-06 2015-03-06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156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908A KR101565997B1 (ko) 2015-03-06 2015-03-06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908A KR101565997B1 (ko) 2015-03-06 2015-03-06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997B1 true KR101565997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908A KR101565997B1 (ko) 2015-03-06 2015-03-06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986B1 (ko) * 2018-12-19 2019-04-0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419209B1 (ko) * 2021-05-31 2022-07-08 주식회사 큐브원 기류 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크린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094A (ja) * 2006-08-25 2008-03-06 Canon Inc 絞り装置
KR101020262B1 (ko) * 2010-11-26 2011-03-0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베스트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094A (ja) * 2006-08-25 2008-03-06 Canon Inc 絞り装置
KR101020262B1 (ko) * 2010-11-26 2011-03-07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베스트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1964986B1 (ko) * 2018-12-19 2019-04-02 (주)중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장치
KR102419209B1 (ko) * 2021-05-31 2022-07-08 주식회사 큐브원 기류 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크린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997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공동배기구
CN1316204C (zh) 通风系统
JP6275192B2 (ja) 換気扇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1221240B1 (ko) 외기냉방기능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261322B1 (ko) 독립된 공간의 개별환기를 위한 환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1193222B1 (ko) 환기 시스템
KR100986882B1 (ko) 악취역류방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쓰레기투입기
KR101020262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공동배기구
KR101847426B1 (ko) 지하공간 환기 기능을 갖는 공동주택용 배기장치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KR20180101291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주방 배기시스템
KR102147799B1 (ko) 천장 매립형 공기청정기
KR20090058314A (ko) 공동주택의 욕실 연동형 세대환기 시스템
JP2002005487A (ja) 換気装置
JP2019070489A (ja) 建物の換気システム
KR102157679B1 (ko) 화장실 급기 배기 온열 시스템
KR20060014834A (ko) 건물 내부 환기 시스템
JPH09280604A (ja) 空気調和装置
KR100657828B1 (ko) 환기장치
KR101901138B1 (ko) 폐쇄된 공간에서 환기가 가능한 청정기
JP2007155227A (ja) 浴室空気遮断システムおよび浴室空気遮断装置
JP2005337637A (ja) 空気調和機
JP2008309449A (ja) 空調機のドレン配管汚れ検出装置
KR20210006608A (ko) 팬 분리형 렌지후드를 이용한 세대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