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936B1 -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936B1
KR101565936B1 KR1020140137386A KR20140137386A KR101565936B1 KR 101565936 B1 KR101565936 B1 KR 101565936B1 KR 1020140137386 A KR1020140137386 A KR 1020140137386A KR 20140137386 A KR20140137386 A KR 20140137386A KR 101565936 B1 KR101565936 B1 KR 10156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data
video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순욱
신재성
윤경준
정진규
이일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7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미리 설정하여 지정한 이메일 계정들이나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 사진을 포함하는 동영상의 수신 또는 게시되면 이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다운로드 후 디스플레이 하고, 자체적으로 P2P 방식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디지털 액자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진, 동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고,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SNS에 게시되는 사진, 동영상도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터치와 동작 인식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노인, 아동, 장애인 등도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P2P 방식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A DIGITAL PHOTO FRAME WITH VIDEO CALL FUNC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정한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 등에 사진,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이 수신 또는 게시되면 이를 검색한 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가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개인 컴퓨터상에서 디스플레이하여 편집 및 기록하는 일이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직접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인터넷을 통해 자신의 홈페이지, 카페, 클럽, 블로그 또는 미니 홈피 등과 같은 웹사이트에 올리거나 컬러 프린터를 통해 프린트하여 사진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웹사이트에 사진을 올리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지 않으면 사진을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컬러 프린터를 통해 사진을 프린트하는 경우 프린트 비용도 많이 들고, 사진을 액자나 앨범에 꽂아 관리하는 것도 상당한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종이 액자 또는 종이 앨범의 기능을 대신하는 전자 액자가 점차 보급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전자 액자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전자 액자는 개인용 컴퓨터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 받아 상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종래의 전자 액자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전자 액자와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로 영상 데이터를 먼저 전송한 후,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된 전자 액자로 다시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영상 데이터를 전자 액자로 전송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 액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가 상기 전자 액자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전자 액자로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4440호(2008.10.23.)는 원격으로 접속되어 사진, 동영상 정보를 다운받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인터넷 폰으로 유무선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기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은 데이터 통신부에서 이메일을 수신하면 상기 이메일을 표시하는 화면표시부 및 상기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음성으로 알리는 음성입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제2007-0029910호(2007.03.15.)는 전자 액자의 가상 주소를 전자 액자의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주소에 대응하는 전자 액자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자 액자로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은 음성 통화를 위해서는 인터넷 폰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전자 액자 자체에 통신을 위한 가상주소를 설정해야 하고, 이메일 수신 기능을 갖추고 있더라도 이메일 자체를 표시하거나 이메일이 도착했음을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에 그칠 뿐 수신한 이메일에 포함된 영상을 전자 액자에 자동으로 표시해 주는 기능이 없어 불편한 실정이고, 이로 인해서 정보 소외계층인 노인, 아동들이나 장애를 가진 분들이 사용하기엔 어려움이 많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지정한 이메일 계정이나,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와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에서 사진,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이 수신 또는 게시되면 이를 검색하여 자동으로 다운로드 후 디스플레이하고, 자체적으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P2P) 방식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디지털 액자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는,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받는 영상 검색부; 영상 통화시에 음성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위한 음성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시에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타 사용자의 단말과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영상 송수신부; 및 상기 영상 검색부와 영상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영상 통화 및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을 타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는,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통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와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 및 상기 영상 통화에 따른 음성 데이터의 출력과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출력부; 및 상기 영상 표시부의 사용자 터치 감지 또는 동작감지 센서의 동작 감지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 및 동작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는, 상기 영상 통화시에 전송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미지정시 자동으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검색부는, 상기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 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고,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 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검색부는,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첨부 파일이 아닌 영상 데이터가 위치한 인터넷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은,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은,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영상이 지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현재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 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 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첨부 파일이 아닌 영상 데이터가 위치한 인터넷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 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진, 동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고,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SNS에 게시되는 사진, 동영상도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터치와 동작(gesture) 인식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노인, 아동, 장애인 등도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피어 투 피어(P2P) 방식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에서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을 통해서 검색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인 데이터 처리 흐름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발명의 명세서를 통해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액자(200, 3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복수의 SNS 서버와 접속가능하고, 개별적인 컴퓨터와 접속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상의 이메일 서버와 접속하여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200, 300)는 그 자체가 하나의 컴퓨터처럼 네트워크상에서 웹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디지털 액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어 데이터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는 그 성능만 뒷받침된다면 이메일을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 서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지털 액자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감시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자체적으로 이메일을 수신하면, 해당 이메일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파일(압축파일 포함)형태로 첨부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해당 디지털 액자의 해상도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압축파일의 경우에는 압축을 해제한 후 해당 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영상 데이터나 파일이 이메일을 통해서 전송되어 오는 경우에는, 해당 영상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복수의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해당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메일, SNS 계정을 통해서 해당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을 검색한 후 해당 이미자나 (동)영상을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에뮬레이션 하여 송수신하도록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액자에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HTTP 클라이언트를 디지털 액자에 구현하여 (동)영상 파일을 메타데이터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NS 서버, 웹페이지, 블로그, 포털과 같은 개인의 계정이 있는 곳은 어디든지 접속하여 해당 계정을 통해서 영상이나 텍스트를 포함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는 인터넷을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과 음성 및 화상을 통한 교신이 가능하다. 즉, 인터넷 화상통화를 P2P로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200)는, 영상 검색부(210), 영상 송수신부(220),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30), 영상 표시부(240), 오디오 입출력부(250), 터치 및 동작 감지부(260) 및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영상 검색부(210)는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예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예를 들어 사진 등)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하여 다운로드받는데,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등) 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거나,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첨부 파일이 아닌 유튜브(youtube)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미리 설정된 이메일 계정이나 SNS 계정에 포함된 이메일, 메시지, 링크정보, UR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소스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 액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영상 검색부(210)는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예를 들어 2분 등) 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한다.
이렇게 검색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영상 표시부(240)를 통해서 디지털 액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각 소스 영상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해상도를 디스플레이에 맞추어 해상도를 변환시키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영상 데이터 소스가 압축되거나 코딩되어 있다면, 해당 압축이나 코딩 알고리즘의 복호화 과정을 통해서 원영상 정보를 얻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영상 표시부는 임의의 표준으로 압축되거나 부호화(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임의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을 타겟 해상도인 디지털 액자의 화면 해상도에 맞추어 변환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면,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멀티미디어 정보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영상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핸들링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이다.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디지털 액자에 대한 전체 구성이 제어된다.
또한 영상 송수신부(220)는 영상 통화시에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타 사용자의 단말(300, 310, 320)로의 영상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에 영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압축을 수행하여야 하고, 압축되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원을 하여야 하므로, 영상 송수신부(220)는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데이터 송수신부(230)는 상기 영상 통화시에 음성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한다. 음성 데이터는 음성 코덱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도 부호화에 사용된 해당 복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오디오 및 음성 입출력부(250)는 상기 영상 통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와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오디오나 음성 데이터의 출력 및 상기 영상 통화에 따른 음성이나 음악의 송신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나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출력한다.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260)는 상기 영상 표시부(240)의 사용자 터치 감지(예를 들어 통화버튼 터치, 화면 롱 터치 등) 또는 동작감지 센서(미도시)의 동작 감지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는 상기 영상 검색부(210)와 영상 송수신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 통화 및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을 타 사용자 단말(300, 310, 320)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하는데, 상기 영상 표시부(24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260)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 사진과 다음 사진을 볼 때 책장을 넘기는 듯한 동작을 취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 출력하여 앨범을 직접 넘기는 듯한 효과를 주는 화면 재생 등)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는, 상기 영상 통화시에 전송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미지정시 자동으로 카메라(290)를 구동하여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300, 310, 3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290)는 사용자의 영상통신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도 있으며, 영상 감시 카메라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도 있다. 아울러 디지털 액자를 통해서 표시되는 모든 영상은 저장부(280)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2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을 통해서 영상을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A)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에서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을 통해서 검색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보인 데이터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 검색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이메일 주소, SNS 계정 등을 포함한 검색조건을 입력받고 해당 조건에 맞는 영상을 검색한다. 여기서 검색조건은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 정보 이외에도 이미지나 (동)영상의 파일 포맷을 지정할 수도 있다.
영상 검색부는 이러한 검색조건에 따라 이메일이나 SNS 계정에 첨부된 파일이 있는 경우, 확장자(*.jpg, *.mp4, *.png, *.mov, *.wmv, *.avi 등)를 검색하거나 , 혹시 상기 확장자로 된 영상 데이터가 압축파일로 압축되어 있는 경우, 압축된 파일을 해제한 후에 개별 파일의 확장자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메일 본문에 이미지나 (동)영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 정보에 대해서는 HTML, 텍스트 혹은 고유의 이메일 포맷에 따라 해당 포맷의 이메일에 이미지나 (동)영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확인된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된 이미지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는다. 다음으로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나 (동)영상을 혹호화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는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에 의해서 복호화될 수 있도록 한다.
복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다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화면 사이즈에 맞투어 다운로드된 영상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에 맞추도록 한다.
이 경우에 영상 표시부는 미리 디지털 액자의 화면정보를 EDID 정보를 참조하여 해상도 정보를 얻은 다음에 다시 복호화된 영상의 해상도를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디지털 액자의 화면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메일이나 SNS 계정으로부터 이미지나 (동)영상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는 상기 검색조건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영상 검색부가 제공받은 이메일 주소나 SNS 계정을 통해서 원하는 이미지나 (동)영상 파일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액자의 동작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의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 검색부(210)에서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예를 들어 페이스북, 트위터 등)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미리 설정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색한다(S100 ~ S300).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예를 들어 20분 등) 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는데, 상기 첨부 파일이 아닌 유튜브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동영상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예를 들어 2분 등) 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한다(S300).
상기 S300 단계의 검색결과 첨부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또는 이동한 링크 주소에 동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및 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S400), 상기 영상 검색부(210)는 첨부된 영상 데이터 또는 유튜브 동영상 및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S500).
상기 S500 단계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270)는 상기 다운로드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600).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 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전 사진과 다음 사진을 볼 때 책장을 넘기는 듯한 동작을 취하면 이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 출력하여 앨범을 직접 넘기는 듯한 효과를 주는 화면 재생 등)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한다.
만약, 저장부(280)에 저장한 영상 데이터를 타 사용자 단말(300, 310, 320)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편하게 영상 송수신부(220)를 통해 전송을 수행한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S700), 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영상이 지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S800) 지정되어 있는 경우 지정된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300, 310, 320)로 전송한다(S900). 상기 전송 영상의 지정 기능을 제공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타 사용자에게 현재의 모습을 전송하고 싶지 않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미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화시에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상기 S800 단계의 판단결과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카메라(290)를 구동하여 촬영한 현재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300, 310, 320)로 전송한다(S1000).
이때, 상기 디지털 액자를 통한 영상 통화는 무료통화를 지원하는 피어 투 피어(P2P) 방식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여러 방식(예를 들어 스카이프, 3G, 4G, 리비전A 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진, 동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고,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SNS에 게시되는 사진, 동영상도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으며, 터치와 동작(제스처) 인식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노인, 아동, 장애인 등도 쉽게 이용이 가능하고, 피어 투 피어(P2P) 방식으로 영상 통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310 : 컴퓨터(PC) 110, 320 : 휴대용 단말
200, 300 : 디지털 액자 400 : SNS 서버
500 : 이메일 서버 210 : 영상 검색부
220 : 영상 송수신부 230 : 음성데이터 송수신부
240 : 영상 표시부 250 : 오디오 입출력부
260 : 터치 및 동작 감지부 270 : 저장부
280 :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 290 : 카메라

Claims (11)

  1.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검색하여 다운로드받는 영상 검색부;
    영상 통화시에 음성 데이터 신호의 수신 및 송신을 위한 음성데이터 송수신부;
    상기 영상 통화시에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및 타 사용자의 단말과의 영상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영상 송수신부; 및
    상기 영상 검색부와 영상 송수신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영상 통화 및 사용자가 지정한 영상을 타 사용자 단말과 송수신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첨부 파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압축을 해제하여 확인하거나, 이메일 본문에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메일 본문의 HTML을 분석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첨부 파일이 아닌 영상 데이터가 위치한 인터넷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지원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통화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와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의 출력 및 상기 영상 통화에 따른 음성 데이터의 출력과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는 오디오 입출력부; 및
    상기 영상 표시부의 사용자 터치 감지 또는 동작감지 센서의 동작 감지시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 및 동작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 및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및 오디오 제어부는,
    상기 영상 통화시에 전송하는 영상을 사용자가 미지정시 자동으로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검색부는,
    상기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고,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6. 삭제
  7. 미리 설정한 이메일 주소 또는 SNS 계정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한 결과,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NS 계정에 대한 정보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시에는,
    SNS 게시판에 영상 데이터가 설정 시간마다 업로드(upload) 또는 업데이트(update)한 영상 데이터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업로드 또는 업데이트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타 사용자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타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영상이 지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결과,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카메라를 구동하여 촬영한 현재 사용자 영상을 음성 데이터 신호와 함께 타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에 영상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터치나 동작 감지한 신호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지 영상을 화면에 재생하거나 또는 연속적인 슬라이드 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한 이메일 주소로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가를 검색시에 설정 시간마다 이메일 목록 중 영상 데이터를 첨부 파일로 첨부하고 있는 목록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첨부된 영상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상기 첨부 파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압축을 해제하여 확인하거나, 이메일 본문에 영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이메일 본문의 HTML을 분석하여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첨부 파일이 아닌 영상 데이터가 위치한 인터넷 링크 주소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 주소로 이동하여 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제어방법.
  11. 삭제
KR1020140137386A 2014-10-13 2014-10-13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5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86A KR101565936B1 (ko) 2014-10-13 2014-10-13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86A KR101565936B1 (ko) 2014-10-13 2014-10-13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936B1 true KR101565936B1 (ko) 2015-11-05

Family

ID=5460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386A KR101565936B1 (ko) 2014-10-13 2014-10-13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9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407B1 (ko) * 2016-03-29 2017-06-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세대간 소셜 대화 장치 및 방법
KR20190070463A (ko) * 2017-12-13 2019-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자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407B1 (ko) * 2016-03-29 2017-06-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세대간 소셜 대화 장치 및 방법
KR20190070463A (ko) * 2017-12-13 2019-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자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99585B1 (ko) 2017-12-13 2019-07-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자 기능을 제공하는 허브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JP5934765B2 (ja) 無線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の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メモリカード
US20130103742A1 (en) Direct photo sharing system
US9189484B1 (en) Automatic transcoding of a file uploaded to a remote storage system
JP2011044149A (ja) ネットワークを通じる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コンテンツ受信方法及び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を通じる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装置、バックアップデータ提供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US10095713B2 (en) Information device, server, recording medium with image file recorded thereon, image file generating method, image fil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20323914A1 (en) Storing and retrieving associated information with a digital image
JP2007511829A (ja) コンテンツベースの部分ダウンロード
WO201006308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mote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
EP2240933B1 (en) Organizing and publishing assets in upnp networks
US20180191827A1 (en) Media content management device
US94451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101206B (zh) 提供内容的方法和系统
KR20180068945A (ko)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컨텐츠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375873A (zh) 数据搜索设备及其控制方法
US20170251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KR101565936B1 (ko) 영상 통화가 가능한 디지털 액자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837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based searching
JP6504453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609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log service by using mobile terminal, and mobile blog caster therefor
KR101392319B1 (ko) 파일 트랜스포밍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759563B1 (ko) 콘텐츠 요청 장치 및 방법과 콘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US20080227383A1 (en) Digital content transmitting apparatus, digital-content control web page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5312657B2 (ja) データ転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168844B2 (ja) 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