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873B1 - 상부 구동식 원액기 - Google Patents

상부 구동식 원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873B1
KR101565873B1 KR1020140056117A KR20140056117A KR101565873B1 KR 101565873 B1 KR101565873 B1 KR 101565873B1 KR 1020140056117 A KR1020140056117 A KR 1020140056117A KR 20140056117 A KR20140056117 A KR 20140056117A KR 101565873 B1 KR101565873 B1 KR 101565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uice
main body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14005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73B1/ko
Priority to US14/554,456 priority patent/US20150320106A1/en
Priority to JP2014239024A priority patent/JP2015213738A/ja
Priority to RU2014147964A priority patent/RU2014147964A/ru
Priority to TW103141153A priority patent/TW201542144A/zh
Priority to CN201410708224.8A priority patent/CN105078187A/zh
Priority to BR102014029877A priority patent/BR102014029877A2/pt
Priority to EP14195364.6A priority patent/EP294423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동축과 스크루의 피동축 간의 맞물림 위치의 확실한 결정을 위한 제어를 행하는 상부 구동식 원액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 구동식 원액기{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본 발명은 구동부의 구동축과 스크루의 피동축 간의 맞물림 위치의 확실한 결정을 위한 제어를 행하는 상부 구동식 원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 구동식 원액기로서, 예컨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들의 상부 구동식 원액기는 즙과 찌꺼기를 분리 배출하는 착즙부; 상기 착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상부에 탑재되는 구동탑재본체와 상기 착즙부가 전후로 출납 가능하게 출납홈이 형성된 출납홈본체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착즙부를 상기 구동부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은 착즙부의 하우징의 하면에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받는 컵 모두 본체의 아래쪽으로 수납되게 된다.
특허문헌 2는 착즙부의 하우징의 하면에 즙 배출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찌꺼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들은 즙 배출구가 착즙부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컵을 본체 내부에 수납해야하기 때문에 바깥에서 잘 보이지 않아 넘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2의 승강부는 승강돌기 또는 링 레버를 돌리는 수동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주부가 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수동방식의 승강부는 얼마나 올렸는지 얼마나 내렸는지 사용자가 감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2에서는 출납홈의 상측과 착즙부의 상면 사이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사이로 손가락이 들어가 있는 경우 착즙부가 상승하면 손가락이 다칠 우려가 크다.
또한, 상부 구동식 원액기는 스크루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켜 압착하기 때문에 착즙물에 대한 저항(반력)이 위아래로 가해져 플라스틱 재질의 본체가 위아래로 벌어지려는 변형으로 인해 내구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재료투입구가 뚜껑 등에 고정되어 있어서, 그 재료투입구의 내부 청소를 할 때 뚜껑도 같이 딸려와서 청소하기가 불편하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재료투입구의 하단이 착즙부의 상면과 끼워 맞춰지는 구조가 아니라서 착즙물이 사방으로 튈 때 재료투입구의 하단측과 착즙부의 상면측 사이를 통해 본체 내로 착즙물이 끼일 수 있다.
또한, 모터는 통상 DC모터로서 rpm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즙물에 따라(예컨대 야채 또는 과일) 1단(야채) 또는 2단(과일)과 같이 다단으로 속도를 조절하지 못한다.
또한, 상부 구동식이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축과 스크루의 피동축의 서로 맞물리는 위치에 있지 않을 때에는 수동으로 구동축 또는 피동축을 돌려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뚜껑의 중심으로 액체가 넘칠 경우에는 뚜껑의 상면 뒤쪽으로 흘러내릴 경우 본체도 지저분하여 청소 범위가 넓고 귀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045107호 특허문헌 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87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즙부의 승강 시 스크루의 피동축이 구동부의 구동축에 확실히 맞물리게 제어하는 상부 구동식 원액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상부 구동식 원액기는, 상측에 구동부와 재료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출납되는 착즙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착즙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즙부는 즙배출구와 찌꺼기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면에 결합되는 뚜껑과,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지지되고, 상단은 상기 뚜껑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망 드럼을 구성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의 상단에는 피동축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에는 상기 재료투입구와 서로 통하는 재료투입연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즙부의 상승 시 상기 피동축이 상기 구동축에 맞물리지 않으면 상기 착즙부를 하강시키고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맞물림 위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상부 구동식 원액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상기 제어부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리밋 스위치와 하강 리밋 스위치가 더 설치되어, 상기 피동축이 상기 구동축에 맞물리지 않으면 상기 상승 리밋 스위치가 OFF 상태로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피동축이 구동축에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판단하여 정확히 맞물리도록 제어함으로써, 수동으로 피동축을 일일이 돌려 맞출 필요가 없다.
특히 상승 리밋 스위치와 하강 리밋 스위치를 통해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판단하기 때문에 제어가 대단히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동식 원액기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누름봉과 찌꺼기용기를 분리한 후방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누름봉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동식 원액기의 본체에서 착탈용 재료투입구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개폐판이 재료투입구를 막은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프레임 어셈블리와 커버를 분리한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프레임 어셈블리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11-11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서 좌우측 보강재를 분리한 사시도.
도 13은 착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착즙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저면 사시도.
도 16은 도 4에서 착즙부가 빠진 상태의 단면도.
도 17a 및 도 17b는 착즙부가 상승 전과 상승 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a 및 도 18b는 프레임 어셈블리에서 안착부를 분리한 상태의 상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서 링 기어의 분리하여 유성기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0은 유성기어와 승강 리밋 스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21은 롤부가 캠을 따라 구르면서 안착부의 승강을 보여주는 전개도.
도 22는 구동부의 배열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3은 구동부에서 상부 케이싱이 분리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동식 원액기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누름봉과 찌꺼기용기를 분리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누름봉을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구동식 원액기는 외형을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동부(300)와,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착즙부(500)와, 착즙부(500)를 구동부(30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구동식 원액기에는 구동부(300)와 승강부(70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I자 또는 거의 I자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수평의 상부 본체(110), 수평의 하부 본체(130), 상부 본체(110)와 하부 본체(130)를 연결하는 중앙 본체(150)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본체(150)는 수직 또는 약간 경사진 중앙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부 본체(110)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관통공을 갖는 재료투입구(111)가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재료투입구(111)는 착즙부(500) 내로 재료를 투입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본체(110)에는 착즙부(5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300)가 탑재되어 있다.
하부 본체(130)에는 승강부(700)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 본체(150)는 상부 본체(110)의 하부와 하부 본체(130)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부 본체(110), 중앙 본체(150) 및 하부 본체(130)가 전체적으로 알파벳 대문자인 I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중앙 본체(150)에는 후술된 착즙부(500)의 찌꺼기배출구(513)가 삽입 통과하도록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삽통공(15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부 본체(110)의 전방, 중앙 본체(150) 및 하부 본체(130)의 전방은 착즙부(500)가 출납되는 전방홈(120)을 갖는다.
상부 본체(110)의 후방, 중앙 본체(150) 및 하부 본체(130)의 후방은 찌꺼기용기(10)가 출납되는 후방홈(140)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어셈블리(1100)와, 프레임 어셈블리(1100)를 감싸는 본체케이스(113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어셈블리(1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10)과, 프레임(1110)에 조립 탑재되는 구동부(300) 및 승강부(70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1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300)의 구동축(320)이 삽통되는 제1관통공(1111)과, 재료투입구(111)가 삽통되는 제2관통공(1113)이 형성되는 상부 프레임(1110a)과, 승강부(700)가 탑재되는 하부 프레임(1110b)과, 상부 프레임(1110a)과 하부 프레임(1110b)을 연결하며 찌꺼기배출구(513)가 삽통되는 제3관통공(1115)이 형성되는 연결 프레임(1110c)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프레임(1110b)에는 후술되는 승강부(700)의 회전축(721)이 밑에서 위로 삽통되게 제4관통공(1117)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1110c)은 상부 프레임(1110a)의 후방과 하부 프레임(1110b)의 후방을 연결하여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상부 프레임(1110a) 및 하부 프레임(1110b)은 수평으로, 연결 프레임(1110c)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4관통공(1117)의 원둘레 상에는 3개의 핀(1119)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1110b)의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하방돌출관(1121)이 복수개 즉 4개 설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111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10)은 강철 재질로 하여, 상부 구동에 따라 상하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하는 게 좋다.
또한, 프레임(1110)의 양측에는 보강재(1110d)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좋다.
보강재(1110d)에는 후술되는 본체케이스(1130)와 체결되는 체결공(1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스(11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10)의 좌우측, 전후 및 상하를 커버하는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 전후방 본체케이스(1130c)(1130d) 및 상하측 본체케이스(1130e)(1130f)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는 프레임(1110)의 좌우측과 체결된다.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 각각은 상측 플랜지(110), 중앙 플랜지(130) 및 하측 플랜지(130)를 구성한다.
특히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의 하측 각각은 전방으로 형성되는 플랜지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전방 본체케이스(1130c)는 프레임(1110)의 전방을 커버하며, 전방홈(120)과 찌꺼기배출구(513)가 삽통되는 전방삽통공(1131)을 갖는 ㄷ자 형상이다.
후방 본체케이스(1130d)는 프레임(1110)의 후방을 커버하며 후방홈(140)과 찌꺼기배출구가 삽통되는 후방삽통공(1133)을 갖는 역ㄷ자 형상이다.
상측 본체케이스(1130e)는 프레임(1110)의 상측을 커버하며 재료투입구(111)를 갖는다.
하측 본체케이스(1130f)는 프레임(1110)의 하측을 커버한다.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의 내측에는 도 7과 같이 보강재(1110d)의 위치를 잡아주는 리브(1135)가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측 본체케이스(1130a)(1130b)의 내측 상측(상측 플랜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제어부인 PCB(900)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 본체케이스(1130d)의 상측에는 구동부(300)의 모터(310)의 하면을 받치는 다수의 리브(1139)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310)는 프레임(1110)에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다수의 리브(1139) 상에 밑면이 받치게 하는 게 바람직하다.
상측 본체케이스(1130e)에는 재료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덮개(113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도 4의 상태에서 덮개(1137)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5와 같이 재료투입구(111)의 호퍼 부분을 덮는다.
한편, 재료투입구(111)에는 도 4와 같이 별도의 착탈용 재료투입구(113)가 더 삽입 설치되는 것이 좋다.
착탈용 재료투입구(113)의 내부에 투입되는 재료나 기타 이물질이 끼었을 때, 빼내어 그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착탈용 재료투입구(113)가 이탈되었을 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감지센서(미도시)는 착탈용 재료투입구(113)에 금속, 재료투입구(111)에 홀센서로 이루어지나, 그 반대로 이루어진다.
감지센서(미도시)는 제어부(900)에 이탈 여부를 입력시킨다.
구동부(300)는 도 3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20)을 갖는 감속기어부(330)와, 감속기어부(330)에 지지된 채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1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310)의 회전축(311)은 구동기어로서 감속기어부(330)에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310)의 회전축(311)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프라인 출력축이며, 회전축(311)을 회전시키는 전동부는 그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어부(330)는 다단의 회전축 각각에 복열로 설치 맞물린 기어 트레인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기어 트레인은 제1감속기어부(330a), 제2감속기어부(330b), 제3감속기어부(330c) 및 제4감속기어부(330d)로 이루어진다.
제1감속기어부(330a)는 회전축(311)과 병렬로 놓인 제1회전축(331a)과, 제1회전축(331a) 상에 설치되는 제1-1기어(333a) 및 제1-2기어(335a)로 이루어진다.
제1-1기어(333a)는 제1-2기어(335a)보다 피니원이 매우 큰 기어이다.
제1-1기어(333a)는 회전축(311)과 맞물려 있다.
제2감속기어부(330b)는 제2회전축(331b)과, 제2회전축(331b) 상에 설치되는 제2-1기어(333b) 및 제2-2기어(335b)로 이루어진다.
제2-1기어(333b)는 제2-2기어(335b)보다 피니원이 매우 큰 기어이다.
제2-1기어(333b)는 제1-2기어(335a)와 맞물려 있다.
제3감속기어부(330c)는 제3회전축(331c)과, 제3회전축(331c) 상에 설치되는 제3기어(333c)로 이루어진다.
제3기어(333c)는 후술된 제4기어(335d)보다 피니원이 큰 기어이다.
제3기어(333c)는 제2-2기어(335b)와 맞물려 있다.
제4감속기어부(330d)는 제4회전축(331)과, 제4회전축(331) 상에 설치되는 제4기어(335d)가 설치되어 있다.
제4기어(335d)는 제3기어(333c)와 맞물려 있다.
감속기어부(330)의 제4회전축(331)은 출력 회전축으로서, 그 하단에 구동축(320)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축(320)은 원통관의 내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치형과 같이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310)와 감속기어부(330)는 케이싱(200)에 탑재 지지되어 있다.
케이싱(200)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싱(210)과 상부 케이싱(230)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케이싱(210)에는 모터(310)의 전동부를 지지하는 지지판(311)과, 회전축(311) 및 감속기어부(330)가 탑재되는 탑재 케이싱(213)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싱(230)은 탑재 케이싱(213)의 상부를 덮는 덮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1회전축(330a), 제2회전축(330b), 제3회전축(330c) 및 출력 회전축(3331)의 양단에는 베어링 또는 부시(B)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200)에는 베어링 또는 부시(B)가 설치되는 홈(201)과 각 감속 기어들이 수납되는 홈들(20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싱(200)의 홈(201)(203)은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감속기어부(330)의 하부 케이싱(210)은 상부 프레임(1110a)의 상부에 체결 설치되어 있다.
모터(310)는 감속기어부(330)의 일측에 체결되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특히, 모터(310)는 재료에 따라(재료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속도 조절이 가능한 BL(브러쉬리스)모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1단(야채용), 2단(과일용), 역회전 같은 속도 선택 스위치를 두어 제어부(900)를 통해 모터(310)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1단은 야채, 2단은 과일을 착즙하게 하여 착즙 효율과 맛 및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다. 회전수가 동일한 모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야채는 잘 착즙되는 회전수라면 과일은 덜 착즙되는 회전수이고, 반대로 과일은 잘 착즙되는 회전수라면 야채는 필요 이상으로 압력을 가하여 에너지 손실과 맛의 파괴를 줄 수 있다.
물론, 재료의 착즙 과정에서 착즙력을 측정하여 재료에 따라 자동으로 모터(310)의 회전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부(900)를 두면 더욱 좋다.
착즙부(50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즙배출구(511)와 찌꺼기배출구(513)를 갖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 상면에 결합되는 뚜껑(530)과, 하단은 하우징(510)의 바닥의 홈(515)에 지지되고, 상단은 뚜껑(530)의 관통공(53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크루(550)와, 스크루(550)와 하우징(510) 사이에 개재되는 망 드럼(570)과, 하우징(510)과 망 드럼(57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는 회전브러시(590)를 구성한다.
스크루(550)의 상단에는 구동축(320)에 맞물리는 피동축(551)이 형성되어 있다. 피동축(551)은 구동축(320)과 맞물리게 소정 간격마다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축(320)과 피동축(551)이 치형 형태로 맞물리게 하여도 좋고, 소켓과 렌치 타입 즉 다각형상으로 맞물리게 하여도 좋다.
뚜껑(530)에는 재료투입구(111)와 서로 통하게 끼워지는 재료투입연통구(531)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착즙부(500)가 상승 시 피동축(551)은 구동축(320)과 맞물리고, 재료투입연통구(531)는 재료투입구(111)에 삽입되게 된다.
보다 자세히는, 재료투입연통구(531)의 주위에는 위로 돌출한 돌출벽이 형성되어, 이 돌출벽이 재료투입구(111)에 삽입되게 된다.
특히, 도 3과 같이 재료투입연통구(531)는 재료투입구(111)의 하단과 착탈용 재료투입구(113)의 하단 사이로 삽입되어, 투입되는 재료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뚜껑(530)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뚜껑용 손잡이(532)가 형성되는 것이 체결 또는 분해시 잡고 돌리기 편하다.
회전브러시(590)는 다음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스크루(550)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루(550)의 하단측에 형성된 치형(553)이 하우징(510) 바닥에 설치된 기어(517)와 맞물려 회전시킨다.
기어(517)가 회전되면, 회전브러시(59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치형(591)과 맞물려 회전시키게 된다.
즉, 치형(553)과 기어(517)가 맞물리고, 기어(517)와 치형(591)이 맞물려있기 때문에, 스크루(550)의 회전은 기어(517)를 통해 회전브러시(590)에 전달 회전시킨다.
한편, 피동축(551)과 구동축(320)은 마치 죠오 클러치처럼 승강부(700)가 승강함에 따라 단속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그 물리는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후술되는 승강부(700)의 모터(710)에 과부하가 걸리고 사용자자 수동으로 피동축(551) 또는 구동축(320)을 일일이 돌려 맞춰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900)는 착즙부(500)의 상승 시 피동축(551)이 구동축(320)에 맞물리지 않으면 착즙부(500)를 하강시키고 모터(310)의 회전으로 구동축(320)을 약간 회전시켜 맞물림 위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승강부(700)에는 제어부(90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리밋 스위치(600)와 하강 리밋 스위치(610)가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피동축(551)이 구동축(320)에 맞물리지 않으면 상승 리밋 스위치(600)가 OFF 상태로 있기 때문에, 이 오프 상태의 시간이 셋팅된 시간에 이르면 제어부(900)가 승강부(700)를 하강시키는 모터(710)를 구동 제어한 후 구동부(300)의 모터(310)를 구동 제어한다.
한편, 도 6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530)의 상면 좌우에는 가이드 돌기(430)가 형성되고, 전방홈(120)의 상측 커버의 밑면에는 가이드 돌기(430)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뚜껑(530)이 하우징(510)에 제대로 닫힌 것도 확인할 수 있고, 스크루(550)의 회전 시 뚜껑(530)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승강부(700)는 도 18a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승강용 모터(710)와, 착즙부(500)가 안착되는 안착부(730)와, 안착부(730)를 승강시키는 캠부(750)와, 승강용 모터(710)의 동력을 캠부(75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70)로 이루어진다.
승강용 모터(750)는 제어부(9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DC모터이며, 하부 프레임(1110b)의 밑면에 장착된다.
동력전달부(770)는 승강용 모터(710)의 동력을 전달받는 유성기어(790)로 이루어진다.
유성기어(790)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기어(791), 선기어(791)와 맞물리는 유성 피니언(793), 유성 피니언(793)과 맞물리는 내접기어인 링기어(795)로 이루어진다.
선기어(791)는 승강용 모터(750)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기어에 전달하는 감속기어(720)의 출력축(7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감속기어(720)도 승강용 모터(710)와 마찬가지로 하부 프레임(1110b)의 밑면에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721)은 하부 프레임(1110b)의 제4관통공(1117)을 통해 위로 노출되게 된다.
유성 피니언(793)은 하부 프레임(1110b)의 핀(111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795)는 밑면이 개방되고, 상판(795a)의 중심에는 출력축(721)이 삽통되게 관통공(79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 기어(795)의 상판(795a) 밑면에는 핀(1119)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유성기어(790)가 위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캠부(750)는 안착부(730)의 하면에 형성되는 캠(751)과, 링기어(795)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링기어(795)의 회전에 따라 캠(751)을 따라 구르는 롤부(753)로 이루어진다.
캠(751)은 도 18b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부(751a), 하강부(751a)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승부(751c), 하강부(751a)에서 상승부(751c)로 있는 경사부(75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21과 같이 링기어(795)가 실선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부(753)가 굴러 상승부(751c)를 밀어 올려 안착부(730)가 상승한다.
반대로, 링기어(795)가 점선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부(753)가 굴러 상승부(751c), 경사부(751b)를 따라 굴러 하강부(751a)에 놓이면 안착부(730)가 하강한다.
링기어(795)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 리밋 스위치(600)와 하강 리밋 스위치(610)를 작동시키는 작동편(630)이 형성되어 있다.
상승 리밋 스위치(600) 및 하강 리밋 스위치(610)는 제어부(9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작동편(630)이 상승 리밋 스위치(600)를 눌러 ON시키면 더 이상 착즙부(500)는 상승을 멈추고, 하강 리밋 스위치(610)를 눌러 ON시키면 더 이상 착즙부(500)는 하강을 멈춘다.
안착부(730)는 크게 캠(751)이 형성된 캠성형부(730a)와, 캠성형부(730a)의 상면에 결합되는 안착커버부(730b)로 구성되어 있다.
캠성형부(730a)의 중심에는 출력축(721)의 상단측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하는 홈(7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성형부(730a)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프레임(1110b)의 하방돌출관(1121)에 삽입되는 기둥(733)이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기둥(733)은 하방돌출관(1121)에서 아래로 일부 노출된다.
또한, 본체(100)에 대해 안착부(730)를 아래로 당기는 탄성을 가하는 스프링(74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740)은 안착부(730)를 하강한 위치로 당기기 위한 것으로서, 하방돌출관(1121)에 끼운 후, 기둥(733)의 하단에 볼트(745)를 체결하여, 하부 프레임(1110b)의 밑면과 볼트(745)의 머리부 사이에 스프링(740)이 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740)은 프레임(1110)에 대해 볼트(745)를 아래로 당기기 때문에, 안착부(730)가 하강 위치로 탄성력을 받게 되어 강제로 하강을 더 유도하는 도움을 준다. (안착부가 상승할 때는 롤부가 캠을 받쳐 올려주는 강제적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승엔 문제 없지만, 하강 시 중력에만 의존할 경우 신속 정확히 내려오지 않을 것을 대비한 구성이 스프링이다)
안착커버부(730b)는 캠셩형부(730a)에 끼워 결합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안착위치홈(735)이 형성되어 있다.
안착위치홈(735)에는 도 15의 하우징(510) 밑면에 형성된 안착위치돌기(737)가 놓이게 된다.
또한, 하우징(510)의 밑면에는 찌꺼기배출구(513)의 입구에 삽입되는 찌꺼기배출조절패킹(520)이 삽입되어 있다.
안착커버부(730b)의 상면에는 찌꺼기배출조절패킹(520)의 이탈 시 간섭을 일으키는 간섭돌출편(525)이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배출조절패킹(520)은 도 3과 같이 찌꺼기배출구(513)의 입구에서 찌꺼기의 양에 따라 아래로 눌리면서 배출 속도를 제어한다.
이러한 찌꺼기배출조절패킹(520)이 빠진 상태로 안착되면 찌꺼기가 누출되기 때문에, 간섭돌출편(525) 위에 빠진 찌꺼기배출조절패킹(520)이 놓이면 착즙부(500)가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소비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530)의 전방측 상면 둘레에는 위로 돌출한 턱(54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540)은 도 13과 같이 원둘레의 일부에 설치되는 제1턱(541)과, 제1턱(541)의 양단에서 이격된 제2턱(5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턱(541)과 제2턱(543) 사이에는 간격이 떨어진 홈으로서 배수로(545)가 형성되어 있다.
제1턱(541)과 제2턱(543)은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즙부(500)가 상승하기 전에 전방홈(120)의 상측과 뚜껑(530)의 상면 사이(T)를 막아, 그 사이로 손가락 등이 끼인 상태로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뚜껑(530)의 에지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외측을 향하게 경사진 빗면(547)으로 이루어진다.
빗면(547)은 설령 손가락이 턱(540)에 걸려 끼이더라도 착즙부(500)의 상승 시 쉽게 타고 내려가게 하는 기능을 한다.
턱(540)은 전방홈(120)의 상측에 형성된 턱끼움홈(560)에 삽입되되, 착즙부(530)의 상승 시 도 17b와 같이 배수로(545)가 약간 노출되게 삽입된다.
한편, 뚜껑(530)의 상면에는 전후방을 구획하는 구획판(580)이 위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뚜껑(530)의 관통공(533)은 구획판(580)과 턱(540) 정확히는 제1턱(541)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구획판(580)의 양단과 제2턱(543)의 양단이 연결되고 배수로(545)가 형성되게 된다. 구획판(580)은 V자 형상으로 배수로(545)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획판(580)과 제1턱(541)은 마치 댐 기능을 하여 관통공(533)으로 누수되는 액체를 배수로(545)만으로 배수시켜 본체(100)로 스며들게 하거나 구석진 곳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구획판(580)도 전방홈(120)의 상측에 형성되는 판끼움홈(585)에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 120 : 전방홈
140 : 후방홈 1100 : 프레임 어셈블리
1110 : 프레임 1130 : 본체케이스
300 : 구동부 310 : 모터(BL모터)
330 : 감속기어부 500 : 착즙부
510 : 하우징 530 : 뚜껑
550 : 스크루 570 : 망 드럼
590 : 회전브러시 700 : 승강부
710 : 승강용 모터 730 : 안착부
750 : 캠부 770 : 동력전달부
790 : 유성기어 900 : 제어부

Claims (2)

  1. 삭제
  2. 상측에 구동부(300)와 재료투입구(111)를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출납되는 착즙부(500); 상기 본체(100)에 대해 상기 착즙부(5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0); 상기 승강부(700)를 제어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300)에는 구동축(320)이 형성되고,
    스크루(550)의 상단에는 피동축(551)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700)에는 상기 제어부(900)에 입력 신호를 인가하는 상승 리밋 스위치(600)가 더 설치되어,
    상기 착즙부(500)의 상승 시 상기 피동축(551)이 상기 구동축(320)에 맞물리지 않으면 상기 상승 리밋 스위치(600)가 OFF 상태로 되고, 이 OFF 상태의 시간이 셋팅된 시간에 이르면 상기 제어부(900)가 승강부(700)를 하강시킨 후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축(320)을 회전시켜 맞물림 위치로 제어하는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20140056117A 2014-05-12 2014-05-12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117A KR101565873B1 (ko) 2014-05-12 2014-05-12 상부 구동식 원액기
US14/554,456 US20150320106A1 (en) 2014-05-12 2014-11-26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JP2014239024A JP2015213738A (ja) 2014-05-12 2014-11-26 上部駆動式搾汁機
RU2014147964A RU2014147964A (ru) 2014-05-12 2014-11-27 Соковыжималка с верхним приводом
TW103141153A TW201542144A (zh) 2014-05-12 2014-11-27 上驅型榨汁機
CN201410708224.8A CN105078187A (zh) 2014-05-12 2014-11-27 上驱型榨汁机
BR102014029877A BR102014029877A2 (pt) 2014-05-12 2014-11-28 extrator de suco de tipo de acionamento superior
EP14195364.6A EP2944236A1 (en) 2014-05-12 2014-11-28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117A KR101565873B1 (ko) 2014-05-12 2014-05-12 상부 구동식 원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73B1 true KR101565873B1 (ko) 2015-11-13

Family

ID=5461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117A KR101565873B1 (ko) 2014-05-12 2014-05-12 상부 구동식 원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284A (zh) * 2018-10-14 2019-01-04 中山市欧博尔电器有限公司 立式榨汁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95B1 (ko) * 2012-05-30 2013-09-27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95B1 (ko) * 2012-05-30 2013-09-27 (주)현대가전업 착즙 통이 본체의 정면에서 탈착되는 착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4284A (zh) * 2018-10-14 2019-01-04 中山市欧博尔电器有限公司 立式榨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4236A1 (en) Upper driving type juice extractor
JP5841653B2 (ja) 上部駆動式搾汁機
US20150257435A1 (en) Two stage cold press juicer
KR101565870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의 본체 탑재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어셈블리
KR101565871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20150129349A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873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874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CN110464181B (zh) 一种自动清洗咖啡杯
KR101565875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872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869B1 (ko) 상부 구동식 원액기
JP5883112B2 (ja) 上部駆動式搾汁機
JPS6310833Y2 (ko)
CN113235719B (zh) 一种市政排水系统
CN205776668U (zh) 一种排水窨井盖
CN115316870A (zh) 一种具有防飞溅功能的油炸锅上料装置
CN117241713A (zh) 一种全自动电饭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