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058B1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058B1
KR101565058B1 KR1020130133716A KR20130133716A KR101565058B1 KR 101565058 B1 KR101565058 B1 KR 101565058B1 KR 1020130133716 A KR1020130133716 A KR 1020130133716A KR 20130133716 A KR20130133716 A KR 20130133716A KR 101565058 B1 KR101565058 B1 KR 10156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s
extended
voltag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785A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Priority to KR1020130133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058B1/ko
Priority to CN201480030556.3A priority patent/CN105264424B/zh
Priority to PCT/KR2014/004733 priority patent/WO2014193149A1/ko
Priority to US14/893,074 priority patent/US10321121B2/en
Priority to EP14803336.8A priority patent/EP3006990B1/en
Priority to PCT/KR2014/004734 priority patent/WO2014193150A1/ko
Priority to JP2016515282A priority patent/JP6229044B2/ja
Publication of KR2015005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도 불구하고 입체 영상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일측 전극과;상호 이격 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타측 전극과;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전계 또는 전위차에 따라서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정부와; 상기 일측 전극 및 상기 타측 전극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압 또는 펄스를 인가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측 전극의 각각의 연장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의 각각의 연장전극은 상기 액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 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호 중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의 인가상태에 따라서 상기 액정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패턴 배치 상태가 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도 불구하고 입체 영상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기에 2차원 영상과 음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향후 입체적으로 실감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3차원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입체감의 중요한 요인은 사람의 두 눈이 약 65 m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두 눈의 시차 즉, 양안 시차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의 눈이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게 된다. 이를 통상적으로 스테레오그라피 (stereography) 라 한다.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별도의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식 (stereoscopic)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비안경식 (나안방식: autostereoscopic) 입체영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지만, 비안경식 입체영상표시 장치는 상술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는 것만으로도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어 안경식 입체영상표시 장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에 의한 장치와 패러랙스-배리어 (parallax-barrier) 방식에 의한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종래의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한국 등록특허 10-0647517 참조).
종래의 패러랙스 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좌/우 두눈에 각각 대응하는 수직방향 (도2의 Y-Y' 방향) 을 향하는 좌측영상 (L) 과 우측영상 (R) 을 수평방향 (도2에서 X-X' 방향) 으로 교대로 배치한 디스플레이 모듈 (10), 및 그 전단에 배리어 (20; barrier) 라 불리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막대 형태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좌측영상(L) 에 해당하는 빛은 좌안으로만 입사되고, 우측영상 (R) 에 해당하는 빛은 우안으로만 입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배리어 (20) 를 배치하며, 이를 통해 분할된 2 개의 좌, 우 영상 (L, R) 이 분리 관측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액정 모듈을 이용한 패러랙스-배리어 방식에서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수직막대 형태로 배리어를 형성하고, 전체 화소들에 대해 세그먼트 단자 1 개 (S) 및 커먼 단자 1 개 (C) 를 연결하여 전체 화소들을 동시에 온/오프(ON/OFF) 로 제어하기 때문에 배리어의 배열 방향이 고정될 수밖에 없어 정해진 방향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서만 입체영상을 시청 가능하다.
만약에, 사용자가 머리나 몸을 움직여서 눈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좌측영상이 우안에 인식되고, 우측 영상이 좌안에 인식되어 역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도 불구하고 입체 영상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일측 전극과;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타측 전극과;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전계 또는 전위차에 따라서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정부와;상기 일측 전극 및 상기 타측 전극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압 또는 펄스를 인가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측 전극의 각각의 연장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의 각각의 연장전극은 상기 액정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맞대응되는 위치를 갖도록 상호 중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의 인가상태에 따라서 상기 액정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패턴 배치 상태가 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이나 얼굴의 위치 또는 머리의 위치의 변화를 인식하여 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와; 그 변화에 따라서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화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배리어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들은 ;일측 전극에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일측 연장 전극과, 타측 전극에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고 상기 일측 전극의 각각의 연장 전극과 맞대응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타측 연장 전극에 각각 독립적으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에 의해 액정의 배열상태의 변화를 유도하여 배리어를 형성하거나 형성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위치가 변화하여 눈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에도 그 변화 정도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입체 영상화면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패럴랙스 배리어의 배열상태가 고정되지 않고, 눈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지속적으로 좌안 화면은 좌안에 인식되고, 우안 화면은 우안에 인식되어 눈 위치 변화에 따른 역상 형성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좌우 화면이 중첩되는 크로스톡 화면이 눈에 인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2는 종래의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일측 전극의 전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의 전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과 일측 전극이 적층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과 일측 전극이 적층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 배열의 제1단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 배열의 제2단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 배열의 제3단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1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 배열의 제4단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일측 전극의 전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의 전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과 일측 전극이 적층된 상태의 전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2실시예를 구성하는 타측 전극과 일측 전극이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의한 패럴랙스 배리어의 제2실시예에서 패럴랙스 배리어 배열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럴랙스-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러랙스 배리어(200)는 일측 전극(300), 액정부(400), 타측 전극(500) 및 편광 필름(600)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 전극(300)은 하부 전극 또는 후면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타측 전극(500)은 상부 전극 또는 전면 전극으로 기능한다.
반대로 상기 타측 전극(500)은 하부 전극 또는 후면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일측 전극(300)은 상부 전극 또는 전면 전극으로 기능한다.
상기 액정부 (400)는 그 내부에 액정층이 마련된다. 상기 일측 전극(300)과 상기 타측 전극(500) 사이의 전위차 또는 전계 형성 여부에 따라서 상기 액정부(400)에 배리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럴랙스 배리어(200)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TN-LCD 또는 STN-LCD 등의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여, 2D 모드에서는 배리어를 오프 (OFF) 시켜 2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3D 모드에서는 배리어를 온 (ON) 시켜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전극(300)은 2개로 분리된 제1 일측 전극(310)과, 제2 일측 전극(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일측 전극(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320)은 서로를 구분시키고, 통전을 방지하는 제1패턴(P1)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일측 전극(300)은 빛의 원활한 투과를 위하여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패턴(P1)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과, 상하로 형성되는 상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일측 전극(300)의 옆에는 상기 일측 전극(300) 및 상기 타측 전극(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7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단자부(700)는 독립된 4개의 단자가 FPCB와 같은 형태로 일체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부(700)는 제1일측 단자(S1) 및 제2 일측 단자(S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일측 단자(S1)는 상기 제1 일측 전극(31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일측 단자(S2)는 제2 일측 전극(3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일측 전극(310)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일측 안내 전극(311)과, 상기 제1 일측 안내 전극(3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일측 연장 전극(312)과, 상기 제1일측 안내 전극(311)과 상기 제1 일측 단자(S1)를 연결하는 제1 일측 연결 전극(3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31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312)은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312a로 표시된 제1일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312b로 표시된 제1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 타측 연장 전극(31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제1일측 연장 전극(312)의 하나의 쌍과, 그 이웃한 제1일측 연장 전극(312)의 쌍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2 일측 연장 전극(322)의 쌍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일측 전극(310)의 하부에는 제2 일측 전극(320)이 이와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일측 전극(310)과 제2 일측 전극(320)은 기어처럼 실제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의 빈 공간을 채워주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일측 전극(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320)는 상기 제1패턴(P1)에 의하여 이격되기 때문에 통전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일측 전극(320)도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일측 안내 전극(321)과, 상기 제2 일측 안내 전극(3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일측 연장 전극(322)과, 상기 제2일측 안내 전극(321)과 상기 제2 일측 단자(S2)를 연결하는 제2 일측 연결 전극(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32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322)도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322a로 표시된 제2일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322b로 표시된 제2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2측 연장 전극(32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평면에 상기 제1일측 전극(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320)이 배치되고, 그 평면의 위쪽에는 제1 일측 안내 전극(311)이, 아랫쪽에는 제2 일측 안내 전극(321)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700)가 배치되는 측면부 중 상측에는 상기 제1 일측 연결 전극(313)이, 하측에는 제2 일측 연결 전극(323)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일측 연장 전극(312; 312a, 312b)의 옆에는 한 쌍의 제2 일측 연장 전극(322; 322a, 322b)이 배치되며, 이러한 배열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반복된다.
도5에서는 타측 전극(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전극(500)은 2개로 분리된 제1 타측 전극(510)과, 제2 타측 전극(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타측 전극(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520)은 서로를 구분시키고, 통전을 방지하는 제2패턴(P2)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타측 전극(500)도 빛의 원활한 투과를 위하여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패턴(P2)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과, 상하로 형성되는 상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타측 전극(500)의 옆에도 상기 일측 전극(300) 및 상기 타측 전극(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700)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부(700)는 상술한 제1일측 단자(S1), 제2 일측 단자(S2) 뿐만 아니라, 제1 타측 단자(C1), 제2 타측 단자(C2)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타측 단자(C1)는 상기 제1 타측 전극(51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타측 단자(C2)는 제2 타측 전극(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타측 전극(510)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타측 안내 전극(511)과, 상기 제1 타측 안내 전극(5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타측 연장 전극(512)과, 상기 제1타측 안내 전극(511)과 상기 제1 타측 단자(C1)를 연결하는 제1 타측 연결 전극(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51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512)은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512a로 표시된 제1타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512b로 표시된 제1타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측 연장 전극(51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타측 전극(510)의 하부에는 제2 타측 전극(520)이 이와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타측 전극(510)과 제2 타측 전극(520)은 기어처럼 실제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의 빈 공간을 채워주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타측 전극(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520)는 상기 제2패턴(P2)에 의하여 이격되기 때문에 통전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타측 전극(520)도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타측 안내 전극(521)과,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5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타측 연장 전극(522)과,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521)과 상기 제2 타측 단자(C2)를 연결하는 제2 타측 연결 전극(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타측 연장 전극(52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2 타측 연장 전극(522)도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522a로 표시된 제2타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522b로 표시된 제2 타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2타측 연장 전극(52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평면에 상기 제1타측 전극(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520)이 배치되고, 그 평면의 위쪽에는 제1 타측 안내 전극(511)이, 아랫쪽에는 제2 타측 안내 전극(521)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700)가 배치되는 측면부 중 상측에는 상기 제1 타측 연결 전극(513)이, 하측에는 제2 타측 연결 전극(523)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타측 연장 전극(512; 512a, 512b)의 옆에는 한 쌍의 제2 타측 연장 전극(522; 522a, 522b)이 배치되며, 이러한 배열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도4와 같이 제1일측 전극(310)과 상기 제2일측 전극(320)이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되고, 도5와 같이 제1 타측 전극(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520)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6과 도7은, 상기 일측 전극(300)과 상기 타측 전극(500)이 상기 액정부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타측전극(500)은 상기 일측 전극(3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타측 안내 전극(511)은 상기 제1일측 안내 전극(311)보다 상측 외곽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521)은 상기 제2일측 안내 전극(321)보다 하측 외곽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타측 연결 전극(513)도 상기 제1 일측 연결 전극(313)의 측면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타측 연결 전극(523)도 상기 제2 일측 연결 전극(323)의 측면 외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상기 일측 전극(300)의 일측 연장 전극들(312, 322)은 상기 타측 전극(500)의 타측 연장 전극(512, 522)과 맞대응 되며 중첩되는 형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일측 연장 전극(312; 312a, 312b)이 이루는 하나의 쌍(이하, '1-1 번째 쌍)은 2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322; 322a, 322b)가 이루는 하나의 쌍( 이하, '1-2 번째 쌍)과 이웃하게 배치되고, 2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512; 512a, 512b)이 이루는 하나의 쌍(이하, '2-1 번째 쌍)은 2개의 제2 타측 연장 전극(522; 522a, 522b)가 이루는 하나의 쌍( 이하, '2-2 번째 쌍)과 이웃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관계에서, 연장 전극들의 배치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2-1번째 쌍은 1-1 번째 쌍의 일부분과, 1-2 번째 쌍의 일부분에 걸쳐서 배치되고, 2-2번째 쌍은 1-2 번째 쌍의 일부분과, 1-1 번째 쌍의 일부분에 걸쳐서 배치된다.
즉, 1-1 번째 (또는 1-2번째) 쌍은 2-1 번째 쌍과 완전히 중첩되거나, 2-2번째 쌍과 완전히 중첩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이는 배리어의 단계적 위치 변화를 위해서이며, 이와 같은 각 쌍 간의 부분적 중첩구성에 의하여 단자부(700)에 인가되는 높은 전위 또는 낮은 전위의 전압 신호를 조절하여 배리어 위치가 사용자의 머리나 얼굴 또는 눈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중첩 구조는 아래와 같다.
2-1번째 쌍은 1-1 번째 쌍의 일부분과, 1-2 번째 쌍의 일부분에 걸쳐서 배치된다고 하였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2-1번째 쌍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타측 연장 전극(512a)은 1-2번째 쌍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일측 연장 전극(322b)와 맞대응 되어 중첩되고, 2-1번째 쌍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타측 연장 전극(512b)는 1-1번째 쌍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일측 연장 전극(312a)과 맞대응 되어 중첩된다.
한편, 2-2 번째 쌍은 1-2 번째 쌍의 일부분과, 1-1 번째 쌍의 일부분에 걸쳐서 배치된다고 하였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2-2번째 쌍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타측 연장 전극(522a)은 1-1번째 쌍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1 일측 연장 전극(312b)와 맞대응 되어 중첩되고, 2-2번째 쌍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타측 연장 전극(522b)는 1-2번째 쌍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타측 연장 전극(322a)과 맞대응 되어 중첩된다.
따라서, 개별 단위 연장 전극의 관점에서는 다른 연장 전극들과 부분이 아닌완전하게 맞대응되어 중첩되는 것이나, 2개의 개별 단위 연장 전극이 모인 쌍의 관점에서는 완전 중첩이 아닌 부분 중첩이 되는 것이다.
도8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변화전원의 선택적 인가에 따른 배리어 패턴의 배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8(a)은 패럴랙스 배리어 구동 1단계(STEP 1) 동작 시, 검은색의 배리어 패턴이 나타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타측 연장전극(512)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312,322,522)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312) 및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512)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322) 및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512)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배리어의 형성 위치를 알아보면, 두 개의 제1 일측 연장 전극(312)의 쌍 중 좌측 부분(312a)과, 두 개의 제1타측 연장 전극(512) 쌍 중 우측 부분(512b)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332)의 쌍 중 우측 부분(322b)과, 두 개의 제1 타측 연장 전극(512) 쌍 중 좌측 부분(512a)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한편, 두 개의 제2 타측 연장 전극(522)의 쌍과 두 개의 제1일측 연장 전극(312) 쌍 중 우측 부분(312b), 그리고 두 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322)의 쌍 중 좌측 부분(322a)에는 배리어가 형성되지 않아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다.
도8(b)은 각 연장 전극에 전압 신호가 인가된 상태를 표와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H'은 높은 전위의 전압을 의미하고, 'L'은 낮은 전위의 전압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타측 단자(C1)를 통하여 제1 타측 연장전극(512)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312,322,522)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8(a)와 같은 배리어가 형성된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제1 타측 연장전극(512)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312,322,522)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도8(a)와 동일한 형태의 배리어가 형성된다.
상술한 배리어 구동 1단계 동작 이후, 제2~4단계 동작시, 순차적으로 상기 배리어 패턴이 특정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여기서 한 칸이란 연장 전극의 쌍 단위가 아닌 연장 전극의 쌍을 이루는 하나의 연장 전극을 의미한다.
제 2~4 단계로의 상태 변화는 상기 기술된 내용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각각의 배리어 패턴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제2단계 상태의 배리어 형성 실시예의 모습은 도9(a)에 나타나 있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전극의 구동조건도 도9(b)에 표시되어 있다.
한편, 제3단계 상태의 배리어 형성 실시예의 모습은 도10(a)에 나타나 있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전극의 구동조건은 도10(b)에 표시 되어 있고, 제4단계 상태의 배리어 형성 실시예의 모습은 도11(a)에 나타나 있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전극의 구동 조건 도11(b)에 표시되어 있다.
제2 ~ 4 단계의 동작의 설명은 유사한 메커니즘 및 구조의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12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점은 각 전극의 연장전극이 수직 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장전극을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컬러 디스토션(Color distortion)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컬러 디스토션 현상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패널의 R, G, B 서브 픽셀들의 길이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타측 전극과 일측 전극의 연장전극들이 배치될 때, 정면에서는 우안과 좌안은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픽셀에 해당하는 영상만이 들어온다.
이 경우, 3D 영상을 인지하기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합성시 특정 색상의 영상만을 인지하는 컬러 디스토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실시예의 패럴랙스 배리어의 경우는 서브 픽셀의 세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전극들을 배치시키지 않고, 이를 특정 각도로 기울여 연장전극들을 배치시킴에 의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서브 픽셀에 해당하는 영상이 함께 들어오도록 하여 색을 섞어서 보도록 하여 컬러 디스토션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R,G,B의 서브 픽셀의 길이방향과 각 전극들의 연장전극의 배치방향이 다른 방향(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을 향하므로 위와 같은 컬러 디스토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없다.
그러나, R,G,B의 서브픽셀의 길이방향과 각 전극들의 연장전극의 배치방향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되면, 위와 같은 컬러 디스토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2실시예와 같이 각 연장전극들을 특정 각도로 기울여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전극(1300)은 2개로 상호 구분되는 제1 일측 전극(1310) 및 제2 일측 전극(1320)을 포함하며, 이들은 통전을 방지하는 제3패턴(P3)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일측 전극(1300)은 빛의 원활한 투과를 위하여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제1패턴(P1)의 경우, 수평선과 수직선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임에 반하여, 제2실시예의 제3패턴(P3)의 경우, 수평선과, 경사선에 의하여 구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의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과, 제2 일측 전극(1320)의 제2 일측 연장전극(1322)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일측 전극(1300)의 옆에는 일측에는 제1 일측 단자(S1) 및 제2 일측 단자(S2)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일측 단자(S1) 및 제2 일측 단자(S2)는 후술할 제1 타측 단자(C1) 및 제2 타측 단자 (C2)와 함께 하나의 일체화 된 FPCB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일측 단자(S1)는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일측 단자(S2)는 상기 제2 일측 전극(13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일측 안내 전극(1311)과, 상기 제1 일측 안내 전극(1311)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과, 상기 제1 일측 안내 전극(1311)과 상기 제1 일측 단자(S1)를 연결하는 제1 일측 연결 전극(13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은 경사진 상태로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1312a로 표시된 제1 일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1312b로 표시된 제1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측 연장 전극(131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의 하나의 쌍과, 그 이웃한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의 쌍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의 쌍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의 하부에는 제2 일측 전극(1320)이 이와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일측 전극(1310)과 제2 일측 전극(1320)은 기어처럼 실제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의 빈 공간을 채워주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1320)는 상기 제3 패턴(P3)에 의하여 이격 되기 때문에 통전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일측 전극(1320)도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일측 안내 전극(1321)과, 상기 제2 일측 안내 전극(13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과, 상기 제2일측 안내 전극(1321)과 상기 제2 일측 단자(S2)를 연결하는 제2 일측 연결 전극(1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도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처럼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 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의 연장 방향 및 배치 구조는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와 정반대 방향으로 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도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1322a로 표시된 제2 일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1322b로 표시된 제2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2측 연장 전극(132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평면에 상기 제1 일측 전극(1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1320)이 배치되고, 그 평면의 위쪽에는 제1 일측 안내 전극(1311)이, 아랫쪽에는 제2 일측 안내 전극(1321)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700)가 배치되는 측면부 중 상측에는 상기 제1 일측 연결 전극(1313)이, 하측에는 제2 일측 연결 전극(1323)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 1312a, 1312b)의 옆에는 한 쌍의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 1322a, 1322b)이 배치되며, 이러한 배열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반복된다.
도13에서는 타측 전극(15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의 타측 전극(15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기 도5에서 나타난 제1실시예의 타측 전극(500)과 비교하여 연장 전극(1512, 1522)이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라는 점이 큰 특징이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전극(1500)은 2개로 분리된 제1 타측 전극(1510)과, 제2 타측 전극(1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1520)은 서로를 구분시키고, 통전을 방지하는 제4패턴(P4)에 의하여 분리된다.
상기 타측 전극(1500)도 빛의 원활한 투과를 위하여 ITO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패턴(P4)은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 패턴과, 상하로 형성되는 상하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타측 전극(1500)의 옆에도 상기 일측 전극(1300) 및 상기 타측 전극(1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700)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부(700)는 상술한 제1일측 단자(S1), 제2 일측 단자(S2) 뿐만 아니라, 제1 타측 단자(C1), 제2 타측 단자(C2)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타측 단자(C1)는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타측 단자(C2)는 제2 타측 전극(1520)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은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 타측 안내 전극(1511)과, 상기 제1 타측 안내 전극(15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과, 상기 제1타측 안내 전극(1511)과 상기 제1 타측 단자(C1)를 연결하는 제1 타측 연결 전극(15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은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1512a로 표시된 제1타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1512b로 표시된 제1타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1측 연장 전극(151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의 하부에는 제2 타측 전극(1520)이 이와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타측 전극(1510)과 제2 타측 전극(1520)은 기어처럼 실제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의 빈 공간을 채워주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1520)는 상기 제4패턴(P4)에 의하여 이격 되기 때문에 통전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타측 전극(1520)도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타측 안내 전극(1521)과,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152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타측 연장 전극(1522)과,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1521)과 상기 제2 일측 단자(C2)를 연결하는 제2 타측 연결 전극(152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타측 연장 전극(1522)은 복수 개로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각각 소정 간격 이격 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2 타측 연장 전극(1522)도 상호 이격된 2개가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 부호 1522a로 표시된 제2타측 연장 전극과, 도면 부호 1522b로 표시된 제2 타측 연장 전극이 하나의 쌍(짝)을 이루며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쌍은 서로 구분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 되면서 배치된다.
하나의 쌍을 이루는 2개의 제2타측 연장 전극(1522) 간의 이격 공간에 비해서, 각각의 쌍 간의 이격 공간은 현저하게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동일한 평면에 상기 제1 타측 전극(1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1520)이 배치되고, 그 평면의 위쪽에는 제1 타측 안내 전극(1511)이, 아랫쪽에는 제2 타측 안내 전극(1521)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700)가 배치되는 측면부 중 상측에는 상기 제1 타측 연결 전극(1513)이, 하측에는 제2 타측 연결 전극(1523)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 1512a, 1512b)의 옆에는 한 쌍의 제2 타측 연장 전극(1522; 1522a, 1522b)이 배치되며, 이러한 배열 방식은 좌우 방향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도12와 같이 제1 일측 전극(1310)과 상기 제2 일측 전극(1320)이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되고, 도13과 같이 제1 타측 전극(1510)과, 상기 제2 타측 전극(1520)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된다.
도14와 도15는 상기 일측 전극(1300)과 상기 타측 전극(1500)이 상기 액정부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타측전극(1500)은 상기 일측 전극(13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타측 안내 전극(1511)은 상기 제1 일측 안내 전극(1311)보다 상측 외곽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타측 안내 전극(1521)은 상기 제2 일측 안내 전극(1321)보다 하측 외곽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타측 연결 전극(1513)도 상기 제1 일측 연결 전극(1313)의 측면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타측 연결 전극(1523)도 상기 제2 일측 연결 전극(323)의 측면 외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하에서 상기 일측 전극(1300)의 일측 연장 전극들(1312, 1322)은 경사진 상태로 배열된 상기 타측 전극(1500)의 타측 연장 전극(1512, 1522)과 맞대응 되며 중첩되는 형태가 된다.
각 연장 전극 간의 구체적인 중첩 관계는 경사진 것을 제외하고 도6과 도7에서 나타난 중첩관계와 동일하므로 도6과 도7에 나타난 중첩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도록 하겠다.
도1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시선 방향의 변화전원의 선택적 인가에 따른 배리어 패턴의 배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6(a)은 경사진 형태의 배리어 구동 1단계 동작시, 배리어 패턴이 나타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타측 연장전극(1512)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1312,1322,1522)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 및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일측 연장 전극(1322) 및 상기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배리어가 형성된 구체적인 위치를 알아보면, 두 개의 제1 일측 연장 전극(1312)의 쌍 중 좌측 부분(1312a)과, 두 개의 제1 타측 연장 전극(1512) 쌍 중 우측 부분(1512b)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1332)의 쌍 중 우측 부분(1322b)과, 두 개의 제1타측 연장 전극(1512) 쌍 중 좌측 부분(1512a) 사이에 배리어가 형성된다.
한편, 두 개의 제2 타측 연장 전극(1522)의 쌍과 두 개의 제1일측 연장 전극(1312) 쌍 중 우측 부분(1312b), 그리고 두 개의 제2 일측 연장 전극(1332)의 쌍 중 좌측 부분(1322a)에는 배리어가 형성되지 않아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다.
도16(b)은 각 연장 전극에 전압 신호가 인가된 상태를 표와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H'은 높은 전위의 전압을 의미하고, 'L'은 낮은 전위의 전압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측 연장전극(1512)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1312,1322,1522)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16(a)와 같은 배리어가 형성된다.
다만, 이와는 반대로 제1 타측 연장전극(1512)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1312,1322,1522)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도16(a)와 동일한 형태의 배리어가 형성된다.
상술한 배리어 구동 1단계 동작 이후, 제2~4단계 동작시, 순차적으로 상기 배리어 패턴이 특정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인다.
여기서 한 칸이란 연장 전극의 쌍 단위가 아닌 연장 전극의 쌍을 이루는 하나의 연장 전극을 의미한다.
제 2~4 단계로의 상태 변화는 상기 기술된 내용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각각의 배리어 패턴의 위치 변화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제2단계 상태의 배리어 형성을 위한 전극의 구동조건은 도16(b)의 STEP2 부분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3단계의 전극의 구동 조건은 도16(b)의 STEP3에, 제4단계의 전극의 구동 조건은 도16(b)의 STEP4에 나타나 있다.
2~4단계의 배리어 형태에 대해서는 도16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제2단계의 경우는 도9(a)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3단계의 경우는 도10(a)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4단계의 경우는 도1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일측 전극 310: 제1 일측 전극
311: 제1 일측 안내 전극 312: 제1 일측 연장 전극
313: 제1 일측 연결 전극 320: 제2 일측 전극
321: 제2 일측 안내 전극 322: 제2 일측 연장 전극
323: 제2 일측 연결 전극 510: 제1 타측 전극
511: 제1 타측 안내 전극 512: 제1 타측 연장 전극
513: 제1 타측 연결 전극 520: 제2 타측 전극
521: 제2 타측 안내 전극 522: 제2 타측 연장 전극
523: 제2 타측 연결 전극

Claims (22)

  1.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일측 전극과;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연장전극을 구비하는 타측 전극과;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 사이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전계 또는 전위차에 따라서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액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측 전극의 복수의 연장전극 및 상기 타측 전극의 복수의 연장전극은 각각 이웃한 2개씩 쌍을 이루어 동일한 전압 또는 펄스가 인가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일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의 제 1 연장 전극 및 제 2 연장 전극은, 상기 타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의 제 2 연장전극 및 상기 타측 전극의 제 2 연장전극쌍의 제 1 연장전극과 각각 상기 액정부를 사이에 두고 맞대응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의 인가상태에 따라서 상기 액정부에 형성되는 배리어 패턴 배치 상태가 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일측 전극과,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일측 전극과 맞물리는 형태로 구현되는 제2 일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전극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타측 전극과,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타측 전극과 맞물리는 형태로 구현되는 제2 타측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일측 전극은 각각 단자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일측 연결 전극과, 상기 제1,2 일측 연결 전극과 연결되는 제1,2 일측 안내 전극과, 상기 제1,2 일측 안내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호 이격되는 제1,2 일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일측 전극의 상기 제 1 연장전극쌍은 두 개의 이웃하는 제1 일측 연장 전극들 또는 두 개의 이웃하는 제2 일측 연장 전극들에 대응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타측 전극은 각각 단자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제1,2 타측 연결 전극과, 상기 제1,2 타측 연결 전극과 연결되는 제1,2 타측 안내 전극과, 상기 제1,2 타측 안내 전극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호 이격 되는 제1,2 타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되,
    상기 타측 전극의 상기 제 1 연장전극쌍 또는 상기 제 2 연장 전극쌍은 두 개의 이웃하는 제1 타측 연장 전극들 또는 두 개의 이웃하는 제2 타측 연장 전극들에 각각 대응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의 위치 및 배열 상태는 상기 타측 전극의 위치 및 배열 상태와 전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 상기 일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에 인접한 상기 일측 전극의 제 2 연장전극쌍, 상기 타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 및 상기 타측 전극의 제 1 연장전극쌍에 인접한 상기 타측 전극의 제 2 연장전극쌍 중 어느 하나의 전극쌍에 나머지 전극쌍들과 다른 전위를 인가하여 상기 배리어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의 상기 연장 전극들은 수직방향에 대해서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이나 얼굴 위치 또는 머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압 또는 펄스의 인가 상태 및 이에 따른 배리어의 배치 상태는 사용자의 눈이나 얼굴 위치 또는 머리의 위치 변화를 반영하여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7. 사용자의 눈이나 얼굴 위치 또는 머리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여 눈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와;
    그 변화에 따라서 배리어의 배열 상태를 변화하는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리어의 배열상태를 변화시키는 단계들은 ;
    일측 전극에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며 이웃한 2개씩 쌍을 이루는 복수의 일측 연장 전극과, 타측 전극에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고 이웃한 2개씩 쌍을 이루어 상기 일측 전극의 하나의 연장전극쌍의 이웃한 2개의 연장전극이 상기 타측 전극상의 2개의 인접하는 연장전극쌍 각각에서 하나씩 선택된 2개의 인접하는 연장 전극들과 각각 맞 대응되게 배열되는 복수의 타측 연장 전극에 각각 독립적으로 인가되는 전압 또는 펄스에 의해 상기 일측 전극과 상기 타측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의 배열상태의 변화를 유도하여 배리어를 형성하거나 형성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일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타측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일측 전극은 각각 제1,2일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타측 전극은 각각 제1,2 타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며,
    제1단계 배리어 배치를 위한 전압 및 펄스 인가시,
    상기 제1 타측 연장전극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상기 제1 타측 연장전극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일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타측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일측 전극은 각각 제1,2일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타측 전극은 각각 제1,2 타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며,
    제2단계 배리어 배치를 위한 전압 및 펄스 인가시,
    상기 제1 일측 연장전극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상기 제1 일측 연장전극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일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타측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일측 전극은 각각 제1,2일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타측 전극은 각각 제1,2 타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며,
    제3단계 배리어 배치를 위한 전압 및 펄스 인가시,
    상기 제2 타측 연장전극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상기 제2 타측 연장전극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일측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타측 전극은 각각 상하로 배치되는 제1,2타측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2 일측 전극은 각각 제1,2일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2타측 전극은 각각 제1,2 타측 연장 전극들을 포함하며,
    제4단계 배리어 배치를 위한 전압 및 펄스 인가시,
    상기 제2 일측 연장전극에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상기 제2 일측 연장전극에 높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고, 나머지 연장전극에는 낮은 전위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전극의 위치 및 배열 상태는 상기 타측 전극의 위치 및 배열 상태와 전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133716A 2013-05-29 2013-11-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16A KR101565058B1 (ko) 2013-11-05 2013-11-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480030556.3A CN105264424B (zh) 2013-05-29 2014-05-27 包括柔性屏障图案的立体图像显示设备
PCT/KR2014/004733 WO2014193149A1 (ko) 2013-05-29 2014-05-27 유동적 배리어 패턴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US14/893,074 US10321121B2 (en) 2013-05-29 2014-05-27 Stereoscopic images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barrier pattern
EP14803336.8A EP3006990B1 (en) 2013-05-29 2014-05-27 Stereoscopic images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barrier pattern
PCT/KR2014/004734 WO2014193150A1 (ko) 2013-05-29 2014-05-27 유동적 배리어 패턴을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
JP2016515282A JP6229044B2 (ja) 2013-05-29 2014-05-27 流動的バリアパターンを備えた立体映像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716A KR101565058B1 (ko) 2013-11-05 2013-11-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785A KR20150051785A (ko) 2015-05-13
KR101565058B1 true KR101565058B1 (ko) 2015-11-13

Family

ID=5338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716A KR101565058B1 (ko) 2013-05-29 2013-11-05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0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72B1 (ko) 2013-06-25 2013-09-10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572B1 (ko) 2013-06-25 2013-09-10 유한회사 마스터이미지쓰리디아시아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785A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112B1 (ko) 배리어 장치,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941787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5806150B2 (ja) 表示装置
CN101604091B (zh) 可双向观看的立体显示器模组及液晶显示面板
JP2004534972A (ja) カラー裸眼立体表示装置
EP205475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US20150241710A1 (en) Naked-eye 3d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thereof
TWI474048B (zh) 顯示裝置
KR101309313B1 (ko) 화면이 분할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9049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200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28696B1 (ko) 가변형 패럴렉스 배리어와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20120103101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방법
KR101239058B1 (ko) 원거리용 무안경방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5621500B2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立体表示方法
KR102233116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101951297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30757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5058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97591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517292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US10321121B2 (en) Stereoscopic images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barrier pattern
KR20100005268A (ko) 다시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18458B1 (ko) 패럴랙스 배리어 셀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30265510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active optical elemen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