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056B1 -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056B1
KR101565056B1 KR1020137032791A KR20137032791A KR101565056B1 KR 101565056 B1 KR101565056 B1 KR 101565056B1 KR 1020137032791 A KR1020137032791 A KR 1020137032791A KR 20137032791 A KR20137032791 A KR 20137032791A KR 101565056 B1 KR101565056 B1 KR 10156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s
printing
head
print
scann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1020A (en
Inventor
코스케 무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마키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4002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 G06K15/1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matrix printers using ink jet print heads
    • G06K15/105Multipass or interlaced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헤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헤드를 이용한 인쇄에 있어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수단으로서, 각 주사에 있어서, 인쇄 헤드(2)를 메인 주사방향(X)으로 이동시키고, 인쇄 헤드(2)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인쇄를 행한다. 인쇄 헤드(2)는, 서브 주사방향(Y)을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에 의하여 구성되는 노즐열을 가지는 헤드 유닛(HU21)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21)의 사이에만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을 설치하고 있다. 비토출 영역(203)의 서브 주사방향(Y)의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노즐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길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band streaks in printing using a print head comprising a plurality of head units to improve print image quality. The printing head 2 is mov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the printing head 2 is moved relative to the printing medium 11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to perform printing I do. The print head 2 is formed by joining a head unit HU21 having a nozzle array formed by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 A non-ejection area 203 in which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is provided only between adjacent two head units HU21.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203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nozzles.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인쇄방법{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Desc / Clms Page number 1 >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복수의 패스에 의하여 인쇄를 행하는 멀티 패스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인쇄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ass type ink-jet printer for performing printing by a plurality of passes and a printing method therefor.

종래, 메인 주사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인쇄 헤드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화상의 형성방법 중 하나로, 오버랩 기록방식이 있다. 오버랩 기록방식이란, 복수 회의 메인 주사방향의 주사에 있어서 상이한 노즐을 이용하여 1개의 메인 주사라인 상의 화상을 형성하는 기록방식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kjet printers having a printhead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align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re known. One of the image forming methods by such an ink jet printer is an overlap recording method. The overlap recording method is a recording method in which an image on one main scanning line is formed by using different nozzles in a plurality of scanning operations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또한,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는, 복수의 패스에 대응한 노즐로 메인 주사방향의 주사를 반복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멀티 패스 방식을 이용한 기종이 있다.The inkjet printer has a multi-pass system in which an image is formed by repeating scanning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with a nozzl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passes.

멀티 패스 방식의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쇄 헤드의 노즐열이 각 패스에 대응하는 패스열에 분할되어 있고, 각 패스열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즐에서 대응하는 패스의 인쇄를 행한다. 1회의 주사로 형성되는 인쇄영역은, 밴드폭을 가지는 밴드가 된다. 이에 의하여, 패스수의 횟수의 주사가 종료된 부분은 화상이 완성된다. 예를 들어, 4개의 패스열을 가지는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4개의 패스에 의하여 화상을 완성시키는 경우, 각 회의 주사에 의하여 25%씩의 비율로 인쇄의 완성도가 높아져 가서, 합계 4회의 주사가 행하여짐으로써 화상이 완성된다(100%),In the multi-path inkjet printer, the nozzle array of the printhead is divided into the pass colum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asses, and the corresponding pass is printed by the plurality of nozzles constituting each pass column. The printing area formed by one scanning becomes a band having a band width. As a result, the image is completed at the portion where the scanning of the number of passes is finish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completing an image by four passes using a print head having four pass columns, the print is completed at a rate of 25% by scanning each time, and scanning is performed four times in total The image is completed by loading (100%),

1회의 주사가 종료되면, 인쇄 헤드 또는 인쇄매체의 이동에 의하여, 인쇄 헤드의 주사위치가 밴드폭만큼 서브 주사방향(메인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가 주사마다 밴드폭씩 서브 주사방향으로 진행해 간다.When the scanning is completed once, the scann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move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print head or the print medium. Thus, the printing by the print head advances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by the width of each scan.

이때, 각 밴드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접하는 밴드끼리 중복하여 인쇄된다. 이와 같이 중복하여 인쇄된 중복부분은, 너무 많으면 농도가 높아져서 밴드 줄무늬와 같이 눈에 띄게 되고, 반대로 너무 적으면 종이 이송의 편차 등에 의하여 틈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인쇄화질이 안정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한다.At this time, adjacent bands are print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so that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bands. If the overlapping portion printed in this manner is excessively large, the density becomes high and becomes conspicuous like band stripes. On the other hand, if the overlapping portion is too small, a gap tends to be generated due to a deviation in paper feeding. For this reason, a defect occurs in which the print image quality is not stabilized.

이와 같은 불량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상기와 같은 중복부분에 있어서 같은 도트에 대하여 2회의 주사에 의하여 잉크 토출이 겹쳐서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As a means for solving such defect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overlapping ink ejection is not performed by two scans of the same dot in the overlapp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107975호(1985년 6월 13일 공개)Patent Document 1: JP-A-60-107975 (published on June 13, 1985)

그런데,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는, 복수의 인쇄 헤드(헤드 유닛)를 조합하여 1개의 인쇄 헤드를 구성하는 복합 헤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복합 헤드는, 입수가 쉬운 범용의 소형 인쇄 헤드를 헤드 유닛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장척의 인쇄 헤드를 저렴하게 구성하거나, 스태거드(staggered) 형태와 같은 배열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각 헤드 유닛을 오프셋시키거나 할 수 있다.Incidentally, in an ink-jet printer, a composite head constituting one print hea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print heads (head units) may be used. Such a composite head can offset a head unit in order to construct a long printhead at low cost by using a general-purpose small printhead which is easy to obtain as a head unit, or to realize an arrangement structure such as a staggered form .

도 12는, 상기와 같은 복합 헤드에 의하여 구성되는 인쇄 헤드(101)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은, 인쇄 헤드(101)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의 인쇄상태를 평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12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101 constituted by the above-described composite head. 13 shows a printing state in a plan view when printing is performed using the print head 101. In Fig.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101)는, 동일 구성의 2개의 헤드 유닛(HU101)이 직선 형상으로 접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헤드 유닛(HU101)은, 서브 주사방향(Y)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102)을 가지고 있다. 한쪽의 헤드 유닛(HU101)에서의 노즐(102)은,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제 1 패스열(P101) 및 제 2 패스열(P102)로 분할되어 있다. 다른 쪽의 헤드 유닛(HU101)에 있어서의 노즐(102)은,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제 3 패스열(P103) 및 제 4 패스열(P104)로 분할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print head 101 is formed by joining two head units HU101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a linear shape. The head unit HU101 has a plurality of nozzles 102 arranged at equally spaced intervals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 The nozzles 102 in one head unit HU101 are divided into two first pass columns P101 and a second pass column P10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ass and the second pass, respectively. The nozzle 102 in the other head unit HU101 is divided into two third path columns P103 and a fourth path column P104 corresponding to the third path and the fourth path, respectivel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쇄 헤드(101)에 의하여 인쇄하는 경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패스열(P101)에 의한 메인 주사방향(X)으로의 제 1 주사로 25%의 인쇄가 이루어지고, 같은 영역에 대한 제 2 패스열(P102)에 의한 제 2 주사로 50%의 인쇄가 이루어진다. 더욱이, 같은 영역에 대하여, 제 3 패스열(P103)에 의한 제 3 주사로 75%의 인쇄가 이루어지고, 제 4 패스열(P104)에 의한 제 4 주사로 100%의 인쇄가 이루어져서 화상이 완성된다. 각 주사가 종료되면, 인쇄 헤드(101) 또는 인쇄매체가 서브 주사방향(Y)으로 이동한다.In the case of printing by the print head 10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25%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first sca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by the first pass column P101 as shown in Fig. 13 And 50%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second scan by the second pass column P102 for the same area. Further, the same area is printed with 75% in the third scan by the third pass P103, 100% in the fourth scan by the fourth pass P104, and the image is completed do. When each scan is completed, the print head 101 or the print medium moves in the sub-scan direction Y. [

일반적으로, 인쇄 헤드의 양단부의 노즐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은 안정적이지 않다.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인쇄 헤드(101)에 있어서도 각 헤드 유닛(HU101)의 양단부의 노즐(120)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이 안정적이지 않다. 이 때문에, 제 2 패스열(P2)과 제 3 패스열(P3)의 사이에서 인접하는 단부의 노즐(102)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상호 간섭하도록 인쇄매체에 착탄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잉크방울이 간섭하는 부분은, 도 1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인쇄화상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 농도가 높은 밴드 줄무늬가 나타난다.In general, ejection of ink droplets by the nozzles at both ends of the print head is not stable. Similarly, in the print head 101 as described above, ejection of the ink droplets by the nozzles 120 at both ends of each head unit HU101 is not stable. For this reason,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nozzles 102 at the adjacent ends between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third pass column P3 may land on the print medium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this portion where the ink droplets interfere with each other, a band stripe having a densit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s appears in the print image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chain double-dashed line in Fig.

이와 같은 잉크방울 간섭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잉크방울의 착탄 정밀도가 향상하도록, 인쇄 헤드(101)의 탑재위치를 기구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조정으로는, 예를 들어 인쇄 헤드(101)의 메인 주사방향(X) 및 서브 주사방향(Y)의 각 헤드 유닛(HU101)의 위치의 조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101)를 구성하는 각 헤드 유닛(HU101)의 간격을 인쇄매체의 반송방향(서브 주사방향(Y))으로 조정함으로써, 각 헤드 유닛(HU101)에서의 단부의 노즐간끼리의 간격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는, 상기 조정으로서는, 인쇄 헤드(101)의 각 헤드 유닛(HU101)의 각도의 조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있어서는, 각 헤드 유닛(HU101)을 각각 소정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각 헤드 유닛(HU101)에서의 단부의 노즐간끼리의 간격을 조정한다.In order to alleviate such an ink drop interference phenomenon, it is conceivable to mechanically adjus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101 so as to improve the landing precision of ink droplets. Such adjustment includes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each head unit HU101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of the print head 101, for example. In this adjust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respective head units HU101 constituting the print head 101 is adjust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sub-scan direction Y) of the print medium, so that the nozzles at the ends of each head unit HU101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liver. Alternatively, the adjustment may include adjustment of the angle of each head unit HU101 of the print head 101. [ In this adjustment, the intervals between the nozzles at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head units HU101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angles so that the respective head units HU101 are rotated in both directions about the respective predetermined axes.

하지만, 인쇄 헤드(101)의 노즐면과 인쇄매체 사이의 거리가 어느 정도 길어지면, 상기와 같은 조정에 의해서도 잉크방울 간섭 현상을 완화할 수 없어,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if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surface of the print head 101 and the print medium becomes long, the ink drop interference phenomenon can not be alleviated even by the above adjustment, and there is a limit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band stripes.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밴드간 경계부분(중복부분)의 농도 조정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잉크방울 간섭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하지만, 다음의 이유에 의하여, 잉크방울 간섭 현상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어렵다.Further, with respect to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nsity of the boundary portion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bands, it is conceivable to apply the technique to mitigate the ink drop interference phenomenon. However, for the following reason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echnique to mitigate the ink drop interference phenomenon.

잉크방울 간섭 현상은, 헤드 유닛(HU101)을 구성하는 인쇄 헤드에 고유의 특성(단부의 노즐(102)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 특성)에 의존하고 있고, 이러한 인쇄 헤드간의 간격이 근접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때문에, 밴드간 경계부분의 화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은 인쇄 헤드간의 잉크방울의 간섭에 의하여 발생하는 잉크방울 간섭 현상에 대응할 수 없다.The ink droplet interference phenomenon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 inherent to the print head constituting the head unit HU101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ink droplets by the nozzle 102 at the end portion),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se print heads is close Lt; / RTI > For this reason, in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that improves the image quality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nds, it can not cope with the ink drop interference phenomenon caus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ink drops between the print head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헤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헤드를 이용한 인쇄에 있어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band streaks in printing using a print head comprising a plurality of head units to improve print image quality.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메인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지는 노즐열을 가지는 헤드 유닛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와, 상기 노즐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시켜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토출제어수단과, 그 인쇄 헤드를 상기 메인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매체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인쇄 헤드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헤드 유닛 사이에만 상기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토출 영역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노즐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head having a plurality of head units each having a nozz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along a sub-scanning direction orthogonal to a main scanning direction;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rint hea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moving the print head relative to the printing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for each scanning,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 inkjet printer in which a plurality of passes are printed on a medium by a single scan is provided. The print head has a non-ejection area in which the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only between two adjacent head units , And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2 is characterized in that is longer than the inter-distance between adjacent nozzles of the nozz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은, 메인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지는 노즐열을 가지는 헤드 유닛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시켜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며, 그 인쇄 헤드를 상기 메인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인쇄매체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헤드 유닛 사이에만 상기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토출 영역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노즐간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printing method of an ink 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 head having a plurality of head units each having a nozzle row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a sub scann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ain scanning direction, The print head is mov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print head is moved relative to the printing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for each scanning, A printing method of an inkjet printer which prints a plurality of passes by a single scan, comprising: a non-ejection area which does not eject the ink droplets only between two adjacent head units,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adjacent two Group is characterized by using the print head adapted to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nozzles between nozzles.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쇄매체에 대하여 인쇄 헤드를 이동시키면서 주사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모든 패스열에 의한 인쇄가 종료된 밴드에서는 화상이 완성된다. 또한, 인쇄 헤드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 사이에만 비토출 영역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 유닛 사이에서 비토출 영역이 완충지대가 되어, 헤드 유닛의 단부의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인쇄 헤드와 인쇄매체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인쇄 헤드의 탑재위치를 기구적으로 조정하지 않고, 쉽게 잉크방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scanning is repeated while moving the print head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whereby the image is completed in the band in which printing by all the pass columns is completed. Further, in the print head, since the non-ejection areas are provided only between two adjacent head units, the non-ejection area between the head units becomes a buffer zone, and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nozzles at the end of the head unit interfere with each other . Therefor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 head and the print medium is long,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ink droplets without mechanically adjus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as in the prior art.

그리고,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긴 것에 의하여, 적어도 1행의 공백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토출 영역 길이를 가지는 비토출 영역에서 주사가 이루어지면, 전회 주사로 형성된 밴드 상에는 공백라인(무기록 영역)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과 마찬가지로, 각 주사에서 인쇄 헤드를 인쇄매체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이번 회의 주사로 형성된 밴드의 단부는, 전회 주사로 형성된 하층의 밴드 단부보다 어긋난다. 따라서, 밴드의 경계가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 밴드끼리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밴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long as the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is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nozzles, at least one blank line can be set. Thus, when scanning is performed in the non-ejection area having the non-ejection area length, blank lines (non-recording area) are formed on the band formed by the previous scanning. Therefore, even if the print head is moved in the sub-sca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in each scan similarly to the prin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er, the end portion of the band formed by the scanning at this time is displaced from the band end portion of the lower layer formed by the previous scan . Therefore, since the boundaries of the bands do not overlap, the boundaries between the bands are not conspicuous, and the occurrence of banding can be prevented.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으로 상기 패스에 대응하는 상기 노즐로 이루어지는 패스열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토출제어수단은,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상을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각 헤드 유닛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양단부에서의 일부의 상기 노즐에 대응시키며,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양단부에서의 잔여의 상기 노즐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means relatively moves the print head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t a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 column made up of the nozzles corresponding to the pass for each scan, The control means associates the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filtered with the image to be printed in the previous scanning with a part of the nozzles at both ends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of each head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complementary to the patter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remaining nozzles at the both end portions.

또한,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은,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으로 상기 패스에 대응하는 상기 노즐로 이루어지는 패스열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헤드 유닛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양단부에 의하여,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며,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nting method of the inkjet printer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relatively moving the print head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t a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th of the pass consisting of the nozzles corresponding to the path, With the first pixel pattern in which the pixels to be printed are filtered out in the previous scanning by the both end portions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of the first pixel pattern and the second pixel pattern complementing the first pixel pattern in the subsequent scanning .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제 1 화소 패턴의 데이터가, 헤드 유닛의 양단부에서의 일부 노즐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그 노즐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됨으로써, 걸러진 상태로 화소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화소 패턴의 데이터가 헤드 유닛의 양단부에서의 잔여 노즐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주사에서 그 노즐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됨으로써, 전회 주사에서 걸러진 화소가 보완되도록 형성된다.In the ink-jet prin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corresponds to some nozzles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nozzles to form pixels in a filtered state. Further, since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nozzles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nozzles in the subsequent scanning so that the pixels filtered in the previous scanning are complement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인쇄방법에서는, 각 헤드 유닛의 양단부에 의하여, 전회 주사에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으로 인쇄가 이루어짐으로써, 걸러진 상태로 화소가 형성된다. 또한, 그 후의 주사에서는, 상기 양단부에 의하여, 제 2 화소 패턴으로 인쇄가 이루어짐으로써, 전회 주사에서 걸러진 화소가 보완되도록 형성된다.In the prin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pixels are printed in the first pixel pattern by filtering the pixels to be printed in the previous scanning by the both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head units, thereby forming the pixels in a filtered state. Further, in the subsequent scanning, printing is performed in the second pixel pattern by the both ends, so that the pixels filtered in the previous scanning are complemented.

이에 따라, 1회의 주사로 인쇄된 화소의 밀도가 낮은 부분은, 부족한 화소가 다음 주사에 의하여 보완된다. 그 때문에, 각 헤드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드 사이에서 잉크방울의 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어져서, 잉크 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a portion of the pixel printed by one scan with a low density is supplemented by the next scan.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ink droplet does not change abruptly between the bands formed by the respective head unit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band stripes due to unevenness of the ink density. Therefore, the printing qua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헤드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인쇄 헤드를 이용한 인쇄에 있어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여 인쇄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Since the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rint quality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band stripes in printing using a print he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head uni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인쇄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상기 인쇄 헤드의 접합부 및 그 부근의 상이한 3종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상기 인쇄 헤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실시형태 1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멀티 패스 방식으로 인쇄매체 상에 인쇄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상기 인쇄 헤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형태 2의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여 멀티 패스 방식으로 인쇄매체 상에 인쇄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의 (b)는 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상기 인쇄 헤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상기 인쇄 헤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상기 인쇄 헤드의 구체적인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에 이용되는 인쇄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여 멀티 패스 방식으로 인쇄매체 상에 인쇄가 행하여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of the inkjet printer.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int head in the inkjet printer.
4 (a) to 4 (c) are plan views showing the bonding portions of the printhead and three different structures in the vicinity thereof.
5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on a print medium in a multipass manner by the inkjet printer using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b) Sectional view.
7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8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on a printing medium in a multipass manner by the inkjet printer using the printing he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8 (b) Sectional view.
9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1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specific structure of the print hea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12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inthead used in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on a print medium in a multipass manner using the conventional printhea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Fig.

[잉크젯 프린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kjet printer]

도 1은 잉크젯 프린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잉크젯 프린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인쇄 헤드(2)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인쇄 헤드(2)의 접합부 및 그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kjet printer 1,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kjet printer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 As shown in Fig. 4 (a) to 4 (c) are plan views showing the joining portion of the print head 2 and the structure in the vicinity thereof.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는 인쇄 헤드(2), 가이드 레일(3), 플래튼(4), 구동 롤러(5), 종동 롤러(6) 및 제어부(7)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1)는 멀티 패스 방식으로 기록을 행하는 프린터이다.1 and 2, an inkjet printer 1 includes a print head 2, a guide rail 3, a platen 4, a drive roller 5, a driven roller 6, and a control unit 7, . The inkjet printer 1 is a printer that performs printing in a multipass manner.

(인쇄 헤드의 구성)(Configuration of Print Head)

인쇄 헤드(2)는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인쇄용의 헤드이고, 가이드 레일(3)에 따라서 주사시에 메인 주사방향(X)으로 구동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는 복수의 헤드 유닛(HU1)을 가지고 있고, 인접하는 헤드 유닛(HU1)끼리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복합 헤드로서 구성되어 있다.The print head 2 is a printing head for ejecting ink droplets against the print medium 11 and is driven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t the time of scanning along the guide rails 3. [ As shown in Fig. 3, the print head 2 has a plurality of head units HU1, and adjoining head units HU1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nstitute a composite head.

한편, 인쇄 헤드(2)를 구성하는 헤드 유닛(HU1)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 각종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unit HU1 constituting the print head 2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dopted. The various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각 헤드 유닛(HU1)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각각의 바닥면이 판형상의 헤드 결합부재에 고정됨으로써 결합되거나, 케이스에 일체로 수용됨으로써 결합되거나 하여도 좋다. 그리고, 헤드 유닛(HU1)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결합구조로 결합된다.Although not shown, each head unit HU1 may be coupled by being fixed to a plate-like head coupling member or by being integrally received in a case. The head unit HU1 is not limited to these, but may be combined with various coupling structures.

각 헤드 유닛(HU1)은 서브 주사방향(Y)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201)을 가지고 있고, 이들 노즐(201)에 의하여 노즐열(202)이 구성되어 있다. 노즐(201)은 잉크 토출면(노즐면)에 개구하고,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잉크방울을 토출한다.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은, 인접 노즐간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노즐열(202)은 1개의 패스에 대응하는 복수의 노즐(201)로 이루어지는 패스열(P)을 적어도 1개 포함하고 있다.Each of the head units HU1 has a plurality of nozzles 201 arranged along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and the nozzle arrays 202 are constituted by these nozzles 201. [ The nozzle 201 opens at the ink discharge surface (nozzle surface) and discharges ink droplets to the print medium 11. [ Two adjoining nozzles 201 are formed with a distance between adjacent nozzles d2. The nozzle row 202 includes at least one pass row P made up of a plurality of nozzles 201 corresponding to one pass.

또한, 헤드 유닛(HU1)(노즐열(202))의 양단부에서의 소정 수의 노즐(201)은, 반토출 노즐(201a)로서 설정되어 있다. 반토출 노즐(201a)은, 통상의 노즐(201)이 1회의 주사로 25%의 인쇄를 행하는 것에 대하여, 1회의 주사로 12.5%의 인쇄를 행하도록 토출제어부(73)에 의하여 토출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의 주사로 일부(반수)의 반토출 노즐(201a)이 잉크방울을 토출하고 있을 때, 나머지 반토출 노즐(201a)이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다. 그리고, 2회째의 주사에서 1회째 주사에 있어서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았던 반토출 노즐(201a)이 잉크방울을 토출하고, 나머지 반토출 노즐(201a)이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다.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201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HU1 (nozzle array 202) are set as half discharge nozzles 201a.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is controlled to discharge by the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so as to perform 12.5% printing by one scan while the ordinary nozzle 201 performs 25% printing by one scan . More specifically, when the half ejection nozzles 201a of the half (half) ejection nozzles are ejecting ink droplets by the first scanning, the other half ejection nozzles 201a do not eject ink droplets.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which did not eject ink droplets in the first scan in the second scanning, ejects ink droplets, and the other half ejection nozzles 201a do not eject ink droplets.

한편, 1회의 주사에 의한 인쇄 정도는, 상기와 같이 반수(12.5%)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회째의 주사로 헤드 유닛(HU1)의 한쪽 단부에 의하여 2.5%를 인쇄하고, 2회째의 주사로 헤드 유닛(HU1)의 다른 쪽 단부에 의하여 22.5%를 인쇄함으로써, 25%의 인쇄를 행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printing by one scanning is not limited to half (12.5%)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2.5% is printed by one end of the head unit HU1 in the first scan and 22.5% is printed by the other end of the head unit HU1 in the second scan, so that 25% Printing may be performed.

또한, 헤드 유닛(HU1)의 단부의 반토출 노즐(201a)이 인쇄하는 폭은, 헤드 유닛(HU1)의 양단부에서 같다.The width at whic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1 is printed is the same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HU1.

인접하는 헤드 유닛(HU1)이 접합되는 부분에는, (도 3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도 3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비토출 영역(203)은, 노즐열(202)에 있어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노즐(201)(토출 노즐) 중,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에서의 접합단부측의 2개의 노즐(20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A non-ejection region 203 (an area indicated by oblique lines in Fig. 3) in which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a region indicated by oblique lines in Fig. 3)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adjacent head unit HU1 is joined. The non-ejection region 203 is formed by two nozzles 201 (ejection nozzles) on the joining end side in two adjacent head units HU1 out of the nozzles 201 (ejection nozzles) for ejecting ink droplets in the nozzle row 202 As shown in Fig.

비토출 영역(203)은 서브 주사방향(Y)으로 비토출 영역 길이(d1)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토출 영역 길이(d1)는,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간의 거리인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길다. 그리고, 비토출 영역 길이(d1)는, 적어도 헤드 유닛(HU1)의 단부의 노즐(201)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인접하는 헤드 유닛(HU1)의 단부의 노즐(201)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과 간섭하지 않는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The non-ejection region 203 has a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d1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 This non-discharge region length d1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nozzles 201. [ At least the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nozzles 201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1 are ejected from the nozzles 201 at the end of the adjacent head unit HU1, It is set to a distance that does not interfere.

여기에서, 비토출 영역(203)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Here, the non-ejection region 203 is configured as follows.

(1) 헤드 유닛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구성(1)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gap between the head units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토출 영역(203)은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이 간격을 두고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헤드 유닛(HU1) 사이의 간격은, 헤드 유닛(HU1)을 접합하는 접합부재(204)로의 헤드 유닛(HU1)의 배치위치에 의하여 설정된다.As shown in Fig. 4A, the non-ejection region 203 is formed by joining adjacent two head units HU1 with a gap there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units HU1 is set by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ead unit HU1 to the joining member 204 joining the head unit HU1.

이러한 구성에서는,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헤드 유닛(HU1) 사이의 간격으로 정해진다. 그 때문에, 헤드 유닛(HU1)의 배치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헤드 유닛(HU1) 그 자체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쉽게 비토출 영역 길이(d1)를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non-ejecting region length d1 is determined as the interval between the head units HU1. Therefore,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head unit HU1,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the non-discharge area length d1 without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unit HU1 itself.

(2) 비토출 노즐을 설정하는 구성(2) Configuration for setting non-ejection nozzle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토출 영역(203)은 빈틈없이 접합된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의 접합 단부 부근의 소정 수의 노즐(201)을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노즐(201b)로서 설정함으로써 형성된다. 1개의 헤드 유닛(HU1)의 접합 단부에서의 비토출 노즐(201b)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토출 영역 길이(d1)의 길이에 따라서 정해진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의 비토출 노즐(201b)이 1개의 헤드 유닛(HU1)의 접합 단부에 있어서 1개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4 (b), the non-ejection region 203 is a region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201 in the vicinity of the joining end portions of adjacent two head units HU1, Non-ejection nozzle 201b. The number of the non-ejecting nozzles 201b at the joining end of one head unit HU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non-ejecting area length d1. 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b), one non-ejection nozzle 201b is formed at the junction end of one head unit HU1.

비토출 노즐(201b)은 토출제어부(73)에 의하여 공백라인의 데이터가 대응되어 있으므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백라인의 데이터가 대응되는 비토출 노즐(201b)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인쇄 조건 등에 따라서 동일 구성의 노즐열(202)을 가지는 인쇄 헤드(2)에서 상이한 비토출 영역(203)을 설정할 수 있다.Since the non-ejection nozzle 201b corresponds to the blank line data by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it does not eject ink droplets even if it has a function of ejecting ink droplets. Therefore,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non-ejection nozzles 201b corresponding to the blank line data,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non-ejection regions 203 in the print head 2 having the nozzle arrays 202 of the same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printing conditions and the like have.

(3) 비토출 노즐을 설정하여 헤드 유닛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구성(3) a configuration in which a gap is formed between the head units by setting non-ejection nozzles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도 4의 (b)에 나타내는 구성과 도 4의 (a)에 나타내는 구성의 조합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비토출 노즐(201b)을 설정함으로써 비토출 영역(203)을 설정해 두고, 더욱이 헤드 유닛(HU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한다. 이에 따라, 비토출 노즐(201b)의 수의 증가로는 대응할 수 없는 비토출 영역 길이(d1)의 미소한 조정을 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is a combina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B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A. In such a configuration, for example, by setting the non-ejection nozzles 201b, the non-ejection area 203 is set, and the gap between the head units HU1 is further adjusted. Thus, the non-discharge region length d1, which can not be coped with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non-discharge nozzles 201b, can be finely adjusted.

(4) 노즐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4) Configuration without forming a nozzle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토출 영역(203)은 빈틈없이 접합된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에 있어서 노즐(201)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된다. 이것은, 도 4의 (b)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비토출 노즐(201b)을 설치하지 않는 것에 상당한다.As shown in Fig. 4 (c), the non-ejection area 203 is formed by not providing the nozzles 201 in two adjoining head units HU1 which are seamlessly joined. This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non-ejection nozzle 201b is not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shown in Fig. 4 (b).

이러한 구성에서는, 비토출 영역(203)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는 공백라인은 고정되지만, 도 4의 (b)에 나타내는 구성과 같이, 토출제어부(73)에 의하여 공백라인의 데이터를 비토출 노즐(201b)에 대응시킬 필요가 없어, 제어부(7)의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구성과 조합하여, 비토출 노즐(201b)을 설정함으로써, 인쇄조건에 따라서 공백라인을 추가할 수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blank line that can be formed by the non-ejection region 203 is fixed, but as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b),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supplies the data of the blank line to the non- 201b, so that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by setting the non-ejection nozzles 201b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B, blank lines can be added in accordance with printing conditions.

(지지·구동기구의 구성)(Structure of Supporting and Driving Mechanism)

플래튼(4)은 인쇄 헤드(2)가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대이다. 이러한 플래튼(4)은 인쇄매체(11)의 위치를 규정하는 동시에, 인쇄매체(11)를 흡착 등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가지고 있다.The platen 4 is a support stand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guide rail on which the print head 2 moves. The platen 4 defines a position of the printing medium 11 and has a mechanism for fixing the printing medium 11 by suction or the like.

구동 롤러(5)(이동수단)는, 구동축을 통하여 구동력을 주어 회전하는 롤러이고, 메인 주사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 배치되어 있다. 종동 롤러(이동수단)(6)는, 구동 롤러(5)와 맞닿음으로써, 구동 롤러(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롤러이고, 구동 롤러(5)와 대향하는 위치에 2개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5) 및 종동 롤러(6)는, 그 사이에 인쇄매체(11)를 끼움으로써, 구동 롤러(5)의 회전에 따라서 메인 주사방향(X)과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Y)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인쇄매체(11)를 소정의 피치로 반송한다. 이러한 피치는, 1회의 주사로 인쇄 헤드(2)가 인쇄되는 부분(밴드)의 서브 주사방향(Y)의 폭(후술하는 밴드폭)이고, 패스열(P)의 길이보다 짧다. 그리고, 피치는 각 주사에서 동일하게 설정되는데, 각 주사에서 불균일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The driving roller 5 (moving means) is a roller that rotates by giving a driving force through a driving shaft, and two roller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The driven roller 6 is a roller that rotat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iving roller 5 by abutting against the driving roller 5 and two of them ar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the driving roller 5 . The driving roller 5 and the driven roller 6 are driven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5 by sandwiching the printing medium 11 therebetween The printing medium 11 is conveyed in a reverse direction to the predetermined pitch. This pitch is the width of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band width described later) of the portion (band) in which the print head 2 is printed by one scan, and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 train P. The pitch is set to be the same in each scan, and it may be set non-uniformly in each scan.

(제어부의 구성)(Configuration of control unit)

제어부(7)는 메인 주사제어부(71)와, 서브 주사제어부(72)와, 토출제어부(73)를 가지고 있다.The control unit 7 has a main injection control unit 71, a sub-injection control unit 72, and a discharge control unit 73.

메인 주사제어부(71)는, 인쇄 헤드(2)를 메인 주사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인쇄 헤드(2)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 주사제어부(71)는 1회의 주사마다 행을 바꾸기 위하여, 주사 개시 전에 주사개시신호를 출력하고, 주사 종료 후에 주사종료신호를 출력한다.The main scanning control unit 71 controls the operation of a moto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print head 2 in order to move the print head 2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 In addition, the main scan control unit 71 outputs a scan start signal before scanning start and a scan end signal after scanning end, in order to change a row every scanning.

서브 주사제어부(72)(이동수단)는, 인쇄매체(11)를 서브 주사방향(Y)과 역방향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구동 롤러(5)를 구동하는 모터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서브 주사제어부(72)는 각 주사가 끝날 때마다 인쇄매체(11)를 상기 피치의 반송량으로 반송하도록 모터의 회전을 제어한다.The sub scanning control unit 72 (moving means) controls the operation of a moto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driving roller 5 in order to convey the print medium 1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The sub-scan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print medium 11 is conveyed at the pitch conveying amount after each scanning.

토출제어부(73)(토출제어수단)는,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헤드(2)의 메인 주사방향(X)으로의 이동에 따라서, 각 패스열(P)의 노즐(201)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토출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토출제어부(73)는, 메인 주사제어부(71)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주사개시신호에 근거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패스열(P)을 다음의 패스열(P)로 전환하여 토출제어를 행한다.The ejection control unit 73 (ejection control means) controls ejection of ink droplets from the nozzles 201 of each pass line P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rint head 2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The discharge control unit 20 performs discharge control to discharge the ink. The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performs discharge control by switching the path column P for discharging the ink to the next path column P based on the scanning start signal outputted from the main scanning control section 71 .

토출제어부(73)는, 반토출 노즐(201a)에 대하여, 2회의 주사에 있어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회의 주사만 토출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토출제어부(73)는, 전회의 1회의 주사로 일부(반수) 화소(도트)의 인쇄를 하는 화소 패턴(제 1 화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를 그 화소 패턴에 대응하는 반토출 노즐(201a)에 대응시킨다. 그리고, 토출제어부(73)는 전회의 주사에 있어서 걸러진 잔여(반수) 화소를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보완하는 인쇄를 하는 화소 패턴(제 2 화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를 대응하는 반토출 노즐(201a)에 대응시킨다.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controls the semi-ejection nozzle 201a to perform ejection only for the sake of ejection of the ink droplets in the two ejection operations. Specifically,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divides the print data of the pixel pattern (first pixel pattern) for printing a part (half number) of pixels (dots) by the previous one scanning into the half ejection nozzles (201a).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then outputs the print data of the pixel pattern (second pixel pattern) to be printed which compensates for the remaining (half-tone) pixels filtered in the previous scanning in the subsequent scanning to the corresponding half ejection nozzle 201a .

토출제어부(73)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상술한 비토출 영역(203)을 가지는 인쇄 헤드(2)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의 토출제어와 다른 토출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토출제어부(73)는 비토출 노즐(201b)에 공백라인의 데이터를 대응시키고,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노즐(201)에 대하여 공백라인의 데이터를 대응시키지 않는다.When the print head 2 having the above-described non-ejection region 203 shown in FIG. 4B is used,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performs ejection control different from normal ejection control. Specifically, the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maps the blank line data to the non-ejection nozzle 201b and does not correspond to the blank line data with respect to the nozzle 201 that ejects ink droplets.

(소프트웨어에 의한 제어부의 실현)(Realization of control unit by software)

제어부(7)의 각 블록,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메인 주사제어부(71), 서브 주사제어부(72) 및 토출제어부(73)는, 하드웨어 로직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다음과 같이 CPU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되어도 좋다.Each of the blocks of the control unit 7, particularly, the main injection control unit 71, the sub-injection control unit 72 and the discharge control unit 73 shown in Fig. 2 may be constituted by hardware logic, .

즉, 제어부(7)는 메인 주사제어부(71), 서브 주사제어부(72) 및 토출제어부(73)의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ROM(Read Only Memory), 제어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인쇄매체)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실행형식 프로그램, 중간 코드 프로그램, 소스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한 인쇄매체를 잉크젯 프린터(1)에 공급하고, CPU가 인쇄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That is, the control unit 7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executes a command of a control program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main injection control unit 71, the sub-injection control unit 72, and the discharge control unit 73,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expanding a control program, a storage device (print medium) such as a memory for storing a control program and various data, and the lik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 medium in which a program code (an executable program, an intermediate code program, and a source program) of software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is recorded so as to be readable by a computer to the inkjet printer 1, And reading out and executing the program code recorded on the print medium.

상기 인쇄매체로는,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나 카세트 테이프 등의 테이프계,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하드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나 CD-ROM/MO/BD/DVD/CD-R 등의 광디스크를 포함하는 디스크계, IC 카드(메모리 카드를 포함)/광카드 등의 카드계, 또는 마스크 ROM/EPROM/EEPROM/플래쉬 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As the print medium, for example, a magnetic tape such as a magnetic tape or a cassette tape, a magnetic disk such as a floppy (trademark) disk / hard disk, or an optical disk such as a CD-ROM / MO / BD / DVD / CD- A card system such as an IC card (including a memory card) / optical card, or a semiconductor memory system such as a mask ROM / EPROM / EEPROM / flash ROM.

또한, 잉크젯 프린터(1)를 통신 네트워크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하여도 좋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LAN, ISDN, VAN, CATV 통신망, 가상전용망(virtual private network), 전화회선망, 이동체 통신망, 위성통신망 등이 이용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송매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IEEE1394, USB, 전력선반송, 케이블 TV 회선, 전화선, ADSL 회선 등의 유선이어도, IrDA나 리모컨과 같은 적외선, Bluetooth(등록상표), 802.11 무선, HDR, 휴대전화망, 위성회선, 지상파 디지털망 등의 무선이어도 이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전자적인 전송으로 구현화된 반송파에 매립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Further, the ink-jet printer 1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able to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program code may be suppli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Internet, an intranet, an extranet, a LAN, an ISDN, a VAN, a CATV communication network, a virtual private network, a telephone line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Do. The transmission medium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wired such as IEEE1394, USB, power line carrier, cable TV line, telephone line and ADSL line, infrared 802.11 wireless, HDR, cellular phone network, satellite line, and terrestrial digital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realized in the form of a computer data signal embedded in a carrier wave in which the program code is embodied as an electronic transmission.

(잉크젯 프린터의 다른 구성)(Other configurations of inkjet printers)

상기 잉크젯 프린터(1)는, 인쇄매체(11) 상의 인쇄영역을 서브 주사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인쇄매체(11)를 서브 주사방향(Y)과 역방향으로 반송하고, 인쇄 헤드(2)를 서브 주사방향(Y)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인쇄 헤드(2)가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좋으며,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inkjet printer 1 conveys the print medium 11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in order to move the print area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ub scan direction Y, Is not shifted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long as the print head 2 can move relative to the print medium 11.

예를 들어, 잉크젯 프린터(1)는, 인쇄매체(11)를 반송시키지 않고 고정해 두고, 인쇄 헤드(2)를 서브 주사방향(Y)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쇄 헤드(2)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구동 롤러(5) 및 종동 롤러(6)가 불필요하여, 인쇄 헤드(2)를 서브 주사방향(Y)으로 구동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해진다. 이러한 기구로는, 예를 들어 인쇄 헤드(2)를 가이드 레일(3)마다 서브 주사방향(Y)으로 구동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서브 주사제어부(72)는 구동 롤러(5)의 제어 대신에 상기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For example, the ink-jet printer 1 fixes the print medium 11 without conveying it, and moves the print head 2 in the sub-scan direction Y to move the print head 2 to the print medium 11 ) May be employed. In this configuration, the driving roller 5 and the driven roller 6 are not required, and a mechanism for driving the print head 2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is required. Such a mechanism is, for example, a mechanism for driving the print head 2 in each sub-scanning direction Y for each of the guide rails 3. [ In addition, the sub scan control unit 72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echanism in place of the control of the drive roller 5. [

(각 주사에서 토출하는 잉크방울의 색)(The color of the ink droplet ejected from each scan)

각 패스열(P)에 분할되는 토출 노즐의 토출색, 즉 노즐(201)이 토출하는 패스열(P)마다의 잉크방울의 색(이후, '패스열 토출색'이라고 함)은, 단일(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는, 노즐(201)이 토출하는 토출색을 헤드 유닛(HU1)마다 단일하게 해 두고, 다색 인쇄의 경우에는 색상 수만큼의 헤드 유닛(HU1)을 결합하여 구성한 인쇄 헤드(2)로 주사할 때에 모든 색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The ejection color of the ejection nozzles divided in each pass column P, that is, the color of the ink drople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ss column ejection color') for each pass column P discharged by the nozzle 201, The same or different).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scanning with the print head 2 constituted by arranging the ejection colors ejected by the nozzles 201 for each of the head units HU1 and for the multicolor printing by combining the head units HU1 as many as the number of hues It may be configured to eject ink droplets of all colors.

각 색에 대하여 헤드 유닛(HU1)을 준비하고, 다색 인쇄를 행하는 경우, 인쇄 속도의 관점에서는, 헤드 유닛(HU1)을 한번에 주사하여 모든 색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화질 향상의 관점에서는, 한번의 주사로 단일색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것(패스열 토출색 또는 헤드 유닛(HU1)마다의 토출색을 단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head unit HU1 is prepared for each color and multicolor printing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ll the ink droplets of all colors are ejected by scanning the head unit HU1 at one time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ting spe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image quality improvement, it is preferable to eject ink droplets of a single color by one scan (that is, a single pass heat ejecting color or ejection color for each head unit HU1).

패스열 토출색 또는 헤드 유닛(HU1)마다의 토출색이 한번의 주사에서 단일함으로써, 한번의 주사시에 각 패스열(P) 또는 인쇄 헤드(2)의 모든 패스열(P)로부터 토출되어 인쇄매체(11) 상에 착탄되는 잉크방울의 색이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 색의 잉크방울이 착탄시에 서로 번지는 일이 없어지므로, 인쇄된 화상의 발색이 양호해진다. 그리고, 착탄되는 잉크방울의 색의 순서가 동일 층의 밴드 사이에서 동일하게 되므로, 착탄 순서가 상이한 것에 의한 밴드 사이에서의 색상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Pass column ejection colors or ejection colors for each head unit HU1 are single in one scan so that they are ejected from each pass column P or all the pass columns P of the print head 2 at the time of one scan, The colors of the ink droplets landed on the medium 11 become the same. As a result, the ink droplets of a plurality of colors are prevented from spreading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landing, thereby improving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printed image. Since the order of colors of the ink droplets to be landed is the same between the bands of the same lay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hue between the band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landing order.

예를 들어, 시안(cyan)과 마젠타(magenta)의 잉크를 이용한 인쇄를 행할 때, 1회째 주사의 토출색이 시안이라면, 시안의 잉크방울이 인쇄매체(11) 상에 착탄됨으로써, 시안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층이 형성된다. 2회째 주사의 토출색이 마젠타라면, 마젠타의 잉크방울이 인쇄매체(11) 상에 더욱 착탄됨으로써, 마젠타로 이루어지는 제 2 층이 형성된다. 이것은, 한번의 주사에서의 패스열 토출색이 단일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For example, when printing is performed using inks of cyan and magenta, if the ejection color of the first scan is cyan, ink drops of cyan are landed on the print medium 11, One layer is formed. If the ejection color of the second time scan is magenta, magenta ink droplets are further deposited on the print medium 11, so that a second layer of magenta is formed. This is also true when the pass column discharge color in a single scan is single.

이에 따라, 각 패스열(P)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착탄시에 밴드 내에서 번지는 일이 없어지므로, 인쇄된 화상의 발색이 양호해진다. 또한, 하층의 밴드 상에 착탄한 잉크방울의 번짐 정도가, 동일 층의 밴드 사이에서 상이한 일이 없으므로, 밴드 사이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일은 없다.As a result, the ink droplets discharged from each pass line P do not spread in the band at the time of adhering, so that the color development of the printed image becomes good. Further, since the degree of bleeding of ink drops deposited on the lower band is not different between the bands of the same layer, there is no change in color between the bands.

이에 대하여, 패스열 토출색이 단일하지 않은 경우, 다음의 불량이 발생한다. 첫 번째로, 각 패스열(P)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착탄시에 번져버린다. 두 번째로, 동일 층에 있어서 밴드 사이에서 상이한 잉크방울이 상이한 순서로 착탄되게 된다. 이 때문에, 하층의 밴드 상에 착탄된 잉크방울의 번짐 정도가, 동일 층의 밴드 사이에서 상이하므로, 밴드 사이에서 색상의 변화가 발생해 버린다. 따라서, 인쇄화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패스열 토출색 또는 헤드 유닛(HU1)마다의 토출색이 한번의 주사에서 단일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ss heat discharge color is not uniform, the following defect occurs. First, ink droplets ejected from each pass line P spread at the time of landing. Second, different ink drops between the bands in the same layer are landed in different orders. Because of this, the degree of bleeding of the ink droplets landed on the lower band is different between the bands of the same layer, resulting in a change in color between the band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 heat discharge color or the discharge color for each head unit HU1 is unified in one scan so as not to damage the printed image.

[실시형태 1][Embodiment 1]

상술한 인쇄 헤드(2)의 상세에 대하여, 도 5,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6A and 6B.

(인쇄 헤드의 구성)(Configuration of Print Head)

도 5는 인쇄 헤드(2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1. Fig.

상술한 인쇄 헤드(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1)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21)는 2개의 헤드 유닛(HU21)을 가지고 있으며, 헤드 유닛(HU21)끼리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nthead 2 is configured as a printhead 21 as shown in Fig. The print head 21 has two head units HU21, and the head units HU21 are coupled to each other.

헤드 유닛(HU21)은 상술한 헤드 유닛(HU1)과 마찬가지로, 일렬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201)을 가지고 있고, 이들 노즐(201)에 의하여 노즐열(20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열(202)의 양단측에서의 소정 수의 노즐(201)은, 반토출 노즐(201a)로서 설정되어 있다.Like the head unit HU1 described above, the head unit HU21 has a plurality of nozzles 201 arranged in a line, and the nozzle array 202 is constituted by these nozzles 201. [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201 at both end sides of the nozzle row 202 are set as half discharge nozzles 201a.

노즐열(202)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은, 인접 노즐간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1)의 접합부에는, 비토출 영역(203)이 도 4의 (a) 내지 (c)의 어느 것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토출 영역(203)의 비토출 영역 길이(d1)는,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길다.In the nozzle array 202, two adjacent nozzles 201 are arranged with a distance of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s d2. The non-ejection area 203 is provided at the junction of the adjacent head unit HU21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any of Figs. 4 (a) to 4 (c). The non-ejection area length d1 of the non-ejection area 203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인쇄 헤드(21)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헤드 유닛(HU21)에 있어서, 노즐열(202)은 제 1 패스열(P1) 및 제 2 패스열(P2)로 분할되어 있다. 제 1 패스열(P1)은 그 헤드 유닛(HU21)에서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제 2 패스열(P2)은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1)측에 배치된다.In the head unit HU21 disposed on one end side of the print head 21, the nozzle array 202 is divided into a first pass column P1 and a second pass column P2. The first pass column P1 is disposed on the end side in the head unit HU21 and the second pass column P2 is disposed on the adjacent head unit HU21 side.

한편, 인쇄 헤드(21)의 타단측에 배치되는 헤드 유닛(HU21)에 있어서, 노즐열(202)은 제 3 패스열(P3) 및 제 4 패스열(P4)로 분할되어 있다. 제 3 패스열(P3)은 그 헤드 유닛(HU21)에서의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1)측에 배치되고, 제 4 패스열(P4)은 헤드 유닛(HU21)의 단부측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ead unit HU21 dispos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print head 21, the nozzle array 202 is divided into the third pass column P3 and the fourth pass column P4. The third pass column P3 is disposed on the adjacent head unit HU21 side in the head unit HU21 and the fourth pass column P4 is disposed on the end side of the head unit HU21.

한편, 제 1 패스열(P1) 및 제 2 패스열(P2)의 노즐수(노즐수의 비율)는 인쇄조건 등에 의하여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3 패스열(P3) 및 제 4 패스열(P4)의 노즐수도 인쇄조건 등에 의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제 1 패스열(P1) 및 제 2 패스열(P2)의 노즐수가 같지 않은 경우도 있고, 제 3 패스열(P3) 및 제 4 패스열(P4)의 노즐수가 같지 않은 경우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nozzles (the ratio of the number of nozzles) of the first pass column P1 and the second pass column P2 is set by printing conditions or the like. Likewise, the number of nozzles of the third pass column P3 and the fourth pass column P4 is set by the printing conditions and the like. Therefore, the number of nozzles in the first pass column P1 and the number of nozzles in the second pass column P2 may not be the same, and the number of nozzles in the third pass column P3 and the fourth pass column P4 may not be the same.

또한, 헤드 유닛(HU21)은, 2개의 패스열(P)을 가지고 있지만, 3개 이상의 패스열(P)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The head unit HU21 has two pass columns P, but may have three or more pass columns P.

더욱이, 인쇄 헤드(21)는 같은 종류의 헤드 유닛(HU21)끼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헤드 유닛을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Furthermore, although the print head 21 is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head units HU21 of the same ki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head units HU21 of different types may be combined.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인쇄동작)(Printing operation by inkjet prin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쇄 헤드(21)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1)의 멀티 패스 인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6의 (a)는 잉크젯 프린터(1)의 인쇄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로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b)는 같은 인쇄상태를 인쇄매체(11)의 측면에서 볼 때(메인 주사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A multipass printing operation of the inkjet printer 1 using the print head 21 configur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6 (a) shows the printing state of the inkjet printer 1 when viewed from the plane, and Fig. 6 (b) shows the same printing state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medium 11 (Viewed from the direction X).

한편, 도 6의 (a)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21)의 인쇄매체(11)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상태가 알기 쉽게 되도록, 메인 주사방향(X)으로 어긋난 상태로 각 주사의 인쇄 헤드(2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6A, the print head 21 of each scan is shifted in the main scan direction X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rint head 21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is easy to see. As shown in FIG.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패스열(P1) 내지 제 4 패스열(P4)에 공통하여 언급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패스열(P)'이라고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common reference is made to the first through fourth columns P1 through P4, it is simply referred to as a "pass column P".

도 6의 (a)의 인쇄 헤드(21)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반토출 노즐(201a)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한, 도 6의 (b)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부분이고, "1" 내지 "5"는 각각 제 1 주사 내지 제 5 주사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hatched portion in the print head 21 of Fig. 6A is a region where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is provided. 6 (b), hatched portions are portions wher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and "1" to "5" are ejected by the first to fifth inks, respectively Is a formed portion.

<제 1 주사><First Injection>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주사에서는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1 패스열(P1)의 일부에 의한 주사가 이루어짐으로써, 인쇄매체(11) 상에는 잉크방울이 토출된 노즐(201)의 폭으로 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밴드 중, 통상의 노즐(201)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영역은 25%의 인쇄 정도이고,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영역은 12.5%의 인쇄 정도이다.6 (a) and 6 (b), in the first scan, scanning is per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ass column P1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so that ink droplets are ejected on the print medium 11 A band is formed by the width of the nozzle 201. Of these bands, the area in which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ordinary nozzle 201 is 25% of the printing degree, and the area where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is 12.5%.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시킬 때, 토출제어부(73)가 제 1 화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토출 제어를 행함으로써, 헤드 유닛(HU21)의 단부에서의 반수의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반수의 화소가 걸러진 상태로 인쇄가 이루어져, 12.5%의 인쇄 정도의 밴드가 형성된다.When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performs ejection control based on the print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so that half of the half ejection nozzles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ink chamber 201a. Accordingly, print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half of the pixels are filtered, and a band of 12.5% printing accuracy is formed.

<제 2 주사><Second Injection>

제 2 주사에서는, 인쇄매체(11)가 서브 주사방향(Y)과 역방향으로 패스열(P)보다 짧은 소정의 피치(밴드폭)만큼 반송됨으로써, 인쇄 헤드(21)가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반대폭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2 패스열(P2)의 일부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 2 패스열(P2)에서의 일단측의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다.In the second scanning, the print medium 11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Y by a predetermined pitch (band width) shorter than the pass line P, In the sub-scan direction Y. The sub- In this state, a part of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are scann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At this time, the half-ejection nozzle 201a on the one end side in the second pass column P2 does not perform the scanning.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1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서 형성되고, 제 1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 상에도 밴드가 형성된다(밴드가 겹친다). 제 1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3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By this scanning, a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first scan on the print medium 11, and also on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first scan Bands are formed (overlapping bands).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first scan, the band is formed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3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On the other hand,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25% formed by the first scan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이와 같이, 패스열(P)보다 짧은 소정의 피치로 인쇄매체(11)를 반송함으로써, 밴드가 겹치는 부분은, 인쇄 정도를 줄여서 인쇄하고 있으며, 복수 회의 주사에 의하여 화상이 완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inting medium 11 is conveyed at a predetermined pitch shorter than the pass column P, whereby the overlapping portions of the bands are printed with reduced printing accuracy, and the image is completed by the plurality of times of scanning.

<제 3 주사><Third Injection>

제 3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헤드(21)가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상기 피치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3 패스열(P3)에서의 일단측의 반토출 노즐(201a),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이루어진다.In the third scanning as well, the print head 21 moves by the pitch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the non-discharge area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on the one end side in the third pass column P3 are form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Is performed.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2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서 형성된다. 또한, 제 2 주사에 의하여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3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By this scanning, a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second scan.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12.5% formed by the second scanning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3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In addition,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25% formed by the second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50%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37.5% formed by the second scan,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scanning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할 때, 토출제어부(73)가 제 2 화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토출제어를 행함으로써, 헤드 유닛(HU21)의 단부에서의 잔여 반수의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주사로 반수의 화소가 형성된 밴드 상에, 제 2 주사에 의하여 형성된 밴드를 통하여, 제 1 주사로 걸러진 화소를 보완하도록 12.5%의 인쇄 정도의 밴드가 형성된다.When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performs ejection control based on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so that half of the remaining half of the ejected ink droplets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21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nozzle 201a. Thus, a band of printing accuracy of 12.5% is formed on the band on which half of the pixels are formed by the first scan, through the band formed by the second scan, so as to complement the pixels scanned by the first scan.

이와 같이, 2회의 주사에 걸쳐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이 이루어짐으로써, 통상의 노즐(201)에 의한 1회의 주사로 행하여지는 25%의 인쇄가 완성된다.In this manner, the ejection of the ink droplets by the semi-ejection nozzle 201a is performed over the two scans, whereby printing of 25% performed by one scan by the normal nozzle 201 is completed.

더욱이, 제 2 주사에 의하여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비토출 영역(203)의 주사에 의하여 밴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62.5%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한다.Further,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second scanning, the band not formed by the scanning of the non-ejection region 203 and the portion where the band is not formed by the scanning of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and the printing degree of 62.5% There is a portion where a band is formed.

<제 4 주사><Fourth injection>

제 4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밴드(21)가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4 패스열(P4)의 일부, 제 3 패스열(P3),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Even in the fourth scan, the print band 21 mov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a part of the fourth pass column P4, the third pass column P3,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scan by the first pass column P1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3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3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By such scanning, the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third scan on the print medium 11, similarly to the above.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the band is formed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3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On the band with the printing degree of 2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Furthermore,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37.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비토출 영역(203)의 주사에 의하여 밴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62.5%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제 2 주사 및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6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8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On the band with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the band is not formed by the scanning of the non-ejection region 203 and the portion where the band is printed by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is 62.5% Is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second scanning and the third scanning,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is 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62.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8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제 5 주사>&Lt;

제 5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헤드(21)가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4 패스열(P4), 제 3 패스열(P3),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Even in the fifth scan, the print head 21 mov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scanning by the fourth pass column P4, the third pass column P3,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is perform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Loses.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4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 또한,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3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By such scanning, the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fourth scan.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fourth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3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25% formed by the fourth scan,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37.5% formed by the fourth scan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비토출 영역(203)의 주사에 의하여 밴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62.5%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제 3 주사 및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On the band with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fourth scan, the band is formed by the scanning of the non-ejection region 203 and the band where the band is not formed by the scanning of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Is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third scan and the fourth scanning,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is 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6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87.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7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10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8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10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62.5% formed by the fourth scan, the band is formed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87.5%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 201. [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75% formed by the fourth scan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100% by the scanning of the nozzles 201.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with the printing accuracy of 87.5% formed by the fourth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becomes 100%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실시형태의 총괄)(Overview of Embodiment)

<비토출 영역><Non-ejection area>

본 실시형태의 인쇄 헤드(21)는, 2개의 헤드 유닛(HU21)이 접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헤드 유닛(HU21)의 접합부에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이 설치되어 있다.The print head 2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joining two head units HU21 and is provided with a non-ejection region 203 in which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at the junction portion of the head unit HU21.

이에 따라, 헤드 유닛(HU21) 사이에서, 비토출 영역(203)이 완충지대가 되어, 헤드 유닛(HU21)의 단부의 노즐(201)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인쇄 헤드(21)의 노즐면과 인쇄매체(11)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인쇄 헤드(21)의 탑재위치를 기구적으로 조정하는 일 없이, 쉽게 잉크방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us, between the head units HU21, the non-ejection area 203 becomes a buffer zone, and the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nozzle 201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21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surface of the print head 21 and the print medium 11 is long, it is easy to adjus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21 mechanically,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비토출 영역 길이><Non-Discharge Zone Length>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긴 것에 의하여, 적어도 1행의 공백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긴 비토출 영역 길이(d1)를 가지는 비토출 영역(203)에서 주사가 이루어지면, 전회의 주사로 형성된 밴드 상에는 공백라인(무기록 영역)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과 마찬가지로, 각 주사에서 인쇄 헤드(21)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소정 피치의 폭만큼 이동시켜도, 이번 회의 주사로 형성된 밴드의 단부는, 전회의 주사로 형성된 하층의 밴드의 단부보다 어긋난다.As long as the non-discharge region length d1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at least one blank line can be set. Thus, when scanning is performed in the non-ejection region 203 having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d1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a blank line (non-recording region) is formed on the band formed by the previous scanning . Therefore, even if the print head 21 is moved by a predetermined pitch width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in each scan as in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er, The band of the lower layer formed by the lower layer is shifted.

예를 들어,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제 3 주사 내지 제 5 주사와 같이, 제 1 패스열(P1) 내지 제 4 패스열(P4)의 경계가 순차적으로 어긋나므로, 그 결과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드의 경계도 하층의 밴드의 경계에 대하여 어긋난다. 이에 따라, 밴드의 경계가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 밴드끼리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밴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boundaries of the first through seventh columns P1 through P4 are sequentially shifted as in the third through fifth scanning shown in Figs. 6A and 6B, for example, The boundaries of the bands formed by the result are also shifted with respect to the boundaries of the bands of the lower layer. As a result, the boundaries of the bands do not overlap, so that the boundaries between the bands are not conspicuous, and the occurrence of banding can be prevented.

<반토출 노즐><Half discharge nozzle>

인쇄 헤드(21)는 헤드 유닛(HU21)의 양단부에 반토출 노즐(201a)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로 인쇄된 화소의 밀도가 낮은 부분은, 부족한 화소가 다음 주사에 의하여 보완된다. 그 때문에, 각 헤드 유닛(HU21)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드 사이에서 잉크방울의 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어, 잉크 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int head 21 has half discharge nozzles 201a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HU21. As a result, the portion of the pixel printed with the scanning by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having a low density is compensated for by the next scan.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ink droplet does not change abruptly between the bands formed by the respective head units HU2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band streaks due to uneven ink density.

반토출 노즐(201a)을 제 1 패스열(P1) 내지 제 4 패스열(P4)의 각 양단부에 설치하면, 상기 효과가 보다 높아지지만, 중복하여 인쇄하는 부분이 많아져서 인쇄 속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헤드 유닛(HU21)의 양단부에 반토출 노즐(201a)을 설치함으로써, 중복하여 인쇄하는 부분을 최소로 하여, 인쇄 속도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semi-discharge nozzles 201a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to seventh pass P 1 to P 4, the above effect is further enhanced, but the number of overlapping portions to be printed is increased and the printing speed is lowered. On the other hand, by providing the semi-discharge nozzles 201a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HU21,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verlapping printing portion, thereby suppressing the decrease in printing speed to a minimum and improving the printing quality.

[실시형태 2][Embodiment 2]

상술한 인쇄 헤드(2)의 상세에 대하여, 도 7,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8A and 8B.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의 구성요소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appropriately omitted.

(인쇄 헤드의 구성)(Configuration of Print Head)

도 7은 인쇄 헤드(22)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2. Fig.

상술한 인쇄 헤드(2)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2)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22)는 4개의 헤드 유닛(HU22)을 가지고 있고, 헤드 유닛(HU22)끼리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nthead 2 is configured as a printhead 22 as shown in Fig. The print head 22 has four head units HU22, and the head units HU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헤드 유닛(HU22)은 상술한 헤드 유닛(HU1)과 마찬가지로, 일렬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201)을 가지고 있고, 이들 노즐(201)에 의하여 노즐열(202)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열(202)의 양단측에서의 소정 수의 노즐(201)은, 반토출 노즐(201a)로서 설정되어 있다.The head unit HU22 has a plurality of nozzles 201 arranged in a row like the above-described head unit HU1, and the nozzle array 202 is constituted by these nozzles 201. [ A predetermined number of nozzles 201 at both end sides of the nozzle row 202 are set as half discharge nozzles 201a.

노즐열(202)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은 인접 노즐간 거리(d2)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2)의 접합부에는, 비토출 영역(203)이 도 4의 (a) 내지 (c) 중 어느 것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술한 구성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토출 영역(203)의 비토출 영역 길이(d1)는,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길다.In the nozzle array 202, adjacent two nozzles 201 are disposed with a distance of a distance d2 between adjacent nozzles. The non-ejection area 203 is provided at the junction of the adjacent head unit HU22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any of Figs. 4 (a) to 4 (c). The non-ejection area length d1 of the non-ejection area 203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4개의 헤드 유닛(HU22) 중, 인쇄 헤드(22)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는 헤드 유닛(HU22)의 노즐열(202)이 제 1 패스열(P1)에 상당하고, 그 헤드 유닛(HU22)에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2)의 노즐열(202)이 제 2 패스열(P2)에 상당한다. 그리고, 인쇄 헤드(22)의 다른 쪽 단부에 배치되는 헤드 유닛(HU22)의 노즐열(202)이 제 4 패스열(P4)에 상당하고, 그 헤드 유닛(HU22)에 인접하는 헤드 유닛(HU22)의 노즐열(202)이 제 3 패스열(P3)에 상당한다.The nozzle array 202 of the head unit HU22 disposed at one end of the print head 22 corresponds to the first pass line P1 and the nozzle array 202 of the head unit HU22 And the nozzle array 202 of the adjacent head unit HU22 corresponds to the second pass column P2. The nozzle array 202 of the head unit HU22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print head 22 corresponds to the fourth pass column P4 and the head unit HU22 adjacent to the head unit HU22 ) Corresponds to the third pass column P3.

한편, 헤드 유닛(HU22)은 1개의 패스열(P)을 가지고 있는데, 2개 이상의 패스열(P)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unit HU22 has one pass column P, but may have two or more pass columns P.

또한, 인쇄 헤드(22)는 같은 종류의 헤드 유닛(HU22)끼리를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종류의 헤드 유닛을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The print head 22 is formed by combining head units HU22 of the same kin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other types of head units may be combined.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인쇄동작)(Printing operation by inkjet printe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쇄 헤드(22)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1)의 멀티 패스 인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8의 (a)는 잉크젯 프린터(1)의 인쇄상태를 평면에서 볼 때로 나타내고 있고, 도 8의 (b)는 같은 인쇄상태를 인쇄매체(11)의 측면에서 볼 때(메인 주사방향(X)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A multipass printing operation of the inkjet printer 1 using the print head 2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8 (a) shows the printing state of the inkjet printer 1 when viewed from the plane, and Fig. 8 (b) shows the same printing state a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printing medium 11 (Viewed from the direction X).

한편, 도 8의 (a)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2)의 인쇄매체(11)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상태가 알기 쉽게 되도록, 메인 주사방향(X)으로 어긋난 상태로 각 주사의 인쇄 헤드(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8 (a), the print head 2 of each scan is shifte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print head 2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is easy to see, As shown in FIG.

또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패스열(P1) 내지 제 4 패스열(P4)에 공통하여 언급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패스열(P)'이라고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the common reference is made to the first through fourth columns P1 through P4, it is simply referred to as a "pass column P".

도 8의 (a)의 인쇄 헤드(22)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반토출 노즐(201a)이 설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한, 도 8의 (b)에 있어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부분이고, "1" 내지 "5"는 각각 제 1 주사 내지 제 5 주사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The portion indicated by oblique lines in the print head 22 of Fig. 8A is an area where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is provided. 8 (b), hatched portions are portions wher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and "1" to "5" are ejected by the first to fifth inks, respectively Is a formed portion.

<제 1 주사><First Injection>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주사에서는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1 패스열(P1)의 일부에 의한 주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패스열(P1)에서의 일단측의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는 이루어지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in the first scan, scanning is performed by a part of the first pass column P1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At this time, the half-ejection nozzle 201a on the one end side in the first pass train P1 does not perform the scanning.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잉크방울이 토출된 노즐(201)의 폭으로 밴드가 형성된다. 이러한 밴드 중, 통상의 노즐(201)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영역은 25%의 인쇄 정도이고,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하여 잉크방울이 토출된 영역은 12.5%의 인쇄 정도이다.By this injection, a band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with the width of the nozzle 201 from which ink droplets are ejected. Of these bands, the area in which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ordinary nozzle 201 is 25% of the printing degree, and the area where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by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is 12.5%.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할 때, 토출제어부(73)가 제 1 회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토출제어를 행함으로써, 헤드 유닛(HU22)의 단부에서의 반수의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된다. 이에 따라, 반수의 화소가 걸러진 상태로 인쇄가 이루어져, 12.5%의 인쇄 정도의 밴드가 형성된다.When the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performs ejection control based on the print data of the first field pattern, so that half of the half ejection nozzles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ink chamber 201a. Accordingly, print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half of the pixels are filtered, and a band of 12.5% printing accuracy is formed.

<제 2 주사><Second Injection>

제 2 주사에서는, 인쇄매체(11)가 서브 주사방향(Y)과 역방향으로 패스열(P)보다 짧은 소정의 피치(밴드폭)만큼 반송됨으로써, 인쇄 헤드(21)가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밴드폭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2 패스열(P2)의 일부, 비토출 영역(203)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In the second scanning, the print medium 11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Y by a predetermined pitch (band width) shorter than the pass line P,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by a band width. In this state, a portion of the second pass column P2, the non-ejection region 203,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are scann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1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By such scanning, a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first scan.

제 1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에 의하여, 25%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25%인 밴드 상에는, 노즐(201)에 의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first scan, bands are formed so as to have a printing accuracy of 25%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On the other hand,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25% formed by the first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50% by the scanning by the nozzles 201.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을 토출할 때, 토출제어부(73)가 제 2 화소 패턴의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토출제어를 행함으로써, 헤드 유닛(HU22)의 단부에서의 잔여의 반수의 반토출 노즐(201a)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된다. 이에 따라, 제 1 주사로 반수의 화소가 형성된 밴드 상에, 제 1 주사로 걸러진 화소를 보완하도록 12.5%의 인쇄 정도의 밴드가 형성된다.The ejection control section 73 performs ejection control based on the print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when ejecting the ink droplets from the half ejection nozzle 201a so that half of the remaining half number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22 And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ejection nozzle 201a. Thus, a band of printing accuracy of 12.5% is formed on the band on which half of the pixels are formed by the first scan, so as to complement the pixels scanned by the first scan.

<제 3 주사><Third Injection>

제 3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헤드(21)가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상기 피치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The print head 21 moves by the pitch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are scann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2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By this scanning, a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second scan.

제 2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2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1 주사 및 제 2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가 37.5% 및 50%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2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second scan,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25% by scanning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A band is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first scan and the second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37.5% and 50% by the scanning of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and the nozzle 201 .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37.5% formed by the second scan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becomes 50% by scanning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제 4 주사><Fourth injection>

제 4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헤드(21)가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3 패스열(P3)의 일부,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비토출 영역(203)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 이때, 제 3 패스열(P3)에서의 일단측의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Even in the fourth scan, the print head 21 mov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a part of the third pass column P3,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the non-ejection region 203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are scanned from the origin of the image . At this time, the scanning by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on the one end side in the third pass train P3 is not performed.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3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By such scanning, the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third scan on the print medium 11, similarly to the above.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12.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25%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주사 및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각 37.5% 및 50%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2 주사 및 제 3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각 62.5% 및 75%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12.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25% by scanning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 degree of 50% formed by the second scan and the third scan, bands are formed so as to have a printing degree of 37.5% and 50%, respectively, by scanning of the half discharge nozzles 201a and the nozzles 201 do.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37.5% formed by the third scanning,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is 50% by scanning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Further, 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second scanning and the third scanning so that the printing accuracy is 62.5% and 75%, respectively, by the scanning of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and the nozzle 201 do.

<제 5 주사>&Lt;

제 5 주사에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인쇄 헤드(21)가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상의 원점으로부터 제 4 패스열(P4)의 일부, 비토출 영역(203), 제 3 패스열(P3), 비토출 영역(203), 제 2 패스열(P2), 비토출 영역(203) 및 제 1 패스열(P1)에 의한 주사가 행하여진다.Even in the fifth scan, the print head 21 move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a part of the fourth pass column P4,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third pass column P3, the non-ejection region 203, the second pass column P2, Scanning by the area 203 and the first pass column P1 is performed.

이러한 주사에 의하여, 인쇄매체(11) 상에는, 제 1 층의 밴드가 제 4 주사로 형성된 제 1 층의 밴드에 인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된다.By such scanning, the band of the first layer is formed on the print medium 11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djacent to the band of the first layer formed by the fourth scan.

제 3 주사 및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각 37.5% 및 50%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3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인쇄 정도가 50%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 3 주사 및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50%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각 62.5% 및 75%의 인쇄 정도로 밴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6.2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의 주사에 의하여, 75%의 인쇄 비율이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 더욱이, 제 4 주사로 형성된 인쇄 정도가 75%인 밴드 상에는, 반토출 노즐(201a) 및 노즐(201)의 주사에 의하여, 각각 87.5% 및 100%의 인쇄 정도가 되도록 밴드가 형성된다.Bands are formed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third and fourth scans so as to have a printing degree of 37.5% and 50%, respectively, by the injection of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and the nozzle 201. [ On the band with the printing accuracy of 37.5% formed by the fourth scan, bands are formed so that the degree of printing becomes 50%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On the bands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50% formed by the third scan and the fourth scan, bands are formed with the printing degree of 62.5% and 75% by the scanning of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and the nozzle 201, respectively.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accuracy of 6.25% formed by the fourth scan, bands are formed so as to have a printing ratio of 75% by scanning with the semi-discharge nozzle 201a. Furthermore, bands are formed on the band having the printing degree of 75% formed by the fourth scan so as to have a printing degree of 87.5% and 100%, respectively, by the injection of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and the nozzle 201. [

(실시형태의 총괄)(Overview of Embodiment)

<비토출 영역><Non-ejection area>

본 실시형태의 인쇄 헤드(22)는, 4개의 헤드 유닛(HU22)이 접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헤드 유닛(HU22)의 접합부에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이 설치되어 있다.The print head 22 of this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bonding four head units HU22 and a non-ejection region 203 in which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is provided at the junction portion of the head unit HU22.

이에 따라, 인쇄 헤드(21)와 마찬가지로, 헤드 유닛(HU22) 사이에서, 비토출 영역(203)이 완충지대가 되어, 헤드 유닛(HU22)의 단부의 노즐(201)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인쇄 헤드(22)의 노즐면과 인쇄매체(11)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인쇄 헤드(22)의 탑재위치를 기구적으로 조정하지 않고, 쉽게 잉크방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like the print head 21, the non-ejection region 203 becomes a buffer zone between the head units HU22, and the ink droplets ejected from the nozzle 201 at the end of the head unit HU22 interfere with each other Things are gone. Therefor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 surface of the print head 22 and the print medium 11 is lo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int head 22 is not mechanically adjusted, Can be prevented.

<비토출 영역 길이><Non-Discharge Zone Length>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긴 것에 의하여, 인쇄 헤드(21)와 마찬가지로, 이번 회의 주사로 형성된 밴드의 단부는, 전회의 주사로 형성된 하층의 밴드의 단부보다 어긋난다. 따라서, 인쇄시에 각 층의 밴드의 단부가 같은 라인이 되는 일이 없으므로, 밴드끼리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밴딩을 없앨 수 있다.The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d1 is long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adjacent nozzles,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band formed by the scanning at this time is displac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layer formed by the previous scanning as in the print head 21 . Therefore, since the ends of the bands of the respective layers do not become the same line at the time of print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bands are not conspicuous, and banding can be eliminated.

<반토출 노즐><Half discharge nozzle>

인쇄 헤드(22)는 헤드 유닛(HU22)의 양단부에 반토출 노즐(201a)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쇄 헤드(21)와 마찬가지로, 반토출 노즐(201a)에 의한 주사로 화소의 밀도가 낮은 부분은 부족한 화소가 다음 주사에 의하여 보완된다. 그 때문에, 각 헤드 유닛(HU21)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드의 사이에서 잉크방울의 농도가 급감하여 변하는 일이 없어져서, 잉크 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int head 22 has half discharge nozzles 201a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 HU22. As a result, similarly to the print head 21, a portion where the pixel density is low due to scanning by the half discharge nozzle 201a is compensated by the next scan. Therefore, the density of the ink droplets is not reduced and changed between the bands formed by the respective head units HU21, so that occurrence of band streaks due to unevenness of the ink density can be prevented.

인쇄 헤드(22)는 반토출 노즐(201a)을 제 1 패스열(P1) 내지 제 4 패스열(P4)의 각 양단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인쇄 헤드(22)에 비하여,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중복하여 인쇄하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인쇄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인쇄 헤드(22)는 인쇄속도보다 인쇄품질을 중시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print head 22 is provided with the half discharge nozzles 201a at both ends of the first pass column P1 to the fourth pass column P4 so that the print quality can be improved However, the printing speed is lowered because the number of overlapping portions to be printed increases. Therefore, the printhead 22 can be suitably used in a case where the print qual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int speed.

[실시형태 3][Embodiment 3]

상술한 인쇄 헤드(2)의 상세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 1에서의 구성요소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appropriately omitted.

도 9는 인쇄 헤드(23)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3. Fig.

상술한 인쇄 헤드(2)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3)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23)는 상술한 인쇄 헤드(21)와 마찬가지로, 2개의 헤드 유닛(HU21)을 가지고 있고, 헤드 유닛(HU21)끼리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is configured as a print head 23 as shown in Fig. The print head 23 has two head units HU21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1, and is constituted by coupling the head units HU21 to each other.

인쇄 헤드(23)는 인쇄 헤드(21)와 상이하여, 헤드 유닛(HU21)이 서브 주사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늘어서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양 헤드 유닛(HU21)은 일부에서 접촉하고 있지만, 메인 주사방향(X) 및/또는 서브 주사방향(Y)으로 떨어져 있어도 좋다.The print head 23 is different from the print head 21 so that the head unit HU21 is aligned so as to be offse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 The both head units HU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 or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양 헤드 유닛(HU21)은, 도 9에 나타내는 헤드 유닛(HU21)과 반대의 위치관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not shown, both head units HU21 may be arrang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opposite to the head unit HU21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쇄 헤드(23)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터(1)에 의한 멀티 패스 인쇄를 행하여도, 도 6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쇄 헤드(21)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잉크방울의 간섭을 쉽게 방지하는 것, 밴딩을 없애는 것, 및 잉크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Print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6A and 6B even when multipass printing by the inkjet printer 1 is performed using the print head 2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us, as in the case of using the print head 21,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of ink droplets with ease, eliminate banding, and prevent occurrence of band stripes due to unevenness in ink density.

[실시형태 4][Embodiment 4]

상술한 인쇄 헤드(2)의 상세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의 구성요소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ent 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appropriately omitted.

도 10은 인쇄 헤드(24)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인쇄 헤드(2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4. As shown i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nt head 25. As shown in Fig.

상술한 인쇄 헤드(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4)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24)는, 상술한 인쇄 헤드(22)와 마찬가지로, 4개의 헤드 유닛(HU22)을 가지고 있고, 헤드 유닛(HU22)끼리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The above-described printhead 2 is configured as a printhead 24 as shown in Fig. The print head 24 has four head units HU22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2 and is constituted by coupling the head units HU22 to each other.

인쇄 헤드(24)는 인쇄 헤드(22)와 상이하여, 서브 주사방향(Y)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역방향으로 오프셋하는, 이른바 스태거드 배치(지그재그형 배치)로 늘어서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헤드 유닛(HU22)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일부에서 접촉하고 있는데, 메인 주사방향(X) 및/또는 서브 주사방향(Y)으로 떨어져 있어도 좋다.The print head 24 is coupled to the print head 22 in a so-called staggered arrangement (staggered arrangement) in which the print heads 22 are alternately offset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b-scan direction Y. In addition, each of the head units HU22 may b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 or the sub-scanning direction Y while adjacent on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part.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각 헤드 유닛(HU22)은, 도 10에 나타내는 헤드 유닛(HU22)과 반대의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not shown, each head unit HU22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opposite to that of the head unit HU22 shown in Fig.

한편, 상술한 인쇄 헤드(2)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헤드(25)로서 구성되어 있다. 인쇄 헤드(25)는, 상술한 인쇄 헤드(22)와 마찬가지로, 4개의 헤드 유닛(HU22)을 가지고 있고, 헤드 유닛(HU22)끼리가 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print head 2 is configured as a print head 25 as shown in Fig. The print head 25 has four head units HU22 similarly to the print head 22 described above and is constituted by coupling the head units HU22 to each other.

인쇄 헤드(25)는 인쇄 헤드(22)와 상이하여, 서브 주사방향(Y)에 직교하는 같은 방향으로 순차 오프셋하는, 이른바 사선형 배치로 늘어서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각 헤드 유닛(HU22)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일부에서 접촉하고 있는데, 메인 주사방향(X) 및/또는 서브 주사방향(Y)으로 떨어져 있어도 좋다.The print heads 25 are coupled to the print head 22 so as to lie in a so-called four-line arrangement, which is offset in the sam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ub-scan direction Y, In addition, each of the head units HU22 may be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 or the sub-scanning direction Y while adjacent on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part.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각 헤드 유닛(HU22)은, 도 11에 나타내는 헤드 유닛(HU22)과 반대의 위치관계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Although not shown, each head unit HU22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al relationship opposite to that of the head unit HU22 shown in Fi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인쇄 헤드(24, 25)를 이용하여 잉크젯 프린터(1)에 의한 멀티 패스 인쇄를 행하여도, 도 8의 (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인쇄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인쇄 헤드(22)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잉크방울의 간섭을 쉽게 방지하는 것, 밴딩을 없애는 것, 및 잉크 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Print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s. 8 (a) and 8 (b) even when multipass printing by the inkjet printer 1 is performed using the print heads 24 and 25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us, as in the case of using the print head 22,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interference of ink droplets, to eliminate the banding, and to prevent occurrence of band stripes due to unevenness of ink density.

(부기 사항)(Note)

잉크젯 프린터(1)는, 메인 주사방향(X)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Y)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201)로 이루어지는 노즐열(202)을 가지는 헤드 유닛(HU1, HU21, HU22)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2, 21~25)와, 노즐(201)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하여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토출제어부(73)와, 그 인쇄 헤드(2, 21~25)를 메인 주사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인쇄 헤드(2, 21~25)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5), 종동 롤러(6) 및 서브 주사제어부(72)를 구비하고, 인쇄매체(11)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한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1)는, 인쇄 헤드(2, 21~25)가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 HU21, HU22) 사이에만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을 가지고 있고, 비토출 영역(203)의 서브 주사방향(Y)의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길다.The inkjet printer 1 includes a head unit HU1, HU21, HU22 having a nozzle array 202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zzles 201 arranged along a sub-scanning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ink droplets in correspondence with the print data to the nozzles 201 and a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for controlling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The driving roller 5 that moves the printing heads 2 and 21 to 25 relative to the printing medium 11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for each scanning and the driven roller 6 and a sub-scan control unit 72, and prints a plurality of passes on the print medium 11 by one scan. This inkjet printer 1 has a non-ejection region 203 in which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do not eject ink droplets only between adjacent two head units HU1 to HU21 and HU22,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d1 of the ejection region 203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Y is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between the adjacent two nozzles 201. [

또한, 잉크젯 프린터(1)의 인쇄방법은, 메인 주사방향(X)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Y)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201)로 이루어지는 노즐열(202)을 가지는 헤드 유닛(HU1, HU21, HU22)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2, 21~25)를 구비하고, 노즐(201)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시켜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고, 그 인쇄 헤드(2, 21~25)를 메인 주사방향(X)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인쇄 헤드(2, 21~25)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며, 인쇄매체(11)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이다. 이러한 인쇄방법은,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 HU21, HU22) 사이에만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203)을 가지고 있고, 비토출 영역(203)의 서브 주사방향(Y)의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인접하는 2개의 노즐(201)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인쇄 헤드(2, 21~25)를 이용한다.The printing method of the inkjet printer 1 includes a head unit HU1 having a nozzle array 202 composed of a plurality of nozzles 201 arranged along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21 to 25 in which a plurality of print heads 2, 21 to 25 are connected to the nozzles 201, HU 21, HU 22, 21 to 25 are moved relative to the print medium 11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at every scanning and the printing medium 11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medium 11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X, And printing of a plurality of passes is performed by a scanning method. This printing method has a non-ejection region 203 in which ink droplets are not ejected only between adjacent two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and a non-ejection region 203 in the sub-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configured to make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d1 longer than the adjacent nozzle-to-nozzle distance d2 between two adjacent nozzles 201 are used.

상기 구성에 따르면,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인쇄 헤드(2, 21~25)를 이동시키면서 주사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모든 패스열(P)에 의한 인쇄가 종료된 밴드에서는 화상이 완성된다. 그리고, 인쇄 헤드(2, 21~25)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헤드 유닛(HU1, HU21, HU22) 사이에만 비토출 영역(20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헤드 유닛(HU1, HU21, HU22) 사이에서 비토출 영역(203)이 완충지대가 되어, 헤드 유닛(HU1, HU21, HU22)의 단부의 노즐(201)로부터 토출되는 인크방울이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인쇄 헤드(2, 21~25)와 인쇄매체와의 사이의 거리가 길어진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인쇄 헤드(2, 21~25)의 탑재위치를 기구적으로 조정하지 않고, 쉽게 잉크방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arrangement, scanning is repeated while moving the print heads 2, 21 to 25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whereby the image is completed in the band in which printing by all the path rows P has been completed. In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since the non-ejection areas 203 are provided only between the adjacent two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The non-discharge area 203 becomes a buffer zone, and the ink droplets discharged from the nozzles 201 at the ends of the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and the print medium is long, the mount positions of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are not mechanically adjusted, Interference of droplets can be prevented.

또한, 비토출 영역 길이(d1)가 인접 노즐간 거리(d2)보다 긴 것에 의하여, 적어도 1행의 공백라인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토출 영역 길이(d1)를 가지는 비토출 영역(203)에서 주사가 이루어지면, 전회 주사로 형성된 밴드 상에는 공백라인(무기록 영역)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과 마찬가지로, 각 주사로 인쇄 헤드(2, 21~25)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으로 이동시켜도, 이번 회의 주사로 형성된 밴드의 단부는, 전회 주사로 형성된 하층의 밴드 단부보다 어긋난다. 따라서, 밴드의 경계가 겹치는 일이 없으므로, 밴드끼리의 경계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밴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blank line can be set by the length d1 of the non-ejection region being long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adjacent nozzles. Thus, when scanning is performed in the non-ejection region 203 having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d1, a blank line (non-recording region) is formed on the band formed by the previous scanning. Therefore, even if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are moved in the sub-sca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by each scan as in the printing method of the conventional ink-jet printer, Is displaced from the band end of the lower layer formed by the previous scanning. Therefore, since the boundaries of the bands do not overlap, the boundaries between the bands are not conspicuous, and the occurrence of banding can be prevented.

잉크젯 프린터(1)에 있어서, 구동 롤러(5), 종동 롤러(6) 및 서브 주사제어부(72)는, 주사마다 인쇄 헤드(2, 21~25)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패스에 대응하는 노즐(201)로 이루어지는 패스열(P)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토출제어부(73)는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각 헤드 유닛(HU1, HU21, HU22)의 서브 주사방향(Y)의 양단부에서의 일부 노즐(201)(반토출 노즐(201a))에 대응시키며,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양단부에서의 잔여 노즐(201)(반토출 노즐(201a))에 대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inkjet printer 1, the driving roller 5, the driven roller 6, and the sub-scan control unit 72 are disposed in the sub-scan direction The discharge control section 73 relatively moves the first pixel pattern Y and the second pixel pattern Y with relatively shorter widths than the length of the path column P made up of the nozzles 201 corresponding to the paths, (Semi-discharge nozzle 201a) at both ends of the sub-scanning direction Y of each of the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and the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It is preferable that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complementary to the residual nozzle 201 (half discharge nozzle 201a) at both ends is made correspondent to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또한, 상기 인쇄방법은, 주사마다 인쇄 헤드(2, 21~25)를 인쇄매체(11)에 대하여 서브 주사방향(Y)으로 패스에 대응하는 노즐(201)로 이루어지는 패스열(P)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헤드 유닛(HU1, HU21, HU22)의 서브 주사방향(Y)의 양단부에 의하여,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며,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in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print heads 2 and 21 to 25 are moved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11 by the length of the path column P composed of the nozzles 201 corresponding to the paths And the printing is performed in the first pixel pattern in which pixels to be printed in the previous scanning are filtered by both ends of the sub scanning direction Y of each of the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It is preferable to print the second pixel pattern complementing the first pixel pattern in the subsequent scann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잉크젯 프린터(1)에서는, 제 1 화소 패턴의 데이터가, 헤드 유닛(HU1, HU21, HU22)의 양단부에서의 일부의 노즐(201)(반토출 노즐(201a))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그 노즐(201)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됨으로써, 걸러진 상태로 화소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화소 패턴의 데이터가, 헤드 유닛의 양단부에서의 잔여 노즐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그 후의 주사에서 그 노즐(201)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됨으로써, 전회 주사로 걸러진 화소가 보완되도록 형성된다.In the inkjet printer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corresponds to a part of the nozzles 201 (half discharge nozzles 201a) at both ends of the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Therefore,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nozzles 201, thereby forming pixels in a filtered state. Since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nozzles at both end portions of the head unit, ink droplets are ejected from the nozzles 201 in the subsequent scanning so that the pixels filtered by the previous scanning are complemented.

또한, 상기와 같은 인쇄방법에서는, 각 헤드 유닛(HU1, HU21, HU22)의 양단부에 의하여, 전회 주사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으로 인쇄가 행하여짐으로써, 걸러진 상태로 화소가 형성된다. 그리고, 그 후의 주사에서는, 상기의 양단부에 의하여, 제 2 화소 패턴으로 인쇄가 행하여짐으로써, 전회 주사로 솎아진 화소가 보완되도록 형성된다.Further, in the print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printing is performed in the first pixel pattern in which the pixels to be printed by the previous scanning are filtered by both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head units HU1, HU21, and HU22, do. In the subsequent scanning, printing is performed in the second pixel pattern by the above-mentioned both ends, so that the pixels which have been scanned in the previous time are formed to be complemented.

이에 따라, 1회의 주사로 인쇄된 화소의 밀도가 낮은 부분은, 부족한 화소가 다음 주사에 의하여 보완된다. 그 때문에, 각 헤드 유닛에 의하여 형성되는 밴드 사이에서 잉크방울의 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일이 없어져, 잉크 농도의 얼룩에 의한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a portion of the pixel printed by one scan with a low density is supplemented by the next scan.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the ink droplet does not change abruptly between the bands formed by the respective head units, and the occurrence of band streaks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ink density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 printing quality can be improved.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멀티 패스 방식을 채용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각 밴드 사이의 밴드 줄무늬의 발생을 방지하므로, 높은 인쇄품질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inkjet printer employing the multi-pass method, the occurrence of band stripes between the respective bands is prevent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applications requiring high print quality.

1: 잉크젯 프린터
2: 인쇄 헤드
3: 가이드 레일
4: 플래튼
5: 구동 롤러
6: 종동 롤러
7: 제어부
11: 인쇄매체
201: 노즐
202: 노즐열
203: 비토출 영역
1: Inkjet printers
2: Printhead
3: Guide rail
4: Platen
5: drive roller
6: driven roller
7:
11: Printing medium
201: nozzle
202: nozzle column
203: non-ejection area

Claims (4)

메인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지는 노즐열을 가지는 헤드 유닛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와, 상기 노즐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시켜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토출제어수단과, 그 인쇄 헤드를 상기 메인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매체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헤드 유닛 사이에만 상기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비토출 영역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노즐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길며,
상기 비토출 영역 길이에 의해 적어도 1행의 공백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비토출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인쇄 헤드 사이의 경계 위치가 순차적으로 어긋나도록 서브 주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A plurality of head units each having a nozz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along a sub-scann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main scanning direction; a discharg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discharge ink droplets by associating print data with the nozzles; And a moving means for moving the print hea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moving the print head relative to the print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for each scanning, In an ink-jet printer for printing a path,
Wherein the print head has a non-ejection region that does not eject the ink droplets only between two adjacent head units, and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of the non-ejection region in the sub-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nozzles between the nozzles,
Wherein at least one blank line is formed by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and sub-scanning is performed so that boundary positions between print hea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non-ejection region are sequentially shif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으로 상기 패스에 대응하는 상기 노즐로 이루어지는 패스열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토출제어수단은,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각 헤드 유닛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양단부에서의 일부의 상기 노즐에 대응시키고,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의 데이터를 상기 양단부에서의 잔여의 상기 노즐에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means relatively moves the print head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t a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 column made up of the nozzles corresponding to the pass,
Wherein the ejection control means sets the data of the first pixel pattern filtered by the pixels to be printed in correspondence with a part of the nozzles at both ends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of each head unit in the previous scanning, Wherein the data of the second pixel pattern complementary to the first pixel pattern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remaining nozzles at the both end portions.
메인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서브 주사방향을 따라서 늘어서는 복수의 노즐로 이루어지는 노즐열을 가지는 헤드 유닛이 복수 결합된 인쇄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에 인쇄 데이터를 대응시켜서 잉크방울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며, 그 인쇄 헤드를 상기 메인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인쇄매체에 1회의 주사로 복수의 패스의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헤드 유닛 사이에만, 상기 잉크방울을 토출하지 않는 비토출 영역을 가지고 있고, 상기 비토출 영역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비토출 영역 길이가,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노즐 사이의 인접 노즐간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된 상기 인쇄 헤드를 이용하며,
상기 비토출 영역 길이에 의해 적어도 1행의 공백라인이 형성되어, 상기 비토출 영역에서 서로 인접하는 인쇄 헤드 사이의 경계 위치가 순차적으로 어긋나도록 서브 주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
And a plurality of head units each having a nozzle array including a plurality of nozzles arranged in a sub-scann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in scanning direction, wherein the printing head is controlled to eject ink droplets by associating print data with the nozzles, An inkjet printer which moves the printhead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moves the printhead relative to the print medium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for each scan and prints a plurality of passes by one scan on the print medium, In the pri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jection area of the non-ejection area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non-ejection area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of the adjacent nozzles between adjacent two of the nozzles, Wherein the print head is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an inter-
Wherein at least one blank line is formed by the non-ejection region length, and sub-scanning is performed so that boundary positions between print head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non-ejection region are sequentially shifted. .
제 3 항에 있어서,
주사마다 상기 인쇄 헤드를 상기 인쇄매체에 대하여 상기 서브 주사방향으로 상기 패스에 대응하는 상기 노즐로 이루어지는 패스열의 길이보다 짧은 폭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각 헤드 유닛의 상기 서브 주사방향의 양단부에 의하여, 전회 주사에 있어서, 인쇄하는 화소를 걸러낸 제 1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며, 그 후의 주사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패턴을 보완하는 제 2 화소 패턴으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rint head is relatively moved with a wid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pass column made up of the nozzles corresponding to the pass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int medium,
The first pixel pattern to be printed is filtered by the both end portions of each head unit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nd in the subsequent scanning, a second pixel pattern Wherein the printing is performed by the printing method.
KR1020137032791A 2011-08-04 2012-07-27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KR1015650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71280 2011-08-04
JP2011171280A JP5916312B2 (en) 2011-08-04 2011-08-04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of
PCT/JP2012/069083 WO2013018670A1 (en) 2011-08-04 2012-07-27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020A KR20140021020A (en) 2014-02-19
KR101565056B1 true KR101565056B1 (en) 2015-11-02

Family

ID=4762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2791A KR101565056B1 (en) 2011-08-04 2012-07-27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6312B2 (en)
KR (1) KR101565056B1 (en)
CN (1) CN103732411B (en)
WO (1) WO201301867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07B1 (en) 2022-07-11 2022-12-22 주식회사 딜리 Method for improving density banding by mask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2208A1 (en) * 2015-03-24 2016-09-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CN113574457A (en) * 2019-03-11 2021-10-29 迈康尼股份公司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rint data and printing according to such print data
JP7252433B2 (en) * 2019-10-15 2023-04-05 株式会社瑞光 Printing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disposable wearing articles
US10899125B1 (en) * 2019-12-11 2021-01-26 Shanghai Realfast Digital Technology Co., Ltd Printing stitched swaths having complementary irregular boundaries
CN111376626B (en) * 2020-06-01 2020-10-16 深圳市汉森软件有限公司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inting im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732A (en) * 2000-09-12 2002-03-26 Canon Inc Ink jet recording head, ink jet recorder and electronic device
JP2011084005A (en) * 2009-10-16 2011-04-28 Ricoh Co Ltd Image forming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9828A (en) * 2002-03-06 2003-11-19 Seiko Epson Corp Liquid material ejecting method, liquid material ejecting apparatus,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color filter, liquid crystal display, electroluminescence device, plasma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JP3988645B2 (en) * 2002-03-06 2007-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ischarge method, discharge device, color filter manufacturing method, electroluminescenc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plasma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JP5067896B2 (en) * 2009-06-18 2012-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732A (en) * 2000-09-12 2002-03-26 Canon Inc Ink jet recording head, ink jet recorder and electronic device
JP2011084005A (en) * 2009-10-16 2011-04-28 Ricoh Co Ltd Image forming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ing mediu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07B1 (en) 2022-07-11 2022-12-22 주식회사 딜리 Method for improving density banding by mas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16312B2 (en) 2016-05-11
KR20140021020A (en) 2014-02-19
CN103732411B (en) 2015-11-25
JP2013035160A (en) 2013-02-21
WO2013018670A1 (en) 2013-02-07
CN103732411A (en)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056B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for
WO2012067064A1 (en) Ink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of
JP5078673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640198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ed matter manufacturing method
US6883898B2 (en) Printing using a print head with staggered nozzle arrangements
WO2006064820A1 (en)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ing device
JP5487552B2 (en) Liquid ejection device and liquid ejection method
JP4763886B2 (en)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WO2007007679A1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2010208120A (en) Liquid jetting apparatus
KR20090014034A (en) Inkjet image forming apparatus
JP6514261B2 (en) Ink 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WO2015133597A1 (en)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US20100079527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7038671A (en) Inkjet recording device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2011056705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0476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JP5257032B2 (en) Printing device
JP2010208121A (en) Liquid jetting head and liquid jetting apparatus
JP2005349605A (en)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ink jet recorder
KR1009170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JP5460048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jet recording method
JP4958997B2 (en) Inkjet recording method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244781B2 (en) Printing to the end of the printing paper without soiling the platen
JP7496549B2 (en)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