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087B1 -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 Google Patents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087B1
KR101563087B1 KR1020140084429A KR20140084429A KR101563087B1 KR 101563087 B1 KR101563087 B1 KR 101563087B1 KR 1020140084429 A KR1020140084429 A KR 1020140084429A KR 20140084429 A KR20140084429 A KR 20140084429A KR 101563087 B1 KR101563087 B1 KR 10156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tact lens
lower mold
upper mold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윤
Original Assignee
정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윤 filed Critical 정성윤
Priority to KR1020140084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0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0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2Artificial eyes from organic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where a capturing shape is formed in a side accommodation unit of a lower mold, wherein the capturing shape captures a remaining molding liquid coagulation which which coagulates inside a discharge space in a process of separating an upper mold is attached to a contact lens molded in the molding space from the lower mold after coagulating molding liquid to the side accommodation unit. Therefore, only contact lens is attached to be separated on the upper mold due to separating from the upper mold by capturing the remaining molding liquid coagulation.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의 조립 및 응고후 상부 몰드에 부착된 콘택트렌즈를 습식분리법에 의하여 분리할 때에 콘택트렌즈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이 부착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몰드에 소정의 포획 형상을 형성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which comprises a step of separating a contact lens attached to an upper mold after assembly and coagulation of an upper mold and a lower mol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in which a predetermined capturing shape is formed in a lower mold.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하부 몰드에 주입장치(2) 등에 의하여 콘택트렌즈 성형액(10)을 정량 주입한 후에 상부 몰드를 하부 몰드로 하강하면서 성형액을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밀어 성형액을 콘택트렌즈의 형상으로 유지시킨 후에 건식 또는 습식 오븐 등과 같은 설비 내에서 열을 가하여 성형액을 응고시켜 상부 몰드와 하부 몰드 사이에 성형된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데, 하부 몰드의 적용 형태에 따라 반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과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Generally, a contact lens is injected to a lower mol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a contact lens molding liquid 10 by means of an injection device 2 or the like, and then the molding liquid is pushed down to a lower mold while the upper mold is lowered to a constant thickness, And then heat is applied in a facility such as a dry or wet oven to solidify the molding liquid to separate the molded contact lens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form of the lower mold, It is divided into a method using molded products and a method using molded mold products.

반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은 사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된 단일한 규격의 하부 몰드(211)에 콘택트렌즈 성형액(10)을 정량 주입한 후에 상부 몰드(111)를 하부 몰드(211)에 조립한 상태로 성형액(10)이 응고되어 콘택트렌즈로 제조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미완성 상태인, 콘택트렌즈의 도수, 두께, 디자인 등 품질이 정해져 있지 않은 상태로서, 선반과 같은 절삭 설비의 바이트(4)와 같은 공구로 가공되어 일정한 도수 등의 품질의 콘택트렌즈(12)를 생산하게 되고, 후속 공정으로서 콘택트렌즈 표면에 잔존하는 절삭에 따른 결(14) 등을 제거하기 위한 래핑 등의 연마 공정을 거친 후에 상부 몰드(111)로부터 콘택트렌즈(12)를 분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전한 제품이 생산된다(도 1 참조).In the method using the semi-molded product, the contact lens molding liquid 10 is injec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lower mold 211 of a single standard molded by an injection method, and then the upper mold 111 is assembled to the lower mold 211 The molding liquid 10 is solidified to be made into a contact lens. The contact lens manufactured in this manner is in an incomplete state in which the quality such as the frequency, thickness, and design of the contact lens is not defined. The contact lens is processed with a tool such as a cutting tool 4 such as a lathe, Quality contact lens 12 and a polishing process such as lapping to remove the texture 14 or the like due to the cutting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s a subsequent process, 12) is finally separated into a complete product (see Fig. 1).

이에 반하여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은 도수, 두께 및 디자인 등이 이미 결정된 사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된 하부 몰드에 콘택트렌즈 성형액(10)을 정량 주입한 후에 상부 몰드(121)를 하부 몰드(221)에 조립하고 성형액을 응고시켜 콘택트렌즈(22)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콘택트렌즈(22)는 도수, 두께 및 디자인 등의 품질이 완성된 상태로서 반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과 달리 선반과 같은 절삭 설비로 제품을 재가공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도 2 참조).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using the molded mold product, after the contact lens molding liquid 10 is injected in a predetermined amount into the lower mold formed by the injection method in which the number, thickness, design, etc. have already been determined, the upper mold 121 is placed in the lower mold 221 ), And the molding liquid is solidified to manufacture the contact lens 22. The contact lens 22 manufactured in this manner is not finished in the process of reworking the product with a cutting equipment such as a lathe, unlike the method using the half-molded product in which the quality such as frequency, thickness and design is completed 2).

반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방식은 후공정을 위하여 생산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자의 방식은 상부 몰드(121)를 하부 몰드(221)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콘택트렌즈(22)의 품질이 결정되기 때문에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등록특허 제10-1357533호는 조립 과정을 정교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완몰드 성형제품에 의한 방식으로 콘택트렌즈(22)를 제조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로 조립과정이 정교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가 된다.Molding a molded product is advantageous in that it requires additional production cost for post-processing. It is preferable to use a mold-molded product. The latter method i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upper mold 121 to the lower mold 221 Since the quality of the contact lens 22 is determin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Registration No. 10-1357533 provides one method for refining the assembly process. However, when the contact lens 22 is manufactured by a mold-molded product, the assembling process can not be precisely performed for the following reason, resulting in a failure to produce a high-quality product.

즉, 하부 몰드(221)에 주입되는 콘택트렌즈 성형액(10)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성형된 콘택트렌즈(23)가 만들어지는 제품불량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미성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액을 원하는 콘택트렌즈를 형성하기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주입하여 조립 후에 잔여 성형액(과충진 성형액)(24)을 성형 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런데 과충진 성형액(24)이 성형 공간의 외부로 효과적으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성형 공간의 위쪽에서) 상부 몰드(121)의 외주면과 하부 몰드(221)의 내면이 접하는 부위에 소정의 틈새(50)가 형성되어야 한다(도 5 참조). 예로서, 도 5에서는 수직 틈새(52)와 수평 틈새(52)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contact lens molding liquid 10 to be injected into the lower mold 221 is insufficient, as shown in Fig. 3, a defective product is produced in which the unformed contact lens 23 is produc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shown in Fig. 4, the molding liquid is injected more than the amount necessary for forming the desired contact lens, and the residual molding liquid (and the filling liquid 24) To be discharged. A predetermined gap 50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mold 1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mold 2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upper side of the molding space) (See Fig. 5). For example, in FIG. 5, a vertical gap 52 and a horizontal gap 52 are formed.

이러한 틈새가 너무 좁으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몰드(121)가 하부 몰드(221)의 내측으로 하강할 때에 과충진 성형액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상부 몰드(121)가 하부 몰드(221)의 안착 위치로 정확하게 안착하지 못하여 과충진 성형액의 일부가 콘택트렌즈 말단에서 응고되어 불량 콘택트렌즈(25)가 성형되는 문제가 생기게 되고, 반대로 틈새가 너무 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몰드(221)에 대하여 상부 몰드(121)가 안착 위치에 바르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하부 몰드(221)가 상부 몰드(121)를 잡아주는 기능을 하지 못하여 상부 몰드(121)가 기울어져 중심이 어긋난 상태에서 하부 몰드(221)에 조립되어 불량 성형된 콘택트렌즈(26)가 만들어지게 된다.6, when the upper mold 121 is lowered to the inside of the lower mold 221, the filling mold liquid can not easily escape to the outside, and as a result, the upper mold 121, There i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over-filling liquid is solidified at the contact lens end and the defective contact lens 25 is molded. On the contrary, if the gap is too large, The lower mold 221 does not function to hold the upper mold 121 so that the upper mold 121 can be properly aligned with the lower mold 221, The contact lens 26 is assembled to the lower mold 221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the contact lens 26 is tilted and defective.

또한, 상부 몰드(121)가 하부 몰드(221)에 정확히 안착하여 조립되었다고 하더라도 건식 및 습식 오븐 등과 같은 설비에서 열을 가열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성형액(10)이 열을 받아 팽창함으로써 상부 몰드(121)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부 몰드(121)와 하부 몰드(221)의 정점이 달라져 도수가 불량하게 조정되고 하부 몰드(221)의 디자인에 따른 상부 몰드(121)와의 곡률 편차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두께의 편차도 크다. 또한, 미용렌즈의 제작을 위하여 착색된 상부 몰드(121)의 무늬 등도 센터가 틀어지는 불량 콘택트렌즈가 생산될 수밖에 없다.Even if the upper mold 121 is accurately seated and assembled in the lower mold 221, the molding liquid 10 receives heat and expands in the process of heating and coagulating the heat in a facility such as a dry type and a wet type oven, 121 are inclined. Therefore, the vertexes of the upper mold 121 and the lower mold 22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optric power is adjusted to be poor, and the vari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dge is also large due to the curvature deviation from the upper mold 121 due to the design of the lower mold 221. In addition, a bad contact lens in which the center of the colored pattern of the upper mold 121 is twisted is also inevitably produced for the production of a cosmetic len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상기 과충진 성형액이 하부 몰드에서 외부로 잘 빠져나가도록 틈새(50)를 충분히 넓히면서도 상부 몰드(100)가 하부 몰드(200)의 안착 위치에 정확히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성형 불량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부 몰드에 가이드 핀(210)을 형성한 새로운 형태의 몰드를 발명하여 특허출원 제10-2014-0082312호로 출원한 바 있다(도 8 참조).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found that the upper mold 100 can be accurately assembled to the seating position of the lower mold 200 while the gap 50 is sufficiently widened so that the over- And a guide pin 210 is formed on the lower mold so as not to cause defective molding, and has filed for 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82312 (refer to FIG. 8).

한편, 건식 및 습식 오븐 등과 같은 설비에서 열을 가열하여 성형액을 응고시킨 후 하부 몰드로부터 상부 몰드를 분리한 다음에, 상부 몰드의 하면에 형성된 콘택트렌즈를 분리하여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몰드의 분리 전에 과충진 성형액의 배출을 위한 배출 공간에는 성형 공간 내의 콘택트렌즈가 응고되는 동안에 함께 응고되는 잔여 성형액 응고물이 형성되고, 이러한 잔여 성형액 응고물의 존재로 인하여 후술하는 바의 과정에 의하여 콘택트렌즈의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heat is heated in an apparatus such as a dry and wet oven to solidify the molding liquid, the upper mol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and then the contact len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is separated to produce a final product As described above, in the discharge space for discharging the filled molding liquid before the separation of the upper mold, a residual molding liquid coagulation solidified together during the solidification of the contact lens in the molding space is formed, and the prese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lens is defective due to the following process.

우선, 상부 몰드의 하면에 부착된 콘택트렌즈를 분리하는 방법은 크게 건식분리법과 습식분리법으로 나누어진다. 건식분리법은 상부 몰드에 형성된 응고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분리 도구를 사용하여 그대로 분리하는 방법으로 응고된 콘택트렌즈가 깨질 수 있어 좋은 방법이 아니다. 습식분리법은 상부 몰드(100)에 형성된 콘택트렌즈(28)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수에 담가두게 되면 상부 몰드(100)와 콘택트렌즈(28)가 수중에서 자연적으로 분리되어 콘택트렌즈 제품을 얻는 방식이다.First,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contact len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is largely divided into a dry separation method and a wet separation method. The dry separation method is not a good method because the solidified contact lens formed on the upper mold is directly separated by using a separating tool and the solidified contact lens may be broken. 9, when the contact lens 28 formed in the upper mold 100 is immersed in purified water, the upper mold 100 and the contact lens 28 are natur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water, It is the way to obtain the product.

그런데, 습식분리법의 경우 상부 몰드(100)에 형성된 콘택트렌즈(28) 외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29)도 상부 몰드(100)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함께 정제수에 담가두게 되면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이 상부 몰드(100)로부터 정제수로 분리되어 나와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붙게 되어 제품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wet separation method, in addition to the contact lens 28 formed on the upper mold 100, the residual molding liquid 29 is also immersed in the purified water together with the upper mold 100 not being removed from the upper mold 100, The lens 29 is separated from the upper mold 100 by the purified water and moves freely, but it ma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as shown in Fig. 10, resulting in product defects.

따라서 상부 몰드(100)의 하면에 응고되어 성형된 콘택트렌즈(28) 이외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을 상부 몰드(100)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도 11과 같이, 일반적인 방식으로서, 상부 몰드(100)에 형성되어 있는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은 상부 몰드(100)의 외면에 압력 등의 힘을 가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힘의 방향이나 크기가 잘못되어 힘이 콘택트렌즈(28) 부분에도 영향을 주어, 도 11(b)에서와 같이, 콘택트렌즈(28)가 깨지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콘택트렌즈의 생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제품 불량은 이미 많은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투입된 수고와 비용을 낭비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residual molding liquid 29 from the upper mold 100 in addition to the contact lens 28 solidifi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mold 100. As shown in FIG. 11, as a general method, the residual solidified liquid 29 formed in the upper mold 100 is removed by applying a force such as a pressu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mold 100, The force is exerted on the portion of the contact lens 28, so that the contact lens 28 may be broken as shown in Fig. 11 (b). Such defects in the final stage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contact lenses wastes labor and cost in the course of many process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olve these problems fundamentally.

등록특허 제10-1357533호 (2014.01.29 공고)Registered Patent No. 10-1357533 (published on Jan. 29, 2014)

본 발명의 목적은 성형되어 응고된 콘택트렌즈를 부착한 상부 몰드를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시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하부 몰드에 포획하여 상부 몰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하여 습식분리법에 의하여 상부 몰드에서 콘택트렌즈를 분리할 때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에 의하여 콘택트렌즈 불량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측에 포획 형상이 형성된 하부 몰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in which an upper mold having a molded and solidified contact lens is separated from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having a trapped shape formed inside so as to prevent contact lens defects from being caused by the solidified remnant of the residual molding liquid when removing the contact lens.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 볼록한 형상의 오목 주형부를 갖는 상부 몰드 및 상면에 오목한 형상의 볼록 주형부를 갖는 하부 몰드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볼록 주형부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 몰드의 상기 오목 주형부를 상기 하부 몰드로 하강하여 조립한 후 성형액을 응고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로서,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오목 주형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외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몰드에 삽입되는 영역인 측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몰드는 상기 볼록 주형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내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상부 몰드의 상기 측면 삽입부를 수용하는 영역인 측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 및 상기 하부 몰드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몰드의 오목 주형부와 상기 하부 몰드의 볼록 주형부 사이에서 정의되고 콘택트렌즈가 성형되는 성형 공간, 및 상기 측면 삽입부와 상기 측면 수용부 사이에서 정의되는 성형액 배출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측면 수용부에는 상기 성형액을 응고시킨 후에 상기 하부 몰드로부터 상기 성형 공간에서 성형된 콘택트렌즈가 부착된 상기 상부 몰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공간 내에 응고되는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상기 측면 수용부에 그대로 포획하기 위한 포획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 comprising a lower mold having an upper mold having a concave mold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on a lower surface and a convex mold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on an upper surface,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for producing a contact lens by solidifying the molding liquid after injection of the mold and lowering the concave mold part of the upper mold into the lower mold, wherein the upper mold comprises an annular mold And a side insert portion which is defined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lower mold, wherein the lower mold is defined as an ann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utside the convex mold portion and is a region accommodating the side insert portion of the upper mold Wherei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assembled, A molding space defined between the concave mold portion of the upper mold and the convex mold portion of the lower mold and in which a contact lens is molded, and a molding liquid discharge space defined between the side inserting portion and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lower mold includes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wherein the lower mold includes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the upper mold having a contact lens formed in the molding space, Is captured in the side receiving portion as it is.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획 형상은 상기 측면 수용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rapped shape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protrusions or grooves formed annularly along the side receiving portion.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측면 수용부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획 형상은 상기 측면 수용부의 각 단차의 세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Still more preferably, the side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mold is formed to have one or more stepped portions, and the captured shape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each step of the side receiving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포획 형상이 형성된 하부 몰드를 포함하는 콘텍트렌즈 제조용 몰드에 의하면, 포획 형상에 의하여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포획함으로써 상부 몰드로부터 분리하여 상부 몰드에는 오로지 콘택트렌즈만이 부착되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습식분리법에 의한 콘택트렌즈의 분리시 잔여 성형액 응고물이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붙어 제품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including the lower mold having the trapped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mold liquid is separated from the upper mold by the trapped shape, and only the contact lens is attached to the upper mold, Therefore, when the contact lens is separated by the wet separ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that the residual molding liquid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to cause product defects.

도 1은 일반적인 반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종래의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으로서 성형액이 부족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으로서 성형액이 과충진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는 종래의 완몰드 성형제품을 이용하는 콘택트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과충진된 성형액의 배출을 위한 틈새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틈새가 좁은 경우 미성형 불량 제품이 생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5의 틈새가 넓은 경우 미성형 불량 제품이 생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인이 선행출원한 가이드 핀이 형성된 하부 몰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를 도시한다.
도 9는 습식분리법에 의한 종래의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분리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종래의 습식분리 과정에서 상부 몰드에 부착된 잔여 성형액 응고물에 의하여 콘택트렌즈의 제품 불량이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은 종래의 습식분리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상부 몰드로부터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하부 몰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14는 도 12의 상부 몰드가 도 12의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상부 몰드에는 콘택트렌즈만이 부착되어 있고 하부 몰드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이 포획된 상태를 도시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ing a general semi-mold formed product.
2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ing a general mold-molded product.
Fig. 3 shows a case where the molding liquid is insufficient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ing a conventional mold-molded product.
Fig. 4 shows a case where a molding liquid is overfilled as a contact lens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conventional mold-molded produc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p for discharging a filled molding liquid is formed in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using a mold-molded product.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a non-formed defective product is generated when the gap shown in Fig. 5 is narrow.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non-formed defective product is generated when the gap shown in Fig. 5 is wide.
Fig. 8 shows a mold for producing a contact lens including a lower mold having guide pins previously formed by the present applicant.
Fig. 9 shows a conventional method for separating a conventional contact lens by a wet separation method.
FIG. 10 shows a process in which a defective product of a contact lens is generated by a residual solidification product adhering to an upper mold in a conventional wet separation process.
FIG. 11 shows a process of removing the residual molding liquid from the upper mold before proceeding with the conventional wet separation process.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mold of Fig. 12; An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of Fig. 12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of Fig. 12, only the contact lens is attached to the upper mold, and the remaining molding liquid is trapped in the lower mol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subject matter)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i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콘텍트렌즈 제조용 몰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하부 몰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상부 몰드가 도 12의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상부 몰드에는 콘택트렌즈만이 부착되어 있고 하부 몰드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이 포획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하면에 볼록한 형상의 오목 주형부(101)를 갖는 상부 몰드(100) 및 상면에 오목한 형상의 볼록 주형부(201)를 갖는 하부 몰드(200)를 포함한다. 오목 주형부(101)는 성형되는 콘택트렌즈의 오목한 면을 형성하기 위한 볼록한 부분이고, 볼록 주형부(201)는 성형되는 콘택트렌즈의 볼록한 면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한 부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of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mold of Fig. 12, and Fig. 14 is a cross-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l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of FIG. 12, only the contact lens is attached to the upper mold, and the remaining molding liquid is trapped in the lower mold. 12 to 14,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lower mold 100 having a concave casting portion 101 having a convex shape on its lower surface and a lower mold 200 having a concave casting portion 201 having a concave shape on its upper surface. ). The concave mold 101 is a convex portion for forming the concave surface of the contact lens to be molded and the convex mold 201 is a concave portion for forming the convex surface of the contact lens to be molded.

이러한 상부 몰드(100)와 하부 몰드(200)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 몰드(200)의 상기 볼록 주형부(201)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 몰드(100)의 상기 오목 주형부(101)를 상기 하부 몰드(200)로 하강하여 조립한 후 성형액을 응고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게 된다.The molding liquid is injected into the convex mold part 201 of the lower mold 200 and the concave mold part 101 of the upper mold 100 is injected using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200, The lower mold 200 is lowered and assembled, and the molding liquid is solidified to produce a contact lens.

구체적인 몰드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몰드(100)는 상기 오목 주형부(101)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외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몰드(200)에 삽입되는 영역인 측면 삽입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몰드(200)는 상기 볼록 주형부(201)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내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상부 몰드(100)의 상기 측면 삽입부(103)를 수용하는 영역인 측면 수용부(203)를 포함한다.The upper mold 100 is defined as an annula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utside the concave mold part 101 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mold 200. The side mold part 100 includes a side insert part 103, And the lower mold 200 is defined as an ann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utside the convex molding part 201 and is a side receiving part 103 which is an area for receiving the side inserting part 103 of the upper mold 100. [ (203).

또한, 상부 몰드(100)와 하부 몰드(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성형 공간 및 성형액 배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몰드(100) 및 상기 하부 몰드(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몰드(100)의 오목 주형부(101)와 상기 하부 몰드(200)의 볼록 주형부(201) 사이에서 정의되고 콘택트렌즈가 성형되는 성형 공간, 및 상기 측면 삽입부(103)와 상기 측면 수용부(203) 사이에서 정의되는 성형액 배출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Further, the molding space and the molding liquid discharge space ar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200 are assembl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mold 100 and the lower mold 200 are assembled, the concave mold 101 of the upper mold 100 and the convex mold 201 of the lower mold 200, And a molding liquid discharge space defined between the side inserting portion 103 and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203. The molding space is defined between the side inserting portion 103 and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203,

이와 같은 기본적 몰드 형태 및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은 주요한 특징으로서, 하부 몰드(200)의 측면 수용부(203)에 포획 형상(2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basic mold configuration an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ture feature 220 in a side receiving portion 203 of a lower mold 200 as a main feature.

상기 포획 형상(220)은 성형액을 응고시킨 후에 상기 하부 몰드(200)로부터 상기 성형 공간에서 성형된 콘택트렌즈(28)가 부착된 상기 상부 몰드(1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공간 내에 응고되는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을 상기 측면 수용부(203)에 그대로 포획하기 위한 소정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상이다.The trapped shape 220 is formed in the discharge spac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upper mold 100 having the contact lens 28 formed in the molding space from the lower mold 200 after solidifying the molding liquid, And a predetermined protrusion for trapping the residual molding liquid solidified material 29 as it is in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203 as it is.

따라서 하부 몰드(200)로부터 상부 몰드(100)를 분리할 때에, 상부 몰드(100)의 오목 주형부(101)에 부착된 콘택트렌즈(28) 이외의 응고된 성형액, 즉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은 하부 몰드(200)에 포획된 상태로 상부 몰드(100)의 오목 주형부(10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pper mold 1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200, the solidified molding liquid other than the contact lens 28 attached to the concave mold 101 of the upper mold 100, that is, The mold 29 can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oncave mold 101 of the upper mold 100 while being captured by the lower mold 200.

다음에 습식분리법 등에 의하여 상부 몰드(100)에 형성된 콘택트렌즈(28)를 상부 몰드(100)에서 분리할 때에 습식분리를 위한 용기 내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이 들어갈 여지가 없으므로 용기 내에 잠긴 상부 몰드(100)에 부착된 콘택트렌즈(28) 상에 어떠한 잔여물도 붙지 않게 되어 고품질의 콘택트렌즈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contact lens 28 formed in the upper mold 10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mold 100 by the wet separation method or the like, there is no room for the residual molding liquid 29 to enter the container for wet separation, No residue is adhered to the contact lens 28 attached to the upper mold 100, and a high-quality contact lens can be produc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획 형상(220)은 상기 측면 수용부(203)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기 또는 홈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예시로서, 도 13에서는 포획 형상(220)이 두 개의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되고 있다. 즉, 상측에는 하나의 홈(220a)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나의 돌기(220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예시이고, 모두 돌기로 구성하거나 모두 홈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측과 하측을 반대로 하여, 상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하측에 홈을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Preferably, the capturing feature 220 may include one or more protrusions or grooves formed annularly along the side receiving portion 203.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rojections or grooves can be varied. As an example, in FIG. 13, the capture shape 220 is formed of two projections and grooves. In other words, one groove 220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ne projection 220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Such a structure is one example, and all of the projections or grooves can be forme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e reversed and the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groove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이러한 홈(220a)과 돌기(220b)는 하부 몰드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사출 금형에서 형성되는 빼기 구배율 약 3%에서 형성되는 것이, 사출 금형으로부터 하부 몰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하부 몰드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않고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grooves 220a and the protrusions 220b are formed at a draw ratio of about 3% formed in the injection mold in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the lower mol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lower mold from the injection mold, It is possible to safely remove the liquid.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몰드(200)의 상기 측면 수용부(203)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획 형상(220)은 상기 측면 수용부의 각 단차의 세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의 형성은 본래 하부 몰드의 사출 과정상의 필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인데, 본 발명의 목적인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보다 더 확실하게 포획하기 위해서도 필요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측면 수용부(203)에 2개의 단차가 형성되고 각 단차의 세로 면에 하나는 홈(220a), 하나는 돌기(220b)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각 단차의 세로 면에 2 이상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More preferably, the side receiving portion 203 of the lower mold 200 is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tep, and the capturing feature 220 may be formed on the longitudinal surface of each step of the side receiving portion have. The formation of the step is inherently formed by the necessity of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lower mold, but may also be necessary in order to more reliably capture the residual molding liquid solidifi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two lateral steps are formed in the lateral receiving portion 203, and one groove 220a and one projection 220b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s of the respective step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wo or more protrusions or grooves on the vertical surface of each step.

도 14는 도 12의 상부 몰드가 도 12의 하부 몰드로부터 분리된 상태로서, 상부 몰드(100)에는 콘택트렌즈(28)만이 부착되어 있고 하부 몰드(200)에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이 포획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콘택트렌즈(28)만 부착된 상부 몰드(100)를 습식분리 과정의 용기에 담가 잔여 성형액 응고물(29)의 오염이 없는 온전한 콘택트렌즈(28)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of Fig. 12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old of Fig. 12, in which only the contact lens 28 is attached to the upper mold 100, And shows the captured state. Therefore, the upper mold 100 having only the contact lens 28 can be immersed in the container of the wet separation proces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ntact lens 28 without contamination of the residual molding liquid 29.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not.

Claims (3)

하면에 볼록한 형상의 오목 주형부를 갖는 상부 몰드 및 상면에 오목한 형상의 볼록 주형부를 갖는 하부 몰드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볼록 주형부에 성형액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 몰드의 상기 오목 주형부를 상기 하부 몰드로 하강하여 조립한 후 성형액을 응고시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로서,
상기 상부 몰드는 상기 오목 주형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외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하부 몰드에 삽입되는 영역인 측면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몰드는 상기 볼록 주형부의 바깥에 위치하는 환형의 내주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상부 몰드의 상기 측면 삽입부를 수용하는 영역인 측면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몰드 및 상기 하부 몰드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몰드의 오목 주형부와 상기 하부 몰드의 볼록 주형부 사이에서 정의되고 콘택트렌즈가 성형되는 성형 공간, 및 상기 측면 삽입부와 상기 측면 수용부 사이에서 정의되는 성형액 배출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측면 수용부에는 상기 성형액을 응고시킨 후에 상기 하부 몰드로부터 상기 성형 공간에서 성형된 콘택트렌즈가 부착된 상기 상부 몰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 공간 내에 응고되는 잔여 성형액 응고물을 상기 측면 수용부에 그대로 포획하기 위한 포획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And a lower mold having an upper mold having a concave mold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 on the lower surface and a convex mold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mold liquid is injected into the convex mold portion of the lower mold, A mold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for manufacturing a contact lens by solidifying the molding liquid after descending to a lower mold,
Wherein the upper mold includes a side insert portion which is defined as an annular outer circumference positioned outside the concave mold portion and which is a region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mold,
Wherein the lower mold includes a side accommodating portion which is defined as an annula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outside the convex mold portion and which is an area accommodating the side insert portion of the upper mold,
A molding space defined between a concave mold portion of the upper mold and a convex mold portion of the lower mol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assembled and in which a contact lens is molded and a molding space defined between the side inserting portion and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mold liquid discharge space defined by the mold cavity,
Wherein the lower mold includes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wherein the lower mold includes a lower mold and a lower mold, the upper mold having a contact lens formed in the molding space,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ide receiv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 형상은 상기 측면 수용부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pped shape is constituted by at least one protrusion or groove formed annularly along the side accommod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의 상기 측면 수용부는 하나 이상의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획 형상은 상기 측면 수용부의 각 단차의 세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ide receiving portion of the lower mold is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tep, and the capturing shape is formed at a longitudinal side of each step of the side receiving portion.
KR1020140084429A 2014-07-07 2014-07-07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KR101563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29A KR101563087B1 (en) 2014-07-07 2014-07-07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429A KR101563087B1 (en) 2014-07-07 2014-07-07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087B1 true KR101563087B1 (en) 2015-10-23

Family

ID=5442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429A KR101563087B1 (en) 2014-07-07 2014-07-07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087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58B1 (en) * 2017-08-12 2018-10-16 김쌍기 contact lens mold with groove
KR101939587B1 (en) * 2018-07-03 2019-01-17 (주) 메디오스 Contant Lens Producing Mold
KR101978909B1 (en) 2018-12-07 2019-05-17 (주) 맥브리즈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circula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306300B1 (en) * 2020-05-11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Molds for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ion method by utilizing the mol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33B1 (en) 2013-03-05 2014-01-29 주식회사 백산사 Contact lens lower mold position adjustment ji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533B1 (en) 2013-03-05 2014-01-29 주식회사 백산사 Contact lens lower mold position adjustment ji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858B1 (en) * 2017-08-12 2018-10-16 김쌍기 contact lens mold with groove
KR101939587B1 (en) * 2018-07-03 2019-01-17 (주) 메디오스 Contant Lens Producing Mold
KR101978909B1 (en) 2018-12-07 2019-05-17 (주) 맥브리즈 contact lens with increased tear circulation and jig for contact lens making
KR102306300B1 (en) * 2020-05-11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씨케이 Molds for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ion method by utilizing the mol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087B1 (en)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JP6600537B2 (en) Tire vulcanization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74832B (en) Method and mold for making contact lens and control mold and mold making method
US20200164555A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mold through injection molding
TW201507838A (en) Casting cup assembly for forming an ophthalmic device
KR101611055B1 (en) Mold for Manufacturing Contact Lens
KR101656387B1 (en) Die for powder injection molding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KR200483568Y1 (en) Mold for optical device
KR101738315B1 (en) Old processing method for contact rense of rounded edge and contact rense of rounded edge manufactured by method thereof
JP6939405B2 (en) Tire manufacturing method
JP2018176201A (en) Casting mod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sting using the same
RU2768729C2 (en) Method of making waffle half-shells
GB2216065A (en) Contact lens production
KR102120006B1 (en) Contant Lens Producing Mold
JP2010228256A (en) Resin molding mold
KR102172870B1 (en) Contant Lens Producing Mold
KR102306300B1 (en) Molds for contact lens and contact lens production method by utilizing the molds
KR101596579B1 (en) Mold of contact lens
CN217476476U (en) Half-mould and lens forming device
CN211591143U (en) Mould for effectively removing burrs of inner ring of diaphragm
KR100857776B1 (en) An unaxi-symmetric product forging die
JP6460456B2 (en) Rubber mold and molded rubber intermediate product molded with the mold
KR10129298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own and the crown manufactured thereby
KR101861483B1 (en) contact lens upper mold with unevenness surface
EP2769836B1 (en) Methods and apparatus useful in manufacturing le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