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775B1 - 평판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775B1
KR101562775B1 KR1020090027638A KR20090027638A KR101562775B1 KR 101562775 B1 KR101562775 B1 KR 101562775B1 KR 1020090027638 A KR1020090027638 A KR 1020090027638A KR 20090027638 A KR20090027638 A KR 20090027638A KR 101562775 B1 KR101562775 B1 KR 10156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guide plate
light
connection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174A (ko
Inventor
이재형
정비용
정태진
안병길
Original Assignee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7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775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형상의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 및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속되고, 인접한 복수의 조명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를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인접한 측면 광원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접한 측명 광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암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로 분할된 도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할 경계에서 고른 휘도 분포를 갖는 고품질의 평면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는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암부 현상, 평판 조명, 측명 광원, 백라이트, 발광 다이오드

Description

평판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OF FLAT PANEL TYPE}
본 발명은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의 측면에 복수의 측면 광원이 배치된 평판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장치에는 다양한 발광칩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가 사용된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존의 전구 또는 형광등에 비하여 소비 전력이 적고 수명이 수 내지 수십배에 이르러, 소모 전력의 절감과 내구성 측면에서 월등하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 설치 가능하고, 진동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저전압으로 고효율의 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가전제품, 전광판, 표시지 및 각종 자동화 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다양한 파장 대역의 광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조명 장치 즉,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등의 대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패키징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를 측면 광원으로 이용한 평판 조명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평판 조명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와 같은 비발광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최근 표시 장치의 대면적화 추세에 따라 도광판의 면적이 너무 커져 운반, 제조, A/S 등의 편의를 위해서, 또는 화질 향상 및 절전 기능을 위한 로컬 디밍을 위해서 복수의 도광판을 붙여서 사용하거나 대면적의 도광판을 복수로 분할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로 인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로 구성된 측면 광원 또한 복수개를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의 이유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각각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접속 리드를 형성해야 하므로, 접속 리드 및 이에 연결되는 외부 전원의 접속 소켓의 개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접한 접속 리드들 사이에는 단락 방지 및 조립 편의를 위해 다소의 간격을 확보해줘야 하므로, 인접한 두 도광판의 분할 경계 혹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사이에서 암부가 발생되어 화질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면 광원들 사이에서 이들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측면 광원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접된 측면 광원들 사이에서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한 평판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평판 형상의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 및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속되고, 인접한 복수의 조명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 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판은 복수의 도광 영역으로 분할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라인은 도광판의 인접한 두 도광 영역이 이루는 경계선을 가로질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도전체를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외면에 형성된 도전 라인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과 상기 도전 라인의 사이에 가요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은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조명부 전체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드부는 복수의 조명부 중 최외측에 배치된 조명부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접한 양쪽 도광판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 라인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도광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광원의 표면에 접속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측면 광원들 각각의 접속 패드가 연결 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라인 및 접속 패드를 통해 인접한 측면 광원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한 측면 광원들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접한 측면 광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암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로 분할된 도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분할 경계에서 고른 휘도 분포를 갖는 고품질의 평면 광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용한 표시 장치는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평판 형상의 도광판(100)과, 상기 도광판(100)의 일측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210,220;200) 및 상기 복수의 조명부(210,22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300) 및 상기 접속부(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조명부 전체(200)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부(500)를 포함한다.
도광판(100)은 조명부(200)로부터 입사된 점(point) 형상 또는 선(line) 형상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을 면(plane) 형상의 광학 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환한다. 상기 도광판(100)으로는 두께가 균일한 평판형 플레이트 또는 조명부(200)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반대면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형 플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100)의 일측면에는 광이 입사되는 입광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광이 출사되는 출광부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입광부를 통해 입사된 광이 상기 출광부를 통해 출사되게하는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사부는 상각형, 반구형, 렌즈형 등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일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프리즘 패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광판(100)의 하부에 별도의 반사 시트가 배치될 수도 있어 프리즘 패턴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광판(100)으로는 아크릴 수지인 PMMA(Poly Methy Methacrylate), 폴리올레핀(Polyolefin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일정한 굴절율 을 갖는 투광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200)는 도광판(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도광판(10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광을 조명하는 에지 방식(Edge Type)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조명부(200)는 다수의 발광칩(211)과, 상기 다수의 발광칩(211) 각각이 실장되는 기판(212)을 포함하고, 이들(211,212)을 일체로 몰딩하여 고정 및 보호하는 몰딩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도광판(100)의 일측 측면에 2개의 조명부(210,220)가 인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발광칩(211)은 외부 전원의 인가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써, 원하는 파장 대역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일렬로 배열시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용도에 적합한 백색광을 얻기 위해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일렬로 배열시켜 구성하거나, 또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R), 녹색 발광 다이오드(G)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B)를 적절히 조합시켜 구성한다.
상기 기판(21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발광칩(211) 각각을 일체로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발광칩들(211)은 COB(Chip On Board) 방식 또는 SMD(Surface Mount Device) 방식 등으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몰딩부(213)는 기판(212)과, 이에 실장된 발광칩들(211)을 일체로 몰딩하여 고정하는 동시에 발광칩들(211)의 주변 공간을 봉지함으로써 발광칩들(211)이 외부와 접촉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칩의 손상 및 칩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한다. 이러한 몰딩부는 각각의 발광칩들(211)을 돔 형상으로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전체의 발광칩들(211)을 일체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발광칩들(211)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광을 집중 또는 산란시키는 리플렉터(미도시)가 함께 몰딩될 수 있다. 한편, 몰딩부(213)를 형성하는 몰딩 수지는 비교적 경도가 높고, 투명한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이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투명한 수지라면 어떠한 재료가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몰딩 수지에는 발광칩(211)에서 방출된 광의 파장을 전환시켜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형광체(미도시)가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광판(200)은 로컬 디밍을 위해 좌우 2개의 도광 영역(210,220)으로 분할되고, 이에 따라 2개의 도광 영역(210,220) 각각으로 광을 조명하는 2개의 조명부(210,220)가 인접하여 마련된다. 이때, 인접한 2개의 조명부(210,220)는 이들 사이에 마련된 접속부(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접한 2개의 조명부(210,220) 중 일측에 마련된 리드부(500)를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받게 됨으로써, 전체의 조명부(200)가 구동된다. 이러한 접속부(300)와 리드부(500)의 구체적인 개수는 조명부(200)에 마련된 발광칩들(211)의 전기적 회로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는 모든 발광칩들(211)이 회로적으로 하나의 구동 어레이(Array)를 구성하므로, 이에 따라 양(+) 전압과 음(-)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각기 한 쌍의 접속부(3310,320) 및 리드부(510,520)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부(310 또는 320) 각각은 도광판(100)의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311 또는 321) 및 상기 연결 라인(311 또는 32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속되며,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의 표면에 각각 형성된 접속 패드(312,313 또는 322,323)를 포함한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접속부(310 또는 320)의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접속부(310 또는 320) 및 리드부(510,520) 중 어느 하나(310,520)만을 선택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상기 연결 라인(311)은 도광판(100)의 측면 표면에 형성되고, 인접한 양쪽 도광 영역(110,120)이 이루는 경계선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 라인(310)은 인접한 양쪽 도광 영역(110,120) 사이에 도전체를 직접 인쇄(printing)하여 도전 라인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전체로 형성한 도전 라인을 부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후자의 경우는 도전 라인(311a)의 일면에 접착층(311b)이 형성되어, 접착층(311b)이 도광판(100)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외측의 도전 라인(311a)이 양쪽의 접속 패드(312,313)와 접촉을 이루면서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인접된 양쪽의 도광 영역(110,120)이 유동되어 도전 라인(311a)이 단선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착층(311b)을 가요성 소재로 형성하거나, 도전 라인(311a)과 접착층(311b) 사이에 휨 특성이 있는 가요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 패드(312,313)는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의 일측 표면 즉, 도광판(100)에 대향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도광판(100)의 측면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311)의 일측 영역 및 타측 영역에 각각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 패드(312,313)의 일측은 조명부(110,120)의 기판(212,222) 상에 형성된 구동 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조명부(110,120)의 몰딩부 표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연결 라인(311)의 일측 영역 또는 타측 영역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부(500)는 접속부(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조명부(210,220) 전체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드부(500)는 최외측 조명부(210)의 기판(212)에 마련되며 외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접속 리드(510,52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 리드(510,520)가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접속 소켓(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외부 전원이 접속 리드(510,520)를 통해 다수의 조명부(210,220) 전체에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도광판(100)의 측면에 인접한 양쪽 도광 영역(110,120)을 가로지르는 연결 라인(311 또는 32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라인(311 또는 321)의 일측 및 타측에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의 접속 패드(312,313 또는 322,323)를 각각 접속시켜 양쪽 조명부(210,220)의 접속 패드(312,313 또는 322,3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 각각에 접속 리드를 형성하고, 이를 외부 소켓을 통해 접속시켜 양쪽 조명부(210,220)의 접속 리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전기적 연결 구조가 매우 간단하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 반, 제조, A/S 등의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평판 조명 장치는 인접한 조명부들(210,2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접한 조명부들(210,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암부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하기에서는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평판 조명 장치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평판 조명 장치는 인접한 양쪽 조명부(621,622)의 어느 일측에 외부 전원의 인가를 위한 접속 리드(630)가 필요하므로, 접속 리드(630)의 형성 영역(L1)과 이에 접속될 접속 소켓과의 조립 마진(L2)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의 거리를 합친만큼(L1 + L2) 전체 이격 거리( LA)가 늘어나게 되므로, 인접한 양쪽 조명부 사이에서 암부 영역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 사이에서 두 발광칩(211)의 거리는 LA 이다. 이때, 연결 라인(311) 및 접속 패드(312,313)는 사이즈의 소형화가 매우 용이하여 충분히 작게 예를들어, 양측의 접속 패드(312,313)가 접촉될 만큼 가깝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양쪽 조명부(210,220) 사이에서 암부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평판 형상의 도광판(810)과, 상기 도광판(810)의 인접한 두개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821,822) 및 상기 복수의 조명부(821,822)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830) 및 상기 접속부(83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조명부(821,822) 전체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부(8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속부(830) 및 리드부(840)는 양(+) 전압과 음(-)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각기 한 쌍(831,832)(841,842)으로 마련되고, 각각의 접속부(831 또는 832)는 도광판(810)의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831a 또는 832a) 및 상기 연결 라인(831a 또는 832a)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속되며, 인접한 양쪽 조명부(821,822)의 표면에 각각 형성된 접속 패드(831b,831c 또는 832b,832c)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의 연결 라인(831a 또는 832a)는 도광판(810)이 갖는 4개의 측면 중에서 인접한 두 측면이 이루는 경계선 즉, 모서리를 가로질러 절곡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광판이 갖는 4개의 측면 중에서 인접한 두개의 측면에 장착된 조명부(821,822)의 양쪽 접속 패드들(831b,831c 또는 832b,832c)이 연결 라인(831a 또는 832a)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도광판의 전체 측면 중 1개의 측면에만 복수의 조명부가 장착될 수 있고, 인접한 2개의 측면에 복수의 조명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판의 전체 측면 각각에 복수의 조명부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경우에도 전술한 연결 라인 및 접속 패드를 통한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여, 인접한 조명부들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곳에서의 암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한편, 본 전술한 평판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평면 광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가능성의 일예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910)과, 상기 액정 표시 패널(9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920,930,940,950)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920,930,940,950)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제어부(96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910)은 상부 기판(911)과 상부 기판(911)과 대향 배치된 하부 기판(912) 및 두 기판(911,912) 사이에 위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하며, 화상 신호에 따라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동되어 액정층의 광 투과율이 제어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백라이트 유닛(920,930,940,950)은 액정 표시 패널(9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액정 표시 패널(910)의 배면에서 화상 표시용 광을 제공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910)에 표시된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게 해준다. 본 실시예의 백라이트 유닛(920,930,940,950)은 광을 생성하는 광원 유닛(940)과, 광원 유닛(940)의 측면에 배치되는 도광판(930)과, 도광판(9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학 시트(910) 및 도광판(9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950)를 포함하는 에지 타입(Edge Type)으로 장착된다. 여기서, 광원 유닛(940)은 도광판(930)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광판(930)의 양쪽 측면 또는 전체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 유닛(940) 및 도광판(93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광원 유닛(940)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D)로 구성되고, 도광판(930)은 복수로 분할되며, 분할된 도광판(931,932)의 측면 영역에는 복수의 광원 유닛(941,942)이 각각 배치된다. 이때, 분할 경계를 가로질러 인접한 양쪽 도광판(931,932)의 측면 표면에 형성한 연결 라인(L) 및 이에 대응하는 인접한 양쪽 광원 유닛(941,942)의 안쪽 표면에 각각 형성한 접속 패드(P1,P2)가 접촉되어, 인접한 양쪽 광원 유닛(941,942)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 라인(L) 및 접속 패드(P1,P2)에 의한 전기 접속 방식은 인접한 양쪽 광원 유닛(941,942) 사이의 이격 거리를 초소화시켜, 분할된 양쪽 광원 유닛들(941,942) 사이에서 암부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960)는 연성 인성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970) 등을 통해 백라이트 유닛(920,930,940,950)의 구동에 필요한 전기적 신 호를 전달한다. 이때, 백라이트 제어부(960)는 로컬 디밍 회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화상 특성에 적합한 발광 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광원 유닛(940)을 제어한다. 따라서, 도광판(930)의 분할 영역에 각각에는 서로 다른 특성의 광이 제공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화상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형광등, 가로등 등을 대체하는 다양한 평면 광원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평판 조명 장치의 접속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판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500: 리드프레임부 110, 510: 제 1 리드프레임
100,810: 도광판 210,220,821,822: 조명부
211: 발광칩 212: 기판
213: 몰딩부 300,830: 접속부
311,321,831a,831b: 연결 라인 400,840: 리드부
312,313,322,323,831b,831c,832b,832c: 접속 패드
510,520,841,842: 접속 리드

Claims (9)

  1. 평판 형상의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복수의 조명부; 및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된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속되고, 인접한 복수의 조명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접속 패드; 를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복수의 도광 영역으로 분할된 평판 조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도광판의 인접한 두 측면 영역이 이루는 경계선을 가로질 러 형성된 평판 조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도전체를 인쇄하여 형성한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외면에 형성된 도전 라인을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도전 라인의 사이에 가요층이 형성된 평판 조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조명부 전체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리드부; 를 포함하는 평판 조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복수의 조명부 중 최외측에 배치된 조명부에 마련된 평판 조명 장치.
KR1020090027638A 2009-03-31 2009-03-31 평판 조명 장치 KR10156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638A KR101562775B1 (ko) 2009-03-31 2009-03-31 평판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638A KR101562775B1 (ko) 2009-03-31 2009-03-31 평판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74A KR20100109174A (ko) 2010-10-08
KR101562775B1 true KR101562775B1 (ko) 2015-10-23

Family

ID=4313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638A KR101562775B1 (ko) 2009-03-31 2009-03-31 평판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3450A (zh) * 2018-09-04 2019-01-2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的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673B1 (ko) 2010-12-08 2018-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모듈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021967B1 (ko) * 2012-12-28 2019-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3450A (zh) * 2018-09-04 2019-01-25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三维存储器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174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5054B2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KR101255833B1 (ko) 액정표시장치
US7830356B2 (en) Surface light source using LED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urface light source
TWI342973B (en) Light source utilizing a flexible circuit carrier
EP1947490B1 (en) Backlight assembly and cover for a compact display apparatus
EP2354819B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P2068378B1 (en) LED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60098441A1 (en) Backlight module
US20090002598A1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80086245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368857B1 (ko) 광원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26841A (ko)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US7205719B2 (en) Light source with LED and optical protrusions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0708461B1 (ko) 멀티-칩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를 구비한 측광형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326421A1 (en) Light-emitting assembly
KR101562775B1 (ko) 평판 조명 장치
US8303155B2 (en) Bifacial light emitting backlight
KR101291958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12511A (ko) Led 유닛,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표시 장치
KR20110129619A (ko) 발광 장치
KR20080029351A (ko) 엘이디 백라이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402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20070825A (ko) 발광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JP2010277853A (ja) 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