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960B1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960B1
KR101561960B1 KR1020150040553A KR20150040553A KR101561960B1 KR 101561960 B1 KR101561960 B1 KR 101561960B1 KR 1020150040553 A KR1020150040553 A KR 1020150040553A KR 20150040553 A KR20150040553 A KR 20150040553A KR 101561960 B1 KR101561960 B1 KR 10156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rack
information
room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머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머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머시
Priority to KR102015004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960B1/ko
Priority to PCT/KR2016/002163 priority patent/WO20161531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대상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장비실 정보 및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랙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대상 랙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랙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B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DB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DB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MANAGEMENT METHOD OF ARRANGEMENT STATE OF EQUIPMENT USING DATABASE}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업무 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각종 장비들을 장비실들에 배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종래에는, 장비들에 대한 배치 현황을 관리하기 위하여, 장비배치현황에 대한 정보를 전자파일로 문서화하고, 도면작성자가 이 전자파일에 기초하여 도면 작성기(예를 들어, 포토샵, 일러스트, CAD 등)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수작업으로 작성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가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을 내재하고 있다.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현황정보는 해당 담당자에 의해 즉각적인 수정/변경이 가능하지만, 장비배치도는 도면 작성기를 통한 수작업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비배치도에 대한 수정은 신속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수정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로 장비의 크기 확장, 재배치 등의 위치 이동, 폐기 등 장비의 철거 등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장비배치현황정보 관리자가 장비배치현황정보를 수정한 이후, 수정된 정보를 도면작성자에게 전달하고, 도면작성자가 도면 작성기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에 대한 수정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비배치도 수정 작업의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도를 통해 전체적인 장비실의 장비배치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는 있으나, 장비실에 설치된 랙(rack) 안에 들어있는 작은 크기의 장비들에 대한 위치확인 등 실질적인 세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도가 조사된 장비의 수치로 표현된 위치 정보를 도면 작성자가 도면 작성기를 사용하여 그림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작성되므로, 작성된 장비배치도의 오류가 초래될 수 있으며, 장비배치도와 자원현황의 이원화 관리로 장비 위치가 변경되면 전체의 배치도를 대상으로 수정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장비현황과 장비배치도의 불일치성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장비배치현황정보 관리 담당자 또는 장비배치도 작성 담당자의 부재 시에는, 장비 배치 상태에 대한 수정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방식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을 고려하면, 기업의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각종 장비의 위치를 직관적이며, 실질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87916호(공개일자: 2007년 08월 29일)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비실에 배치된 장비들에 대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 발생 이전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장비 배치도에서 장비에 대한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장비의 변경과 관련한 입력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데이터베이스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장비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장비 변경 내역이 반영된 갱신된 장비 배치도를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사된 장비의 수치로 표현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서버에 설치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장비배치현황과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이동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및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랙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이동대상 랙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랙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이동대상 장착장비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상기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삭제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삭제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삭제대상 랙에 장착장비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장착장비와 상기 삭제대상 랙을 모두 삭제하는 전체 삭제 또는 상기 장착장비를 제외한 삭제대상 랙을 삭제하는 일부 삭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삭제방식 선택 요청단계, 상기 일부 삭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삭제대상 랙에 장착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상기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미삭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랙 정보에 상기 삭제대상 랙에 대한 폐기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상기 이동대상 랙이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비실이 상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로 선택된 경우, 상기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에서는,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선택된 장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인 화면정보 및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 랙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배치된 랙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랙 현황정보 및 랙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랙 표시자 생성단계 및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와 상기 랙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랙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비 배치도가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의 크기와 상기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을 환산하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를 환산하는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단계 및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에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상기 랙 표시자 생성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시설물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설치된 시설물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를 생성하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시설물 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및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에 의해 환산된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상기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랙 표시자 생성단계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랙 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및 랙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에 의해 환산된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상기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랙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랙 실장도 표시단계에서, 랙 실장도 생성/표시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상기 장착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실에 배치된 장비들에 대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 발생 이전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장비 배치도에서 장비에 대한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장비의 변경과 관련한 입력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데이터베이스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장비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장비 변경 내역이 반영된 갱신된 장비 배치도가 자동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수치화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서버에 설치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장비배치현황과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적용하기 위한 실물 현황에 대한 조사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서버에 포함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포함된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포함된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포함된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포함된 랙 표시자 생성단계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장비실 들의 실물 현황에 대한 조사 과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하기 위한 실물 현황에 대한 조사 과정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장비실들에 설치된 시설물, 랙,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들에 대한 실물 현황 조사 및 이에 따라 획득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이 개시되어 있다. 장비실은 서버실 등을 포함하여 특정 공간에 특정 장비가 설치되는 모든 장소일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은 장비실에 구비된 기둥, 출입문 및 창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랙은 소형의 장착장비가 장착되는 모든 구조물일 수 있다. 장비실에는 랙에 장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독립장비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랙은 이 독립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먼저, 장비실들에 대한 조사가 수행된다. 즉, 장비실의 3차원 형태를 조사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들을 3차원 직교좌표로 정리한다.
장비실과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장비실 정보는 장비실 축척비율정보, 장비실 식별정보 및 장비실 형태정보를 포함한다.
장비실 축척비율정보는 장비실 형태정보 즉, 장비실에 대한 실측 정보를 비례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정보로서, 실물 조사에 앞서 관리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장비실 식별정보는 다수의 장비실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장비실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장비실 형태정보는 장비실 실물에 대한 실측 정보이거나 장비실 실물에 대한 실측 정보를 장비실 축척비율정보로 환산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순히 장비실이 직육면 형태를 갖는 경우, 길이, 폭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설물과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시설물 정보는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 표현정보를 포함한다.
시설물 현황정보는 장비실들에 구비된 시설물 실물의 위치와 크기 등에 대한 실측 정보이거나 이 실측 정보를 장비실 축척비율정보로 환산한 정보일 수 있다.
시설물 표현정보는 시설물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랙과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랙 정보는 랙 식별정보, 랙 현황정보 및 랙 표현정보를 포함한다.
랙 식별정보는 다수의 랙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랙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랙 현황정보는 장비실들에 배치된 랙들의 종류, 사양, 배치 위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랙 표현정보는 랙을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장착장비와 관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장착장비 정보는 장착장비 식별정보,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 표현정보를 포함한다.
장착장비 식별정보는 다수의 장착장비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장착장비에 부여되는 정보이다.
장착장비 현황정보는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장비 표현정보는 장착장비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도형,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아이콘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들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정되어 갱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장비실에 배치된 랙 또는 장착장비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서버에 포함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이동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110),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140),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150) 및 DB 갱신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1), 데이터베이스(2), 서버(3) 및 이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된 시스템 환경에서 실시된다.
서버(3)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의한 연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메모리(20) 및 사용자 단말(1)과 데이터베이스(2)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위치이동의 대상이 되는 랙인 이동대상 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둘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셋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표시한다. 넷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상에서 이동대상 랙이 배치되는 위치와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다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장비 배치도를 통해 지정된 이동대상 랙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한다. 여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이동대상 랙과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2)가 갱신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서버(3)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서버(3)가 아닌 사용자 단말(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랙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동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11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이동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은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이동대상 랙을 선택하고 그 위치이동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 선택되는 장비실은 이동대상 랙이 현재 배치되어 있는 동일 장비실 또는 타 장비실일 수 있다.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에게 이동대상 랙을 동일 장비실에 이동 배치할 것인지 또는 타 장비실에 이동 배치할 것인지에 대해 문의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동일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후술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를 통해 동일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타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은 사용자에게 타 장비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타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후술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를 통해 타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장비실 정보, 이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이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를 참조하여,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8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S132),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S134), 랙 표시자 생성단계(S136) 및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S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S132)에서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200)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인 화면정보 및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화면의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9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S132)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S1322),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단계(S1324) 및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S1322)에서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210)이 장비배치도영역의 크기와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을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장비배치도가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S1322)를 통해, 화면 크기에 종속적인 장비배치도영역의 크기를 반영하여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을 환산한다. 장비실 식별정보 및 장비실 형태정보는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210)은 데이터베이스(2)에서 이 정보들을 조회하여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을 환산하며,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은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단계(S1324)에서는,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220)이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를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에 대한 정보는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26)에서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모듈(230)이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220)에 의해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장비실 표시자는 격자 무늬로 구획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 정보는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S134)에서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모듈(300)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설치된 시설물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S134)는 랙 표시자 생성단계(S136)의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S134)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S1342) 및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S1342)에서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310)이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210)에 의해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 현황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가 표시된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환산된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는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44)에서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모듈(320)이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310)에 의해 환산된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는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생성된 시설물 표시자 정보는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랙 표시자 생성단계(S136)에서는, 랙 표시자 생성모듈(400)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배치된 랙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랙 현황정보 및 랙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랙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데이터베이스(2)에는 아직 이동대상 랙의 위치 변경과 관련된 정보가 반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랙 표시자 생성단계(S136)에서 생성되는 랙 표시자는 위치 변경 이전의 상태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랙 표시자 생성단계(S136)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S1362) 및 랙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S1362)에서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410)이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는 랙 현황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랙 표시자 생성/제어단계(S1364)에서는, 랙 표시자 생성/제어모듈(420)이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410)에 의해 환산된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는 랙 표현정보에 따라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랙 표시자는 장비실 표시자를 구성하는 격자 구획영역에 랙 표현정보에 대응하는 색상이 부가된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생성된 랙 표시자는 서버(3)에 구비된 메모리(20)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S138)에서는,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500)이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S132)에서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S134)에서 생성된 시설물 표시자 및 랙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랙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비 배치도가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1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였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14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장비 배치도에서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러한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140)는 이동대상 랙이 동일 장비실 내에서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이동 대상 랙이 동일 장비실 내에서 이동되는 경우, 즉,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를 통해, 이동대상 랙이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비실이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로 선택된 경우,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140)는, 표시되는 장비 배치도에서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장비 배치도상의 특정 격자 구획영역에 배치된 이동대상 랙을 드래그하여 이동 배치지점에 해당하는 격자 구획영역에 드롭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대상 랙이 타 장비실로 이동되는 경우, 즉,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120)를 통해, 이동대상 랙이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비실이 아닌 타 장비실이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로 선택된 경우, 한 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을 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된 타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 상에서 특정 지점 즉, 이동 배치지점에 해당하는 격자 구획영역을 클릭(click)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15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장비 배치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랙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 획득되는 이동위치/크기정보는 지정된 격자 구획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에 대한 정보는 지정된 격자 구획영역의 행과 열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크기에 대한 정보는 지정된 격자 구획영역의 개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DB 갱신단계(S16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이동대상 랙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랙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수행되면, 데이터베이스(2)는 이동대상 랙의 위치 변경이 반영되어 갱신된다. 따라서,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비의 위치 변경 사항을 장비 배치도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서버에 포함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제2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며, 생략된 설명 부분은 제1 실시 예의 해당 부분에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이동대상 장착장비 선택명령 입력단계(S210),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220),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230),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240), 랙 실장도 표시단계(S250),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260),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270) 및 DB 갱신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위치이동의 대상이 되는 장착장비인 이동대상 장착장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둘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배치될 장비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셋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표시한다. 넷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상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다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여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랙 실장도상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장착되는 위치와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일곱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장비 배치도를 통해 지정된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한다. 여덟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이동대상 장착장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2)가 갱신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장착장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동대상 장착장비 선택명령 입력단계(S21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이동대상 장착장비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은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를 선택하고 그 위치이동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22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단계에서 선택되는 장비실은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현재 배치되어 있는 동일 장비실 또는 타 장비실일 수 있다.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22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에게 이동대상 장착장비를 동일 장비실에 이동 배치할 것인지 또는 타 장비실에 이동 배치할 것인지에 대해 문의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동일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후술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230)를 통해 동일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타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은 사용자에게 타 장비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특정 타 장비실이 선택된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후술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230)를 통해 타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23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장비실 정보, 이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이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를 참조하여,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220)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24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장비 배치도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과 구체적인 선택방식은 앞서 설명한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220)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랙 실장도 표시단계(S25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240)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랙 실장도 표시단계(S250)는, 랙 실장도 생성/표시모듈(600)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26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랙 실장도에서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27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DB 갱신단계(S28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수행되면, 데이터베이스(2)는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위치 변경이 반영되어 갱신된다. 따라서,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비의 위치 변경 사항을 장비 배치도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실행되는 시스템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서버에 포함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제3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며, 생략된 설명 부분은 제1 및 제2 실시 예의 해당 부분에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은 삭제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310), 삭제방식 선택 요청단계(S320),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330),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340),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350), 랙 실장도 표시단계(S360),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370),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380) 및 DB 갱신단계(S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있어서의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삭제의 대상이 되는 랙인 삭제대상 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둘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삭제대상 랙에 장착장비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장착장비와 삭제대상 랙을 모두 삭제하는 전체 삭제 또는 장착장비를 제외한 삭제대상 랙을 삭제하는 일부 삭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셋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일부 삭제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삭제대상 랙에 장착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 배치될 장비실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넷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자동적으로 생성하여 표시한다. 다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상에서 미삭제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여섯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일곱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가 랙 실장도상에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 장착되는 위치와 크기를 지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여덟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사용자에 의해 장비 배치도를 통해 지정된 미삭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한다. 아홉째, 장비 배치도 생성기(10)는 미삭제 장착장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2)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2)가 갱신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장착장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31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포함된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삭제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이 과정은 사용자가 장비 배치도 생성기(10)에 의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삭제대상 랙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삭제방식 선택 요청단계(S32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삭제대상 랙에 장착장비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에게 전체 삭제와 일부 삭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전체 삭제는 장착장비와 삭제대상 랙을 모두 삭제하는 것이고, 일부 삭제는 장착장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외한 삭제대상 랙을 삭제하는 것이다. 일부 삭제가 선택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삭제대상 랙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장비를 다른 랙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33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일부 삭제가 선택된 경우, 삭제대상 랙에 장착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앞서,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한 바 있지만, 장비실에 대한 선택 과정에서, 현재 삭제대상 랙이 배치되어 있는 동일 장비실이 선택되거나 타 장비실이 선택될 수 있다.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S34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장비실 정보, 이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이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2)를 참조하여,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330)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35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장비 배치도에서 미삭제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표시되는 인터페이스 화면과 구체적인 선택방식은 앞서 설명한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S330)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랙 실장도 표시단계(S360)에서는,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S350)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랙 실장도 표시단계(S360)는, 랙 실장도 생성/표시모듈(600)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어 있으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장착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S37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랙 실장도에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S38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미삭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DB 갱신단계(S390)에서는,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100)이 미삭제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하고,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랙 정보에 삭제대상 랙에 대한 폐기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2)를 갱신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수행되면, 데이터베이스(2)는 삭제대상 랙에 삭제 사항 및 삭제대상 랙에 장착되어 있던 미삭제 장착장비의 위치 이동 사항이 반영되어 갱신된다. 따라서,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10)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비의 삭제 및 위치 변경 사항을 장비 배치도를 통해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장비 배치도를 이용하여 장비의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사항을 입력하면, 입력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위치를 조회하는 경우, 장비 배치도 생성기가 갱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비실에 배치된 장비들에 대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변경 발생 이전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 장비 배치도에서 장비에 대한 위치 변경, 삭제 등의 변경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장비의 변경과 관련한 입력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실시간 갱신하고, 데이터베이스 갱신 이후에 사용자가 장비 배치상태를 조회하는 경우, 갱신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장비 변경 내역이 반영된 갱신된 장비 배치도가 자동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장비 배치상태에 대한 관리 효율성이 크게 향상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배치현황정보와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현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고장 등의 비상상황, 장비점검 등의 정비 시에 장비의 상세 위치를 확인, 장비실의 운용 계획, 장비실의 통신선, 전력선 등 케이블들의 포설경로 운용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장비관리 환경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신규 설치, 증설에 따른 장비크기의 확장, 장비의 위치이동, 장비의 철거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장비 현황정보(위치정보포함)의 수정/신규등록에 따른 장비배치도의 즉각적인 반영으로 장비배치도 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비의 수치화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비배치현황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서버에 설치된 장비 배치도 생성기를 이용하여 장비배치도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장비배치현황과 장비배치도에 대한 관리를 일원화하고 장비배치도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사용자 단말
2: 데이터베이스
3: 서버
10: 장비 배치도 생성기
20: 메모리
30: 통신부
100: 장비 배치상태 관리모듈
200: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
210: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
220: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
230: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모듈
300: 시설물 표시자 생성모듈
310: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
320: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모듈
400: 랙 표시자 생성모듈
410: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
420: 랙 표시자 생성/제어모듈
500: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
600: 랙 실장도 생성/표시모듈
S110: 이동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S120, S220, S330: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S130, S230, S340: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S140: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S150: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S160, S280, S390: DB 갱신단계
S210: 이동대상 장착장비 선택명령 입력단계
S240, S350: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S250, S360: 랙 실장도 표시단계
S260: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S270: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S310: 삭제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S320: 삭제방식 선택 요청단계
S370: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S380: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S132: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
S134: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
S136: 랙 표시자 생성단계
S138: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
S1322: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
S1324: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단계
S1326: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단계
S1342: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S1344: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단계
S1362: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S1364: 랙 표시자 생성/제어단계

Claims (10)

  1. 이동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및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랙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이동대상 랙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랙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선택된 장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인 화면정보 및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
    랙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배치된 랙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랙 현황정보 및 랙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랙 표시자 생성단계; 및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와 상기 랙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랙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비 배치도가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2. 이동대상 장착장비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상기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이동대상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이동대상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선택된 장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인 화면정보 및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
    랙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배치된 랙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랙 현황정보 및 랙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랙 표시자 생성단계; 및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와 상기 랙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랙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비 배치도가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3. 삭제대상 랙(rack)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삭제대상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삭제대상 랙에 장착장비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장착장비와 상기 삭제대상 랙을 모두 삭제하는 전체 삭제 또는 상기 장착장비를 제외한 삭제대상 랙을 삭제하는 일부 삭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삭제방식 선택 요청단계;
    상기 일부 삭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삭제대상 랙에 장착된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 배치될 장비실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
    장비실 정보, 상기 장비실 정보에 매칭된 랙 정보 및 상기 랙 정보에 매칭된 장착장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저장된 DB를 참조하여,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장비실에 대한 장비 배치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가 장착될 랙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받는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선택된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랙 실장도 표시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가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입력받는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
    상기 랙 실장도에서 지정된 미삭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수치화하여 이동위치/크기정보로 환산하는 미삭제 장착장비 위치/크기정보 환산단계; 및
    상기 미삭제 장착장비의 이동위치/크기정보에 따라 상기 DB에 저장된 장착장비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DB에 저장된 랙 정보에 상기 삭제대상 랙에 대한 폐기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상기 DB를 갱신하는 DB 갱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선택된 장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정보인 화면정보 및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의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의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를 생성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
    랙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배치된 랙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랙 현황정보 및 랙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를 생성하는 랙 표시자 생성단계; 및
    장비배치도 표시/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장비실 표시자와 상기 랙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랙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비 배치도가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장비 배치도 표시/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실 선택명령 입력단계를 통해, 상기 이동대상 랙이 현재 배치되어 있는 장비실이 상기 이동대상 랙이 배치될 장비실로 선택된 경우,
    상기 이동대상 랙 위치/크기 지정명령 입력단계에서는, 상기 장비 배치도에서 상기 이동대상 랙이 이동배치될 영역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지정명령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실 표시자 생성단계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의 크기와 상기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장비실 표시자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을 환산하는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 환산단계;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장비실 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를 환산하는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단계; 및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형태/크기 환산모듈에 환산된 장비실 표시자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장비실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장비실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 배치도 표시단계는
    상기 랙 표시자 생성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시설물 표시자 생성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장비실에 설치된 시설물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시설물 현황정보 및 시설물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를 생성하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표시자 생성단계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시설물 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및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시설물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에 의해 환산된 시설물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상기 시설물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시설물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시설물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랙 표시자 생성단계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이 상기 장비실 표시자 표시비율과 상기 랙 현황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를 환산하는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단계; 및
    랙 표시자 생성/제어모듈이 상기 랙 표시자 위치/크기 환산모듈에 의해 환산된 랙 표시자의 위치와 크기 및 상기 랙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장비배치도영역에 표시될 랙 표시자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랙 표시자 생성/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 실장도 표시단계에서,
    랙 실장도 생성/표시모듈이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으며 랙에 장착된 장착장비의 위치와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인 장착장비 현황정보 및 상기 장착장비를 표현하기 위한 정보인 장착장비 표현정보에 따라 상기 랙 실장도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KR1020150040553A 2015-03-24 2015-03-24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KR10156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53A KR101561960B1 (ko) 2015-03-24 2015-03-24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PCT/KR2016/002163 WO2016153189A1 (ko) 2015-03-24 2016-03-03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553A KR101561960B1 (ko) 2015-03-24 2015-03-24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960B1 true KR101561960B1 (ko) 2015-10-20

Family

ID=5440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553A KR101561960B1 (ko) 2015-03-24 2015-03-24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1960B1 (ko)
WO (1) WO20161531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85B1 (ko) * 2019-11-28 2020-07-16 (주)시큐레이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를 최적화된 위치에 어레인지먼트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어레인지먼트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어레인지먼트 추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73405B (zh) * 2017-12-29 2020-03-3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卸载方法及移动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253A (ja) 2011-05-13 2012-12-06 Fit Pacific Inc ラック実装機器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054A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빌딩 에너지 관리를 위한 장비 배치 시뮬레이션 장치
KR20150010054A (ko) * 2013-07-18 2015-0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비 위치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253A (ja) 2011-05-13 2012-12-06 Fit Pacific Inc ラック実装機器の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ruxureWare Operations용 사용자 지원, dcimsupport 홈페이지(http://dcimsupport.apc.com/pages/viewpage.action?pageId=2906575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785B1 (ko) * 2019-11-28 2020-07-16 (주)시큐레이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객체를 최적화된 위치에 어레인지먼트하도록 하기 위한 객체 어레인지먼트 추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객체 어레인지먼트 추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189A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6844A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US10372839B2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optimized interaction with digital models
US102008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design, improvement, expansion, and deployment
US20120320058A1 (en)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874197B1 (ja) 設備管理プログラム、設備管理方法、および設備管理システム
CN108491545A (zh) 一种国土资源数据移动监管系统
Akinci Situational awareness in construction and facility management
KR102088579B1 (ko) 플랜트 시공 단계에서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를 통한 모바일 플랜트 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41512A (ko) 지도생성시스템 및 지도관리시스템
CN116316614B (zh) 电网三维数字孪生系统、性能分析方法及相关装置
US20160179084A1 (en) Common parameter interface generation program and parameter reading program
US20240144576A1 (en) 3d object management data, computer program, and distributed management method for 3d object
JP2016192205A (ja) マップ画像およびデータの永続的キャッシング
EP3149609A1 (en) Creation of associative 3d product documentation from drawing annotation
KR101561960B1 (ko)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장비 배치상태 관리방법
WO2020206378A1 (en) Two-dimensional interactive construction drawings
KR101476909B1 (ko) 블록 이미지를 이용한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US20240053860A1 (en) Mobile Viewer Object Statusing
CN110447018B (zh) 操作管理服务器、开发操作支持系统及其方法以及存储其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CN111177838B (zh) 基于三维建筑模型的数据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7004687A (ja) グリッド生成方法
CN111369665A (zh) 一种基于三维建模技术的生产状态监测系统及监测方法
JP7556901B2 (ja) 配信制御装置及び配信制御方法
KR101107365B1 (ko) 네비게이션을 갖춘 3차원 케이블 객체생성 시스템 및 그 객체생성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0927137B1 (ko) 데이터 갱신장치, 갱신방법 및 그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