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504B1 -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 Google Patents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504B1
KR101561504B1 KR1020140043580A KR20140043580A KR101561504B1 KR 101561504 B1 KR101561504 B1 KR 101561504B1 KR 1020140043580 A KR1020140043580 A KR 1020140043580A KR 20140043580 A KR20140043580 A KR 20140043580A KR 101561504 B1 KR101561504 B1 KR 101561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space
scattering chamber
honey
honeycom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창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비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비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비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2Devices for uncapping honeycom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hone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pawning room including an inner space part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honeycombs provided for the spawning of honeybees and a mounting part capable of bearing heavy loads included at an external lower end thereof; a net-shaped excluder for controlling the entry of a queen bee by being placed on the honeycombs accommodated in a rail part inside the spawning room; a square-shaped honey comb supporte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uneven part formed at one side of an upper end of the spawning room, and stacks and mounts multilayered honeycombs at a first space part having perforated holes, on the outer side of an upper end thereof; and an opening/closing cover which is detachable to inspect the honeycombs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pawning room. The honey comb supporter forms a second spac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art, the second space part can vertically replace the honeycombs, and has a space connectable to the spawning room.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inner inspection by obtaining a space for the spawning room and the honeycomb supporter as the length of the spawning room is extended in a lateral direction tha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operations for the increase and decrease or the replacement of honeycombs and comb frames can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벌집 꿀 채집장치{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본 발명은 벌집 꿀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산란실과 벌꿀통의 넓이가 기존에는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산란실이 필요치 않았다. 그러나, 산란실의 내검 활동 강화와 기투입된 소초광 또는 소비광의 증감과 교체작업을 효율적이고 자유롭게 실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분봉(分蜂)이 발생하고 약군이 형성됨에 따라 벌꿀의 품질향상과 생산성 저하를 사전방지하기 위하여 산란실의 상부에 커버(벌꿀통받침대)를 설치하여 산란실의 내부 활동공간 넓이를 추가적으로 더 넓게 확보하고, 작업자가 벌꿀통과 여왕벌의 상태를 자유롭고 손쉽게 내검(내부검사)을 실시하는데 지장이 없고, 소초광과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 작업이 아주 자유롭고 손쉽게 실시하기 위한 벌집 꿀 채집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neycomb honey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since a scattering chamber and a honeycomb are used in the same or similar sizes, a separate scattering chamber is not required. However, due to the fact that the intestines of the egg laying room have been strengthened and the introduction and replacement of the sowing light or consumed light has not been carried out efficiently and freely, the honeybees are formed and the quality of the honey is improved and productivity is lowered In order to prevent it, a cover (honey barrel support)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awning room to further increase the internal activity space of the spawning room, and the operator can freely and easily perform the internal inspection This invention relates to a honeycomb honey collecting apparatus for easily and intensively changing or replacing sod or light and consumed light.

통상적으로 양봉이라 하면, 벌꿀, 화분, 로열젤리, 밀랍 등을 얻기 위하여 꿀벌들을 인위적으로 생육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며, 꿀벌들은 상당히 민감하여 온도, 습도, 통풍량의 정도에 따라 생육상태와 벌꿀 생산량에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써, 상기 조건을 흡족하도록 정성과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 이를 소홀히 하고, 작업자가 직접 산란실과 벌꿀통을 자주 확인점검하여 산란실의 생육상태와 위생관리 등을 고려하여 안락(安樂)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Generally, beekeeping refers to artificially growing bees to obtain honey, pollen, royal jelly, and beeswax. Honey bees are very sensitive, and they are highly sensitive to temperature, humidity, and amount of ventilation, It is necessary to pay diligence and efforts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by being influenced, and it is neglected, and the worker himself checks and checks the spawning room and the honey bar frequently to consider the growth condition of the spawning room and hygiene manageme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또한, 밀원(蜜源)이 풍부한 유밀기(有蜜期)에는 봉군(蜂群)이 소문을 통해 출입하면서 외부에 산재한 꽃으로부터 채집한 꿀을 소비의 소초에 저장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꿀을 소비로부터 채취함으로써 벌꿀을 인위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In addition, during the honeydew season, the honeybees enter and exit through rumors, and the honey collected from the flowers scattered from the outside is stored in the consumption primevalues, and the stored honey is consumed To produce artificially honey.

한편, 꿀벌은 그 생리적으로 보아 계절별로 날씨가 따뜻하고 꽃이 많이 피는 유밀기에는 꿀벌들의 빈번한 채굴활동에 의하여 봉분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거나 사멸하지 않도록 사전 점검을 강화하여야 하고, 또한 기온이 낮고 꽃이 피지 않는 무밀기에도 다른 벌들에 의한 도봉을 방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었다. On the other hand, honey bees are physiologically seasons, and in warm-weather and flowering oysters, preliminary check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y are not stressed or killed due to frequent mining activities of bees,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beating by other bees even when the beating is not performed.

종래기술은 양봉통과 상기 양봉통의 상부에 사각 벌꿀통을 활용하여 벌꿀을 생산하였으나, 산란실과 벌집꿀을 생산하는 사각 벌꿀통 사이에는 격왕판 만 구비되었다. 꿀벌들의 일반적인 생태를 살펴보면 사각 벌꿀통 상측으로부터 벌집을 짓기 시작해서 그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벌집을 연결하는 작업을 계속 진행하면서 벌꿀, 화분, 산란 등으로 충진하여 채우는데, 종래에는 벌집 짓기 상황을 관찰하여 이를 파악하려고 하면, 사각 벌꿀통 전체를 분리하여 벌집 짓는 상황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사각 벌꿀통의 과중한 무게를 반복적으로 순차 이동하는 작업을 병행하는 것은, 농촌의 한계인력(즉 소수의 노약자)으로는 노동의 한계가 있고, 적기에 빈 사각 벌꿀통을 하측에 추가로 투입하지 못하는 관계로 인하여 분봉이 발생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prior art, honeycomb was produced by using a square honeycomb barrel in the upper part of the beeping barrel in the past, but only the honeycomb barrel was provided between the honeycomb barrel producing scattering chamber and honeycomb honey. When we look at the general ecology of honeybees, we begin to construct a honeycomb from the top of the honeycomb, and continue to work on connecting the honeycomb to the bottom of the honeycomb, filling it with honey, pollen, scattering, etc. In the past, In order to grasp this, it is necessary to closely observe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separating the whole honeycomb barrel, so that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and sequentially move the heavy weight of the square barrel barrel, The elderly people of the age group) have labor limitations, and due to the fact that they can not input the empty square honeycomb in the lower part at the right time, there arises a problem of low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이러한 양봉은 산란실의 활동공간 넓이와 벌집 꿀을 생산하는 사각 벌집 통의 넓이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에는 별도의 산란실 개폐커버가 필요치 않았다. Such beekeepers do not require separate spawning chamber opening / closing covers in the prior art because the area of the active space of the spawning chamber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rea of the rectangular honeycomb barrel producing the honeycomb honey.

그러나, 산란방의 내검 또는 이미 투입되어 있는 소초광 및 소비광의 증감, 교체 등의 필수작업은 수시로 자유롭게 확인하여 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산란실 상부(위쪽)에 있는 무거운 벌꿀통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산란실의 내부상황을 관측하는 정도의 내검을 제한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산란실의 상측에 적층된 벌꿀통에 벌꿀이 가득 들어 있을 경우를 살펴보면, 벌꿀통 각각의 무게가 약 4㎏ 정도인데 5단~20단 즉 다단으로 적층할 경우, 그 무게가 약 20㎏~80㎏정도로 무거우며, 그 장소에는 벌꿀통의 산란실 갯수가 소수개의 경우에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지 않지만, 양봉가들의 경우 수십통에서 수백통 이상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내점시 소요되는 시간과 과중한 노동력증가로 내검이나 소초광 또는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 등의 작업 횟수가 제한되거나 작업성 저하로 경제성이 없는 실정이었다.However, in order to confirm the necessary work such as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owing light and consumed light which are already put into the scattering room or to change it, it is necessary to move the heavy honey tubs in the upper part (upper s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lso, when the honeycomb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is filled with honey, the honeycomb weight of each honeycomb is about 4 kg, and when the honeycomb is stacked in 5 to 20 stages, that is, ~ 80 ㎏, and it is not pointed out as a problem when the number of spawning chambers of honey bee is small in the place, but since beekeepers own more than a few hundred to several hundred tanks, the time required for visiting and the increase in labor force The number of workings such as increase or decrease of intestine, soymilk light or consumed light was limited, or the workability was lowered, which was not economical.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내검 실시를 자유롭고 쉽게 자주 실시할 수 없으므로 분봉이 발생하고 그 영향으로 약군 조성으로 벌꿀의 품질이 저하되고 벌꿀의 생산성과 경제성이 저하되었다.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it is not possible to carry out the test of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and freely, so that the spraying occurs,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honey is lowered due to the composition of the herb composition and the productivity and economy of honey are lowered.

KR 20-0435154 Y1(2007.01.03)KR 20-0435154 Y1 (2007.01.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을 극복개선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산란실 상단 일측에 벌꿀통 받침대가 설치됨에 따라 산란실 활동공간 넓이와 높이를 추가 확보하여 자유로운 내검 실시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이에 따른 산란실 주변환경과 영양상태, 벌집의 조성상태, 분봉 상태를 파악 관리함과 동시에 소초광,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작업에도 지장이 없도록 하고, 상기 내검과 소초광,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에 따른 환경변화로 꿀벌들에게 미치는 스트레스 최소화로 안락한 휴식공간 제공으로 벌꿀의 생산성과 번식을 향상시켜 벌집 꿀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and developed to overcome various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honeycomb pedestal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attering room, thereby securing additional space width and height of the scattering room, And the state and condition of the honeycomb formation and the distribution state of the honeycomb, and at the same tim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consumption light or the consumption light of the egg shell, Or honeycomb honey,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propagation of honey by providing comfortable rest space by minimizing stress on bee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replacement of honeycomb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벌집 꿀 채집장치는,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neycomb honey collecting apparatus comprising:

꿀벌들의 산란을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소초광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와 외측 하단에는 견고한 하중에 지탱 가능한 안착부가 구비된 산란실과,A scattering chamber having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foresicters provided for scattering bees and a seating for supporting a strong load at the outer lower end,

상기 산란실 내부의 레일부에 수용된 복수의 소초광 상부에 올려져 여왕벌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망상(網狀)의 격왕판과,A plurality of grid-like dunks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scepters accommodated in the rails inside the scattering room to control entry of the queen bee,

상기 산란실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그 상단 외측에는 구멍이 천공된 제1공간부에 다층의 벌꿀통을 적층하여 안착시키는 각형의 벌꿀통받침대와,A honeycomb basin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a multi-layer honeycomb is stacked and seated in a first space portion where holes are perforated,

상기 산란실의 상단 타측에는 복수의 소초광을 내검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개폐덮개;를 포함하고,And a detachable opening and closing li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상기 벌꿀통받침대는 제1공간부와 연접한 제2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복수의 소초광을 수직으로 교체이동이 가능하고, 산란실과도 연통이 가능한 공간이 있으며, 상기 산란실 길이는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honeycomb cradle forms a second spac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the second space portion has a space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and exchanging a plurality of sod-like light vertical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cattering chamber, And the yarn length is further extend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산란실 내부 공간부의 레일부에 복수의 소초광을 차례대로 삽입한 후, 최후단에 삽입된 소초광의 간격유지부에서 레일부 끝단부까지의 남은 틈새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벌꿀통받침대 내측홈부의 상단에서 복수의 소초광 상틀까지의 높이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하여 자유로운 내검을 실시하는데 지장이 없고,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 후에 복수의 소초광을 레일부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삽입교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sieve light beams are successively inserted into the rail part of the scattering chamber inner space part, the remaining gap from the interval maintaining part to the end part of the rail part inserted into the rearmost end is maintained at least 35 mm or more, The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groove portion to the plurality of sosho light tops is maintained at least 35 mm or more so that free suturing can be carried out without any trouble, .

상기 산란실 내부 공간부 테두리에 레일부를 설치하여 소초광 이동시 산란실의 겉재료를 보호하고 윤활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레일부에는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ail portion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space inside the scattering chamber to protect the outer material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to improve the lubric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light, and prevents the reinforcing frame from being installed in the rail.

벌꿀통받침대의 상단에 벌꿀통을 적층시켜 이동할 경우, 벌꿀통의 충격과 외력에 의하여 낙하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사전방지하기 위하여 벌꿀통의 이음부에 필름을 휘감거나, 연결이음새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oneycomb is stacked on the top of the honeycomb support, the honeycomb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lm is wound around the honeycomb of the honeycomb or jointed by a joint to prevent the honeycomb from dropping or being separated from the honeycomb by impact and external force do.

상기 산란실과 벌꿀통받침대 일측에는 양단에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중의 경중(輕重)에 따라 겉재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프레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knob portion extending at both end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the honeycomb pedestal, and the handle portion surrounds the reinforcing frame for protecting the outer materia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본 발명에 의하면, 산란실 상단 일측에 벌꿀통받침대가 설치됨에 따라, 산란실의 활동공간 넓이와 높이를 추가 확보하여 자유로운 내검 실시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 산란실 주변환경과 영양상태, 벌집의 조성상태, 분봉 상태를 확인 점검함과 동시에 소초광,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작업을 손쉽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내검과 소초광, 소비광의 증감 및 교체에 따른 환경변화로 꿀벌들에게 미치는 스트레스 최소화로 안락하고 평안한 휴식처 제공으로 꿀벌의 활동범위와 수명 연장 및 번식활성화로 벌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neycomb suppor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the width and height of the active space of the scattering chamber are further secured, ,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nveniently perform the increase / decrease work of the light source and the consumption light, and to minimize the stress on the bees due to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 decrease of the light,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ibuting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honey by extending the activity range and life span of honey bee and activation of breeding by providing comfortable and peaceful resting place.

본 발명은, 고객(주문자)의 주문량에 만족함과 동시에 소량의 제품 가공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다수개 벌꿀통을 적층하여 운반이동할 경우, 충격과 외력에 의하여 벌꿀통이 낙하하거나 이탈되어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an order quantity of a customer (a purchaser) and takes into account a small quantity of product processability, and when a plurality of honeycomb laminates are stacked and transported, damages occur due to dropping or dropping of the honeycomb due to impact and external fo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벌꿀을 채취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harvesting hone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neycomb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neycomb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honey comb harv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honeycomb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honey comb harves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벌꿀을 채취하기 위한 종래기술인 일반 산란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scattering chamber for collecting honey.

상기 산란실은 바닥판(1) 위에 통(筒)형상의 소상(巢箱:2)이 설치되고, 소상(2)의 상부에는 환기구멍(3a)을 갖는 뚜껑(3)이 결합된다.The scatter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small box 2 on a bottom plate 1 and a cap 3 having a ventilation hole 3a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mall box 2.

그리고, 소상(2)의 내부에는 인공소초(벌집)가 형성된 다수의 소비(巢脾:4)들이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현수되어 있으며, 소상(2)의 일측 하단에는 꿀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巢門:2a)이 형성되고, 다수의 소비(巢脾:4) 위에는 격리판이 부설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밀원(蜜源)이 풍부한 유밀기(有蜜期)에 봉군(蜂群)이 소문(2a)을 통해 출입하면서 외부에 산재한 꽃으로부터 채집한 꿀을 소비(巢脾:4)의 소초에 저장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꿀을 소비(巢脾:4)로 부터 채취함으로써 벌꿀을 인위적으로 생산하게 되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inside of the small statue (2), a large number of consumptions (4) with the artificial herb (honeycomb) formed are suspended vertically at intervals. One side of the small statue (2) (巢 門: 2a) is formed, and on the consumption of many (脾 脾: 4), a separator is laid. As a result, the honeybees collected from the flowers scattered from the outside are stored in the soy sauce of consumption (巢脾: 4) while the honeybees enter and exit through the rumor (2a) And the honey was artificially produced by collecting the stored honey from the consumption (巢脾: 4).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벌집 꿀 채집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2 to 6 are views showing a honeycomb honey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벌집 꿀 채집장치는, 꿀벌들의 산란을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소초광(40)을 수직으로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11)와 외측 하단에는 견고한 하중에 지탱 가능한 안착부(12)가 구비된 산란실(10)과,The honeycomb honey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ner space part (11) for vertically receiving a plurality of primordial rays (40) provided for scattering bees, and a seating part (12) A scattering chamber 10 provided therein,

상기 산란실(10)의 내부 레일부(13)에 수용된 복수의 소초광(40) 상부에 올려져 일벌의 진입은 자유로우나, 여왕벌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망상(網狀)의 격왕판(50)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산란실(10)의 상단 일측의 둘레면에 형성된 요철부(15)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그 상단 외측에는 구멍이 하나 또는 다수개 천공된 제1공간부(21)에 다층의 벌꿀통(60)을 적층하여 안착한 각형의 벌꿀통받침대(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요철부(15)는 둘레면에 단턱을 형성하여 단턱에 서로 맞물려 상부와 하부가 서로 개폐가능하도록 한다.The bean sprouts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the mustard lights 40 accommodated in the inner rail part 13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to allow free entry of worker bees, And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concave-convex portion 15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A first space portion 21 The honeycomb unit 60 is stacked on the honeycomb unit 10 to form a square honeycomb pedestal 20 on which the honeycomb unit 20 is placed. The concave-convex part 15 forms a step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engages with the step so tha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산란실(10)의 내부 공간부(11) 테두리에 설치된 레일부(13)에 복수의 소초광(40)을 차례대로 삽입하여 상기 레일부(13)의 전 길이에 충만되게 삽입하면, 산란실(10)의 내부 공간을 내검할 경우 소초광(40)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이용하여 교체하는데 이동공간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어 자유로운 내검 실시에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여 산란실의 상부(위쪽)에 있는 무거운 벌꿀통(20~80kg)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내검을 실시함에 따라, 그에 따른 환경변화로 꿀벌들에게 미치는 스트레스 가중으로 안락하고 평안한 휴식처로 사용하는데 곤란성이 있어 꿀벌들의 활동범위가 축소되고, 그에 따른 수명 연장 및 번식 활성화에 지장이 초래되어 벌꿀 생산성에도 영향이 있었다. When a plurality of intrinsic light beams 40 are successively inserted into the rail part 13 provided at the edge of the inner space part 11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and inserted into the full length of the rail part 13, Whe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10 is examined,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chamber 40 by using the left / right or upper / lower chamber because of insufficient moving space.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use as a comfortable and peaceful resting place due to stress on honeybee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the sequential transfer of heavy honey tubs (20 ~ 80kg). Therefore, the activity range of bees is reduced, Which leads to a deterioration in the life span and activation of breeding, and thus the honey productivity.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상기 산란실(10)의 상단 타측에는 벌꿀통받침대(20)와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개폐가 가능한 개폐덮개(30)를 부착하여 산란실의 활동공간 넓이와 높이를 추가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opening and closing lid 3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so as to maintain the hermeticity with the honeycomb pedestal 20 so as to further secure the active space width and height of the scattering chamber will be.

상기 벌꿀통받침대(20)의 상단에 제1공간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21) 아래에 연접한 제2공간부(22)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제2공간부(22)는 각형으로 하거나 터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복수의 소초광(40)을 수직 내지 수평으로 이동 교체가 가능하고, 산란실(10)과 연통이 가능하고 산란실 둘레면에 형성된 요철부(15)에 대응한 요철부(미도시) 형성으로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산란실의 길이는 종방향 보다 횡방향으로 더 연장한 공간부 형성으로 소초광(40)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으며, 운반시 적치면적의 부피를 좁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Wherein the honeycomb support (20) has a first space portion (21)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second space portion (22)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portion (21) 22 may be rectangular or may be formed in a tunnel-shaped space so that a plurality of the incandescent lights 40 can be vertically or horizontally shifted and replace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cattering chamber 10, 15, and the length of the scattering chamber is longer than th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space portion that can accommodate more of the incandescent light 40, So that the volume of the rack area can be narrowed during transportation.

또한, 상기 부착된 개폐덮개(30)를 자유롭게 개폐함으로 인하여 내검 실시에 지장이 없고, 복수의 소초광(40) 또는 소비광(미도시)을 수직과 수평으로 이동하여 탈착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Further, since the attached opening / closing lid 30 is freely opened and closed,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detachment by moving the plurality of the intestinal light 40 or the consumed light (not show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상기 산란실(10) 내부 공간부(11) 테두리에 설치된 레일부(13)는 복수의 소초광(40)을 차례대로 삽입하여 상기 레일부(13)의 길이에 삽입하여 좌우로 이동하여 사용한다. The rail part 13 provided at the rim of the internal space 11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is inserted into the length of the rail part 13 by sequentially inserting a plurality of the incandescent lights 40, .

상기 개폐덮개(30)를 개방하면 산란실 내부 공간부(11)의 레일부(13)에 복수의 소초광(40)이 수용되어 최후단에 삽입된 소초광(40)의 간격유지부에서 레일부(13) 길이 중 끝단부까지의 남은 틈새(b)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벌꿀통받침대(20) 내측 홈부의 상단에서 복수의 소초광(40)의 상틀까지의 높이(h)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하여야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에 무리하지 않고 부드럽고 자유롭게 내검을 실시하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When the opening and closing lid 30 is opened, a plurality of the incandescent lights 40 are received in the rail part 13 of the scattering room internal space part 11, The remaining gap b to the end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13 is kept at least 35 mm or more and the height h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groove portion of the honeycomb pedestal 20 to the mantle of the plurality of the pre- Should be kept at least 35mm or more so that the user can move smoothly and flexibly without moving the finger.

또한, 상기 치수는 복수의 소초광(40)을 레일부(13)에서 수직 수평으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삽입교체하기 위한 것이며, 양봉의 한계노동력(노약자)에 최적화 시킴으로 인하여 양봉환경에 장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산란실의 관찰 관리확인이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약하고, 노동강도 저하와 벌꿀들의 주변환경과 영양상태, 벌집의 조성상태, 분봉 상태, 번식활성화 등을 철저하게 점검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초광(40), 소비광의 증감 또는 교체, 소독작업 등에 따른 환경변화로 꿀벌들에게 미치는 스트레스 최소화로 편안한 안식처 제공에 의하여 꿀벌의 활동범위를 증대하고 벌꿀들의 수명 연장과 번식활성화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벌꿀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 dimensions are for quickly and conveniently inserting and replacing the plurality of primordial lights 4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the rail part 13, and can be adapted to the beekeeping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observe and control the spawning room in a short time, thus saving labor costs, thoroughly controlling the labor intensit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honey, the composition status of the honeycomb, (40), increase or decrease of consumed light, change of environment by disinfection work, minimize the stress on bees and provide comfortable shelter to increase the activity range of bees, , And ca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honey productivity.

도 4에 표기된 것에 의하면, 소초광(40)의 구조는 육각의 방이 형성되는 소초(41)와, 상기 소초(41)의 가장자리에 상, 하, 좌, 우틀(42, 43, 44, 45)로 형성되며, 좌, 우틀(44, 45) 일측에 소초광(40)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H)가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4, the structure of the sod-like light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hexagonal room is formed, and an upper, a lower, a left, a left and a right, And a space holding portion H for hold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oot lights 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wattles 44 and 45.

상기 산란실(10) 내부 테두리부에 레일부(13)를 설치하여 소초광(40) 이동시 산란실의 겉재료를 보호하고 윤활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레일부(13)에 앵글형(ㄴ)의 보강프레임(14)을 설치하도록 한다. 산란실(10) 내부 테두리부에 부설된 레일부(13)의 주변부위는 연질재료인 스티로폼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연약한 레일부(13)에 보강프레임(14)을 설치하는 것이 내구성 연장과 겉재료 손상을 사전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otect the outer material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improve the lubrication by installing the razor part 13 in the inner edge part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14). Since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ail portion 13 attached to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is manufactured using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which is a soft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reinforcing frame 14 on the weak rail portion 1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tension and the damage of the outer material.

또한, 산란실(10) 일측 하단에는 꿀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umors (not show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be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상기 산란실(10) 또는 벌꿀통받침대(20)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환기통(70)을 형성하여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유도하여 산란실 내의 온도조절과 습도조절이 가능하여 위생적인 벌꿀들의 생육 발전에 기여하도록 한다. One or more ventilating passages (7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10) or honeycomb supporter (20) to induce smooth air circulation and contro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scattering chamber. Contribution.

또한, 상기 환기통(70)은 통풍망(미도시)을 설치하여 쥐와 족제비 등의 다른 동물들의 침입을 사전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entilator 70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or (not shown) to prevent intrusion of other animals such as rats and weasel.

통상적인 벌꿀통(60)의 규격은 190mm×190mm×90mm(장×폭×고)를 이용하고 있으나, 고객(주문자)의 주문량의 만족함과 소량의 제품 가공성을 고려하여 높이(고)를 10mm, 20mm, 30mm 등으로 얇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 즉 10mm 높이의 벌집꿀통(60) 여러개를 벌집꿀통 받침대(20) 상부에 적층한 경우 꿀벌들이 집짓기를 하고 벌꿀을 채운 후에 하측 10mm 높이의 벌집꿀통과 그 상측에 적층된 10mm 높이의 벌집꿀통 사이를 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절단하는 것이며, 이는 현실적으로 실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벌꿀통받침대(20)의 상단에 벌꿀통(60)을 적층시켜 벌꿀채집장치를 이동할 경우, 벌꿀통(60)의 충격과 외력에 의하여 벌꿀통(60)이 낙하하거나 이탈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방지하기 위해서 벌꿀통(60)의 이음부에 필름(수축필름, 63)을 휘감거나, 연결이음새(62)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The standard honeycomb 60 has a size of 190 mm × 190 mm × 90 mm (length × width × height), but considering the satisfaction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customer (the orderer) 20 mm, 30 mm, or the like, that is, when several honeycomb honeycombs 60 having a height of 10 mm are stacked on the honeycomb pedestal 20, honeycombs are used to house the honeycomb, And a honeycomb honeycomb having a height of 10 mm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reof is easily and accurately cut with a knife. In addition, when the honeycomb unit 60 is stacked on the upper end of the honeycomb support 20 and the honeycomb unit is moved, the honeycomb unit 60 is dropped or released due to the impact and external force of the honeycomb unit 60, A film (shrink film 63) is wound around the joining portion of the honeycomb 60 or connected to the joining joint 62 by the joining portion.

상기 연결이음새(62)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쇠에 못, 핀, 클립, 철사 등을 연결하여 견고하고 해체가 쉬우면서 편리하도록 하여야 한다.The connection joint 62 may be formed by various modifications, and the nail, the pin, the clip, and the wire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to make it easy to disassemble and to be convenient.

상기 산란실과 벌꿀통받침대(20) 일측에는 양단에 연장 설치된 손잡이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미도시)는 하중의 경중(輕重)에 따라 겉재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프레임(16)을 감싸도록 한다. 연질인 겉재질의 강도를 고려하여 프라스틱, 알루미늄, 섬유재, 철강재로 감싸서 재질의 손상과 강도를 증강할 수 있다.(Not show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the honeycomb pedestal 20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neycomb cradle 20. The pulling portion (not shown)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frame (not shown) for protecting the outer materia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16).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soft outer material, it can be wrapped in plastic, aluminum, fiber material or steel to enhance the damage and strength of the material.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산란실 20: 벌꿀통받침대
30: 개폐덮개 40: 소초광
50: 격왕판 60: 벌꿀통
10: Spawning room 20: Honeycomb pedestal
30: opening / closing cover 40:
50: Price plate 60: Honey can

Claims (5)

꿀벌들의 산란을 위해 제공되는 복수의 소초광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부와 외측 하단에는 견고한 하중에 지탱 가능한 안착부가 구비된 산란실과,
상기 산란실 내부 레일부에 수용된 복수의 소초광 상부에 올려져 여왕벌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하여 망상(網狀)의 격왕판과,
상기 산란실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요철부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하고, 그 상단 외측에는 구멍이 천공된 제1공간부에 다층의 벌꿀통을 적층하여 안착시키는 각형의 벌꿀통받침대와,
상기 산란실의 상단 타측에는 복수의 소초광을 내검하기 위하여 탈착 가능한 개폐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벌꿀통받침대는 제1공간부와 연접한 제2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공간부는 복수의 소초광을 수직으로 교체이동이 가능하고, 산란실과도 연통이 가능한 공간이 있으며, 상기 산란실 길이는 종방향보다 횡방향으로 더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채집장치.
A scattering chamber having an inner space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he foresicters provided for scattering bees and a seating for supporting the bees with a strong load,
A plurality of grid-like dunk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sods housed in the inner part of the scattering chamber to control entry of the queen bee,
A honeycomb basin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by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a multi-layer honeycomb is stacked and seated in a first space portion where holes are perforated,
And a detachable opening and closing li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cattering chamber,
Wherein the honeycomb bases form a second spac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pace portion, wherein the second space portion has a space capable of vertically changing and moving a plurality of sod-like lights vertical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scattering cha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extends fur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산란실 내부 공간부의 레일부에 복수의 소초광을 차례대로 삽입한 후, 최후단에 삽입된 소초광의 간격유지부에서 레일부 끝단부까지의 남은 틈새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벌꿀통받침대 내측홈부의 상단에서 복수의 소초광의 상틀까지의 높이는 최소 35mm이상을 유지하여 자유로운 내검을 실시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상기 개폐덮개를 개방 후에 복수의 소초광을 레일부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삽입교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채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ieve light beams are successively inserted into the rail part of the scattering chamber inner space part, the remaining gap from the interval maintaining part to the end part of the rail part inserted into the rearmost end is maintained at least 35 mm or more, A height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groove portion to the upper frame of the plurality of the schoopers is maintained at least 35 mm or more so that free weighing can be carried out without any trouble. Lt; RTI ID = 0.0 > honeycomb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란실 내부 공간부 테두리에 레일부를 설치하여 소초광 이동시 산란실의 겉재료를 보호하고 윤활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레일부에는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채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ail portion is provided at a rim of the space inside the scattering chamber to protect the outer material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to improve lubrica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oot light and to prevent the reinforcing frame from being installed in the railing por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고객(주문자)의 주문량에 만족함과 동시에 소량의 제품 가공성을 고려하여 벌꿀통의 이음부에 필름을 휘감거나, 연결이음새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채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neycomb honey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by satisfying an order quantity of a customer (a purchaser) and winding a film on a joint of a honeycomb in consideration of a small amount of workability of a product or connecting join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란실과 벌꿀통받침대 일측에는 양단에 연장된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하중의 경중(輕重)에 따라 겉재질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프레임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 꿀 채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ndle portion extending at both end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cattering chamber and honeycomb supporter, and the handle portion surrounds a reinforcing frame for protecting the outer material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load.
KR1020140043580A 2014-04-11 2014-04-11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KR101561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80A KR101561504B1 (en) 2014-04-11 2014-04-11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580A KR101561504B1 (en) 2014-04-11 2014-04-11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504B1 true KR101561504B1 (en) 2015-10-20

Family

ID=5439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580A KR101561504B1 (en) 2014-04-11 2014-04-11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5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0990A (en) * 2017-08-10 2017-11-21 江西农业大学 A kind of honey process units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hone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92Y1 (en) 2003-05-07 2003-07-25 김동수 hive which establish honey package receptacle on interior
KR100716520B1 (en) 2005-11-21 2007-05-11 조동칠 An improved wooden beehi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192Y1 (en) 2003-05-07 2003-07-25 김동수 hive which establish honey package receptacle on interior
KR100716520B1 (en) 2005-11-21 2007-05-11 조동칠 An improved wooden beehi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0990A (en) * 2017-08-10 2017-11-21 江西农业大学 A kind of honey process units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hon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150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Bee Hive
JP2011139676A (en) Hive of honeybee
KR101464461B1 (en) Beehive honey picking for Bong Sik beehives Assembly and Western honey bees beekeeping method
WO2021157717A1 (en) Cricket growing device and cricket growing method
KR101561504B1 (en) foundation honey collect device
WO2009135990A1 (en) Box for bumble bees used as pollinating insects and method for using bumble bees as pollinating insects in fruit or berry plantation
US20120295514A1 (en) Bumblebee nest box
US20070227064A1 (en) Growing Platform for Green Matter as a Feed Base for Animals
KR101270698B1 (en) Mini Hive of cage type for Bee
KR102338322B1 (en) bee hive box
KR100716520B1 (en) An improved wooden beehive
KR20230066280A (en) Manneung beoljib socho jejobangbeob
KR20090011244U (en) Native beehive
KR101978551B1 (en) Queen bee isolation apparatus for beehive box
KR102378433B1 (en) A Bee-Keeping Apparatus
JP2002095376A (en) Fitting tool for bee comb fr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mall bee comb frame for hive of pollinating bee using the same
CH674914A5 (en) Beehive with separable modular sections - has base sections with easy access, supporting upper sections with corner clips for easy separation
KR101837745B1 (en) Hive for queen bee mating
US10729109B1 (en) Two queen bee hive
KR100933029B1 (en) The beehive-set for breeding and radiating of bumblebee
AU2008200902B2 (en) Bee Enclosure
CN109197677A (en) It is sleeping put formula tree section, the first of trunk bee box uses method
KR102539297B1 (en) Egg-laying device for hygienic spawning
KR102004649B1 (en) Apparatus for oviposition induction of queen bee
WO2012033426A1 (en) Rodent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