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489B1 -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489B1
KR101561489B1 KR1020150000086A KR20150000086A KR101561489B1 KR 101561489 B1 KR101561489 B1 KR 101561489B1 KR 1020150000086 A KR1020150000086 A KR 1020150000086A KR 20150000086 A KR20150000086 A KR 20150000086A KR 101561489 B1 KR101561489 B1 KR 101561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light emitting
light
water
recei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룡
Original Assignee
김기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룡 filed Critical 김기룡
Priority to KR102015000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병을 조명기구에 구성함으로써 물병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간단한 야외 조명기구 또는 취침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특히, 받침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재의 발광이 상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에 물이 수용된 물병을 올려놓아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물병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됨으로써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면(5)과 측면(6)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7)을 가지며, 상기 상면(5)의 중심측에 일부 절개된 절개부(8)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9)를 갖는 받침부재(1)와; 상기 받침부재(1)의 내부공간(7)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5)에 형성된 절개부(8)를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발광부재(2)와;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발광부재(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되도록 하는 물병(3)과; 상기 물병(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병(3)을 개폐하기 위한 장식부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Lighting equipment with a water bottle}
본 발명은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병을 조명기구에 구성함으로써 물병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간단한 야외 조명기구 또는 취침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받침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재의 발광이 상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받침부재의 상부에 물이 수용된 물병을 올려놓아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물병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됨으로써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용 조명으로서 백열전구, 형광램프, 발광 다이오드 램프 등이 조명기구와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백열전구는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조가 가능하고, 사용시 쉽게 교체가 가능하고, 조명기구로서 밝기 조절이 쉬운 장점이 있으나, 광출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낮고 제품수명이 짧아 형광램프 또는 엘이디 램프로 대체되고 있다.
형광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램프는 광출력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좋으나 밝기조절을 위하여는 조명기구의 회로구성이 복잡해져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특히 발광 다이오드 램프의 경우, 제조비용이 매우 높아서 아직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야간 취침용 조명기구는 취침시 은은하게 빛을 발광하도록 하고, 취침 전후 또는 취침 중간에 깨어있을 때 눈부심이 없어야 하나, 일반적인 조명기구의 경우 조명기구에서 발광하는 빛을 직접보았을 때 눈부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침 중간에 깨어났을 때 목이 마른 경우를 대비하여 잠자리 주변에 물병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는데, 물을 섭취할 경우 물병을 찾기 위해 조명기구를 켜서 물을 섭취 후 다시 조명기구를 꺼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사용시 대부분의 조명기구는 매우 밝아 조명기구를 등지고 있거나 빛이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생겨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물병을 조명기구에 구성함으로써 취침등 또는 야외에서 사용시 테이블에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받침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재의 발광이 상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에 물이 수용된 물병을 올려놓아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물병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됨으로써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면(5)과 측면(6)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7)을 가지며, 상기 상면(5)의 중심측에 일부 절개된 절개부(8)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9)를 갖는 받침부재(1)와; 상기 받침부재(1)의 내부공간(7)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5)에 형성된 절개부(8)를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발광부재(2)와;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발광부재(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되도록 하는 물병(3)과; 상기 물병(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병(3)을 개폐하기 위한 장식부재(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서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은 상부에 상기 물병(3)이 고정되도록 고정구(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서 상기 발광부재(2)는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에 결합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단자부(13)를 갖는 기판(14)과; 상기 기판(14)의 단자부(13)와 접속되는 배터리(15)와; 상기 기판(1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1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에 형성되는 절개부(8)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16)와; 상기 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15)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17)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는 중심측에 관통홀(10)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재(2)의 스위치(17)가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에 형성되는 관통홀(10)을 통해 조작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의하면, 물병을 조명기구에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도 물병을 이용하여 조명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받침부재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재의 발광이 상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에 물이 수용된 물병을 올려놓아 발광부재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물병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됨으로써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병의 상부에 장식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장식부재를 타워모양으로 형성하여 랜드마크로써 기념품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100)는 받침부재(1), 발광부재(2), 물병(3) 및 장식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부재(1)는 상면(5)과 측면(6)을 갖고,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공간(7)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방된 하부에는 덮개(9)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받침부재(1)의 상면(5)의 중심측에는 절개부(8)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구(11)가 형성되며, 덮개(9)의 중심측에 관통홀(10)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고정구(11)는 후술하는 물병(3)이 고정되는 것으로, 물병(3)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진다.
발광부재(2)는 빛을 발광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부재(1)의 내부공간(7)에 설치되어 받침부재(1)의 상면(5)에 형성된 절개부(8)를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한다.
발광부재(2)는 받침부재(1)의 덮개(9)에 결합되는 프레임(12)과,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단자부(13)를 갖는 기판(14)과, 기판(14)의 단자부(13)와 접속되는 배터리(15)와, 기판(14)의 상부에 결합되어 배터리(1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받침부재(1)의 상면(5)에 형성되는 절개부(8)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16)와, 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터리(15)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스위치(17)는 받침부재(1)의 덮개(9)에 형성된 관통홀(10)을 통해 조작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100)에서 발광부재(2)의 발광부(16)는 엘이디로 구성되고, 발광부(16)에서 발광되는 빛은 스위치(17)의 조작에 의해 점등과 점멸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하거나, 점등만 지속적으로 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병(3)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수용된 물에 의해 발광부재(2)의 발광부(16)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굴절시켜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부재(1)의 상면(5)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구(11)에 고정되어 진다. 즉, 받침부재(1)의 고정구(11)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진다. 여기서, 물병(3)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은 물, 음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받침부재(1)의 상면(5) 상부에 물병(3)을 구성함으로써 발광부재(2)의 발광부(16)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받침부재(1)의 상면(5)에 형성된 절개부(8)를 통과하여 물병(3)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되기 때문에 발광부(16)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은은하게 발광하여 사용자가 취침 중간에 깨어도 눈부심이 적고, 야외에서 사용시 물병(3)의 물에 의해 빛이 굴절되어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식부재(4)는 물병(3)의 상부에 결합되어 물병(3)을 개폐하여 물병(3)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타워모양으로 형성하였지만,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장식부재(4)는 타워모양 등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어 랜드마크로써 기념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100)에 의하면, 물병(3)을 조명기구에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장소에서도 물병(3)을 용이하게 찾아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물병(3)을 이용하여 은은한 빛을 내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받침부재(1)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부재(2)의 발광이 상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받침부재(1)의 상부에 물이 수용된 물병(3)을 올려놓아 발광부재(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물병(3)의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됨으로써 간접 조명 효과에 의해 은은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받침부재 2 : 발광부재
3 : 물병 4 : 장식부재
100 :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Claims (3)

  1. 상면(5)과 측면(6)을 갖고, 하부가 개방된 내부공간(7)을 가지며, 상기 상면(5)의 중심측에 일부 절개된 절개부(8)가 형성되고, 개방된 하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9)를 갖는 받침부재(1)와;
    상기 받침부재(1)의 내부공간(7)에 설치되고, 상기 상면(5)에 형성된 절개부(8)를 통해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발광부재(2)와;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의 상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발광부재(2)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굴절되어 분산되도록 하는 물병(3)과;
    상기 물병(3)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물병(3)을 개폐하기 위한 장식부재(4)를 포함하는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2)는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에 결합되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에 결합되는 단자부(13)를 갖는 기판(14)과;
    상기 기판(14)의 단자부(13)와 접속되는 배터리(15)와;
    상기 기판(1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1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받침부재(1)의 상면(5)에 형성되는 절개부(8)를 통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16)와;
    상기 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15)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17)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는 중심측에 관통홀(10)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재(2)의 스위치(17)가 상기 받침부재(1)의 덮개(9)에 형성되는 관통홀(10)을 통해 조작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00086A 2015-01-02 2015-01-02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KR101561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86A KR101561489B1 (ko) 2015-01-02 2015-01-02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86A KR101561489B1 (ko) 2015-01-02 2015-01-02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489B1 true KR101561489B1 (ko) 2015-10-20

Family

ID=5439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86A KR101561489B1 (ko) 2015-01-02 2015-01-02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4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32Y1 (ko) * 2001-03-14 2001-10-08 강준석 조명 장치가 내장된 컵
JP2005067723A (ja) * 2003-08-23 2005-03-17 Keiko Oyama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に携帯できるコップ付きの装飾具
KR200383228Y1 (ko) 2005-02-07 2005-05-03 이대주 발광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032Y1 (ko) * 2001-03-14 2001-10-08 강준석 조명 장치가 내장된 컵
JP2005067723A (ja) * 2003-08-23 2005-03-17 Keiko Oyama 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に携帯できるコップ付きの装飾具
KR200383228Y1 (ko) 2005-02-07 2005-05-03 이대주 발광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02451A1 (en) Tinted and frosted outer bulb cover for lights
US8672506B2 (en) Solar candle light insert module
US11536428B2 (en) Lighting apparatus with elastic unit to press power switch
WO2004016983A1 (fr) Reflecteur a diode electroluminescente
CN203979973U (zh) 一种led蓝牙音乐球泡灯
US11396995B2 (en) Panel light apparatus
JP2015149139A (ja) 照明装置
KR101561489B1 (ko) 물병을 구비한 조명기구
JP2010182499A (ja) 照明装置
CN203517555U (zh) 一种led吸顶灯
KR200479710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KR200461954Y1 (ko) 차량용 엘이디램프의 광확산커버
CN201706319U (zh) 节能台灯
CN207122775U (zh) 一种驱虫散热型家用led灯
JP3179912U (ja) 照明装置
CN213333792U (zh) 照明灯具
KR20150052493A (ko) 매입형 led 조명장치
CN202228960U (zh) Led轨道灯
CN203949074U (zh) 节能型led面光源超市灯
CN215863069U (zh) 一种低压草坪灯
JP5657080B2 (ja) 照明器具
CN203571495U (zh) 一种led球泡灯
US11149918B2 (en) Panel light apparatus with detachable diffusion film
US11460183B2 (en) Lighting apparatus
CN211424032U (zh) 一种多角度控制开关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