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302B1 -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302B1
KR101561302B1 KR1020080119054A KR20080119054A KR101561302B1 KR 101561302 B1 KR101561302 B1 KR 101561302B1 KR 1020080119054 A KR1020080119054 A KR 1020080119054A KR 20080119054 A KR20080119054 A KR 20080119054A KR 101561302 B1 KR101561302 B1 KR 101561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dishwasher
water suppl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459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30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개시된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이 행해지는 피세척물이 놓여지는 선반을 구비한 세척실과, 상기 피세척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실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대해 정수를 진행하는 정수필터부 및 이온수지가 내장되어 연수를 진행하는 이온수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 등의 세척을 위해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 종래의 수돗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모듈에서 정수 및 연수가 되도록 하여 세척수로서 그 효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정수필터부, 이온수지부, 필터모듈, 세척기

Description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Dishwasher having purification and softening function}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에 유입되는 원수에 대해 일체화된 정수 및 연수 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위생적인 면 또는 표면광택 측면 모두에서 개선된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세척기의 하부 세척조에 담겨진 세척수에 전용세제를 용해시켜 물분사 세척방식이나 브러쉬 세척방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음식찌꺼기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식기나 수저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식기세척기 내에 형성된 선반에 세척을 원하는 식기를 얹고 분사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소정의 브러쉬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 세척 방법에서, 합성세제를 이용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과일 및 야채를 세정할 수 있도록, 자외선이나 오존가스, 초음파를 사용하는 세정시스템 및 세정방법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 및 방법들은 기술이 복잡하고 설치비용이 고가이므로 현실적으로 실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자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은 공기살균에는 적합하나 물을 살균하기에는 적합하지 아니하고, 오존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오존이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용하는 오존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데 이와 같이 오존을 적절량으로 유지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초음파만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살균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그대로 식기세척기 내에서 세척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세척물에 경수 마른 자국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원수에 남아 있는 염소성분 등이 제거되길 바라는 사용자의 needs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피세척물에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및 연수 기능이 일체적으로 결합된 필터모듈을 통하게 함으로써 세척수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이 행해지는 피세척물이 놓여지는 선반을 구비한 세척실과, 상기 피세척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실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대해 정수를 진행하는 정수필터부 및 이온수지가 내장되어 연수를 진행하는 이온수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모듈은 중공 형상의 정수필터부 내에 이온수지부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은 원통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상기 정수필터부에 연결되는 정수유로와,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상기 이온수지부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연수유로, 및 상기 이온수지부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세척조에 연결되는 전환수 공급유로에 각각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정수유로를 거쳐 상기 필터모듈에 유입된 후에 상기 정수필터부 및 이온수지부를 통해 정화된 연수로 전환되어 상기 전환수 공급유로를 거쳐 상기 본체 내의 세척조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수유로를 통해 상기 급수밸브의 T밸브로부터 입수된 원수는 상기 정수필터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이온수지부만을 통해서 연수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중공의 정수필터부 내주면에는 상기 이온수지부로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두께를 갖는 역류방지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에는 탈착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부 또는 상기 이온수지부가 교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는 식기 등의 세척을 위해 세척력을 높이기 위해서 종래의 수돗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터모듈에서 정수 및 연수가 되도록 하여 세척수로서 그 효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수 및 연수된 물을 세척수로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인 세척을 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피세척물의 표면 광택도와 건조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100)는 세척조(130)가 구비된 본체(101), 본체(101) 내부에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급수밸브(112), 급수밸브(112)와 연결되는 필터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1)에는 내부에 설치된 랙(미도시)에 식기를 수납하고 분사암(미도시) 등을 통해 분사되는 물로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실(110)과, 세척실(110)로 고압의 물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부품들이 설치된 기계실(120)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조(130)에는 필터모듈(140)이나 급수밸브(112)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서 기계실(120) 내에 장치된 펌프 등의 작동에 의해서 저장된 물이 세척을 위해 분사된다.
이하, 원수가 필터모듈(140)을 거치면서 연수 또는 정수화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살핀다.
먼저, 원수는 원수유로(102)를 통해 외부로부터 급수밸브(112)로 공급된다. 급수밸브(112)는 식기 세척기(100) 내부에 배치되거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그 배출 유로가 변경될 수 있다.
필터모듈(140)은 중공 형상의 정수필터부(141) 내에 이온수지부(146)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모듈(140)은 급수밸브(112)로부터 정수필터부(141)에 연결되는 정수유로(103)와, 급수밸브(112)의 T밸브(112a)로부터 이온수지부(146)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연수유로(104), 및 이온수지부(146)의 출구측으로부터 세척조(130)에 연결되는 전환수 공급유로(105)에 각각 연통되게 마련된다.
정수필터부(141)는 중금속 등 유해한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고, 이온수지부(146)는 수돗물을 Na(+)형 강산성 양이온 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물속에 포함된 경도성분인 Ca(+2)와 Mg(+2) 이온을 이온수지 중의 Na(+)이온과 교환하여 연수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온수지부(146)는 내부의 이온수지가 일정기간 사용에 의해서 전환능력이 저하되므로 재생에 의해서 그 기능을 일정수준으로 회복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재생시 발생되는 Cl-, Ca2+ 와 Mg2+ 등 각종 이온이 포함되는 경수를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활성화함으로써 세척시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112)는 제어부의 지시를 받아 원수를 연수유로(104) 또는 분배밸브(114)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데, 분배밸브(114)는 공급받은 원수를 정수유 로(103)에 연결된 필터모듈(140)이나 원수공급유로(106)에 연결된 세척조(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07은 급수밸브(112)와 분배밸브(114)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100)는 다양한 수질의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세척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급수밸브(112)로부터의 원수에 대해서 다른 과정을 거치게 하지 않고 직접 세척조(130)로 투입하는 제1과정, 급수밸브(112)로부터의 원수를 분배밸브(114)를 거쳐 필터모듈(140)의 정수필터부(141)와 이온수지부(146) 모두를 거치게 하여 이온화된 정수를 세척조(130)로 투입하는 제2과정, 급수밸브(112)로부터 연수유로(104)를 거쳐 필터모듈(140)의 이온수지부(146) 만을 통하게 하는 제3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제1과정은 피세척물의 오염이 심하고 초벌 세척이 필요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과정 또는 제3과정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연수 또는 연수·정수된 물을 세척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2과정은 세척시 연수·정수된 물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다른 물로 헹굼 과정을 진행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제3과정은 세척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에 따라 별도로 헹굼이 필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과정을 이용한 경수 세척과 제2,3과정을 이용한 정·연수 세척을 선택적으로 채용함으로써 피세척물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세척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과정을 이용하여 세 제가 용해된 세척수로 세척을 진행한 다음에 세제를 씻어내기 위해서 제1과정상의 경수를 계속적으로 공급하여 1,2차 헹굼이 이루어지게 한다. 그 다음으로 제2과정의 정·연수 또는 제3과정의 연수를 이용하여 최종 헹굼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최종 헹굼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 고온의 헹굼수를 이용하여 추후의 건조 과정에서의 자국 생김을 방지하는 한편 살균 효과도 생기게 할 수 있다.
한편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처음부터 위생적인 세척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제1과정을 사용하지 않고 제2과정 또는 제3과정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급수밸브(112) 및 분배밸브(114)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세척하는 과정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세척 진행과정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제1 내지 제3과정을 다양하게 프로그래밍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에 적용되는 필터모듈(14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필터모듈(14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149), 하우징(149) 내주면과의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삽입되는 정수필터부(141), 정수필터부(141) 내에 삽입되는 이온수지부(146), 상기 하우징(149)의 개방된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144)로 구성된다. 하우징(149)에는 상부에 손잡이(143)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필터모듈(140) 자체를 교환 또는 정비 가능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덮개부(144)를 제거하게 되면 하우징(149)의 일측이 드러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정수필터부(141) 및 이온수지부(146)를 하우징(149)의 축방향 으로 쉽게 교환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49) 내주면과 정수필터부(141)의 외주면 사이에는 원수 충진부(142)가 형성된다. 원수 충진부(142)에는 그 하부에 형성된 제1입수부(147)를 통해 정수유로(103)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차게 된다. 그후 압력에 의해 정수필터부(141)로 원수를 유입시키게 된다.
정수필터부(141)와 이온수지부(146) 사이에는 이온수지부(146)로부터 역류가 되지 않도록 역류방지수단(145)이 개재될 수 있다. 역류방지수단(145)은 일반적으로 역류방지 기능을 하는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부피 및 비용을 고려하여 일방향으로만 통하게 하는 역류방지막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로써, 정수필터부(141)에서 이온수지부(146)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되지만, 이온수지부(146)로부터 정수필터부(141)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덮개부(144)의 중앙에는 연수유로(104)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이온수지부(146)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접속구(144a)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구(144a)에는 유입된 원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역류방지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정수필터부(141)와 이온수지부(146)를 거친 원수는 하우징(149)의 하단에 형성되어진 출수부(148)을 통해 전환수공급유로로 공급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한다.
외부에서 급수밸브(112)를 통해 입수된 원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하거나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서 필터모듈(140) 또는 분배밸브(114)로 선택적으로 분기 될 수 있다. 분배밸브(114)로 입수된 후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정수유로(103)나 원수공급유로(106)로 원수를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게 된다.
일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수 및 연수된 물로 세척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급수밸브(112)에서 분배밸브(114)를 거쳐 필터모듈(140)로 제공되고, 정수필터부(141)와 이온수지부(146)를 차례를 거치면서 원수의 성질이 전환되어져 최종적으로 세척조(130)에 제공되어져 세척이 진행된다. 세척조(130)에 공급된 세척수는 기계실(120)의 작동으로 세척실(110)에 적재된 식기류에 대해서 세척 작용을 진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의 정수 및 연수된 물뿐만 아니라 미처리된 원수 또는 연수만 된 물을 급수밸브(112) 및 분배밸브(114)를 조작하여 생성해내어 세척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급수밸브(112)의 T밸브(112a)에 의해 연수유로(104)만를 거치면서 이온교환된 연수를 사용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식기 등의 세척을 수행하는 경우에 세척력을 높이는 동시에 위생적인 세척을 위해서 종래의 수돗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정수와 연수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필터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더 효율적이고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 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평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적용되는 필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101 : 본체 102 : 원수유로
103 : 정수유로 104 : 연수유로
105 : 전환수공급유로 106 : 원수공급유로
110 : 세척실 112 : 급수밸브
120 : 기계실 130 : 세척조
140 : 필터모듈 141 : 정수필터부
142 : 원수충진부 143 : 손잡이
144 : 덮개부 145 : 역류방지수단
146 : 이온수지부

Claims (8)

  1. 세척이 행해지는 피세척물이 놓여지는 선반을 구비한 세척실과, 상기 피세척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실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기계실을 구비하는 본체; 및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에 대해 정수를 진행하는 정수필터부 및 이온수지가 내장되어 연수를 진행하는 이온수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듈은 원통 형상으로서, 방사상 외측에 위치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의 정수필터부 및 방사상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정수필터부 내에 삽입되는 이온수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정수필터부의 방사상 외측에는 상기 필터모듈을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전환수 공급유로(105)가 위치하며,
    상기 이온수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도록 연수유로(104)가 구비되어, 상기 연수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원수는 상기 이온수지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정수필터부와 구분되어 일측에 형성된 출수부(148)를 통과함으로써 연수가 되어 상기 전환수 공급유로(105)를 통하여 토출되고,
    상기 정수필터부의 방사상 외측에는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도록 정수유로(103)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유로(103)를 통해 공급된 원수는 상기 정수필터부 및 상기 이온수지부를 모두 통과함으로써 이온화된 정수가 되어 상기 전환수 공급유로(105)를 통하여 토출되고,
    상기 급수밸브로부터 공급된 원수는 원수공급유로(106)를 통해 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조는 상기 전환수 공급유로(105) 및 상기 원수공급유로(106)와 연통하여, 원수, 이온화된 정수 및 연수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의 상기 중공의 정수필터부 내주면에는 상기 이온수지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두께를 갖는 역류방지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의 일측에는 탈착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정수필터부 또는 상기 이온수지부가 교환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20080119054A 2008-11-27 2008-11-27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KR101561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54A KR101561302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54A KR101561302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59A KR20100060459A (ko) 2010-06-07
KR101561302B1 true KR101561302B1 (ko) 2015-10-19

Family

ID=4236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054A KR101561302B1 (ko) 2008-11-27 2008-11-27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3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759B1 (ko) * 2015-12-03 2018-05-04 주식회사 그렌텍 이중 살균 기능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422A (ja) 2002-05-17 2003-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5422A (ja) 2002-05-17 2003-11-18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759B1 (ko) * 2015-12-03 2018-05-04 주식회사 그렌텍 이중 살균 기능을 갖는 식기세척기의 급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59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6894B (zh) 一种家用超声波清洗机
US9131826B2 (en) Method for disinfecting conduit systems of a water-conducting appliance and such a household appliance
EP2989958B1 (en) Control method of dishwasher
RU2013150804A (ru) Конвейерная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конвейерной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BRPI0610174A2 (pt) método para a limpeza de grupos de artigos de vidro
KR100934696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244447A (ja) 食器洗浄機
JP2011167496A (ja) 食器洗浄機
US9451867B2 (en) Dishwasher and ozone generator
KR101561302B1 (ko) 정수 및 연수 기능을 구비한 식기 세척기
CN104027052A (zh) 自动洗碗机
RU2712669C1 (ru) Моечно-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ультразву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м воздействием
US20060137716A1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an article washer
CN201404190Y (zh) 家用超声波清洗机
KR101551978B1 (ko) 전해수 살균 식기 세척기
CN101161176A (zh)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KR100689192B1 (ko) 식기 세척기 시스템, 복합기 및 식기 세척 방법
JP2003265394A (ja) 食器類洗浄装置
CN201175319Y (zh) 一种环保型洗碗机
JP2007130220A (ja) 遊技媒体洗浄システム
CN217679443U (zh) 一种集成水槽
CN101161178A (zh)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JP2000233160A (ja) 洗浄機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CN211961962U (zh) 具备消毒功能的洗碗机喷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