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246B1 -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246B1
KR101561246B1 KR1020130158623A KR20130158623A KR101561246B1 KR 101561246 B1 KR101561246 B1 KR 101561246B1 KR 1020130158623 A KR1020130158623 A KR 1020130158623A KR 20130158623 A KR20130158623 A KR 20130158623A KR 101561246 B1 KR101561246 B1 KR 10156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b
kvm
channel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810A (ko
Inventor
양동평
이각인
변원길
고재철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2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는,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와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된다. 또한, 장치 선택용 스위치로부터의 유에스비(USB) 선택 신호에 따라,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된다.

Description

케이브이엠(KVM) 시스템{Keyboard-Video-Mouse system}
본 발명은,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장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케이브이엠(KVM)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송수신 시스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는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케이브이엠(KVM)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다.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복수의 컴퓨터들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 전송하고,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여 설정 컴퓨터 예를 들어, 대표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에 의하여 단일 컴퓨터만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서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없음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160호 (출원인 : 주식회사 디어비즈, 명칭 : 원격 피씨 온/오프 기능을 갖는 KVM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보드와 마우스에 의하여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장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케이브이엠(KVM)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는,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 및 장치 선택용 스위치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된다.
또한, 상기 장치 선택용 스위치로부터의 유에스비(USB)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제1 컴퓨터로부터의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입력되는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
제2 컴퓨터로부터의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입력되는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
상기 제1 컴퓨터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3);
상기 제2 컴퓨터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4);
제1 키보드가 연결되는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3); 및
제1 마우스가 연결되는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되는 제1 스위치(205);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되는 제2 스위치(209)와 제3 스위치(210); 및
상기 제1 스위치(205) 내지 제3 스위치(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208);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출력되는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출력되는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발생시키는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
제2 키보드가 연결되는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 및
제2 마우스가 연결되는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는, 상기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된다. 또한, 상기 장치 선택용 스위치로부터의 유에스비(USB)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접속하여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 의하면, 키보드와 마우스에 의하여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전송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제1 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2 수신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전송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시스템(1)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1)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 및 케이브이엠(KVM) 장치들(11, 12)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13a 및 13b)을 포함한다. 통신 케이블(13a 및 13b)은 제1 광섬유 라인(13a)과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Spd2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로부터 제1 광섬유 라인(13a)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에 전송되는 제1 광 전송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dp2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통하여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 전송되는 제2 광 전송 신호를 가리킨다.
제1 컴퓨터(PC1)로부터의 제1 비디오 신호(Svid1)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제1 광섬유 라인(13a), 및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를 통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DP1)에 전송된다.
제2 컴퓨터(PC2)로부터의 제2 비디오 신호(Svid2)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제1 광섬유 라인(13a), 및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장치(DP2)에 전송된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Susb1은 제1 컴퓨터(PC1)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usb2는 제2 컴퓨터(PC2)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usb11은 제1 키보드(KB1)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usb12는 제1 마우스(MS1)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usb21은 제2 키보드(KB2)와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Susb22는 제2 마우스(MS2)와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 사이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가리킨다.
도 2는 도 1의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CKAW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서는, 딥(DIP : Dual In-line Package) 스위치로서의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Dpc1, 211) 및 장치 선택용 스위치(Dcd, 2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Dpc1, 211)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Ssp1)와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가 선택된다.
또한, 장치 선택용 스위치(Dcd, 212)로부터의 장치 선택 신호(Sscd)에 따라,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및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12)가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12)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1)에서 키보드(KB1 또는 KB2)와 마우스(MS1 또는 MS2)를 접속하여 복수의 컴퓨터들(PC1 및 PC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1)에 의하면, 키보드(KB1 또는 KB2)와 마우스(MS1 또는 MS2)에 의하여 복수의 컴퓨터들(PC1 및 PC2)의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는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 Pv1),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 Pv2),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3, Pb1),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4, Pb2),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3, Pk1), 및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4, Pm1)를 포함한다.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 Pv1)에는 제1 컴퓨터(PC1)로부터의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입력된다.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 Pv2)에는 제2 컴퓨터(PC2)로부터의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입력된다.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3, Pb1)는 제1 컴퓨터(PC1)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4, Pb2)는 제2 컴퓨터(PC2)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3, Pk1)에는 제1 키보드(KB1)가 연결된다.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4, Pm1)에는 제1 마우스(MS1)가 연결된다.
또한,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는 제1 스위치(205), 제2 스위치(209), 제3 스위치(210), 및 스위칭 제어부(208)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205)에서는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가 선택된다. 한 개의 연동 스위치라 할 수 있는 제2 스위치(209)와 제3 스위치(210)에서는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12)가 선택된다.
스위칭 제어부(208)는 제1 스위치(205) 내지 제3 스위치(21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는 유에스비(USB) 허브(206)를 더 포함한다.
유에스비(USB) 허브(206)는,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12)로부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로 전송되는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Skey, Smou)을 멀티플렉싱하여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km)를 생성하고, 생성된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km)를 제1 스위치(205)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제1 스위치(205)의 제1 단자(1)는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3, Pb1)와 연결되고, 제2 단자(2)는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4, Pb2)와 연결되며, 제3 단자(3)는 유에스비(USB) 허브(206)와 연결된다. 스위칭 제어부(208)는 제1 컴퓨터 선택 신호(Ssp1)와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에 따라 제3 단자(3)를 제1 단자(1) 또는 제2 단자(2)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가 선택된다.
한편, 유에스비(USB) 허브(206)는,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로부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11 또는 12)로 전송되는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km)를 디멀티플렉싱하여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Skey, Smou)을 생성하고, 생성된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Skey, Smou) 중에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key)를 제3 스위치(210)에 입력하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mou)를 제2 스위치(209)에 입력한다.
더 나아가,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는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 제1 전송부(218) 및 제1 수신부(219)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스위치(209)의 제1 단자(1)는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연결되고, 제2 단자(2)는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4, Pm1)에 연결되며, 제3 단자(3)는 유에스비 허브(206)에 연결된다.
또한, 제3 스위치(210)의 제1 단자(1)는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연결되고, 제2 단자(2)는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3, Pk1)에 연결되며, 제3 단자(3)는 유에스비 허브(206)에 연결된다.
스위칭 제어부(208)는, 장치 선택용 스위치(Dcd, 212)로부터의 장치 선택 신호(Sscd)에 따라, 연동 스위치로서의 제2 스위치(209)와 제3 스위치(210)의 제3 단자들이 제1 단자들(1) 또는 제2 단자들(2)에 접속되게 한다.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는,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로부터 제3 스위치(210)의 제1 단자(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1)를 제1 전송부(218)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 제1 수신부(219)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제3 스위치(210)의 제1 단자(1)에 출력한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Susb21은, 일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1)와 타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포함하는 제1 채널의 양방향 신호를 가리킨다.
또한,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는,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PC1 또는 PC2)로부터 제2 스위치(209)의 제1 단자(1)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2)를 제1 전송부(218)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 제1 수신부(219)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제2 스위치(209)의 제1 단자(1)에 출력한다. 도 2에서 참조 부호 Susb22는, 일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2)와 타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포함하는 제2 채널의 양방향 신호를 가리킨다.
제1 전송부(218)는,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 Pv1)로부터의 제1 비디오 신호(Svid1),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 Pv2)로부터의 제2 비디오 신호(Svid2),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로부터의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1), 및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로부터의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cd22)를 통합하여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1 전송부(218)는, 발생된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제1 광섬유 라인(13a)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에 전송한다.
제1 수신부(219)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의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분해하여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dc21),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도 3의 Sdc22), 및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수신부(219)는, 수신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및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출력하며, 수신된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스위칭 제어부(208)에 출력한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을 위주로 하여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는,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출력되는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 Pv1),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출력되는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 Pv2), 딥(DIP : Dual In-line Package) 스위치로서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발생시키는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 Dpc2), 제2 키보드(KB2)가 연결되는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 Pk2), 및 제2 마우스(MS2)가 연결되는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 Pm2)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는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 제2 전송부(302) 및 제2 수신부(301)를 더 포함한다.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 Dpc2)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는 제2 전송부(302)에 입력된다.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는,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 Pk2)로부터의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제2 전송부(302)에 출력하고,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 Pm2)로부터의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제2 전송부(302)에 출력하며, 제2 수신부(301)로부터의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를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 Pk2)에 출력하고, 제2 수신부(301)로부터의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 Pm2)에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참조 부호 Susb21은, 일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와 타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포함하는 제1 채널의 양방향 신호를 가리킨다. 또한, 참조 부호 Susb22는, 일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와 타 방향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포함하는 제2 채널의 양방향 신호를 가리킨다.
제2 전송부(302)는,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로부터의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와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통합하여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2 전송부(302)는, 발생된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통하여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 전송한다.
제2 수신부(301)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로부터의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분해하여 제1 비디오 신호(Svid1), 제2 비디오 신호(Svid2),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수신한다. 또한, 제2 수신부(301)는, 수신된 제1 비디오 신호(Svid1)를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 Pv1)에 출력하며, 수신된 제2 비디오 신호(Svid2)를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 Pv2)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2 수신부(301)는, 수신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와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에 출력한다.
도 4는 도 2의 제1 전송부(218)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를 위주로 하여 도 1, 2 및 4를 참조하면, 제1 전송부(218)는 패킷타이저(401), 부호화부(402), 병렬/직렬 변환부(403), 및 전광 변환부(404)를 포함한다.
패킷타이저(401)는, 제1 비디오 신호(Svid1), 제2 비디오 신호(Svid2),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통합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생성한다.
부호화부(402)는, 디지털 광 전송에서의 직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킷타이저(401)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부호화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발생시킨다.
병렬/직렬 변환부(403)는 부호화부(402)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직렬 부호화 신호(Spd1)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광 변환부(404)는, 병렬/직렬 변환부(403)로부터의 직렬 부호화 신호(Spd1)를 제1 광-전송 신호(Spd2)로 변환하고,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제1 광섬유 라인(13a)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에 전송한다.
도 5는 도 2의 제1 수신부(219)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를 위주로 하여 도 1, 2 및 5를 참조하면, 제1 수신부(219)는 광전 변환부(501), 직렬/병렬 변환부(502), 복호화부(503), 및 디패킷타이저(504)를 포함한다.
광전 변환부(501)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로부터의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전기 신호(Sdp1)로 변환한다.
직렬/병렬 변환부(502)는 광전 변환부(501)로부터의 전기 신호((Sdp1)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로 복원한다.
복호화부(503)는 직렬/병렬 변환부(502)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복호화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로 복원한다.
그리고 디패킷타이저(504)는, 복호화부(503)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분해하여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로 복원한다. 또한, 디패킷타이저(504)는, 복원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및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출력하며, 복원된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스위칭 제어부(208)에 출력한다.
도 6은 도 3의 제2 수신부(301)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6을 위주로 하여 도 1, 3 및 6을 참조하면, 제2 수신부(301)는 광전 변환부(601), 직렬/병렬 변환부(602), 복호화부(603), 및 디패킷타이저(604)를 포함한다.
광전 변환부(601)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로부터의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전기 신호(Spd1)로 변환한다.
직렬/병렬 변환부(602)는 광전 변환부(601)로부터의 전기 신호((Spd1)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로 복원한다.
복호화부(603)는 직렬/병렬 변환부(602)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복호화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로 복원한다.
그리고 디패킷타이저(604)는, 복호화부(603)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분해하여 제1 비디오 신호(Svid1), 제2 비디오 신호(Svid2),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수신한다. 또한, 디패킷타이저(604)는, 수신된 제1 비디오 신호(Svid1)를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 Pv1)에 출력하며, 수신된 제2 비디오 신호(Svid2)를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 Pv2)에 출력한다. 또한, 디패킷타이저(604)는, 수신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와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에 출력한다.
도 7은 도 3의 제2 전송부(302)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을 위주로 하여 도 1, 3 및 7을 참조하면, 제2 전송부(302)는 패킷타이저(704), 부호화부(703), 병렬/직렬 변환부(702), 및 전광 변환부(701)를 포함한다.
패킷타이저(704)는,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통합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생성한다.
부호화부(703)는, 디지털 광 전송에서의 직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킷타이저(704)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부호화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발생시킨다.
병렬/직렬 변환부(702)는 부호화부(703)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직렬 부호화 신호(Sdp1)로 변환한다.
그리고 전광 변환부(701)는, 병렬/직렬 변환부(702)로부터의 직렬 부호화 신호(Sdp1)를 제2 광-전송 신호(Sdp2)로 변환하고,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통하여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 전송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는,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와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된다. 또한, 장치 선택용 스위치로부터의 유에스비(USB) 선택 신호에 따라,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접속하여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 의하면, 키보드와 마우스에 의하여 복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리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외의 비디오 송수신 시스템에서도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PC1 : 제1 컴퓨터, PC2 : 제2 컴퓨터,
1 :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1 :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12 :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13a : 제1 광섬유 라인, 13b : 제2 광섬유 라인,
DP1 : 제1 디스플레이 장치, DP2 : 제2 디스플레이 장치,
KB1 : 제1 키보드, MS1 : 제1 마우스,
KB2 : 제2 키보드, MS2 : 제2 마우스,
201 : 제1 비디오 입력 포트, 202 : 제2 비디오 입력 포트,
203 :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204 :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205 : 제1 스위치, 206 : 유에스비(USB) 허브,
207 : 제1 신호-방향 제어부, 208 : 스위칭 제어부,
209 : 제2 스위치, 210 : 제3 스위치,
211 :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 212 : 장치 선택용 스위치,
213 :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214 :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218 : 제1 전송부,
219 : 제1 수신부,
301 : 제2 수신부, 302 : 제2 전송부,
303 : 제1 비디오 출력 포트, 304 : 제2 비디오 출력 포트,
305 : 제2 신호-방향 제어부, 306 :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
307 :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308 :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401 : 패킷타이저, 402 : 부호화부,
403 : 병렬/직렬 변환부, 404 : 전광 변환부,
501 : 광전 변환부, 502 : 직렬/병렬 변환부,
503 : 복호화부, 504 :디패킷타이저,
601 : 광전 변환부, 602 : 직렬/병렬 변환부,
603 : 복호화부, 604 :디패킷타이저,
701 : 전광 변환부, 702 : 병렬/직렬 변환부,
703 : 부호화부, 704 : 패킷타이저.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 Keyboard-Video-Mouse) 장치,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케이브이엠(KVM) 장치들을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서는,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 및 장치 선택용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컴퓨터 선택용 제1 스위치로부터의 제1 컴퓨터 선택 신호와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컴퓨터 선택 신호에 따라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되며,
    상기 장치 선택용 스위치로부터의 유에스비(USB)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 중에서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되고,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제1 컴퓨터로부터의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입력되는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
    제2 컴퓨터로부터의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입력되는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
    상기 제1 컴퓨터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제1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3);
    상기 제2 컴퓨터의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제2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04);
    제1 키보드가 연결되는 제3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3);
    제1 마우스가 연결되는 제4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214);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가 선택되는 제1 스위치(205);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가 선택되는 제2 스위치(209)와 제3 스위치(210);
    상기 제1 스위치(205) 내지 제3 스위치(2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208); 및
    유에스비(USB)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에스비(USB) 허브는,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로 전송되는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을 멀티플렉싱하여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205)에 입력하며,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로부터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케이브이엠(KVM) 장치로 전송되는 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디멀티플렉싱하여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2 채널들의 유에스비(USB) 신호들 중에서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치(210)에 입력하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209)에 입력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 제1 전송부(218) 및 제1 수신부(21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는,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3 스위치(210)의 제1 단자(1)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를 상기 제1 전송부(218)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수신부(219)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상기 제3 스위치(210)의 상기 제1 단자(1)에 출력하며,
    상기 유에스비(USB) 통신의 대상 컴퓨터로부터 상기 제2 스위치(209)의 제1 단자(1)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상기 제1 전송부(218)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수신부(219)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상기 제2 스위치(209)의 상기 제1 단자(1)에 출력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은,
    제1 광섬유 라인(13a)과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218)는,
    상기 제1 비디오 입력 포트(201)로부터의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 상기 제2 비디오 입력 포트(202)로부터의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로부터의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로부터의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통합하여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상기 제1 광섬유 라인(13a)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2)에 전송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부(218)는,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통합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생성하는 패킷타이저(401);
    디지털 광 전송에서의 직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킷타이저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부호화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발생시키는 부호화부(402);
    상기 부호화부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직렬 부호화 신호(Spd1)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403); 및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403)로부터의 직렬 부호화 신호(Spd1)를 상기 제1 광-전송 신호(Spd2)로 변환하고, 상기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상기 제1 광섬유 라인(13a)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404)를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분해하여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및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출력하며,
    수신된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208)에 출력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전기 신호(Sdp1)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501);
    상기 광전 변환부(501)로부터의 상기 전기 신호((Sdp1)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로 복원하는 직렬/병렬 변환부(502);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502)로부터의 상기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복호화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로 복원하는 복호화부(503); 및
    상기 복호화부(503)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분해하여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로 복원하고, 복원된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및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상기 제1 신호-방향 제어부(207)에 출력하며, 복원된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상기 스위칭 제어부(208)에 출력하는, 디패킷타이저(504);를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가 출력되는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가 출력되는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발생시키는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
    제2 키보드가 연결되는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 및
    제2 마우스가 연결되는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를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는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 제2 전송부(302) 및 제2 수신부(3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로부터의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는 상기 제2 전송부(302)에 입력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는,
    상기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로부터의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를 상기 제2 전송부(302)에 출력하고,
    상기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로부터의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를 상기 제2 전송부(302)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수신부(301)로부터의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를 상기 제5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7)에 출력하고,
    상기 제2 수신부(301)로부터의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상기 제6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308)에 출력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부(302)는,
    상기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로부터의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와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상기 컴퓨터 선택용 제2 스위치(306)로부터의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통합하여 상기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상기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11)에 전송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부(302)는,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1),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dc22), 및 상기 제2 컴퓨터 선택 신호(Ssp2)를 통합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생성하는 패킷타이저(704);
    디지털 광 전송에서의 직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킷타이저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부호화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발생시키는 부호화부(703);
    상기 부호화부로부터의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직렬 부호화 신호(Sdp1)로 변환하는 병렬/직렬 변환부(702); 및
    상기 병렬/직렬 변환부(702)로부터의 직렬 부호화 신호(Sdp1)를 상기 제2 광-전송 신호(Sdp2)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광-전송 신호(Sdp2)를 상기 제2 광섬유 라인(13b)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에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701)를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301)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분해하여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를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에 출력하며,
    수신된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를 상기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에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와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상기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에 출력하는,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301)는,
    상기 컴퓨터측 케이브이엠(KVM) 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 광-전송 신호(Spd2)를 전기 신호(Spd1)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601);
    상기 광전 변환부(601)로부터의 상기 전기 신호((Spd1)를 병렬 신호로 변환하여 병렬 부호화 신호(Senc)로 복원하는 직렬/병렬 변환부(602);
    상기 직렬/병렬 변환부(602)로부터의 상기 병렬 부호화 신호(Senc)를 복호화하여 병렬 꾸러미 신호(Spac)로 복원하는 복호화부(603); 및
    상기 복호화부(603)로부터의 병렬 꾸러미 신호(Spac)를 분해하여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 및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제1 비디오 신호(Svid1)를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포트(303)에 출력하며, 수신된 상기 제2 비디오 신호(Svid2)를 상기 제2 비디오 출력 포트(304)에 출력하고, 수신된 상기 제1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1)와 상기 제2 채널의 유에스비(USB) 신호(Scd22)를 상기 제2 신호-방향 제어부(305)에 출력하는, 디패킷타이저(604);를 포함한,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KR1020130158623A 2013-12-18 2013-12-18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KR10156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23A KR101561246B1 (ko) 2013-12-18 2013-12-18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623A KR101561246B1 (ko) 2013-12-18 2013-12-18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810A KR20150071810A (ko) 2015-06-29
KR101561246B1 true KR101561246B1 (ko) 2015-10-20

Family

ID=5351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623A KR101561246B1 (ko) 2013-12-18 2013-12-18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583B1 (ko) 2022-10-31 2023-10-27 주식회사 아이티에스컨버젼스 Kvm시스템의 스위칭 제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638A (ja) 2009-08-07 2011-02-24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
JP2011107914A (ja) 2009-11-16 2011-06-02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kvm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34594A (ja) 2011-12-26 2013-07-08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検出プログラム、及び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9638A (ja) 2009-08-07 2011-02-24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
JP2011107914A (ja) 2009-11-16 2011-06-02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kvm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134594A (ja) 2011-12-26 2013-07-08 Fujitsu Component Ltd Kvmスイッチ、検出プログラム、及び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810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3154B2 (en)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s cable
RU2414090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ередатчик, приемник,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программа и кабель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US8340529B2 (en) HDMI TMDS optical signal transmission using PAM technique
JP2022524633A (ja) 光データ相互接続システムを起動する為の電池トリガ
US20110222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on setting of a self-configurable asymmetric link
MX2013003294A (es) Aparato de transmicion, metodo de transmision, aparato de recepcion, metodo de recepcion, sistema de transmision/recepcion y cable.
JP2022525134A (ja) シンクを動力源とする光データ相互接続システム
CN104104893A (zh) 将混合信号同时通过单根光纤远程传输的设备及传输方法
GB2600624A9 (en) Adaptive bit rate ratio control
CN109194889B (zh) 用于dp接口的低速信号转换模块
US20220337318A1 (en) Optical Data Interconnect System
CN110049295B (zh) 一种单光纤多路视频传输接收器
KR101561246B1 (ko) 케이브이엠(kvm) 시스템
CN103491337A (zh) 单通道复用传输多路多格式音视频信号的传输系统及方法
CN104363433A (zh) 一种无需外接分配器的多路光端机
CN202918412U (zh) 一种信号传输系统
CN110719422B (zh) 一种高清晰度多媒体接口hdmi信号的传输方法和系统
CN101527575A (zh) 一种音视频信号的无线发射装置、接收装置及家用电器
CN204145667U (zh) 一种带有ops接口的多媒体光端机
WO2015129290A1 (ja) 波長冗長装置及び波長冗長方法
CN113422941A (zh) 一种hdmi数据传输及控制系统
KR101764652B1 (ko) 원격 접점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1924922A (zh) 一种监控方法和监控系统
KR101249894B1 (ko) 건물내부에서 pof 및 gof를 이용한 이동통신 선로 확장장치
JP2011151488A (ja) 映像信号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