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1191B1 -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1191B1
KR101561191B1 KR1020140044309A KR20140044309A KR101561191B1 KR 101561191 B1 KR101561191 B1 KR 101561191B1 KR 1020140044309 A KR1020140044309 A KR 1020140044309A KR 20140044309 A KR20140044309 A KR 20140044309A KR 101561191 B1 KR101561191 B1 KR 101561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isplay
wearable device
shell
u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권
Original Assignee
이담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담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이담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4004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골격 구조와, 상측이 상기 골격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고, 상기 상측이 둥근 형태인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피의 상측의 중간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로 치우치도록 상기 외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손목에 차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표시부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치우치게 위치하고, 우수 모드 또는 좌수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내용이 180도 회전되어 표시되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운동량 등을 표시하여 주는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는 디바이스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고, 영상이 일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표시부가 디바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된 영상을 보기 위하여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있는 손목을 얼굴 쪽으로 비틀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6-0027590호
본 발명은,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우수 모드 또는 좌수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내용이 180도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안하게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을 포함하는 골격 구조 및 상측이 상기 골격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고, 상기 상측이 둥근 형태인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외피의 상측의 중간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로 치우치도록 상기 외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격 구조는, 상기 외피의 상측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브라켓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의 상측에 의해 그 일부 또는 그 전부가 감싸지는 제2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피의 상측은, 일방향으로 길게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격 구조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외피의 상측의 중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경성 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연성 재질이고, 상기 연결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유연한 강선 또는 힌지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은, 상측에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하측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브라켓은, 하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사용모드에서는, 제1 사용모드에서 표시되는 표시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180도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 좌표를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사용모드에서는 설정된 표시 방법에 따라 결정된 표시 좌표를 그대로 사용하고, 제2 사용모드에서는 설정된 제1 사용모드용 표시 방법에 따라 결정된 표시 좌표를 제2 사용모드용 표시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의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브라켓은 경성 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연성 재질이고, 상기 외피의 상측은 일방향으로 길게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표시부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위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게 표시 내용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좌수 또는 우수에 상관하지 않고 편안하게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피가 입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피가 입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 좌표 변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좌수 모드에서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우수 모드에서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구성은,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과,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300)와, 상기 제1 브라켓(100)에 설치되는, 제1 인쇄회로기판(400), 제1 인쇄회로기판(500), 기능 버튼부(600)와, 제2 브라켓(200)에 장착되는 배터리(800)와,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제2 인쇄회로기판(500)을 연결하여 주는 제1 연결 라인(710)과, 상기 배터리(80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연결라인(720)과, 제1 덮개(910)와, 제2 덮개(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00)은 플라스틱 같은 경성 재질로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측에 제2 인쇄회로기판(50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는 제1 인쇄회로기판(40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라켓(100)의 상측에는 기능 버튼부(600)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00)에는 제1 안착홈(110)을 덮을 제1 덮개(9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200)은 플라스틱 같은 경성 재질로 둥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측에 배터리(8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제2 안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브라켓(200)에 모터 등의 전자 소자가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브라켓(100)에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고, 제2 브라켓(200)은 배터리, 모터 등의 전자 소자를 전혀 장착하지 않은 경성 재질로 된 둥근 판 형태 또는 편평한 판 형태(예컨대, 강판, 인쇄회로기판 등)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브라켓(100)에 배터리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고, 제2 브라켓(200)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브라켓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을 형성하여 연성 재질로 된 외피로 둘러싸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지지하여 주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형태나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전자 소자 등에 의해 구별되지 않는다.
연결부(300)는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에 결속되어 양 브라켓을 지탱하여 주고 있으며, 형상기억합금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졌다가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300)는 힌지 구성체로 구성되어,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을 지탱하면서,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300)는 유연한 강선으로 구성되어,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지탱하면서,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이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300)라는 내부 골격 구조물 없이 아래에서 설명할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된 외피의 상측 중앙부가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을 감싸서 지탱하면서,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이 외피의 상측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400)는 플렉서블(flexible)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에는 다수의 엘이디(410)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좌측 또는 우측에 다수의 엘이디(420)가 일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엘이디(410, 420)는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 등을 표시하여 주는 표시부를 구성하게 된다.
제2 인쇄회로기판(500)은 제1 브라켓(100)의 제1 안착홈(110) 내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인쇄회로기판(500)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특정 기능을 처리하고, 다른 부속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사용자의 맥박수, 사용자의 걸음걸이 횟수 등을 센싱하기 위한 각종 센서와, 외부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회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7에서 설명하는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기능 버튼부(600)는 제1 브라켓(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인쇄회로기판(500)에 배치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능 버튼부(500)를 통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연결라인(710)은 제1 인쇄회로기판(400)에 설치된 구성들과 제2 인쇄회로기판(500)에 설치된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줄 수 있다.
제2 연결라인(720)은 배터리(800)의 전원을 제1 인쇄회로기판(400) 및 제2 인쇄회로기판(500)에 공급하여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브라켓(200)에 모터 등의 추가적인 전자 소자가 장착될 경우에는, 제2 연결 라인(720)을 통해 모터 등의 추가적인 전자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제1 인쇄회로기판(400)에 장착된 프로세서로부터 모터 등의 전자 소자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연결라인(720)은 접착제,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부(3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800)는 제2 브라켓의 제2 안착홈(6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덮개(910)는 제1 브라켓의 제1 안착홈(110)을 덮을 수 있도록 제1 브라켓과 결속될 수 있다.
제2 덮개(920)는 제2 브라켓의 제2 안착홈(210)을 덮을 수 있도록 나사 등의 체결 수단(930)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제2 브라켓과 결속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피가 입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외피(1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중에서 버튼부(600)의 일부와 제1 덮개(910)와 제2 덮개(9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전부가 외피로 감싸질 수도 있다.
외피(1000)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기에 편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을 감싸는 상측이 장축 방향으로 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영역(1100)에는 특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외피(1000)의 표시 영역(1100)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부의 특정의 상기 엘이디(410, 420)의 온(ON) 동작에 의해 발생한 빛이 외피(1000)를 투과함으로써, 문자, 기호 등의 특정 정보가 외피(1000)의 외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1100)은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외피 상측의 중앙부의 수직축과 표시 영역(또는 표시 영역 안쪽에 배치된 표시부)의 중앙부의 수직축이 20도~60도 범위의 각도를 이룸)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목을 비틀지 않고서도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들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는 외피 내에 상기 연결부(300)가 배치되어 있어서, 장축 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외피 양측은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꺾일 수 있다.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300)라는 구조 없이 외피의 상측 중앙부의 연성에 의해 외피 양측은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꺾이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브라켓(100) 만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 브라켓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브라켓 없이 제1 브라켓(100)의 일부가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제1 브라켓(100) 만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브라켓에 포함된 표시부는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로 치우치게 외피 내부에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외피(1000)의 하측은 그 끝단이 이중으로 겹치도록 형성되고 장축 방향으로 긴 둥근 형태를 갖는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피가 입혀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외피(10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중에서 버튼부(600)의 일부와 제1 덮개(910)와 제2 덮개(9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 전부가 외피로 감싸질 수도 있다.
외피(1000)는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기에 편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골격을 감싸는 상측이 장축 방향으로 긴 둥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영역(1100)에는 특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외피(1000)의 표시 영역(1100) 안쪽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부의 특정의 상기 엘이디(410, 420)의 온(ON) 동작에 의해 발생한 빛이 외피(1000)를 투과함으로써, 문자, 기호 등의 특정 정보가 외피(1000)의 외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영역(1100)은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외피 상측의 중앙부의 수직축과 표시 영역(또는 표시 영역 안쪽에 배치된 표시부)의 중앙부의 수직축이 20도~60도 범위의 각도를 이룸)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손목을 비틀지 않고서도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정보들을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는 외피 내에 상기 연결부(300)가 배치되어 있어서, 장축 방향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외피 양측은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꺾일 수 있다.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연결부(300)라는 구조 없이 외피의 상측 중앙부의 연성에 의해 외피 양측은 상측 및/또는 하측으로 꺾이게 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1 브라켓(100) 만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에는 제2 브라켓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브라켓 없이 제1 브라켓(100)의 일부가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제1 브라켓(100) 만이 외피 내부에 배치되고, 제1 브라켓에 포함된 표시부는 외피의 상측의 중앙부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로 치우치게 외피 내부에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외피(1000)의 하측은 그 끝단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개방형으로 형성되는 둥근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외피의 하측의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피의 하측이 서로 연결되어 외피 전체가 일체로 장축 방향으로 긴 둥근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리블 디바이스는 통신부(71)와, 사용모드 결정부(72-2)와 좌표 변환부(72-4)를 포함하는 제어부(72)와, 표시부(73)와, 기능버튼부(74)와, 센서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는 외부의 휴대 단말(예컨대, 모바일 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휴대 단말의 사용자가 외부의 휴대 단말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한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72)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2)는 통신부(71)를 통해 전송받은 사용모드설정메시지 또는 기능버튼부(74)를 통해 전송받은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전송받는다.
사용모드결정부(72-2)는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결정(좌수 모드 또는 우수 모드)하고 그 결정 내용을 좌표변환부(72-4)로 전송한다.
좌표변환부(72-4)는 사용모드의 결정 내용에 따라 좌수 모드용 표시 좌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좌수 모드용 표시 좌표를 우수 모드용 표시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 좌표 변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는 디폴트로 설정된 좌수 모드용 표시 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730)는 4행 12열의 매트릭스 형태의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고, 문자 "AFC"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 좌표는 {(2,1)(3,1)(4,1), (1,2)(3,2), (2,3)(3,3)(4,3) / (1,5)(2,5)(3,5)(4,5), (1,6)(3,6), (1,7) / (1,9)(2,9)(3,9)(4,9), (1,10)(4,10), (1,11)(4,11)}로 결정될 수 있다.
(b)는 디폴트로 설정된 좌수 모드용 표시 좌표를 우수 모드로 변환한 표시 좌표를 나타내고 있다.
우수 모드에서 문자 "AFC"를 표시하기 위하여는 표시 방향이 180도 회전되기 때문에, 표시 좌표도 그에 맞게 변환되어야 한다.
즉, 좌수 모드에서 1행은 우수 모드에서 4행으로, 좌수 모드에서 2행은 우수 모드에서 3행으로, 좌수 모드에서 3행은 우수 모드에서 2행으로, 좌수 모드에서 4행은 우수 모드에서 1행으로 각각 변환 조치되어야 한다.
아울러, 좌수 모드에서 1열은 우수 모드에서 12열로, 좌수 모드에서 2 열은 우수 모드에서 11열로, 이와 같이 계속 변환 조치하여, 좌수 모드에서 11열은 우수 모드에서 2열로, 좌수 모드에서 12열은 우수 모드에서 1열로 각각 변환 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우수 모드에서 문자 "AFC"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 표시 좌표는 {(3,12)(2,12)(1,12), (4,11)(2,11), (3,10)(2,10)(1,10) / (4,8)(3,8)(2,8)(1,8), (4,7)(2,7), (4,6) / (4,4)(3,4)(2,4)(1,4), (4,3)(1,3), (4,2)(1,2)}로 변환될 수 있다.
표시부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된 표시 소자(예컨대, 엘이디 등)로 구성될 경우, 이러한 좌표 변환을 일반화하면,
(우수 모드 행의 좌표값) = (m+1) - (좌수 모드 행의 좌표값)
(우수 모드 열의 좌표값) = (n+1) - (좌수 모드 열의 좌표값)
과 같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표시부(73)는 제어부(72)로부터 전송받은 표시 좌표에 따라 문자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좌수 모드에서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좌수 모드에서는 외피의 상측의 장축 방향의 중앙부(90)에서 가까운 쪽으로 "ABC" 중 "A"가 표시되고 있다. 표시 영역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왼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우수 모드에서 표시부의 표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수 모드에서는 외피의 상측의 장축 방향의 중앙부(90)에서 먼 쪽으로 "ABC" 중 "A"가 표시되고 있다. 우수 모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표시 영역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우수 손목에 차여질 경우에는,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가 좌수 모드에 표시되는 경우와는 다르게, 그 표시 방향이 180도 회전되어 표시되고 있어서, 사용자는 오른 손목을 비틀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7로 돌아와서, 기능버튼부(74)는 사용자가 기능버튼을 터치하거나 누름으로써 입력한 기능선택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72)로 전송한다. 특히,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75)는 사용자의 맥박수, 사용자의 걸음걸이 횟수 등을 센싱하여, 센싱된 정보를 제어부(72)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 100 제2 브라켓 : 200
연결부 : 300 제1 인쇄회로기판 : 400
제2 인쇄회로기판 : 500 기능 버튼부 : 600
제1 연결라인 : 710 제2 연결라인 : 720
배터리 : 800 제1 덮개 : 910
제2 덮개 : 920 외피 : 1000

Claims (13)

  1.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로서,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포함하는 골격 구조; 및
    상기 골격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고, 장축 방향으로 길게 둥근 형태인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외피의 상기 장축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전부가 상기 외피의 상기 장축 방향의 중간부에서 상기 장축 방향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상기 제1 브라켓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 구조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외피의 상기 장축 방향의 중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이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꺾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경성 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연성 재질이고,
    상기 연결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유연한 강선 또는 힌지 구조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측에 표시부를 포함하는 제1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하측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하측에 형성된 제2 안착홈에 배터리가 배치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사용모드에서는, 제1 사용모드에서 표시되는 표시 내용이 상기 표시부에 180도 회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모드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표시 좌표를 변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사용모드에서는 설정된 표시 방법에 따라 결정된 표시 좌표를 그대로 사용하고,
    제2 사용모드에서는 설정된 제1 사용모드용 표시 방법에 따라 결정된 표시 좌표를 제2 사용모드용 표시 좌표로 변환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외부의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기능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버튼부는, 상기 사용모드설정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경성 재질이고,
    상기 외피는 연성 재질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40044309A 2014-04-14 2014-04-14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1561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309A KR101561191B1 (ko) 2014-04-14 2014-04-14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309A KR101561191B1 (ko) 2014-04-14 2014-04-14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191B1 true KR101561191B1 (ko) 2015-10-19

Family

ID=5439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309A KR101561191B1 (ko) 2014-04-14 2014-04-14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527B1 (ko) 2016-09-12 2018-02-01 이앤엠 주식회사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KR20200131728A (ko) 2019-05-14 2020-11-24 한병수 웨어러블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6557A (ja) 2012-01-18 2013-08-01 Nike Internatl Ltd 運動機能性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アセンブリ
JP2013544140A (ja) 2010-11-01 2013-12-1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アスレチック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44140A (ja) 2010-11-01 2013-12-12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アスレチック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アセンブリ
JP2014500740A (ja) 2010-11-01 2014-01-16 ナイキ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アスレチック機能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装置アセンブリ
JP2013146557A (ja) 2012-01-18 2013-08-01 Nike Internatl Ltd 運動機能性を有する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アセンブ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527B1 (ko) 2016-09-12 2018-02-01 이앤엠 주식회사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KR20200131728A (ko) 2019-05-14 2020-11-24 한병수 웨어러블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2505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expanded edges
EP2984537B1 (en) Smart watch
TWI677782B (zh) 可移除殼體,手錶錶帶,及電子裝置
US10103764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information delivery
US20180005607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US20150084885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modes for one-handed operation
WO2013088725A1 (en) Head-mounted display an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KR20180038199A (ko) 피부 케어 기기
JP5543615B2 (ja) 電子機器
US20140204062A1 (en) Head-mounted display, display apparatus, and input apparatus
US20170265780A1 (en) Band type sensor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CN110083200A (zh) 可穿戴设备
KR20170035547A (ko) 원격 제어장치, 원격 제어방법 및 원격 제어시스템
KR20160123936A (ko) 스마트 와치
JP6086947B2 (ja) 情報表示用携帯型電子デバイス
US10540034B2 (en) Input device having optimum portability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10141017A1 (en) Waterproof mouse
JP6536881B2 (ja) 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101561191B1 (ko)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US20150370404A1 (en) Multi-phase touch-sensing electronic device
KR20160113053A (ko) 점자 정보 단말기
US2022023314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signal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KR101659030B1 (ko) 와치 타입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KR20170032952A (ko) 스마트 와치
JP2017037583A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