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603B1 -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603B1
KR101560603B1 KR1020147008186A KR20147008186A KR101560603B1 KR 101560603 B1 KR101560603 B1 KR 101560603B1 KR 1020147008186 A KR1020147008186 A KR 1020147008186A KR 20147008186 A KR20147008186 A KR 20147008186A KR 101560603 B1 KR101560603 B1 KR 10156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group identifier
base station
identifier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107A (ko
Inventor
샨티데브 모한티
루이 후앙
홍강 리
마르타 엠 타라델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6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간략하게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M2M(machine-to-machine)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기지국과의 통신이 행해지고,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M2M 디바이스는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하여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M2M 디바이스에 대해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M2M 디바이스는 유휴 모드로부터 기동하여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한다. 메시지가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M2M 디바이스는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한다.

Description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CHANGING THE MACHINE-TO-MACHINE (M2M) GROUP OF AN M2M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9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제61/533,689호의 우선권을 주장한 것이다. 상기 출원 제61/533,689호는 본 명세서의 전체 범위에서 참고로서 인용된다.
M2M(machine-to-machine) 통신 시스템은 원격 애플리케이션/서버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네트워크내의 디바이스의 배치를 수반할 수 있다. M2M 시스템은 기지국과의 무선 링크 또는 유선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내의 가입자국과 서버 사이, 또는 이와 달리 다른 가입자국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으로서 종종 불리우며, 정보의 교환은 인간의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또는 수반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드 데이터는 M2M 디바이스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수집 및 분석을 위해 감시국으로 다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M2M 디바이스는 주차권 판매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권 판매기에 동전이 가득차 있어, 비워져야 할 때가 되면, 소정의 주차권 판매기는 네트워크에 결합된 모니터링 서버에 대해 그 상태를 통신할 수 있고, 그 경우에 오퍼레이터는 해당 주차권 판매기로 가서 내부에 저장된 동전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M2M 디바이스는 화학 작용제, 생물학적 작용제, 및/또는 방사성 핵종과 같은 특정된 유해 물질의 존재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M2M 디바이스는 적절한 센서를 포함한다.
M2M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함께 그룹화되고 그룹에 대해 공통의 식별자가 할당된다. 공통의 식별자는 M2M 디바이스의 그룹으로의 또는 M2M 디바이스의 그룹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이, 소정의 디바이스에 의해 개별적으로 취급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취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종종 하나의 그룹으로부터 다른 그룹으로 재배치될 수 있고, 그 경우에 이동된 디바이스(들)는 새로운 그룹 식별자에 할당되어야 한다.
청구 대상은 본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 특히 지적되고 구체적으로 청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구 대상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는 경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내의 제 1 M2M 그룹에 속하는 M2M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과 제 2 M2M 구역 사이의 중첩 영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2 M2M 구역에 위치하고 제 1 M2M 구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M2M 구역내의 기지국에 의해 서빙된(served) M2M 이동국이, M2M 구역이 중첩하지 않는 제 2 M2M 구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M2M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및 서비스 소비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 M2M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M2M 이동국에 대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M2M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M2M 이동국에 대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네트워크내의 M2M 디바이스의 M2M 그룹에 대한 변경을 식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취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도 10의 정보 취급 시스템을 등거리 투과법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간략화 및/또는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요소는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몇몇 요소의 치수는 명확성을 위해 다른 요소에 대해 상대적으로 과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히 고려한다면, 대응하는 및/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 도면 중에 참조 부호가 반복될 수 있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는, 청구 대상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한 세부 사항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 대상은 이러한 특정한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방법, 프로시쥬어, 구성요소 및/또는 회로는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coupled" 및/또는 "connected"란 용어는, 그 파생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특정의 실시예에서, "connected"는 2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간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coupled"는 2 이상의 요소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coupled"는 2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간에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그 대신에 서로 간에 협동 및/또는 상호 작용하는 것을 또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upled"는 2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간에 접촉하지 않고 그 대신에 다른 요소 또는 중간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함께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on", "overlying" 및 "over"란 용어는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on", "overlying" 및 "over"는 2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over"는 2 이상의 요소가 서로 간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ver"는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으나 서로 접촉하지 않고 2개의 요소 사이에 다른 요소 또는 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청구 대상의 범위가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and/or"는 "and"를 의미할 수 있고 "or"를 의미할 수 있으며, "exclusive-or"를 의미할 수 있고, "one"을 의미할 수 있으며, "some, but not all"을 의미할 수 있고, "neither"를 의미하고 및/또는 "both"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comprise" 및 "include"란 용어는 그 파생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해 동의어로서 의도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내의 제 1 M2M 그룹에 속하는 M2M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기지국(110) 또는 제 1 M2M 구역(112)내의 제 1 M2M 그룹에 속하는 이동국(M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이동국(114), M2M 이동국(116), 및 M2M 이동국(118)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가 속하는 M2M 그룹 식별자(MGID)를 할당하는 네트워크 개체의 도메인내의 M2M 그룹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15 비트 값을 포함할 수 있는 동일한 MGID가 할당된 그룹에 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개체의 도메인은 AAI_SCD 메시지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는 M2M 구역 식별자(M2M_ZONE_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M2M 그룹은 공통의 MGID와 같은 공통의 식별자를 갖는 M2M 디바이스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M2M 구역은 M2M 그룹 및 M2M 구역 식별자가 유효인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 서빙되는 지리적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120)은 제 2 M2M 구역(122)내의 제 2 M2M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또는 이동국을 서빙할 수 있으며, M2M 이동국(124)은 다른 MGID가 할당된 제 2 M2M 그룹에 속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으나, M2M 시스템(1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p 표준, 또는 임의의 향후의 버전이나 그 구현예와 같은 IEEE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접속 모드에서, M2M 이동국(114)과 같은 M2M 디바이스는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서 지칭되는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타겟 기지국이 서빙 중인 M2M 구역 또는 구역들에 따라, M2M 이동국(114)은 그 M2M 그룹을 갱신하도록 요구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M2M 그룹은 특정의 M2M 구역 내에서만 유효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M2M 디바이스가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고 두 기지국이 동일한 M2M 구역을 서빙하는 경우에는,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M2M 디바이스가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되고 타겟 기지국이 상이한 M2M 구역을 서빙하고 원래의 M2M 구역을 서빙하지 않는 경우에는, M2M 디바이스는 그 M2M 그룹 및 그에 따른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핸드오버에 대한 예시적인 시나리오는 이하의 도 2 내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M2M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때때로 M2M 이동국은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으며, 타겟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으로서 동일한 구역 내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이동국(114)은 기지국(110)으로부터 타겟 기지국(128)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기지국(128)은 M2M 이동국(114)에 의해 수신되는 메시지에서 M2M_ZONE_ID로서 그 M2M 구역 식별자를 송신한다.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128)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M2M 구역 정보를 그 이전의 M2M 구역 정보와 비교한다. 타겟 기지국(128)이 동일한 M2M 구역인 M2M 구역(112) 내에 위치하므로, 타겟 기지국(128)에 의해 송신된 M2M 구역 정보는 원래의 기지국(110)의 M2M 구역 정보와 동일하다. 따라서, 구역이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M2M_ZONE_ID는 동일하고, M2M 그룹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M2M 이동국(114)이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1 M2M 구역과 제 2 M2M 구역 사이의 중첩 영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M2M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제 1 그룹의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M2M 구역으로부터 다른 M2M 구역으로 이동/재배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M2M 그룹의 M2M 이동국(114)은 M2M 구역(112)으로부터 M2M 구역(1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이동국(114)이 그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타겟 기지국(130)으로 핸드오버되고, 타겟 기지국(130)이 제 1 M2M 구역(112)과 제 2 M2M 구역(122)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한다. 따라서, 타겟 기지국(130)은 제 1 M2M 구역(112)과 제 2 M2M 구역(122)의 중첩 영역에 위치한다. M2M 이동국(114)이 그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타겟 기지국(130)으로 이러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130)이 제 1 M2M 구역(112)의 커버리지(coverage) 영역에 상주하는지 여부를 인지하도록 타겟 기지국(13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M2M 구역 정보를 청취(listen)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 1 M2M 구역(112)과 제 2 M2M 구역(122)은 중첩 영역(126)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고, 타겟 기지국(130)은 이 중첩 영역(126)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 타겟 기지국(130)은 제 1 M2M 구역의 M2M_ZONE_ID와 제 2 M2M 구역의 M2M_ZONE_ID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따라서, M2M 이동국(114)이 타겟 기지국(130)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타겟 기지국(130)이 그 현재의 제 1 M2M 구역에 속하는 것으로 판정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M2M 이동국(114)이 하나의 기지국(110)으로부터 다른 기지국(1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되, 기지국(130)이 제 1 M2M 구역(112) 내에 여전히 있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M2M 이동국(114)이 중첩 영역(126)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MGID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중첩 영역(126)내의 기지국(130)은 제 1 M2M 구역(112)과 제 2 M2M 구역(122)과 같은 다수의 M2M 구역을 실제로 서빙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수의 M2M 구역을 서빙하는 기지국(130)은 서빙하는 모든 M2M 구역에 대해 M2M 구역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것이다. 따라서, 중첩 영역내의 타겟 기지국(13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130)은 M2M 이동국(114)에 의해 수신되는 제 1 M2M 구역(112)과 제 2 M2M 구역(122)에 대한 M2M_ZONE_ID를 브로드캐스팅한다. M2M 이동국(114)이 그 원래의 M2M 구역인 제 1 M2M 구역(112)에 대한 M2M 구역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M2M 이동국(114)은 동일한 M2M 구역에 여전히 있으므로, 그 M2M 그룹을 갱신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M2M 이동국(114)이 그 원래의 구역을 완전히 벗어나 새로운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만 M2M 이동국(114)은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M2M 시스템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M2M 이동국이 제 2 M2M 구역에 위치하고 제 1 M2M 구역에는 위치하지 않는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M2M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이동국(114)은 제 1 M2M 구역(112)내의 제 1 M2M 그룹의 기지국(110)에 의해 서빙되는 것으로부터 제 2 M2M 구역(122)내의 새로운 타겟 기지국(132)에 의해 서빙되는 것으로 이동한다.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13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M2M 구역 정보, 예를 들어, M2M_ZONE_ID를 운반하는 메시지를 청취한다.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132)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M2M 구역 정보가, M2M 이동국(114)이 현재 새로운 M2M 구역인 제 2 M2M 구역(122)에 있고, 그 이전의 M2M 구역인 제 1 M2M 구역(112)을 완전히 벗어났다는 것을 나타내는지를 식별한다. 따라서, M2M 구역이 변경되므로, M2M 이동국(114)은 M2M 시스템 내의 그 M2M 그룹을 갱신하거나 또는 변경하도록 요청하고, 그 MGID를 제 2 M2M 구역(122)내에서 유효한 MGID로 갱신하도록 타겟 기지국(132)과 통신할 것이다. 오버헤드를 저감하거나 축소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M2M 시스템(100)은 다수의 M2M 구역들 사이의 지리적 경계를 특정하기 위해 M2M 구역 ID(M2M_ZONE_ID)와 같은 충분한 양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M2M 이동국(114)은 그 MGID를 갱신하고 및/또는 그 M2M 구역을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서빙 기지국(110) 및/또는 타겟 기지국(120)으로부터 이러한 핸드오버 정보를 수신한다. 일단 M2M 이동국(114)이 그 MGID를 갱신하면, M2M 이동국(114)은 제 2 M2M 구역(122)내에서 유효한 그 MGID를 이용하여 제 2 M2M 구역(122)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M2M 이동국(114)이 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M2M 이동국(114)은 핸드오버가 수행된 이후에 M2M 이동국(114)에 대해 새로운 서빙 기지국이 되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M2M_ZONE_ID 정보를 청취한다. 타겟 기지국으로부터의 M2M_ZONE_ID 정보가 M2M 이동국(114)이 현재 새로운 M2M 구역, 예를 들어, 제 2 M2M 구역(122)에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 M2M 이동국(114)은 새로운 M2M 그룹에 대응하는 새로운 MGID를 M2M 시스템(100)으로부터 요청할 수 있다.
M2M 이동국(114)이 유휴 모드에 있는 상황에서, M2M 이동국(114)이 그 M2M 그룹 및/또는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M2M 이동국(114)은 M2M 구역에 관한 정보를 운반하는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페이징 청취(paging listening) 구간 동안 주기적으로 기동(wake up)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M2M 이동국(114)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M2M_ZONE_ID를 모니터링하고 및/또는 해당 기지국에 대해 기지국 식별자(BSI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해당 특정의 기지국에 대한 M2M 그룹 경계에 관해 인지하도록 네트워크를 접촉함으로써, M2M 그룹(112)과 같은 그 M2M 그룹에 대한 M2M 그룹 경계에 관해 인지할 수 있다. 유휴 상태 동안 M2M 이동국(114)의 MGID는,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 초기화된 위치 갱신 또는 기지국 초기화된 위치 갱신과 같은 위치 갱신 프로시쥬어를 통해, 또는 네트워크 재진입에 의해 변경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위치 갱신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패이징 메시지에 근거하거나 또는 타이머 기반 갱신에 근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는 그 현재의 기지국이 원래의 또는 이전의 M2M 구역 또는 그의 일부분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페이징 청취 구간 동안 기동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M2M 디바이스는 그 MGID를 갱신하고 또한 그 M2M_ZONE_ID를 갱신할 것이다. M2M 이동국(114)이 M2M 그룹 및/또는 MGID를 언제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를 어떻게 판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도 7 및 도 8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M2M 구역들 사이에 중첩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M2M 시스템(100)의 예는 이하의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M2M 구역내의 기지국에 의해 서빙된 M2M 이동국이, M2M 구역이 중첩하지 않는 제 2 M2M 구역내의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M2M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M2M 시스템(1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M2M 그룹(112 및 122)의 구역들 사이에 중첩 영역(126)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M2M 시스템(100)과 유사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M2M 이동국(114)이 서빙 기지국(128)으로부터 타겟 기지국(132)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기지국에 의해 서빙된 M2M 구역들 사이에 중첩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M2M 이동국(114)이 그 M2M 그룹 및/또는 MGID를 타겟 기지국(132)에 의해 서빙된 제 2 M2M 그룹(122)의 M2M 그룹 및/또는 MGID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도록, M2M 구역들 사이에 뚜렷한 경계가 존재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M2M 이동국(114)이 M2M 구역을 변경했고 그 결과 M2M 시스템(100)에 의해 판정된 바와 같이 그 M2M 그룹 및/또는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도록, M2M 이동국(114)은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한다. M2M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는 이하의 도 6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M2M 시스템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및 서비스 소비자를 도시하는 아키텍처가 기술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아키텍처(6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M2M 시스템(100)에 대한 것이며, 아키텍처(600)는 M2M 디바이스(614) 및/또는 M2M 디바이스(616)와 같은 하나 이상의 M2M 디바이스, 및/또는 비(non)M2M 디바이스(612) 및/또는 비M2M 디바이스(618)와 같은 하나 이상의 비M2M 디바이스를 관리하도록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mobile network operator : MNO)(610)를 포함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으나, 아키텍처(600)는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e 네트워크에 근거한 IEEE 802.16p 네트워크, 또는 WiMAX-II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IEEE 802.16m 네트워크에 근거한 IEEE 802.16p 네트워크와 같은 IEEE 802.16 네트워크 등의 IEEE 호환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으나, 비M2M 디바이스는 IEEE 802.16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M2M 디바이스는 IEEE 802.16 표준, 특히, IEEE 802.16p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으나, 아키텍처(600)는 3G 시스템과 같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 호환할 수 있거나, 또는 4G 시스템과 같은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시스템에 호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M2M 디바이스 및 비M2M 디바이스는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6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비M2M 디바이스(618)는 이러한 비M2M 디바이스(618)가 M2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M2M 디바이스(616)를 통해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610)와 간접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는 IEEE 802.16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Access Service Network : ASN)(620)의 일부로서 IEEE 802.16에 따르는 기지국(624)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액세스 서비스 네트워크(620)는 하나 이상의 M2M 서버(626)를 포함할 수 있는 접속 서비스 네트워크(Connectivity Service Network : CSN)(622)에 결합될 수 있다. M2M 서버(626)는 M2M 서비스 소비자(628)가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610)를 통해 M2M 디바이스 및/또는 비M2M 디바이스로부터 M2M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네트워크 오퍼레이터(610)에 결합될 수 있는 M2M 서비스 소비자(628)와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네트워크의 아키텍처(600)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며, M2M 시스템(100)을 구현하도록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제공될 수 있고,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 M2M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는 M2M 이동국이 그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가 이하의 도 7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모드에 있는 동안 M2M 이동국이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기술될 것이다. 방법(700)은 M2M 이동국이 M2M 시스템 내의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특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700)의 각종 다른 순서의 블록이 구현될 수 있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작은 수의 블록을 가질 수도 있으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블록(710)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이 서빙하고 있는 그 M2M 구역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M2M 사용자 또는 M2M 디바이스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블록(712)에서 기지국은 각각의 M2M 구역 내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M2M 그룹 식별자(MGID)를 할당한다. 블록(714)에서, 기지국은 소정의 M2M 구역에 대한 M2M_ZONE_ID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블록(716)에서 소정의 M2M 그룹내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는 이들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MG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소정의 M2M 그룹내의 모든 사용자로 송신되는 멀티캐스팅 트래픽을 수신하고, M2M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가 그 M2M 그룹에 할당된 리소스에 따라 그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718)에서 M2M 이동국(114)과 같은 이동국은 현재의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블록(720)에서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M2M_ZONE_ID를 청취하여 블록(722)에서 M2M 이동국(114)이 새로운 M2M 구역에 있고 새로운 MGID를 필요로 하는지를 판정한다. M2M 이동국(114)이 새로운 M2M 구역에 있지 않고 그에 따라 새로운 MGID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블록(726)에서 M2M 이동국(114)은, M2M 이동국(114)의 MGID를 변경하지 않고 그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서 타겟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한편, M2M 이동국(114)이 새로운 M2M 구역에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MGID를 필요로 하는 경우, 블록(724)에서 M2M 이동국(114)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MGID를 요청하고, 블록(726)에서 그 새로운 MGID를 이용하여 그 새로운 서빙 기지국으로서 타겟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M2M 시스템(100)에서 동작하는 M2M 이동국이 그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예시적인 흐름도가 이하의 도 8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M2M 이동국이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가 기술될 것이다. 방법(800)은 M2M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에 있는 동안 M2M 이동국이 M2M 그룹을 변경하는 방법의 특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800)의 각종 다른 순서의 블록이 구현될 수 있고, 더 많거나 또는 더 작은 수의 블록을 가질 수도 있으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블록(810)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이 서빙하고 있는 그 M2M 구역 중 하나 이상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M2M 사용자 또는 M2M 디바이스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블록(812)에서 기지국은 각각의 M2M 구역 내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에 M2M 그룹 식별자(MGID)를 할당한다. 블록(814)에서, 기지국은 소정의 M2M 구역에 대한 M2M_ZONE_ID 및 그 기지국 식별자(BSID)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여 블록(816)에서 소정의 M2M 구역내의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가 이들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의 MGID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소정의 M2M 그룹내의 모든 사용자로 송신되는 멀티캐스팅 트래픽을 수신하고, M2M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가 그 M2M 그룹에 할당된 리소스에 따라 그 트래픽을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록(818)에서 M2M 이동국(114)과 같은 이동국은 유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블록(820)에서 M2M 이동국(114)은 그 서빙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M2M_ZONE_ID 및 BSID를 청취하도록 그 페이징 청취 구간 동안 주기적으로 기동하고 블록(822)에서 BSID 및 M2M_ZONE_ID가 변경되는 경우 M2M 이동국(114)은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페이징은 페이징 메시지(AAI_PAG_ADV)를 M2M 이동국(114)으로 브로드캐스팅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초기화될 수 있거나, 또는 M2M 이동국(114)은 페이징 청취 구간 동안 주기적으로 기동(wake up)할 수 있다. M2M 이동국(114)이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M2M 이동국은 그 기지국과 접속하고 그 현재의 MGID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블록(822)에서 M2M 이동국(114)이 그 MGID를 갱신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면, 블록(824)에서 M2M 이동국(114)은 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갱신된 MGID를 요청한다. 현재의 기지국의 아이덴티티, 기지국 식별자(BSID), 및/또는 현재의 M2M_ZONE_ID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한 현재의 지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거하여 판정이 행해질 수 있다. 블록(826)에서 M2M 이동국(114)은 그 갱신된 MGID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MGID에 대한 변경을 식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취급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가 이하의 도 9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광대역 네트워크내의 M2M 디바이스의 M2M 그룹에 대한 변경을 식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정보 취급 시스템의 블록도가 기술될 것이다. 도 9의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도 1 내지 도 5에 대해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M2M 시스템(100)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요소 또는 디바이스를 실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특정의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요소의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보다 많거나 보다 적은 구성요소와 함께, 기본적인 M2M 이동국(114), 서빙 기지국(110), 타겟 기지국(120), 및/또는 M2M 그룹내의 임의의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기지국의 하드웨어를 나타낼 수 있다. 정보 취급 시스템(900)이 몇몇 유형의 연산 플랫폼의 일례를 나타내지만,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도 9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요소 및/또는 각종 요소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정보 취급 시스템(9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과 각종 서브시스템을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단일의 코어를 포함하거나, 이와 달리 다수의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동일한 칩에 배치된 그래픽 프로세서 또는 코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이와 달리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에 결합된 그래픽 프로세서가 개별적이고 구분된 그래픽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캐쉬 메모리와 같은 온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동작 동안 애플리케이션을 저장 및/또는 실행하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914), 및 정보 취급 시스템(900)이 파워 오프되더라도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NAND 플래쉬(916)와 같은 외부 메모리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는 정보 취급 시스템(900)에 대해 광대역 무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는 NOR 플래쉬(918)에서 이러한 광대역 무선 기능을 제어하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는 예를 들어, IEEE 802.16p에 근거한 WiMAX 네트워크 또는 3GPP LTE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하도록 광대역 네트워크 신호를 변조 및/또는 복조하는데 사용되는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트랜시버(920)를 제어한다. WWAN 트랜시버(920)는 WWAN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924)에 각각 결합된 하나 이상의 파워 앰프(922)에 결합한다.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는 하나 이상의 적절한 안테나(928)에 결합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트랜시버(926)를 또한 제어할 수 있고, Wi-Fi, 블루투스, 및/또는 IEEE 802.11 a/b/g/n 표준 등을 포함하는 진폭 변조(AM) 또는 주파수 변조(FM) 무선 표준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에 대한 단지 예시적인 구현예이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SDRAM(914), NAND 플래쉬(916) 및/또는 NOR 플래쉬(918)는, 자기 메모리, 칼코겐화물(chalcogenide) 메모리, 상 변화 메모리, 또는 오보닉(ovonic) 메모리와 같은 다른 유형의 메모리 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각종 정보 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930)를 구동할 수 있고, 또한 터치 스크린(932)을 통해, 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주변 광 센서(934)는 정보 취급 시스템(900)이, 예를 들어, 주변 광 센서(934)에 의해 검출된 주변 광의 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930)에 대한 밝기 또는 콘트라스트 값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주변 광의 양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카메라(936)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에 의해 프로세스되고 및/또는 NAND 플래쉬(916)에 적어도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이미지를 캡쳐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정보 취급 시스템(900)의 위치, 이동, 및/또는 배향을 포함하는 각종 환경 특성의 검출을 위해, 적절한 GPS 안테나(948)에 결합된 자이로스코프(938), 가속도계(940), 자기계(942), 및/또는 코더/디코더(CODEC)(944)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제어기(946)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기(946)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CODEC(944)는 오디오 포트(950)를 통해, 예를 들어, 헤드폰 및 마이크로폰 잭을 통해 정보 취급 시스템에 결합된 내부 디바이스 및/또는 외부 디바이스를 통해 마이크로폰 입력 및 스피커 출력을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오디오 포트(95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직렬 포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I/O 포트(954)를 결합하도록 하나 이상의 입출력(I/O) 트랜시버(952)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지만, 하나 이상의 I/O 트랜시버(952)는 SD(secure digital) 카드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같은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한 메모리를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슬롯(956)과 결합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정보 취급 시스템의 등거리 투과법에 의한 도면으로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정보 취급 시스템이 기술될 것이다. 도 10은 셀룰러 전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타입 디바이스 등으로서 실체적으로 구현된 도 9의 정보 취급 시스템(900)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지만,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도 1 내지 도 5의 내부 구조 노드 및/또는 이동국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910)를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1016)을 통해 및/또는 스타일러스(1018)를 통해 촉각 입력 제어 및 커맨드를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912)을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930)를 갖는 하우징(10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10)은 정보 취급 시스템(9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0), SDRAM(914), NAND 플래쉬(916) 및 NOR 플래쉬(918), 베이스밴드 프로세서(912) 및/또는 WWAN 트랜시버(92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할 수 있다.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스위치를 통해 정보 취급 시스템을 제어하는 키보드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 물리적 액추에이터 영역(102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예를 들어, SD(secure digital) 카드 또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형태의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수신하는 메모리 포트 또는 슬롯(956)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 및/또는 마이크로폰(1024), 및, 다른 전자 디바이스, 도크(dock), 디스플레이, 배터리 충전기 등에 정보 취급 시스템(900)을 접속하는 접속 포트(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하우징(1010)의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헤드폰 또는 스피커 잭(1028), 및 하나 이상의 카메라(9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정보 취급 시스템(900)은 다양한 배치에서,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청구 대상의 범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은 특정의 세부 사항으로 기술되었으나,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청구 대상의 사상 및/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 요소들이 변경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M2M 디바이스의 M2M 그룹 및/또는 그 다수의 관련된 용도를 변경하는 것에 관한 청구 대상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것이고, 청구 대상의 범위 및/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는 그 모든 실질적 이점을 희생하지 않고, 및/또는 실질적인 변경을 부가하지 않고, 그 구성요소들의 형태, 구성 및/또는 배치에서 각종 변경이 행해질 수 있으며, 앞서 기술된 형태는 본 명세서에서 단지 그 예시적인 실시예인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경을 포괄 및/또는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제 1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와,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listen)하여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제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 또는 그들의 조합은 M2M 그룹 식별자(machine-to-machine group identifier : MGID)를 포함하는
    제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제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며, 상기 제 1 M2M 구역은 상기 제 2 M2M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제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며, 상기 제 1 M2M 구역은 상기 제 2 M2M 구역과 중첩하지 않는
    제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할당되는 제 1 구역과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가 할당되는 제 2 구역 사이의 지리적 경계를 표시하고,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역에서 상기 제 2 구역으로의 변경에 응답하여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제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M2M 구역 식별자(M2M_ZONE_ID)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M2M 구역 식별자의 변경에 응답하여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제조물.
  8.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제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와,
    유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유휴 모드로부터 기동(wake)하여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가, 상기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제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MGID를 포함하는
    제조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M2M 구역 식별자(M2M_ZONE_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M2M 구역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제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되는 경우, 상기 M2M 구역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상기 BSID의 변경에 응답하여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제조물.
  12.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제 1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제 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하여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 또는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 또는 그들의 조합은 MGID를 포함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며, 상기 제 1 M2M 구역은 상기 제 2 M2M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는 제 1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는 제 2 M2M 구역내의 M2M 디바이스에 할당되며, 상기 제 1 M2M 구역은 상기 제 2 M2M 구역과 중첩하지 않는
    정보 취급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 1 그룹 식별자가 할당되는 제 1 구역과 상기 제 2 그룹 식별자가 할당되는 제 2 구역 사이의 지리적 경계를 표시하고,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구역에서 상기 제 2 구역으로의 변경에 응답하여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 요청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M2M 구역 식별자(M2M_ZONE_ID)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상기 M2M 구역 식별자의 변경에 응답하여 제 2 그룹 식별자의 할당 요청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결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정보 취급 시스템.
  20. 하나 이상의 무선 트랜시버에 결합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그룹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1 기지국과 통신하고,
    유휴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유휴 모드로부터 기동하여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메시지를 청취하고,
    상기 메시지가, 상기 그룹 식별자가 변경되어야 한다고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기지국으로부터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을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MGID를 포함하는
    정보 취급 시스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M2M 구역 식별자(M2M_ZONE_ID)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상기 M2M 구역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 요청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지국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메시지는 기지국 식별자(BSID)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는 상기 M2M 구역 식별자가 변경된 경우 상기 BSID의 변경에 응답하여 갱신된 그룹 식별자의 할당 요청을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는
    정보 취급 시스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결합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정보 취급 시스템.
KR1020147008186A 2011-12-16 2011-12-16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KR101560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1/065379 WO2013089766A1 (en) 2011-12-16 2011-12-16 Changing the machine-to-machine (m2m) group of an m2m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107A KR20140068107A (ko) 2014-06-05
KR101560603B1 true KR101560603B1 (ko) 2015-10-16

Family

ID=4861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186A KR101560603B1 (ko) 2011-12-16 2011-12-16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560603B1 (ko)
CN (1) CN103828431B (ko)
DE (1) DE112011105661T5 (ko)
GB (1) GB2511210B (ko)
WO (1) WO2013089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0532B2 (en) 2011-09-12 2015-12-08 Intel Corporation Changing the machine-to-machine (M2M) group of an M2M device
US10362577B2 (en) 2014-09-23 2019-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arrangement of group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343675A (zh) * 2018-12-19 2020-06-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同步移动性管理的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704003B (zh) * 2021-08-30 2023-05-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基于b-m2m的协同识别方法、边缘计算服务器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6654A1 (en) * 2008-06-19 2009-12-24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assisted node identifier confusion resolution using a time gap
US20100061289A1 (en) * 2007-04-12 2010-03-11 Du Hyun Mun method of performing and support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100081454A1 (en) 2008-09-09 2010-04-01 Nokia Siemens Networks Oy Neighborhood paging group design for wireles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0421B2 (en) * 2003-09-01 2008-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7894831B2 (en) * 2004-06-08 2011-02-22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idle mode of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CN101047947A (zh) * 2006-03-28 2007-10-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演进网络中的移动管理方法
US20090132674A1 (en) * 2007-11-16 2009-05-21 Qualcomm Incorporated Resolving node identifier confu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1289A1 (en) * 2007-04-12 2010-03-11 Du Hyun Mun method of performing and support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US20090316654A1 (en) * 2008-06-19 2009-12-24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assisted node identifier confusion resolution using a time gap
US20100081454A1 (en) 2008-09-09 2010-04-01 Nokia Siemens Networks Oy Neighborhood paging group design for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402209D0 (en) 2014-03-26
GB2511210B (en) 2017-04-12
KR20140068107A (ko) 2014-06-05
CN103828431A (zh) 2014-05-28
GB2511210A (en) 2014-08-27
DE112011105661T5 (de) 2014-09-04
CN103828431B (zh) 2019-03-01
WO2013089766A1 (en)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532B2 (en) Changing the machine-to-machine (M2M) group of an M2M device
KR101617557B1 (ko) M2m 디바이스를 위한 그룹 매체 액세스 제어 메시지 및 그룹 식별자 업데이트 방법
EP3554123B1 (en) Grant-free resource allo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CN111801967B (zh) 使用多个用户识别模块的电子装置及其提供通信服务的方法
US20220279410A1 (en) Connec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14166401A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access map and applications
CN103493547A (zh) 用于移动宽带网络中固定装置的系统获取机制
EP3836602A1 (en) Cel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972116B (zh) 一种通信方法、装置、介质、程序产品及系统
CN110933704B (zh)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40012102A (ko) 이종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사용자 단말에 소형 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60603B1 (ko) 제조물 및 정보 취급 시스템
US20230180178A1 (en) Paging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KR102191366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US202201416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ystem message,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481103A1 (en) Method for camping of user equipment, and paging method and device
US20230189379A1 (en) Methods for base station switching,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2089254A1 (zh) 一种小区切换方法及通信装置
US9363737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864156B2 (en) Paging timing collision control
CN114026905B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3065226A1 (en) Identifying relay user equipment for sidelink relay
US20230362624A1 (en) User equipment aggregation
US12004024B2 (en) Cell measurement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RU280000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