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319B1 -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319B1
KR101560319B1 KR1020150006658A KR20150006658A KR101560319B1 KR 101560319 B1 KR101560319 B1 KR 101560319B1 KR 1020150006658 A KR1020150006658 A KR 1020150006658A KR 20150006658 A KR20150006658 A KR 20150006658A KR 101560319 B1 KR101560319 B1 KR 101560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heating
block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회
Original Assignee
허승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승회 filed Critical 허승회
Priority to KR102015000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난방하기 위한 이동식 침대블록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부를 덮어 공간을 차단하는 상판;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더운 공기를 순환시켜 난방될 수 있게 하고 블록화된 구조를 통해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A bed block and with bed removable for heating}
본 발명은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더운 공기를 순환시켜 난방될 수 있게 하고 블록화된 구조를 통해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온돌은 방바닥에 돌을 깔고, 아궁이에 불을 지펴서 구들(돌)을 달구어 방을 데워 난방하는 구조를 뜻하는 것으로,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러한 구들 문화를 발전시켜 현재 집의 대부분이 이러한 구들 문화에서 비롯된 난방 방식이다.
이러한 난방방식을 이용하여 바닥을 난방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대표적으로 온수를 이용한 기술들과, 전기 히터를 이용한 기술들을 들 수 있고, 최근에는 세라믹이나 고주파 등을 이용한 난방 방식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는 별개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관로를 따라 순환시켜 난방하는 방식과 복사열을 이용한 난방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개발되어 겨울철 실내 난방을 위하여 이용되어 왔다.
하지만 종래의 대부분의 기술들은 그 용도가 집 내부에 설치되어 이용되기 때문에 사용 조건이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설치와 더불어 이용시 전기 공급을 통해 난방수를 순환시키거나 히터를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 소모가 심하다는 단점에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5179호
선행기술문헌 2 : 등록특허 제10-0996301호
선행기술문헌 3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519호
선행기술문헌 4 : 실용신안공고 제20-1994-0002855호
선행기술문헌 5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5510gh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더운 공기를 순환시켜 난방될 수 있게 하고 블록화된 구조를 통해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 내에 설치되는 펠릿난로에서 배출되는 배출연기를 그대로 방출하는 것이 아닌 침대를 경유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펠릿난로에 의해 1차적으로 난방을 하고 배출연기를 통해 2차적인 침대 난방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는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침대블록은,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난방하기 위한 이동식 침대블록에 있어서, 다수개의 통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상부를 덮어 공간을 차단하는 상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통공은 하판의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침대블록 내에는 공간을 분리하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분리판;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은 길이 방향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나나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은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배치된다.
한판 본 발명의 침대블록을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로써, 상기 난방용 이동식 침대는, 다수개의 침대블록이 연결관에 의해 하나의 난방라인으로 연결되어 난방되며, 난방은 펠릿난로에서 배출되는 배출연기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연기는 배출라인 말단에 배치되는 배출팬에 의해 배출되며 난방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더운 공기를 순환시켜 난방될 수 있게 하고 블록화된 구조를 통해 설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난방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내에 설치되는 펠릿난로에서 배출되는 배출연기를 그대로 방출하는 것이 아닌 침대를 경유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써 펠릿난로에 의해 1차적으로 난방을 하고 배출연기를 통해 2차적인 침대 난방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블록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블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블록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침대블록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블록(100)은 상판(110)과 하판(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110)은 하판(120) 상부를 덮기 위한 구조로 하판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판(120)은 내부에 공간(130)을 가지며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121)이 형성되어 공간(130)과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박스 형태로 공간(130) 내에 통공(121)을 가지며 통공(121)이 서로 연결되어 다수개의 침대블록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데워진 공기 또는 배출연기가 공간 내부를 유동하며 난방하게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간(130) 내에는 분리판(14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리판(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중앙으로부터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거나 커지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배치되어는 연결공(141)이 형성되어 있어서 공간 내에서 유동하는 데워진 공기 또는 배출연기가 공간 내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동할 수 있게 하고, 진입 방향 기준에서 보았을 때 흐름 방향이 진입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침대블록을 연결하여 설치하였을 경우 진입 방향이 한쪽으로 편중될 수밖에 없어 진입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공 측으로 흐름이 더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공간 내에서의 흐름이 전체적으로 균일성을 갖도록 진입 측으로부터 멀게 위치되는 연결공의 직경이 더 크게 배치하게 되고, 분리판을 통과한 배출연기는 분리판으로부터 먼 위치의 통공으로 이웃한 침대블록으로 이동하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데워진 공기 또는 배출연기(후술하는 펠릿난로로부터 발생된 연기)가 진입하는 위치에 따라 분리판에 형성된 연결공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함으로써 침대블록 전체를 경하는 흐름의 균일성을 추구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b는 침대블록을 6개 설치하였을 경우의 흐름을 화살표로 표시한 것으로 각각의 통공과 연결공을 따라 자연스러운 흐름을 가질 수 있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도 1은 데워진 공기 또는 배출연기가 진입하고 배출되는 통공의 위치가 하판의 측면에 배치된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분리판(140)은 하판과 상판 사이에서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다수개의 통공(121)은 사용하지 않은 경우 마개(미도시)를 이용하여 차단시킬 수 있고, 통공과 통공을 연결시킬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관을 이용해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며, 하판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220)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통공(2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통공(2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23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도록 배치되는 프레임(F) 위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도배우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배우마의 경우 접철이 가능한 구조를 하고 있어서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어서 보관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서 이용되는 연결관은 통공과 대응되는 직경의 직관을 이용하고 제2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연결관은 통공과 대응되는 직경의 곡관을 이용한다.
즉, 연결관은 침대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일정한 패턴으로 배치될 때 통공을 연결시켜 각각의 침대블록 내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통공의 경우 마개를 이용해 폐쇄시킨 상태로 이용된다. 여기서 마개는 일정한 온도 이상에서도 열변형 등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리판이 내부에 배치되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침대블록 내의 공간에 하나의 분리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분리 가능한 구조의 분리판은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은 주지사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침대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배치할 경우 다양한 크기의 침대로 구성할 수 있어 공간적 제한이 있는 협소한 실내에서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동시에도 서로 분리하여 수납 이동하므로 통상적인 침대에 비해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운송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침대블록을 이용한 난방형태를 살펴 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의 침대블록(100,200)을 일정한 형태로 연결시켜 침대를 형성시킨 후에 배출연기가 진입할 제1배출라인(L1)을 일측에 연결시키고, 타측은 침대블록을 통과한 배출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배출라인(L2)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배출라인(L1)에는 침대블록 측으로 공급될 펠릿난로(30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펠릿날로(3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은 크기와 무게를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배출라인(L2) 단부에는 펠릿난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연기가 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팬(400)을 설치한다. 이때 설치되는 배출팬(400)은 소용량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펠릿난로에서 배출되는 배출연기가 너무 빠르게 배출될 경우 침대블록을 가열하지 못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고, 펠릿난로 측으로 인입되는 외부 공기가 필요 이상 인입되어 불필요한 펠릿 소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때문에 이를 방지하도록 배출라인의 배출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팬은 자체 배터리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고, 외부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도 있으며, 배출팬에 인버터 등을 설치하여 팬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침대블록이 가열되는 온도를 일정 부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난방용 이동식 침대는 건물의 실내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서도 가능하지만 분리 설치가 가능하므로 야외 캠핑 등에서 텐트 내부에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펠릿난로를 이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침대 측으로 데워진 공기 또는 일정한 온도를 갖는 배출연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블록은 금속소재를 이용하고 있어서 겨울철에는 펠릿난로를 이용해 온돌 침대와 같은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여름 철과 같이 더운 경우에는 금속의 냉기를 이용해 시원하게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공간 내부로 별도의 냉풍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난방용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보온성을 가지면서 일정한 열에도 견딜 수 있는 커버로 침대를 감싸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Claims (8)

  1. 데워진 공기의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난방하기 위한 이동식 침대블록에 있어서,
    다수개가 측면 또는 하면에 배치된 통공이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는 하판;
    상기 하판 상부를 덮어 공간을 차단하는 상판; 및
    상기 공간을 분리하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연결공이 형성하여 진입 방향 기준에서 보았을 때 흐름 방향이 진입 방향으로 편중되지 않고 균일하게 흐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은 길이 방향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지나 작아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연결공은 길이 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블록.
  7.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침대블록을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로써,
    상기 난방용 이동식 침대는,
    다수개의 침대블록이 연결관에 의해 하나의 난방라인으로 연결되어 난방되며,
    난방은 펠릿난로에서 배출되는 배출연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동식 침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연기는 배출라인 말단에 배치되는 배출팬에 의해 배출되며 난방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이동식 침대.
KR1020150006658A 2015-01-14 2015-01-14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KR101560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58A KR101560319B1 (ko) 2015-01-14 2015-01-14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658A KR101560319B1 (ko) 2015-01-14 2015-01-14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319B1 true KR101560319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658A KR101560319B1 (ko) 2015-01-14 2015-01-14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3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19347A (zh) * 2016-05-24 2016-09-07 徐海慧 一种带有防潮的小孩使用承载装置
WO2017073827A1 (ko) * 2015-10-29 2017-05-04 안병연 구들침대
KR101777647B1 (ko) 2016-02-01 2017-09-26 김태경 화목난로를 이용한 이동식 조립온돌침대
KR101829683B1 (ko) 2016-09-05 2018-02-19 안병연 구들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3827A1 (ko) * 2015-10-29 2017-05-04 안병연 구들침대
KR101771678B1 (ko) * 2015-10-29 2017-08-25 안병연 구들침대
KR101777647B1 (ko) 2016-02-01 2017-09-26 김태경 화목난로를 이용한 이동식 조립온돌침대
CN105919347A (zh) * 2016-05-24 2016-09-07 徐海慧 一种带有防潮的小孩使用承载装置
CN105919347B (zh) * 2016-05-24 2019-06-07 姚屠乾 一种带有防潮的小孩使用承载装置
KR101829683B1 (ko) 2016-09-05 2018-02-19 안병연 구들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319B1 (ko) 침대블록 및 이를 이용한 난방용 이동식 침대
US4126118A (en) Modular fireplace assembly
CN104457189A (zh) 热源内置式双侧热交换隧道式烘房
KR101670334B1 (ko) 공기 순환을 이용한 구들장식 주거용 난방 시스템
CN104566655A (zh) 一种冷风环绕式热风分散采暖装置
CN206831833U (zh) 一种固体电蓄热设备
RU2638696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еплоаккумуляционный электроотоп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со ступенчатым нагревом теплоаккумулирующего сердечника
CN202442485U (zh) 高效节能热风炉
CN105352329B (zh) 一种余热利用和平衡急冷风量的节能窑炉
CN211233033U (zh) 一种家庭用移动式采暖及置换新风装置
KR102186291B1 (ko) 양방향 난방장치
EP2956723B1 (en) Energy system for dwellings
WO2011152691A2 (ko)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
CN202281375U (zh) 折返环绕热交换热风炉
JP5792111B2 (ja) 冷暖房システム
CN201173670Y (zh) 一种用于烘房的热气循环系统
CN205784431U (zh) 松子梯度烘干装置
RU2525374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плообменного аппарата и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CN213630641U (zh) 一种燃气热水器使用的供暖器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CN216204312U (zh) 节能风道式环保电加热器
RU135086U1 (ru) Теплообменный аппарат
CN221055384U (zh) 一种自动控温的烘干炉
CN217110044U (zh) 一种节能型热风循环式电加热器
EP2693128B1 (en) Heating and drying system for a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