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916B1 -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916B1
KR101559916B1 KR1020140089973A KR20140089973A KR101559916B1 KR 101559916 B1 KR101559916 B1 KR 101559916B1 KR 1020140089973 A KR1020140089973 A KR 1020140089973A KR 20140089973 A KR20140089973 A KR 20140089973A KR 101559916 B1 KR101559916 B1 KR 10155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eat storage
district heating
latent hea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수영
곽승신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40089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6Direct domestic delivery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2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consisting of self-contained heating units, e.g. storage he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축열조에 다수의 온도대에 적용 가능한 복수개의 잠열 축열조를 병렬로 설치하고, 축열시 잠열 축열조에 1차로 축열한 후 2차로 축열조에 축열하며, 방열시 90~95℃ 이하의 축열수를 잠열 축열조를 통과시켜 승온시킴으로써 축열조의 이용률을 향상하고, 축열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HEAT STORAGE TANK SYSTEM FOR DISTRICT HEATING USING HEAT STORAGE TANK OF LATENT HEAT}
본 발명은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축열조에 다수의 온도대에 적용 가능한 복수개의 잠열 축열조를 병렬로 설치하고, 축열시 잠열 축열조에 1차로 축열한 후 2차로 축열조에 축열하며, 방열시 90~95℃ 이하의 축열수를 잠열 축열조를 통과시켜 승온시킴으로써 축열조의 이용률을 향상하고, 축열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시스템은 집단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자가 다수의 개별 사용자에게 난방 및 급탕을 위해 배관을 통해 집단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는 개별난방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즉, 지역난방은 하나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 건물이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지 않고, 대규모 열생산시설, 즉 열병합발전소를 건설하여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중온수(80~120℃)를 생산, 열수송관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집단에너지 공급방식 중 하나이다.
이러한 지역난방시스템은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열원시설과, 생산된 열을 수송하는 열수송시설과 그리고, 열수송시설에 의해 수송되는 열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열사용자설비로 구성된다.
열원시설은 열병합발전시설, 열전용 보일러, 쓰레기 소각로, 축열조, 열수송시설, 열사용자 설비 등이 포함된다.
열병합발전시설은 동일한 연료를 사용하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종합에너지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온부는 전력, 저온부는 공정열로 사용하며 일반기력발전에 비해 에너지절감 및 환경개선효과가 크다. 열병합발전의 이용시 증기터빈의 팽창과정에서 일부 열을 추출함으로써 발전량의 감소는 있으나, 복수기에서 버려지는 열을 공정용 또는 지역난방열로 사용할 수 있다.
열전용 보일러는 지역난방용 열을 생산하는 보일러로써 증기보일러와 온수보일러가 있으며, 연료로 저황왁스유(LSWR), B-C유, LNG 등을 사용하고 유럽의 경우 석탄을 사용하는 곳도 많다.
쓰레기 소각로는 쓰레기를 소각하여 부산물로 발생되는 증기는 증기터빈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거나 열병합발전에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쓰레기 질에 따라 생산열량이 일정치 않고 열량자체도 많지 않아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의 기저부하로 이용되고 있다.
열수송시설은 주수송관 계통 순환수펌프, 열수송관, 가압장설비, 열교환기실(또는 감압밸브실) 및 분배관 계통 순환수펌프 등이 포함된다.
열사용자 설비는 지역난방열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용자열교환기, 유량조절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차압유량조절밸브, 난방 및 급탕 순환펌프, 배관수의 저장 및 보충을 위한 팽창탱크 등으로 구성된다.
축열조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기능을 담당한다. 첫째는 지역난방 배관망의 정압유지를 목적으로 하여 고온수가 포화압력 이하에서 나타나는 재증발 현상을 어떠한 운전조건에서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둘째는 열배관 내 지역난방수온도가 증가되어 비체적이 상승함에 따라 발생되는 팽창량을 흡수하거나 온도 저감에 따라 배관수량의 부족분을 보충하여 최적의 계통을 유지하도록 하며, 셋째는 열부하가 낮은 시간에 잉여열을 저장하였다가 열부하가 높은 시간에 저장된 열을 방열하여 일일 첨두부하를 담당하거나 일일 부하의 변동 폭을 축열조가 흡수하여 잉여열을 저장하게 되므로 설비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축열조는 지역난방 배관망의 고온수와 저온수를 하나의 탱크에서 서로 섞이지 않게 상하로 분리·저장시키는 온도 성층(成層)화 기술이 핵심으로, 고온수와 저온수의 온도 차이에 따른 비중차를 이용하여 저온수(DH return water)는 탱크 하단에, 고온수(DH supply water)는 저온수 위에 얹혀 탱크 상단에 저장된다.
그리고, 축열조는 열병합발전시설과 연결되어 98~40℃ 범위에서 현열 저장의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난방 배관망 전체의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난방수는 계절별로 100~120℃로 생산되지만, 축열조는 현재까지는 상압형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지역난방 회수수 40~65℃와 혼합하여 98℃ 이하로 온도를 낮추어 축열하고 있는데, 축열시 저온수와 혼합하는 과정에서 엔트로피 손실이 발생하고, 고온수의 효용이 감소하게 되고, 방열시 90~95℃ 이상의 축열수만 사용하게 되어 낮은 온도의 축열수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10-2006-0098037호 국내공개특허 10-2014-004462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열조에 다수의 온도대에 적용 가능한 복수개의 잠열 축열조를 병렬로 설치하고, 축열시 잠열 축열조에 1차로 축열한 후 2차로 축열조에 축열하며, 방열시 90~95℃ 이하의 축열수를 잠열 축열조를 통과시켜 승온시킴으로써 축열조의 이용률을 향상하고, 축열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축열조를 구비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난방 공급 배관 상에서 상기 축열조의 전단에 설치되어 설정에 따라 축열시 지역 난방수를 1차로 저장한 후 상기 축열조로 배출하고, 방열시 상기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를 공급받아 승온시킨 다음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하는 잠열 축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잠열 축열조는 복수개가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에 병렬로 설치되고, 서로 다른 온도 영역대를 가진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잠열 축열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이 충진된 캡슐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은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 잠열 축열조 및 축열조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과 잠열 축열조 사이,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과 축열조 사이, 상기 잠열 축열조와 축열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복수의 밸브와; 상기 잠열 축열조와 잠열 축열조 사이, 상기 잠열 축열조와 축열조 사이 및 상기 축열조와 지역난방 공급 배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를 유통시키는 펌프; 및 축열시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상기 잠열 축열조 또는 축열조에 축열시키고, 방열시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상기 축열조에서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직접 배출하거나 상기 잠열 축열조를 통과시켜 승온시킨 다음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밸브는 다방향 밸브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펌프는 상기 잠열 축열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잠열 축열조와 잠열 축열조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축열조 전단에 설치된 잠열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8℃ 이하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상기 축열조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어기는 방열시 상기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0~95℃ 미만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상기 잠열 축열조로 배출하여 90~95℃ 이상으로 승온시킨 다음 상기 잠열 축열조에서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에 따르면, 축열시 잠열 축열조를 사용하여 축열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저온수와 혼합에 따른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방열시에 축열조에서 활용하지 못하는 낮은 온도의 축열수까지 활용 즉, 기존에는 90~95℃이상의 축열수만 활용하였으나, 그 이하의 온도에서도 잠열 축열조를 거쳐서 승온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축열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방열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1)은, 제 1잠열 축열조(10)와, 제 2잠열 축열조(20)와, 축열조(30)와, 제 1~4온도 센서(T1~T4)와, 제 1~7 삼방밸브(V1~V7)와, 제 1~3펌프(P1~P3) 및 제어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 1잠열 축열조(10)는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에 병렬로 설치되고, 일정 온도 영역대(예를 들어, 120℃~110℃)를 가진다. 여기에서, 제 1잠열 축열조(10)는 파라핀 왁스계, 비 파라핀계, 지방산계 등과 같은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이 충진된 캡슐(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잠열 축열조(10)의 축열 용량은 축열조(30)의 용량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잠열 축열조(20)는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에서 제 1잠열 축열조(10)의 후단에 병렬로 설치되고, 일정 온도 영역대(예를 들어, 109℃~98℃)를 가진다. 여기에서, 제 2잠열 축열조(20)는 제 1잠열 축열조(10)와 다른, 즉 낮은 온도 영역대를 갖도록 동일하거나 이종의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이 충진된 캡슐(C)이 구비되거나 캡슐(C)의 량을 달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잠열 축열조(20)의 축열 용량은 축열조(30)의 용량보다 작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열조(30)는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에서 제 2잠열 축열조(20)의 후단에 병렬로 설치되고, 축열시 지역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의 지역 난방수를 직접 저장하거나, 제 1잠열 축열조(10) 또는 제 2잠열 축열조(20)에서 배출되는 지역 난방수를 저장하고, 방열시 지역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에 직접 배출하거나, 제 1잠열 축열조(10) 또는 제 2잠열 축열조(20)를 통해 승온시켜 배출하거나, 제 2잠열 축열조(20)와 제 1잠열 축열조(10)를 통해 승온시켜 배출한다.
그리고, 제 1~4온도 센서(T1~T4)는 지역난방 공급 배관(SP), 제 1, 2잠열 축열조(10, 20) 및 축열조(30)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계속해서, 제 1~7밸브(V1~V7)는 지역난방 공급 배관(SP)과 제 1, 2잠열 축열조(10, 20) 사이, 지역난방 공급 배관(SP)과 축열조(30) 사이 및 제 1, 2잠열 축열조(10, 20)와 축열조(3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기(40)의 제어에 따라 지역 난방수의 흐름을 변경한다.
또, 제 1~3펌프(P1~P3)는 제 1잠열 축열조(10)와 제 2잠열 축열조(20) 사이, 제 2잠열 축열조(20)와 축열조(30) 사이 및 축열조(30)와 지역난방 공급 배관(SP)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를 유통시킨다.
그리고, 제어기(40)는 축열시 제 1온도 센서(T1)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라 제 1~5밸브(V1~V5)와 제 1, 2펌프(P1, P2)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제 1잠열 축열조(10) 또는 제 2잠열 축열조(20) 또는 축열조(30)에 선택적으로 축열시키고, 방열시 제 2~4온도 센서(T2~T4)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에 따라 제 4~7밸브(V4~V7)와 제 1~3펌프(P1~P3)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축열조(30)에서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직접 배출하거나 제 2잠열 축열조(20) 또는 제 1잠열 축열조(10)로 배출하거나 제 2잠열 축열조(20)와 제 1잠열 축열조(10) 모두를 통과시켜 승온시킨 다음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제어기(40)는 축열시 제 2잠열 축열조(20)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8℃ 이하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축열조(30)로 배출하고, 방열시 축열조(30)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0~95℃ 미만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로 단독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 1잠열 축열조(10)로 단독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 2잠열 축열조(20)로 배출하여 승온시킨 다음 다시 제 1잠열 축열조(10)로 배출하여 90~95℃ 이상으로 승온시켜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1)에서는 잠열 축열기가 두 개가 구비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선택에 따라서 한 개를 설치할 수도 있고,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1)은 제 1, 2잠열 축열조(10, 20)에 수위 센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제어기(40)가 수위를 측정하여 수위가 기준 수위보다 높으면 축열된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 또는 축열조(30)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축열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의 방열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축열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기(40)는 축열시 제 1온도 센서(T1)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 결과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영역대(예를 들어, 120℃~110℃)인 경우 제어기(40)는 제 1밸브(V1)의 방향을 제어하여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의 지역 난방수를 제 1잠열 축열조(10)에만 축열시킨다.
그리고, 제어기(40)는 제 2온도 센서(T2)를 통해 제 1잠열 축열조(10)에 축열되어 있는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어, 109℃)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체크되면 제 4밸브(V4)의 방향을 제어하고, 제 1펌프(P1)를 동작시켜 제 1잠열 축열조(10)의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에 축열시킨다.
계속해서, 제어기(40)는 제 3온도 센서(T3)를 통해 제 1잠열 축열조(10)에 축열되어 있는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어, 98℃) 이하로 떨어지는 것이 체크되면 제 5밸브(V5)의 방향을 제어하고, 제 2펌프(P2)를 동작시켜 제 2잠열 축열조(20)의 지역 난방수를 축열조(30)에 축열시킨다.
한편, 도 2에서는 지역 난방수가 제 1잠열 축열조(10)와 제 2잠열 축열조(20) 및 축열조(30)를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어기(40)는 제 1온도 센서(T1)에서 측정되는 지역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의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 또는 축열조(30)에 축열시킬 수도 있고, 동시에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에 축열시킬 수도 있다.
《방열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기(40)는 방열시 제 4온도 센서(T4)를 통해 축열조(3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 결과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어, 90~95℃) 미만인 경우 제어기(40)는 제 6, 7밸브(V6, V7)의 방향 및 제 1~3펌프(P1~P3)를 제어하여 축열조(30)의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를 배출하여 제 2잠열 축열조(2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와 혼합시켜 승온시킨 다음, 다시 제 1잠열 축열조(10)로 배출하여 제 1잠열 축열조(1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와 혼합시켜 승온시킨다.
그리고, 제어기(40)는 제 1잠열 축열조(10)에서 승온된 지역 난방수를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제어기(40)는 축열조(3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어, 87℃) 이상인 경우에는 축열조(30)의 지역 난방수를 제 2잠열 축열조(20)를 배출하여 제 2잠열 축열조(2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와 혼합시켜 승온시킨 다음, 제 2잠열 축열조(20)에서 승온된 지역 난방수를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제어기(40)는 축열조(3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범위(예를 들어, 86~84℃) 인 경우에는 축열조(30)의 지역 난방수를 제 1잠열 축열조(10)를 배출하여 제 1잠열 축열조(1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와 혼합시켜 승온시킨 다음, 제 1잠열 축열조(10)에서 승온된 지역 난방수를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어기(40)는 축열조(30)에 축열된 지역 난방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예를 들어, 90~95℃) 보다 높은 경우에는 축열조(30)의 지역 난방수를 곧바로 지역난방 공급 배관(SP)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20 : 제 1, 2잠열 축열조 30 : 축열조
40 : 제어기 P1~P3 : 제 1~3펌프
SP : 지역난방 공급 배관 T1~T4 : 제 1~4온도 센서
V1~V7 : 제 1~7삼방밸브

Claims (8)

  1. 축열조를 구비하는 지역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난방 공급 배관 상에서 상기 축열조의 전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병렬 설치되어 축열시 지역 난방수를 1차로 저장한 후 상기 축열조로 배출하고, 방열시 상기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를 공급받아 승온시킨 다음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하는 잠열 축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 축열조는,
    서로 다른 온도 영역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 축열조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의 상변환물질(phase change materials, PCM)이 충진된 캡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은,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 잠열 축열조 및 축열조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와;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과 잠열 축열조 사이,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과 축열조 사이, 상기 잠열 축열조와 축열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의 흐름을 변경하는 복수의 밸브와;
    상기 잠열 축열조와 축열조 사이와, 상기 축열조와 지역난방 공급 배관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지역 난방수를 유통시키는 펌프; 및
    축열시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상기 잠열 축열조 또는 축열조에 축열시키고, 방열시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지역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에 따라 상기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지역 난방수를 상기 축열조에서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직접 배출하거나 상기 잠열 축열조를 통과시켜 승온시킨 다음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다방향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잠열 축열기가 복수인 경우 상기 잠열 축열조와 잠열 축열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축열조 전단에 설치된 잠열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8℃ 이하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상기 축열조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방열시 상기 축열조의 지역 난방수 온도가 90~95℃ 미만인 경우 이에 저장된 지역 난방수를 상기 잠열 축열조로 배출하여 90~95℃ 이상으로 승온시킨 다음 상기 잠열 축열조에서 상기 지역난방 공급 배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KR1020140089973A 2014-07-16 2014-07-16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KR101559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73A KR101559916B1 (ko) 2014-07-16 2014-07-16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73A KR101559916B1 (ko) 2014-07-16 2014-07-16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916B1 true KR101559916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73A KR101559916B1 (ko) 2014-07-16 2014-07-16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461A (ko) * 2020-11-25 2022-06-02 한국지역난방공사 하이브리드 축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수 공급 방법
KR102480032B1 (ko) * 2021-08-20 2022-12-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형 화학열 저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984A (ja) 2003-10-28 2005-05-26 Osaka Gas Co Ltd 蓄熱システム
JP2014047992A (ja) 2012-08-31 2014-03-17 Hitachi Ltd 蓄熱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3984A (ja) 2003-10-28 2005-05-26 Osaka Gas Co Ltd 蓄熱システム
JP2014047992A (ja) 2012-08-31 2014-03-17 Hitachi Ltd 蓄熱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発電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461A (ko) * 2020-11-25 2022-06-02 한국지역난방공사 하이브리드 축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수 공급 방법
KR102502393B1 (ko) * 2020-11-25 2023-02-23 한국지역난방공사 하이브리드 축열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온수 공급 방법
KR102480032B1 (ko) * 2021-08-20 2022-12-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분산형 화학열 저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rkloff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ynamic simulation model for a large coal-fired power plant
Averfalk et al. Novel low temperature heat distribution technology
Padovan et al. Genetic optimization of a PCM enhanced storage tank for Solar Domestic Hot Water Systems
KR101418002B1 (ko) 열전모듈 열교환기를 이용한 축열조 발전 장치
Sani et al. Optimal model development of energy hub to supply water, heating and electrical demands of a cement factory
Dominković et al. A hybrid optimization model of biomass trigeneration system combined with pit thermal energy storage
De Ridder et al. An optimal control algorithm for borehole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s
Kauko et al. Dynamic modelling of local low-temperature heating grids: A case study for Norway
Angerer et al. Transient simulation and fatigue evaluation of fast gas turbine startups and shutdowns in a combined cycle plant with an innovative thermal buffer storage
Wang et al. Optimization modeling for smart operation of multi-source district heating with distributed variable-speed pumps
Tehrani et al. Hourly energy analysis and feasibility study of employing a thermocline TES system for an integrated CHP and DH network
Cao et al. Energy matching analysis of on-site micro-cogeneration for a single-family house with thermal and electrical tracking strategies
Nkwetta et al. Phase change materials in hot water tank for shifting peak power demand
Pipiciello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a prototype of bidirectional substation for district heating with thermal prosumers
Johnson et al. High temperature latent heat thermal energy storage integration in a co-gen plant
Im et al. Feasibility study on the low temperature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system with bi-lateral heat trades model
KR101559916B1 (ko) 잠열 축열조를 이용한 지역난방 축열조 시스템
US9494054B2 (en) Auxiliary steam generator system for a power plant
Gumpert et al. Thermo-hydraulic simulation of district heating systems
KR100633238B1 (ko) 다수의 축열조를 한 배관망에 직접 연결 및 운전할 수 있는지역난방용 축열조 시스템
Testasecca et al. Dynamic simulation of a 4th generation district heating network with the presence of prosumers
KR101541098B1 (ko) 열전용기기로 구축된 개별 열에너지 및 중앙 열에너지 공급 연계 시스템,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619441B1 (ko) 상압형 축열조를 활용한 유기 랭킨 사이클 발전시스템
Romero-Anton et al. Improvement of auxiliary BI-DRUM boiler operation by dynamic simulation
KR102004859B1 (ko) 계간 축열을 이용한 분산형 태양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간 축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