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811B1 -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811B1
KR101559811B1 KR1020140011445A KR20140011445A KR101559811B1 KR 101559811 B1 KR101559811 B1 KR 101559811B1 KR 1020140011445 A KR1020140011445 A KR 1020140011445A KR 20140011445 A KR20140011445 A KR 20140011445A KR 101559811 B1 KR101559811 B1 KR 10155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mounting
pack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0598A (ko
Inventor
홍승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1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8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요성 물포장팩에서 물이 나오는 취출구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물포장팩과 물공급장치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파지구에 관련되며, 본 발명은 실시예로, 포장상자에 물주머니가 내장되며, 상기 물주머니의 취출구를 상기 포장상자 외측으로 드러내어 물공급장치에 장착하는 물포장팩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상자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기 취출구에 끼움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취출구가 나와 있는 상기 포장상자의 일면에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Holder for mouth of water pack and water supply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요성 물포장팩에서 물이 나오는 취출구를 견고하게 잡아주어 물포장팩과 물공급장치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파지구에 관련된다.
냉온수기와 같은 물공급장치는 별도로 포장되어 유통되는 물을 공급받아 온수와 냉수를 생성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물은 전용 용기에 담겨 유통되는데 단단한 합성수지로 성형된 물통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단단한 전용 물통은 외부의 충격에 강한 장점이 있지만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세척문제, 외부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제품 수명 저하, 물이 소진된 후의 수거 문제 등의 관리의 불편함이 큰 단점이 있다.
종래의 단단한 물통의 대안으로 비닐과 같은 소프트 시트로 용기를 만들고, 이에 물을 담는 소프트 팩형 물주머니가 제시되었다. 내부의 물이 소비되면 체적이 줄어들어 취급의 편리함이 개선되지만, 찢어짐이 가능한 재질이므로 운반의 취급이 다소 까다롭고, 특히 취출구가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물공급장치에 안착시킬 때에 취출구를 온전히 물공급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물주머니를 유통시키는 방안 중에 종이 박스로 외형을 덧댐 포장하는 방안이 있다. 종이 박스는 물주머니를 날카로운 외부 물체로부터 보호하고, 취출구 등 물주머니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이 박스는 일정한 외형을 유지하는 강성이 물주머니보다 우수하므로, 종이 박스가 결합된 상태로 물공급장치와 물주머니를 체결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6248호 (2008.01.16)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공급장치에 장착되는 물포장팩을 교체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올바른 장착이 쉽게 유도되도록 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파지구와 물공급장치를 제공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포장상자에 물주머니가 내장되며, 상기 물주머니의 취출구를 상기 포장상자 외측으로 드러내어 물공급장치에 장착하는 물포장팩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상자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기 취출구에 끼움결합되는 장착부와, 상기 취출구가 나와 있는 상기 포장상자의 일면에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취출구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끼움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는 일측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어 상기 취출구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의 주변 둘레를 따라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기 취출구가 물공급장치의 배수구에 온전히 안착되도록 하는 장착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장착가이드의 단부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의 끝단부에는 상기 포장상자의 각진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연장부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가 결합되는 상기 취출구는 원형 단면이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취출구의 원형 단면에 물림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물포장팩이 장착되는 상단면에는 상기 파지구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장착자리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면의 후방에는 상기 포장상자의 후단부가 대어져 포장상자의 장착 위치를 세팅하는 거치블록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공급장치의 사용에 편의성이 향상된다. 물포장팩을 불완전하게 물공급장치에 장착할 위험성이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되는 물포장팩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취출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물공급장치와 물포장팩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물공급장치와 물포장팩의 결합 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에 대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는 포장상자 안에 물주머니가 내장되는 물포장팩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물포장팩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물포장팩(300)은 박스 형태의 포장상자(310)와, 포장상자(310) 안에 보관되는 물주머니(320)를 포함한다. 물주머니(320)는 소프트한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짜인 스파우트 형태로 내부에는 물이 채워져 있다.
물주머니(320)에는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취출구(330)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취출구(330)는 중앙의 통로를 막대 따위로 가압할 때에 비로소 개방되는 공지된 흐름방지 기술이 적용된 것일 수 있다. 또 취출구(330)의 외주변에는 오목한 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330)는 물포장팩의 보관이나 운반 시에는 포장상자(310)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소비자는 물공급장치에 장착하기 직전에 포장상자의 절취선(312)에 따라 취출구보다 작은 구멍(311)을 내고, 절취선(312)을 들춰 취출구(330)를 포장상자(310)의 상부에 드러나게 노출시키게 된다.
만일 이 상태로 물포장팩을 뒤집어 물공급장치에 장착한다면, 포장상자의 외측으로 돌출된 취출구가 다시 포장상자 안으로 들어가거나, 물공급장치의 물유입구에 비스듬히 안착되어 제대로 결합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파지구(100)는 포장상자의 밖으로 노출된 취출구(330)의 드러난 외측의 오목한 홈(331)에 결합함으로써 포장상자 안으로 취출구(330)가 다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100)는 포장상자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취출구에 끼움결합되는 장착부(110)와, 취출구가 나와 있는 포장상자의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부(120)는 넓은 판의 형상으로 취출구(330)가 나온 포장상자(310)의 일면(도 3에서는 상면)에 면접촉하게 된다. 취출구(330)를 돌출시키기 위해 포장상자(310)에는 취출구(330)가 통과하는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311)이 취출구 상단부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구멍보다 큰 취출구를 꺼내기 위하여 구멍의 일측에서 이어지는 절취선(3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311)이나 절취선(312)에 의해 취출구의 주변부 강성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지지부(120)가 이와 같이 구멍(311)이나 절취선(312)이 형성된 부분을 덮어 포장상자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장착부(110)를 지지하게 된다.
장착부(110)는 취출구(330)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한 홈(331)에 끼움 결합되어 취출구(330)와 직접 결합되는 부분이다. 장착부(110)는 지지부(12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홈의 형태이다. 이 홈의 개구된 방향은 측면 방향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취출구(330)가 상면 일측 모서리에 편심되어 위치하는 경우, 취출구(330)가 상부를 향하도록 포장상자(310)를 세웠을 때에, 취출구(330)와 가까운 가장자리를 정면으로 한다.
장착부(110)의 개구된 방향이 측면 방향이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구는 포장상자(310)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취출구(330)에 결합하게 된다.
취출구(330)는 오목진 홈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이 원형이다. 장착부(110)의 형상은 취출구의 오목진 홈이 형성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반원형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구(330)의 원형 단면의 반 이상이 장착부(110)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체적이 큰 취출구(330)의 상단부는 장착부(11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장착부(110)와 지지부(120)가 포장상자(310)의 상면과 취출구(33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임의로 취출구(330)가 다시 포장상자(310)의 내부로 후퇴하지 않게 된다.
파지구(100)가 물포장팩(300)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옆으로 끼워지는 것은, 장착해둔 파지구(100)가 임의로 빠지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4와 같이 물포장팩(300)에 파지구(100)를 장착한 후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포장팩(300)을 뒤집어서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220)에 장착하여야 한다. 물이 담긴 물포장팩(300)은 무게가 상당하기 때문에 건장한 성인이라도 온전히 수직 하강시켜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220)에 안착하기가 쉽지 않다. 결국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인 채 회전시키면서 올바르게 세우게 된다. 오랜 관찰에 따르면 물포장팩을 장착함에 있어, 어느 한 쪽 측면에서 기울이는 경우(도 6의 (c))보다, 물포장팩을 전후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도 6이 (a) 또는 (b))가 대부분이었다.
파지구(100)의 이탈은 이와 같이 물포장팩(300)을 뒤집어 물공급장치(200) 위에 세우는 과정 중에 주로 발생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예를 들어 물포장팩(300)을 세우는 과정 중에 파지구(100)가 물공급장치(200)의 상면에 간섭될 수 있고, 물주머니(320) 내의 물이 출렁이면서 포장상자(310)가 변형되고, 이로써 취출구(330)가 더 돌출되면서 포장상자(310)와 취출구(330)의 상단부 사이에 물려 있던 파지구(100)의 결합력이 느슨해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여 파지구가 빠지는 경우, 다시 물포장팩을 돌려 세운 후 파지구를 재장착하거나, 물포장팩을 들어올린 채로 파지구를 재장착하여야 하는데 물포장팩 자체가 무거우므로 매우 번거롭게 된다.
파지구(100)의 장착부(110)가 일측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어 취출구(330)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취출구(330)에 결합됨으로써, 도 6의 (a)나 (b)와 같이 기울이는 경우에 파지구(100)가 임의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즉 파지구(100)와 취출구(330)가 결합되는 방향이, 소비자들이 주로 물포장팩을 주로 안치하는 방향(도 6의 (a)와 같이 앞에서부터 기울여 접근하는 방향)과 수직되게 하여 파지구(100)의 이탈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6의 (c)와 같이 일측이 먼저 기울어지게 물포장팩(300)을 물공급장치(200)위에 안치하더라도 전후 방향으로 장착부를 개구 시킨 것에 비하면 파지구가 쉽게 이탈되지는 않게 된다.
도면에서 취출구(330)의 단면은 원형으로 제시되고, 그에 대응하여 장착부(110)도 반원 형상의 홈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취출구는 다각형 또는 비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장착부의 홈의 형태도 취출구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취출구(330)가 원형 단면일 때에, 취출구(330)를 감싸는 장착부(110)의 반원 형상의 양단부에는 취출구의 원형 단면에 물림결합되는 돌기(111)가 돌출되어 있다.
돌기(111)는 장착부의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돌출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취출구(330)의 오목진 홈 부분을 보다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게 한다.
합성수지나 연질의 금속 따위로 제작되는 파지구(100)는 어느 정도 신축력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는 장착부(110)에 취출구(330)가 제대로 끼워졌는지 여부를 돌기(111)의 장착감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기(111)가 취출구(330)의 중심을 통과하면서 '딱'하고 결합되는 소리가 나거나, 돌기들(111) 사이로 취출구의 두꺼운 중심부가 통과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파지구(100)를 취출구에 올바르게 끼웠는지를 청각 또는 촉각으로 즉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111)는 파지구(100)가 취출구(330)에서 분리될 때에 간섭하므로 임의로 파지구(100)가 취출구(330)와 분리되지 않게 한다. 즉 돌기(111)는 포장상자(310)와 취출구(330) 상단부 사이의 좁은 틈에 개재됨에 따라 물려지는 장착부(110)나 지지부(120)의 결합력과 별도로, 취출구(330)에 직접 파지구(100)를 더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요소이다.
추가적인 구성으로 장착부(110)의 주변 둘레에는 지지부(120)에서 돌출된 장착가이드(130)가 구비된다. 장착가이드(130)는 장착부(110)에 결합되는 취출구(330)가 물공급장치의 물유입구에 온전히 안착되도록 돕는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물유입구(210)를 살펴본다. 물유입구(210)는 물포장팩(300)에서 돌출된 취출구(330)에 결합되어 물을 공급받는 부재이다. 취출구(330)가 삽입되는 장착홈(211)을 형성하고 있고, 중앙에는 취출구 중앙의 통로에 구비된 흐름방지 부재를 눌러주는 누름돌기(212)가 돌출되어 있다. 누름돌기(212)가 취출구(330)의 통로에 정확히 삽입되지 아니하면 흐름방지 부재가 해제되지 아니하여 취출구(330)에서는 온전히 물이 유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물포장팩(300)을 뒤집어 취출구(330)가 바닥을 향한 상태로 물공급장치(200)에 안착되므로, 사용자의 눈에는 취출구(330)와 누름돌기(212)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유입구(210)의 장착홈 중앙에 솟은 누름돌기(212)에 취출구(330)의 통로를 맞추는 것은 쉽지 않다.
장착가이드(130)는 물유입구(210)의 장착홈(211)에 대응하는 사이즈와 형상으로 제작되며, 파지구(100)에 장착된 취출구(330)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 취출구(330)와 누름돌기(212)가 접촉하기 전에 먼저 물유입구(210)의 장착홈(211)에 접하게 된다. 즉, 장착가이드(130)가 장착홈(211)을 타고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취출구(330)의 중심에 난 통로와 물유입구(210)에 구비된 누름돌기(212)가 제대로 만나도록 유도된다.
더하여 장착가이드(130)의 단부(131)는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라운드 처리된 단부(131)는 도 6의 (c)와 같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물포장팩(300)을 기울였다가 세우는 경우에 장착가이드(130)가 물유입구(210)의 장착홈(211)에 보다 원활하게 찾아 들어가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장착가이드(130)는 장착부(110)의 둘레를 따라 반원형의 벽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가이드는 물공급장치의 장착홈의 단면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장착가이드는 반원 궤적에 따라 돌출된 복수의 기둥 따위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 다른 생략 가능한 구성으로 지지부(120)의 끝단부에는 포장상자(310)의 각진 가장자리(313)에 접촉하는 연장부(140)가 연장되어 있다. 연장부(140)는 포장상자(310)의 직각으로 꺾인 가장자리(313)에 대응하여, 지지부(120)의 끝단부에서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 연장부(140)는, 도 3을 기준으로 포장상자(310)의 정면과 접하게 된다. 이로써 포장상자(310)의 상면과 정면 모두에 파지구(100)가 면접촉함으로써 파지구(100)와 물포장팩(300)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또 물포장팩(300)을 장착하는 과정 중에 파지구(100)가 물포장팩(300)으로부터 더욱 이탈하기 어렵게 된다. 나아가 연장부(140)가 포장상자(310)의 정면에 접하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파지구가 물포장팩에 온전히 결합되는지를 더욱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지구(100)는 장착부(110)와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장착가이드(130), 돌기(111), 연장부(14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장착부(110)의 개구된 방향은 측면이 아니라 후방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파지구(100)가 장착되는 방향은 포장상자의 정면에서 접근하게 되고, 장착부(110)의 홈이 취출구에 난 오목한 홈의 전반부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는 전방으로부터 파지구(100)를 짧은 거리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물포장팩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200)는 물포장팩(300)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는 공급된 물로 냉수 또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도조절수단, 물을 배출하는 디스펜서, 전원공급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지구(100)가 결합된 물포장팩(300)이 장착되는 상단면(220)은 대략 평탄한 면이다. 물포장팩에 파지구가 장착됨에 따라 물유입구(210) 주변에는 지지부에 대응하여 장착자리(221)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자리(221)에 파지구(100)의 지지부(120)가 안착되면 포장상자(310)의 일면이 온전히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220)에 면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물포장팩(300)과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220) 사이에 들뜬 공간이 없게 되어 물포장팩이 물공급장치에 안정적으로 올려지게 된다.
더하여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220)의 후방에는 포장상자(310)의 후단부가 대어져 포장상자(310)의 장착 위치를 세팅하는 거치블록(230)이 돌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한 쌍의 격자형 거치블록(230)이 상단면의 후방측에 나란히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거치블록(230)은 물포장팩(300)을 물공급장치(200)의 상단면에 올려 놓을 때, 제 위치에 설치되게 하는 기준점을 사용할 수 있다.
물포장팩(300)을 제대로 장착하였다면 양 거치블록(230)의 내측면에 포장상자(310)의 양 후단 모서리가 안착된다. 또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거치블록(230)에 물포장팩(300)의 후단부를 기대어 놓은 후 전방부를 천천히 내려놓으며 장착가이드가 물유입구의 장착홈에 맞아 들어가는 것을 직접 확인하면서 물포장팩을 온전히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도 6의 (c)와 마찬가지로 포장상자(310)의 일측면을 어느 한 뽁의 거치블록(230)에 기대어 놓고 타측을 천천히 내리면서 물포장팩(300)을 물공급장치에 온전히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거치블록(230)은 물포장팩(300)이 제 위치에 장착되도록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며, 온전히 장착된 물포장팩(300)의 포장상자(310)의 후단부를 감싸는 형태를 확인하여 물포장팩(300)이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소비자가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100 : 파지구
110 : 장착부 111 : 돌기 120 : 지지부
130 : 장착가이드 131 : 단부
140 : 연장부
200 : 물공급장치
210 : 물유입구 211 : 장착홈 212 : 누름돌기
220 : 상단면 221 : 장착자리 230 : 거치블록
300 : 물포장팩
310 : 포장상자 311 : 구멍 312 : 절취선 313 : 가장자리
320 : 물주머니 330 : 취출구 331 : 홈

Claims (8)

  1. 포장상자에 물주머니가 내장되며, 상기 물주머니의 취출구를 상기 포장상자 외측으로 드러내어 물공급장치에 장착하는 물포장팩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포장상자의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기 취출구에 끼움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취출구가 나와 있는 상기 포장상자의 일면에 접촉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와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상자의 각진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연장부 및
    상기 장착부의 주변 둘레를 따라 상기 장착부와는 이격된 위치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기 취출구가 물공급장치의 물유입구의 중심에 맞추어 안착되게 하는 장착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취출구의 일측 단면을 감싸며 끼움결합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의 접선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있어서, 상기 포장상자에 상기 지지부와 상기 연장부가 상기 포장상자와 면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취출구의 측면으로부터 접근하여 상기 취출구와 상기 장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장착가이드의 단부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물포장팩이 장착되는 상단면에는 상기 파지구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장착자리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는 물공급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상단면의 후방에는 상기 포장상자의 후단부가 대어져 포장상자의 장착 위치를 세팅하는 거치블록이 돌출되어 있는 물공급장치.
KR1020140011445A 2014-01-29 2014-01-29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KR10155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45A KR101559811B1 (ko) 2014-01-29 2014-01-29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445A KR101559811B1 (ko) 2014-01-29 2014-01-29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98A KR20150090598A (ko) 2015-08-06
KR101559811B1 true KR101559811B1 (ko) 2015-10-14

Family

ID=5388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445A KR101559811B1 (ko) 2014-01-29 2014-01-29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8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941A (ja) 2001-01-31 2002-08-14 Kyoraku Co Ltd コンテナ
KR101239251B1 (ko)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5941A (ja) 2001-01-31 2002-08-14 Kyoraku Co Ltd コンテナ
KR101239251B1 (ko) 2011-08-10 2013-03-05 방건 백인박스를 적용한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598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5763B1 (en) Receptacle with bag liner dispenser
US5979655A (en) Plastic bag stack with special tab opening
TWI745440B (zh) 替換容器
US6557740B1 (en) Device for removing a pill from its package
KR101770424B1 (ko)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JP2014501672A (ja) ラップ包装機
US20170362007A1 (en) Total Drain Container Device System
KR20170130047A (ko)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JP5481625B2 (ja) 液状物充填包装体用のホルダー
JP5516275B2 (ja) 斜め注出口の開封構造
KR101559811B1 (ko) 물포장팩 취출구의 파지구 및 이를 이용하는 물공급장치
JP6256247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の包装箱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CA2866752C (en) A plug for closing the neck of a container
JP2006306419A (ja) 包装体、薬剤包装体、ヒートシール装置、および薬剤分包装置
JP4931497B2 (ja) パウチ収納容器
KR20140113454A (ko) 포션용기 압축장치
JP6670464B2 (ja) 液体容器用注出口栓
KR101677450B1 (ko) 비닐필름 고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424231B1 (ko) 용기 포장기
JP6911887B2 (ja) 収納容器
EP1219219A1 (en) A container, such as a bag or pouch, for containing a liquid or pasty material
FR2758536A1 (fr) Emballage distributeur d'articles et produits stockes
JP2006001567A (ja) 振り出し容器用キャップ
US11273647B2 (en) Print liquid supplies for printing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