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759B1 -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759B1
KR101559759B1 KR1020150043270A KR20150043270A KR101559759B1 KR 101559759 B1 KR101559759 B1 KR 101559759B1 KR 1020150043270 A KR1020150043270 A KR 1020150043270A KR 20150043270 A KR20150043270 A KR 20150043270A KR 101559759 B1 KR101559759 B1 KR 10155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vegetation
microorganism
strain
s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관
황철재
허건영
Original Assignee
허관
동광건설 주식회사
허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관, 동광건설 주식회사, 허건영 filed Critical 허관
Priority to KR102015004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R1/00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황토, 식물종자 및 미생물을 포함하는 식생토 조성물이 함유됨으로써, 오염된 수질을 정화하며 상기 식물종자의 발아 및 성장 속도가 빠르고 쉽게 시들지 않는다.

Description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Vegetation soil composition containing microorganism and growing plant for nonpoint pollution decreas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염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깊은 계곡의 산림까지 사람의 발길이 전혀 미치지 못하는 곳에도 대기를 타고 이동한 아황산질소 등이 포함된 산성 빗물에 의해 지구의 온난화 현상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비로 땅위로 뿌려지고 그로 인한 우리 인간을 보호해주는 산림들의 피폐화는 심각할 정도로 훼손되어져가고 있다.
이러한 속도로 황폐화가 진행된다면 머지않아 인간은 물론 모든 만물들이 생존하기가 불가능 할 것이다.
나날이 심각해져가는 환경 오염문제에 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특히, 강, 호수, 하천 등 수질오염을 해결하려는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상기 하천, 강, 호수 등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은 도시의 경우 자동차의 배기가스, 타이어와 아스팔트 마모, 공장의 배출가스에 의한 고농도 오염물질 등이 빗물을 통해 흘러들어가 오염원이 될 뿐만 아니라 산성 빗물 자체가 강, 호수, 하천 등에 그대로 방출되어 오염원이 된다.
상기 자동차의 배기가스 및 공장의 배출가스는 화석연료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여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1급 발암 물질인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미세먼지들을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봄철 황사와 달리 유독성 화학물질을 포함하여 폐포까지 침투해 천식이나 폐질환을 유발하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의 악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유독성 화학물질을 포함한 미세먼지가 빗물을 통해 강, 호수, 하천 등에 흘러 들어가면 제거하기가 쉽지 않아 강, 호수, 하천 등의 생태계를 파괴하여 담수 내의 모든 생물을 죽게 하기 때문에 도로, 주차장, 정원, 공원, 건물 옥상 등에서 초기 빗물에 씻겨 내려갈 때 발생하는 고농도 오염수를 정화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93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18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94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생토 조성물을 내부에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생토 조성물은 황토, 식물종자 및 미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종자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미생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유용미생물,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및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가 1 :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가 1 : 1-2 : 1-2 : 1-2 : 1-2 : 1-2 : 2-4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의 개체수는 1.0X105 내지 1.0X109일 수 있다.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편백추출물이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로 추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부식토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추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다공성 세라믹 담체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로 추가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기공율이 70 내지 80%이며, 비표면적이 1 내지 3 m2/cm3이고, 흡수율이 20 내지 40%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는 상기 식생토 조성물을 내부에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은 유공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 상면에 자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갈층 상면에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 상면에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타이어와 아스팔트 마모에 의한 고농도 오염물질 등이 함유된 빗물인 고농도 오염수를 정화시켜 강, 호수, 하천 등에 흘려보낼 수 있으므로 수질오염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을 통과한 오염수는 상당량의 부유물질(SS),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총질소(T-N), 총인(T-P) 및 노르말핵산(N-Hex)이 제거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오염된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생토 조성물은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내부에 함유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황토, 식물종자 및 미생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부식토, 편백추출물 및 다공성 세라믹 담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할 수 있다.
황토
상기 황토는 식물종자가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울 수 있는 토양이며, 빗물 등의 오염수에 의해 다른 물질들이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밖으로 쓸려가는 것을 방지한다.
식물종자
상기 식물종자는 토양에서 성장할 수 있는 종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다.
또한, 상기 식물종자의 함량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0.1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 중량부이다.
미생물
상기 미생물은 오염수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오염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유용미생물,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일 예로, 미생물은 유용미생물(EM미생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및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를 1 :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 미생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 미생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염수의 유기물 분해능이 낮아질 수 있으며, 식물종자의 성장이 느려지고 식물이 쉽게 시들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가 1 : 1-2 : 1-2 : 1-2 : 1-2 : 1-2 : 2-4의 중량비로 혼합된 'GU01 혼합 미생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GU01 혼합 미생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식물종자의 성장이 느려지고 식물이 쉽게 시들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의 함량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이다. 미생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오염수의 유기물 분해능이 거의 없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식물종자가 생장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미생물의 개체수가 1.0X105 내지 1.0X109인 것이 오염수의 우수한 유기물 분해능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부식토
상기 부식토는 동식물이나 동식물의 유체가 부패하여 생긴 부식을 가지고 있는 토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흙 속의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부식이 형성된다. 상기 부식토는 유기성분이 많고 비옥하여 식물종자가 빠르게 성장할 수 있으며 쉽게 시들지 않는다.
상기 부식토의 함량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5 중량부이다. 부식토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식물종자가 성장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능이 저하될 수 있다.
편백추출물
상기 편백추출물은 황토 또는 부식토에 함유된 유해균의 발육을 억제시키며 오염수의 유해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함량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이다. 편백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유해균을 사멸 또는 억제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미생물도 사멸시킬 수 있다.
상기 편백추출물은 편백나무의 잎, 줄기, 열매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90 내지 110 ℃에서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증기를 냉각 및 응축하여 회수된 액상의 물질이다.
다공성 세라믹 담체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제올라이트 및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기공율이 70 내지 80%이며; 비표면적이 1 내지 3 m2/cm3이고; 흡수율이 20 내지 40%이며; 강도가 1 내지 5 kg/㎠; 비중이 0.1 내지 0.3; 최대압축하중 430 내지 480 N; 밀도가 0.2 내지 1.0 g/cm3인 특성을 갖는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자체적으로 오염수의 유기물을 분해하는 물질인 동시에, 오염수의 유기물이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기공에 부착되면 본 발명의 미생물들이 상기 유기물을 분해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로서,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특성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염수의 유기물이 다공성 세라믹 담체에 부착되는 시간이 줄어들거나 부착되지 않아 정화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함량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이다.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오염수 정화능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식물종자가 성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제올라이트, 유리섬유가 혼합된 물질을 분쇄하는 공정, 상기 분해된 분말을 건식 회전기에 넣어 물을 분무하면서 일정한 크기의 내부 핵을 원형으로 성형하는 공정, 상기 내부 핵을 열풍건조로 건조하는 공정, 상기 건조된 내부 핵을 건식 회전기에 넣어 물을 분무하면서 외부로 글라스파우더를 부착시켜 세라믹 볼을 성형하는 공정, 상기 세라믹 볼을 연속로에서 700~900 ℃로 가열 및 발포시키는 공정 및 상기 발포 성형물을 냉각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러한 식생토 조성물은 부직포 등 천연 섬유로 직조된 마대 내부에 함유되어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빗물 등의 오염수는 통상 유공관을 통해 강, 호수, 하천, 정수장 등에 그대로 유출되는데, 이러한 오염수를 정화시켜 강, 호수, 하천, 정수장 등에 유출시키기 위하여 도로, 주차장, 정원, 공원, 건물 옥상 등에 구비된 우수관로에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시공한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가 시공되는 우수관로는 지표면보다 낮으며, 구체적으로 최상면에 시공되는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도 지표면보다 낮게 구비되어 빗물 등의 오염수가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우수관로에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가 시공되는 경우에는 주차장 지표면보다 낮게 시공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자동차 배기가스 및 타이어와 아스팔트 마모 등이 함유된 오염수를 통과시켜 정화시킬 수 있다(식물재배화단).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는 주차장뿐만 아니라 도로옆(도 2; 나무여과박스, 도 3; 식생수화단) 및 공원(도 4) 등에도 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의 시공방법은 유공관(1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 상면에 자갈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갈층 상면에 토양층(3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 상면에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40)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갈층과 토양층 사이에 모래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갈층(20) 및 토양층(30)은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40)를 통과한 정화된 오염수를 더욱 정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황토+부식토+식물종자+유용미생물
황토 100 중량부, 부식토 25 중량부, 식물종자 0.01 중량부 및 유용미생물(EM 미생물) 3.7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50 cm X 50 cm X 10 cm규격의 마대 내부에 넣어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는 천연 재질(부직포)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토양에서 분해된다.
실시예 2. 황토+부식토+식물종자+혼합 미생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용 미생물 대신 혼합 미생물을 사용하여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및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를 1 : 1 :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미생물이다.
실시예 3. 황토+부식토+식물종자+GU01 혼합 미생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용 미생물 대신 GU01 혼합 미생물을 사용하여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GU01 혼합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 균주, 바실러스 속 균주, 슈도모나스 속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가 1 : 1 : 1 : 1 : 1 : 1 : 3의 중량비로 혼합된 미생물이다.
실시예 4. 황토+부식토+식물종자+GU01 혼합 미생물+편백조성물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조성물에 편백추출물 6.2 중량부를 추가하여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황토+식물종자+GU01 혼합 미생물+편백조성물+다공성 세라믹 담체
황토 100 중량부, 식물종자 0.01 중량부 및 GU01 혼합 미생물 3.7 중량부, 편백추출물 6.2 중량부 및 다공성 세라믹 담체 25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50 cm X 50 cm X 10 cm규격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내부에 넣어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황토+부식토+식물종자
황토 100 중량부, 부식토 25 중량부 및 식물종자 0.01 중량부를 혼합한 조성물을 50 cm X 50 cm X 10 cm규격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내부에 넣어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황토+부식토+식물종자+슈도모나스+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혼합 미생물로 슈도모나스 속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 균주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시험예 1. 정화능력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오염수를 오염수 평균 통과속도 0.5 cm/sec, 단위 시간당 오염수 평균 통과량 12.5 L/sec,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평균 체류시간 20 sec 및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에 통과하는 평균 오염수량 250 L로 투입한 후의 부유물질(SS),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총질소(T-N), 총인(T-P) 및 노르말핵산(N-Hex)을 3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오염수
(mg/L)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처리수
(mg/L)
처리효율(%) 처리수
(mg/L)
처리효율(%) 처리수
(mg/L)
처리효율(%) 처리수
(mg/L)
처리효율(%)
SS 570 182 68.1 160 71.9 147 74.2 151 73.5
COD 250 129 48.4 102 59.2 78 68.8 81 68.0
BOD 170 61 64.1 55 67.6 53 68.8 50 70.6
T-N 46 21 54.3 19 58.7 17 63.0 17 63.0
T-P 22 6 72.7 5 77.3 5 77.3 5 77.3
V-Hex 115 68 40.9 60 47.8 56 51.3 52 54.8
구분 오염수
(mg/L)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처리수
(mg/L)
처리효율(%) 처리수
(mg/L)
처리효율(%) 처리수
(mg/L)
처리효율(%)
SS 570 75 86.8 205 64.0 190 66.7
COD 250 55 78.0 113 46.8 122 51.2
BOD 170 32 81.2 96 45.5 71 58.2
T-N 46 12 73.9 27 41.3 22 52.2
T-P 22 3 86.4 9 59.1 6 72.7
V-Hex 115 38 67.0 81 29.6 77 33.0
위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염수의 정화능력은 비교예 1 < 비교예 2<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유용미생물 보다는 혼합미생물이, 혼합 미생물보다는 GU01 혼합 미생물이 오염수의 유기물을 잘 분해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혼합 미생물 중 일부만 사용 시에 처리효율이 우수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5는 실시예 1 내지 4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공성 세라믹 담체의 미세한 기공에 오염수의 유기물을 다량 부착시킨 후 GU01 혼합 미생물로 오염수의 유기물을 분해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2. 식물종자의 성장 측정
식물종자로부터 호밀 식물을 자라게 하여 모든 뿌리를 회수함으로써 가장 정확하게 평가된 뿌리 성장을 측정하였다. 호밀 종자가 혼합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28일 동안 수분을 공급하면서 방치하여 식물을 수확하였다. 개화 이전에 식물을 수확하여 건조시킨 후 이물질들을 제거하고, 식물을 새싹 및 뿌리로 분리하였다.
구분 새싹(g) 뿌리(g) 총 중량(g)
실시예 1 2.05 2.16 4.21
실시예 2 2.39 2.41 4.80
실시예 3 2.51 2.59 5.10
실시예 4 2.55 2.59 5.14
실시예 5 2.53 2.58 5.11
비교예 1 1.43 1.29 2.72
비교예 2 1.98 1.92 3.90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의 성장은 비교예 1 < 비교예 2<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5 < 실시예 4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때 상기 실시예 3 내지 5는 새싹 및 뿌리의 함량이 유사하며, 실시예 1 및 2에 비하여 식물이 잘 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으로 GU01 혼합 미생물을 사용 시 식물이 잘 성장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 유공관 20: 자갈층
30: 토양층 40: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Claims (12)

  1.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종자 0.001 내지 0.1 중량부 및 미생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6종 이상이며,
    상기 미생물의 개체수가 1.0X105 내지 1.0X1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및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가 1 : 1-2 : 1-2 : 1-2 : 1-2 : 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니트로소모나스 속(Nitrosomonas sp.) 균주, 바실러스 속(Bacillus sp.) 균주,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균주, 니트로소모나스 유로파(Nitrosomonas europaea) 균주, 니트로박터 아지리스(Nitrobacter agilis) 균주, 티오바실러스 속(Thiobacillus sp.) 균주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GU01[기탁번호: KCCM 10890P] 균주가 1 : 1-2 : 1-2 : 1-2 : 1-2 : 1-2 : 2-4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편백추출물이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부식토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토 조성물은 다공성 세라믹 담체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세라믹 담체는 기공율이 70 내지 80%이며, 비표면적이 1 내지 3 m2/cm3이고, 흡수율이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토 조성물.
  9. 제1항의 식생토 조성물을 내부에 함유하는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10. 유공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 상면에 자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갈층 상면에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 상면에 제9항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화단의 시공방법.
  11. 유공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 상면에 자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갈층 상면에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 상면에 제9항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여과박스의 시공방법.
  12. 유공관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 상면에 자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갈층 상면에 토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양층 상면에 제9항의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수로의 시공방법.
KR1020150043270A 2015-03-27 2015-03-27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KR10155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70A KR101559759B1 (ko) 2015-03-27 2015-03-27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270A KR101559759B1 (ko) 2015-03-27 2015-03-27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759B1 true KR101559759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270A KR101559759B1 (ko) 2015-03-27 2015-03-27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24B1 (ko) * 2018-08-06 2019-02-26 서해석 비탈면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24B1 (ko) * 2018-08-06 2019-02-26 서해석 비탈면 토양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rge et al. Infectious disease hazards of landspreading sewage wastes
CN101234391B (zh) 一种联合修复铅污染土壤的方法
CN101049603B (zh) 一种利用紫茉莉花卉植物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BRPI1000098B1 (pt) processo de tratamento de águas poluídas por metais pesados e destinado à retenção por fixação de metais pesados
CN107306532B (zh) 一种利用复合PAHs降解菌同时去除植物体内USEPA PAHs的方法
Sunday et al. Management of petroleum impacted soil with phytoremediation and soil amendments in Ekpan Delta State, Nigeria
CN101051042A (zh) 一种从花卉植物中筛选超积累植物的方法
CN107724330A (zh) 一种提升河道自净能力的生态系统及其构建方法
CN105834203A (zh) 一种利用八宝景天修复镉污染农田的方法
CN102172613A (zh) 利用芦苇与微生物联合修复石油类污染湿地的方法
CN108246798B (zh) 利用喷播技术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
CN106865778B (zh) 一种利用沉水植物的物种多样性净化水质的方法
Chen et al. Nitrogen and phosphorous removal by ornamental and wetland plants in a greenhouse recirculation research system
CN106035035A (zh) 具备高效吸收室内甲醛功能的蚯蚓粪基质栽培红豆杉盆栽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59759B1 (ko) 미생물이 함유된 기능성 식생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비점오염 저감 식생매트
Herazo et al. Treatment of swine effluent mixed with domestic wastewater and vegetation development in monoculture and polyculture horizontal subsurface flow wetlands
CN209522660U (zh) 一种微生物植物复合生态浮岛
CN108423832B (zh) 一种犬牙拼合式多联生态净化池
JP7137873B2 (ja) カルスト地域の農業残留有機農薬の除去に適した人工湿地システム
CN108641721B (zh) 一种基于介孔Fe3O4/碳复合材料的多环芳烃污染土壤修复材料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753128B1 (ko) 부유식 수질정화용 경량다공질체와 그 제조방법
KR101652970B1 (ko) 염분 침투방지용 염분 차단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염해지 식재방법
KR102175896B1 (ko) 자연형 식생측구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EP1414756B1 (en) Artificial phytopurification system
JP7038440B2 (ja) 焼結造粒粘土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