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205B1 -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205B1
KR101559205B1 KR1020130139864A KR20130139864A KR101559205B1 KR 101559205 B1 KR101559205 B1 KR 101559205B1 KR 1020130139864 A KR1020130139864 A KR 1020130139864A KR 20130139864 A KR20130139864 A KR 20130139864A KR 101559205 B1 KR101559205 B1 KR 10155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mixture
weight
feed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050A (ko
Inventor
송영민
김삼철
김회윤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20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돈용 배합사료 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옥수수를 국내산 청보리 종실로 대체하여 제조된 수입배합사료 대체용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보리 종실 사료의 제조방법은 청보리 종실을 건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한 청보리 종실을 사료분쇄기로 파쇄하는 제 2단계, 옥수수와 대두박을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제 3단계, 상기 파쇄한 청보리 종실과 상기 가루형태의 옥수수, 대두박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당밀과 대두유를 첨가,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를 혼합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청보리 종실로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국내 배합사료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옥수수를 대체하여 국내 사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보리 종실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전분으로 인해 돼지의 지방 조직을 단단한 경지방으로 전환하여, 고기 육질의 조직감, 식감, 육색을 개선시켜 고기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A Feed Manufacturing Method Using Green Barly Seed}
본 발명은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돈용 배합사료 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옥수수를 국내산 청보리 종실로 대체하여 제조된 수입배합사료 대체용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인 국제곡류 가격 상승으로 국내 사료비 상승으로 양축농가의 부담이 증가되고 있다. 가축 사료용 곡류는 수입의존도가 높아 국제곡류 가격 변화에 따라 양축농가들의 경영성이 크게 변하여 축산 경영이 매우 불안정하며, 국제 곡류의 작황 상황에 따라 때로는 저질의 곡류를 수입함으로써 양축농가의 생산성 및 축산물의 안정성에도 위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일부 한우 또는 양돈 농가에서는 청보리의 종실을 따로 수확하여 가축용 사료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영양사료적 근거없이 이용하고 있어서, 청보리 종실의 효율적인 이용 및 확대 보급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국내 청보리 재배와 사일리지 제조에 관한 기술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청보리 종실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어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고 있는 청보리의 종실 부분에 대한 사료 적용도를 높혀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 제 10 -1211560 호 청보리 사일리지를 이용한 양돈용 풀 발효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청보리 종실을 이용한 가축용 사료의 국내 생산으로 가축 사료용 곡류의 국내 의존도를 높임으로써 국내 사료 가격의 안정화를 통해 양축 농가의 경영성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청보리 종실을 사용함으로써 보리 알곡에 다량 함유된 전분이 돼지와 소고기의 지방 조직을 단단히 하여 조직감과 식감을 부여하고, 육색을 개선하여 고기의 상품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청보리 종실 사료의 제조방법은 청보리 종실을 건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한 청보리 종실을 사료분쇄기로 파쇄하는 제 2단계; 옥수수와 대두박을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제 3단계; 상기 파쇄한 청보리 종실과 상기 가루형태의 옥수수, 대두박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당밀과 대두유를 첨가,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를 혼합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청보리 종실로 사료를 제조함으로써 국내 배합사료에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입옥수수를 대체하여 국내 사료 가격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청보리 종실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전분으로 인해 돼지의 지방 조직을 단단한 경지방으로 전환하여, 고기 육질의 조직감, 식감, 육색을 개선시켜 고기의 상품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청보리 종실 사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사료에 주로 사용되는 수입옥수수를 대체하여 청보리 종실을 이용하여 사료를 제조한다. 따라서, 청보리 종실에 대한 영양학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수입산 옥수수의 사료 대체 가능성을 조사, 비교하여 하기에 표로 비교하였다.
1. 일반성분 함량 비교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A.O.A.C.방법에 준하여 분석하였고, 조섬유, 중성세제섬유소, 산성세제섬유소 및 헤미셀룰로오스 함량은 Ankom fiber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섬유소탄수화물 함량은 NRC의 방법에 따라 100-(%중성세제섬유소 + %조단백질 + %조지방 + % 조회분)의 값으로 구하였다.
구 분 청보리 종실 수입옥수수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수분(건물) 90.42 90.39 90.93 87.58
조단백질 12.47 11.13 12.91 8.76
조지방 2.19 1.80 1.81 2.40
조섬유 6.18 6.94 6.74 2.38
조회분 2.30 2.69 2.41 1.22
가용무질소물 76.86 77.45 76.13 85.23
일반성분 중 건물 함량, 조단백질 함량, 조섬유 함량, 조회분 함량은 옥수수에 비해 청보리 종실이 높았고, 조지방 함량과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옥수수가 높았다. 청보리 종실은 옥수수에 비해 우수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
구 분 청보리 종실 수입옥수수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중성세제 섬유소 26.13 29.20 36.07 10.82
산성세제 섬유소 8.38 9.77 8.66 3.14
헤미셀룰로오스 17.75 19.43 27.41 7.67
비섬유소탄수화물 67.51 65.82 56.78 90.97
중성세제섬유소, 산성세제섬유소 및 비섬유소탄수화물은 옥수수에 비해 조섬유 함량이 높은 청보리 종실이 높았다. 비섬유소탄수화물 함량은 가용무질소물 함량이 가장 높은 옥수수가 가장 높았다.
2. 펩신 소화율 분석
펩신소화율은 AOAC법(1990)에 준하여 따라 0.2% 펩신염산용액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지방산 조성은 Folch 등(1957)의 방법에 준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피(HP 6890, USA)로 분석하였다.
구 분 청보리 종실 수입옥수수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펩신 소화율 79.99 83.74 82.24 82.87
펩신 소화율은 청보리 종실과 수입옥수수의 차이는 유사한 수준이므로 수입옥수수 대체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보여진다.
3. 아미노산 조성 분석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Mason(1984)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무기질 함량은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ICP-MS, 미국)로 측정하였다.
구 분 청보리 종실 수입옥수수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라이신 0.43 0.38 0.46 0.23
메치오닌 0.11 0.10 0.13 0.07
칼슘 0.14 0.13 0.14 0.03
0.89 1.04 1.11 0.62
청보리 종실이 수입옥수수를 대체할 경우 라이신과 메치오닌의 공급에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으며, 필수 다량무기질인 칼슘과 인도 수입옥수수에 비해 청보리 종실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상기 실험들을 통하여, 일반성분 조사에서는 청보리 종실의 조단백질 함량이 옥수수보다 높아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으며, 펩신 소화율도 청보리 종실이 수입옥수수와 유사하였고, 청보리 종실이 수입옥수수를 대체할 경우 라이신과 메치오닌의 공급에 중요한 사료가 될 수 있으며, 필수 다량무기질인 칼슘(Ca)과 인(P)도 수입옥수수에 비해 청보리 종실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청보리 종실은 수입옥수수를 대체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축용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영양, 우호, 유연)의 품종별 종실을 이용하여, 일반성분 분석 및 각종 영양학적 분석을 통해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국내 농후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에너지 사료인 수입옥수수를 대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기에서는 청보리 종실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과 그 배합비를 상세하게 제시한다.
<청보리 종실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청보리 종실을 건조시킨다. 구체적으로, 수확한 청보리 종실을 건조하며, 이 때 건조방법으로는 자연건조, 습식가열건조, 건식가열건조, 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 등 여러가지 건조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자연건조방법을 사용하며, 상기 건조방법은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상기 사용되는 청보리 종실은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건조된 청보리 종실을 사료분쇄기로 파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된 청보리 종실을 50 내지 200mesh 입자 크기로 파쇄한 후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가루형태로 파쇄한다. 구체적으로 옥수수와 대두박을 50 내지 200mesh 입자 크기로 파쇄한 후 이물질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파쇄한 청보리 종실과 상기 가루형태의 옥수수, 대두박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청보리 종실 1 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 1.4 내지 1.5 중량부, 대두박 0.9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상기 1차 혼합물에 당밀과 대두유를 첨가,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를 혼합한다.
상기 종합영양제의 성분은 Vitamin A 3,000,000 IU, Vitamin D3 600 IU, Vitamin E 500 mg, Vitamin B1 500 mg, Vitamin B2 2,500 mg, Vitamin B6 330 mg, Vitamin K3 500 mg, Folic acid 50 mg, DL-Methionine 10,000 mg, L-Lysine HCl 2,500 mg, Calcium pantothenate 1,250 mg, Nicotinamide 2,000 mg, Choline chloride 75 mg, Manganese 25 mg, Zinc 12 mg, Copper 1,250 mg, Ferrous sulfate 10 mg, Cobaltous sulfate 90 mg, Dried yeast 100 mg 이 포함되어 있으며, 포함되는 성분은 다양하게 설계변경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에서는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 청보리 종실 사료를 완성한다.
상기 청보리 종실 사료의 조성비는 청보리 종실 25 내지 28 중량%, 옥수수 38 내지 40중량%, 대두박 25 내지 28중량%, 당밀 1.0 내지 1.3중량%, 대두유 3 내지 4중량%, 제 2인산 칼슘 1.5 내지 1.7중량%, 소금 0.2 내지 0.3중량%, 종합영양제 0.4 내지 0.6중량%로 구성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청보리 종실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최적의 사료배합비를 도출해내기 위해서 하기에 수입옥수수 대비 청보리 종실 대체수준을 파악하고, 청보리 종실의 소화율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의 비교예는 수입옥수수 위주의 사료배합비를 작성하여 제조하였으며, 실시예는 청보리 종실 3품종에 대하여 수입옥수수 대체 0%의 실시예와 3품종 각각 10%, 20%, 30%, 40%, 50%로 대체한 사료배합비를 토대로 16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청보리 종실을 포함하지 않고 수입 옥수수만을 이용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수입 옥수수를 청보리 종실로 10% 대체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수입 옥수수를 청보리 종실로 20% 대체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수입 옥수수를 청보리 종실로 30% 대체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실시예 4]
실시예 4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수입 옥수수를 청보리 종실로 40% 대체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실시예 5]
실시예 5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되, 수입 옥수수를 청보리 종실로 50% 대체하여 제조된 사료이다.
하기에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의 수입 옥수수 대비 청보리 종실(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의 대체수준 및 함량을 구체적으로 표기하였다.
ㄱ. 수입 옥수수 대비 영양보리 대체수준
구 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배합비율, %
옥수수 66.44 59.80 53.15 46.51 39.86 33.22
청보리 종실 0.00 6.64 13.29 19.93 26.58 33.22
대두박 27.45 27.23 26.98 26.72 26.46 26.20
당밀 1.00 1.00 1.00 1.00 1.00 1.00
대두유 2.83 3.05 3.28 3.51 3.75 3.98
제2인산칼슘 1.53 1.53 1.55 1.57 1.60 1.63
소금 0.25 0.25 0.25 0.25 0.25 0.25
종합영양제 0.50 0.50 0.50 0.50 0.50 0.5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성분 비율, %
가소화에너지, kcal/kg 3,561 3,576 3,590 3,604 3,619 3,633
대사에너지, kcal/kg 3,350 3,350 3,350 3,350 3,350 3,350
수분(건물) 87.87 88.11 88.35 88.60 88.84 89.08
조단백질 18.16 18.27 18.37 18.46 18.55 18.65
조지방 5.11 5.26 5.42 5.58 5.74 5.91
조섬유 2.74 2.95 3.16 3.37 3.35 3.79
조회분 4.41 4.55 4.61 4.67 4.73 4.79
칼슘 0.90 0.90 0.90 0.90 0.90 0.90
총 인 0.65 0.69 0.73 0.78 0.82 0.87
유효 인 0.41 0.40 0.40 0.40 0.40 0.40
라이신 1.00 1.01 1.02 1.02 1.03 1.03
메치오닌 0.30 0.30 0.29 0.29 0.28 0.28
ㄴ. 수입옥수수 대비 우호보리 대체수준
구 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배합비율, %
옥수수 66.44 59.80 53.15 46.51 39.86 33.22
청보리 종실 0.00 6.64 13.29 19.93 26.58 33.22
대두박 27.45 27.12 26.78 26.44 26.11 25.77
당밀 1.00 1.00 1.00 1.00 1.00 1.00
대두유 2.83 3.16 3.49 3.83 4.16 4.49
제2인산칼슘 1.53 1.53 1.54 1.54 1.55 1.55
소금 0.25 0.25 0.25 0.25 0.25 0.25
종합영양제 0.50 0.50 0.50 0.50 0.50 0.5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성분 비율, %
가소화에너지, kcal/kg 3,561 3,574 3,587 3,601 3,614 3,627
대사에너지, kcal/kg 3,350 3,350 3,350 3,350 3,350 3,350
수분(건물) 87.87 88.12 88.37 88.62 88.87 89.12
조단백질 18.16 18.14 18.11 18.09 18.07 18.04
조지방 5.11 5.35 5.58 5.82 6.05 6.29
조섬유 2.74 2.99 3.24 3.50 3.75 4.00
조회분 4.41 4.57 4.63 4.69 4.75 4.80
칼슘 0.90 0.90 0.90 0.90 0.90 0.90
총 인 0.65 0.70 0.75 0.80 0.85 0.90
유효 인 0.41 0.42 0.44 0.46 0.47 0.49
라이신 1.00 1.00 1.00 1.00 1.00 1.00
메치오닌 0.30 0.30 0.29 0.28 0.28 0.27
ㄷ. 수입옥수수 대비 유연보리 대체수준
구 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배합비율, %
옥수수 66.44 59.80 53.15 46.51 39.86 33.22
청보리 종실 0.00 6.64 13.29 19.93 26.58 33.22
대두박 27.45 27.18 26.89 26.58 26.27 25.96
당밀 1.00 1.00 1.00 1.00 1.00 1.00
대두유 2.83 3.10 3.38 3.66 3.95 4.23
제2인산칼슘 1.53 1.53 1.54 1.57 1.59 1.62
소금 0.25 0.25 0.25 0.25 0.25 0.25
종합영양제 0.50 0.50 0.50 0.50 0.50 0.50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성분 비율, %
가소화에너지, kcal/kg 3,561 3,589 3,616 3,644 3,671 3,699
대사에너지, kcal/kg 3,350 3,350 3,350 3,350 3,350 3,350
수분(건물) 87.87 88.15 88.43 88.71 89.00 89.28
조단백질 18.16 18.28 18.39 18.49 18.59 18.70
조지방 5.11 5.29 5.47 5.66 5.85 6.04
조섬유 2.74 2.99 3.23 3.47 3.72 3.96
조회분 4.41 4.56 4.61 4.68 4.74 4.81
칼슘 0.90 0.90 0.90 0.90 0.90 0.90
총 인 0.65 0.71 0.76 0.82 0.88 0.94
유효 인 0.41 0.40 0.40 0.40 0.40 0.40
라이신 1.00 1.01 1.02 1.02 1.03 1.04
메치오닌 0.30 0.30 0.29 0.29 0.29 0.28
상기 함량으로 제조된 비교예와 실시예를 바탕으로 배합비, 청보리 종실별 펩신 소화율을 분석하였다.
A. 청보리 종실별 펩신 소화율(%) 분석
구분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비교예 1 82.02 83.67 82.60
실시예 1 82.02 83.74 82.61
실시예 2 82.59 84.13 83.09
실시예 3 82.78 84.15 83.92
실시예 4 82.92 85.21 84.15
실시예 5 82.29 84.41 83.44
상기 실험결과와 같이, 단백질 소화율을 분석한 결과 영양보리, 우호보리 및 유연보리의 대체수준이 높아질수록 단백질의 소화율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모든 보리(영양, 우호 및 유연) 종실에서의 단백질 소화율은 40% 대체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를 바탕으로 청보리 종실 별 최종 사료배합비를 하기와 같이 도출하였다.
B. 청보리 종실 별 최종 사료배합비
구 분 대조구 청보리 종실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배합비율, %
옥수수 66.34 39.76 39.76 39.76
청보리 종실 0.00 26.58 26.58 26.58
대두박 27.45 26.46 26.11 26.27
당밀 1.00 1.00 1.00 1.00
대두유 2.83 3.75 4.16 3.95
제2인산칼슘 1.53 1.60 1.55 1.59
소금 0.25 0.25 0.25 0.25
종합영양제 0.50 0.50 0.50 0.50
합계 0.10 0.10 0.10 0.10
일반성분 비율, % 100.0 100.0 100.0 100.0
가소화에너지, kcal/kg
대사에너지, kcal/kg 3561 3619 3614 3671
수분(건물) 3350 3350 3350 3350
조단백질 87.87 88.84 88.87 89.00
조지방 18.16 18.55 18.07 18.59
조섬유 5.11 5.74 6.05 5.85
조회분 2.74 3.35 3.75 3.72
칼슘 4.41 4.73 4.75 4.74
총 인 0.90 0.90 0.90 0.90
유효 인 0.65 0.82 0.85 0.88
라이신 0.41 0.40 0.47 0.40
메치오닌 1.00 1.03 1.00 1.03
상기 배합비를 기준으로 사료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오차의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청보리 종실을 건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건조한 청보리 종실을 사료분쇄기로 파쇄하는 제 2단계
S30. 옥수수와 대두박을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파쇄한 청보리 종실과 상기 가루형태의 옥수수, 대두박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1차 혼합물에 당밀과 대두유를 첨가,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S60.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를 혼합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단계

Claims (7)

  1. 영양보리, 우호보리, 유연보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청보리 종실을 건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건조한 청보리 종실을 사료분쇄기로 파쇄하는 제 2단계;
    옥수수와 대두박을 가루형태로 파쇄하는 제 3단계;
    상기 파쇄한 청보리 종실과 상기 가루형태의 옥수수, 대두박을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4단계;
    상기 1차 혼합물에 당밀과 대두유를 첨가,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5단계;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를 혼합하는 제 6단계;
    상기 제 2인산 칼슘, 소금, 종합영양제 혼합물에 상기 2차 혼합물을 혼합하여 3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7단계에서 3차 혼합물의 조성은 청보리 종실 25 내지 28 중량%, 옥수수 38 내지 40중량%, 대두박 25 내지 28중량%, 당밀 1.0 내지 1.3중량%, 대두유 3 내지 4중량%, 제 2인산 칼슘 1.5 내지 1.7중량%, 소금 0.2 내지 0.3중량%, 종합영양제 0.4 내지 0.6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보리 종실 사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보리 종실 25 내지 28 중량%, 옥수수 38 내지 40중량%, 대두박 25 내지 28중량%, 당밀 1.0 내지 1.3중량%, 대두유 3 내지 4중량%, 제 2인산 칼슘 1.5 내지 1.7중량%, 소금 0.2 내지 0.3중량%, 종합영양제 0.4 내지 0.6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보리 종실 사료.
KR1020130139864A 2013-11-18 2013-11-18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5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64A KR101559205B1 (ko) 2013-11-18 2013-11-18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864A KR101559205B1 (ko) 2013-11-18 2013-11-18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50A KR20150057050A (ko) 2015-05-28
KR101559205B1 true KR101559205B1 (ko) 2015-10-13

Family

ID=5339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864A KR101559205B1 (ko) 2013-11-18 2013-11-18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2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69A1 (ko) * 2020-03-31 2021-10-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영인바이오 반려동물용 식이섬유 면 간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469A1 (ko) * 2020-03-31 2021-10-07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영인바이오 반려동물용 식이섬유 면 간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50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Effects of replacement of fish meal with fermented cottonseed meal on growth performance, body composition and haemolymph indexes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KR101710589B1 (ko) 사육기간의 단축을 위한 완전배합사료 및 이의 급여에 의한 한우의 사육방법
CN103271249A (zh) 淡水鱼保健饲料
CN104000030A (zh) 一种抗应激的早期乳猪教槽饲料
CN101416684A (zh) 一种含有整鱼粉的鸡饲料
CN102726638B (zh) 一种断奶仔猪配合饲料
CN103918911A (zh) 一种黄鸡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3416586A (zh) 一种山羊育肥颗粒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110007A (zh) 一种使用发酵菜粕的小猪配合饲料组合物
CN102894232A (zh) 一种肉雏鸡肠道保健配合饲料
Olaniyi et al. Replacement value of duck weed (lemna minor) in nile tilapia (Oreoochromis niloticus) DIET
CN103380856A (zh) 育肥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614074A (zh) 一种添加量为4%的新型昆虫蛋白浓缩饲料
CN103211106A (zh) 提高育肥猪消化吸收率的猪用饲料
CN104621399A (zh) 一种含有木薯和膨化大豆的小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559205B1 (ko) 청보리 종실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an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meal after fermentation with two fish gut bacterial strains, Bacillus cereus LRF5 and Staphylococcus caprae CCF2 in formulated diets for Labeo rohita fingerlings
CN103892036A (zh) 一种酒糟颗粒状种猪复合饲料的制备方法
CN103564166A (zh) 以秸秆粉末为原料的饲料的使用方法
CN103750021A (zh) 一种蛋鸡浓缩饲料
CN103598480B (zh) 一种含蚕沙辅料的反刍饲料
CN108719615A (zh) 一种加快育肥肉牛增重的精料配方及其制备方法和应用
Lim et al. Effect of phytase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fecal excretion, and compost characteristics in broilers fed diets deficient in phosphorus and calcium
CN103621811A (zh) 一种提高蛋鹅生产性能的复合饲料
CN106173423A (zh) 一种南方型肉兔饲料复合酶添加剂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