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8726B1 -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726B1
KR101558726B1 KR1020140000300A KR20140000300A KR101558726B1 KR 101558726 B1 KR101558726 B1 KR 101558726B1 KR 1020140000300 A KR1020140000300 A KR 1020140000300A KR 20140000300 A KR20140000300 A KR 20140000300A KR 101558726 B1 KR101558726 B1 KR 10155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 authentication
password
display means
selection
authent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977A (ko
Inventor
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0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8726B1/ko
Priority to PCT/KR2014/012663 priority patent/WO2015102279A1/ko
Priority to US15/109,615 priority patent/US10404685B2/en
Publication of KR2015008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726B1/ko
Priority to US16/524,558 priority patent/US1092447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7User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회원 가입시 선택한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 단계에서 암호 복잡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보안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USE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I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회원 가입시 선택한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 단계에서 암호 복잡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보안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서로 떨어져 있으며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컴퓨터들 또는 이들 컴퓨터를 포함하는 네크워크들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간의 다양한 정보들이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초기에 인터넷은 전자메일(electronic mail), 고퍼(gopher), 텔넷(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문자(text) 기반의 한정된 서비스로 인해 널리 확산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이하 "웹")이라고 하는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 기술이 개발되면서 인터넷은 급격하게 성장되었다.
상기 웹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이라는 통신 프로토콜과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는 언어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형식의 정보(예컨대, 문자, 이미지, 영상, 음성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은 상기 하나의 정보에서 다른 정보로 직접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법에 의하여 초기에는 단순히 문자 정보를 연계하는 하이퍼텍스트(hypertext)를 제공하였으나, 현재는 사용자의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요구에 따라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직접적으로 연계하는 하이퍼미디어(hypermedia)를 구현한다.
따라서, 인터넷의 이용 및 인터넷에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숫자가 급속하게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인터넷상에 포함된 정보의 범위와 내용도 광범위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인터넷 환경하에서, 기존에 행해져 오던 여러 가지 웹서비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등이 상술된 장점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외에도 새로운 유형의 웹서비스들이 현재에도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이러한 인터넷 환경하에서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은 사용자의 관리 및 보안상의 이유로 일정한 사용자 식별(회원 ID 및 비밀번호) 및 인증기구를 운영한다. 따라서,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이용을 위해 각 사용자들에게 일정 식별정보가 부여되며, 접속시마다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개별적인 인증 절차가 수행된다.
한편, 인터넷 환경하에서 종래의 사용자 식별 및 인증에 있어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한 계정 탈취 목적의 무작위 글자 입력 시도를 방어하기 위해 긴 문자배열을 생성하여 계정 정보 탈취 시도의 보안 위협으로부터 복잡도를 높여 방어할 수 있다. 그러나, 긴 문자열의 암호는 길어질수록 사용자는 기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7-01073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회원 가입시 선택한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 단계에서 암호 복잡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보안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응답하여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의 회원정보와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인증데이터가 저장된 회원인증정보 DB; 및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회원인증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표 상에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상기 웹서버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웹서버는,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을 통해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회원인증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웹서버로 웹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의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전송된 회원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회원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별도의 회원인증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회원으로 인증될 경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되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표 상에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상기 웹서버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회원인증수단의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단계(d)에서,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의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웹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원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상술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회원 가입시 선택한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 단계에서 암호 복잡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보안이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회원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 웹서버(200), 회원인증정보 DB(300), 및 회원인증서버(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인터넷(10)을 통해 웹서버(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웹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문서 등의 웹페이지(Web Page)를 가져와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될 수 있도록 통상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구비되어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내부에는 인터넷(10)에 접속되어 다수의 웹사이트, 예를 들면,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전송되는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보거나 해당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가공하거나 해당 문서를 전송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예컨대, 데스크탑 PC(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10)을 통하여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다양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PDA폰 또는 통신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웹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1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임의의 사용자가 후술하는 웹서버(2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인터넷(10)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그리고, 웹서버(200)는 인터넷(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과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구비된 운영서버(미도시)를 서로 연결시켜주며, 소정의 웹페이지를 통해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구비된 운영서버의 다양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웹서버(200)에서도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에 구비된 운영서버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특히, 웹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과 인터넷(10)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접속에 응답하여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웹서버(200)에서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1차원) 또는 다차원(2차원, 3차원, 4차원 등)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상에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예컨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도 4 내지 도 7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인증정보 DB(300)는 웹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의 회원정보와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인증데이터를 회원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원인증정보 DB(300)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회원인증서버(400)는 웹서버(200)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웹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암호화되어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회원인증정보 DB(300)에 미리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회원인증수단의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회원인증정보 DB(300)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웹서버(200)에서는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을 통해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예컨대, 특수 문자 등)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으며,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회원인증정보 DB(300)에 미리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update)하도록 서비스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접속을 위한 회원 로그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은,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임의의 웹서비스 제공자 시스템의 웹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때, 사용자가 회원으로 가입시 회원 ID, 비밀번호와 함께 웹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보안암호 선택모듈의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원인증정보 DB(300)에 저장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웹서버(200)로 웹서비스를 요청하면(S100), 웹서버(200)에서는 상기 단계S100에서의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한다(S200).
이때,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 ID, 비밀번호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에 표시됨이 바람직하다(도 4 내지 도 7 참조).
또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1차원) 또는 다차원(2차원, 3차원, 4차원 등)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상에 배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웹서버(200)에서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을 통해 상기 단계S200에서 전송된 회원인증수단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웹서버(200)로 전송한다(S300).
이때,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와 함께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상기 단계S300에서 전송된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별도의 회원인증정보 DB(300)에 미리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한다(S400).
한편, 상기 단계S300에서, 상기 회원인증수단의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회원인증정보 DB(300)의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회원인증정보 DB(300)에 저장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할 경우, 해당 사용자를 회원으로 인증시킨다.
이후에, 상기 단계S400의 판단 결과,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회원인증정보 DB(300)에 미리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가 서로 동일하여 해당 사용자가 회원으로 인증될 경우, 웹서버(200)에서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1 내지 100-N)로 웹서비스를 제공한다(S500).
추가적으로, 상기 단계S300 이후에, 웹서버(200)에서는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예컨대, 특수 문자 등)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원인증서버(400)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회원인증정보 DB(300)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update)하도록 서비스하여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사용자 단말,
200 : 웹서버,
300 : 회원인증정보 DB,
400 : 회원인증서버

Claims (13)

  1.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응답하여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 ID, 비밀번호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기초로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들의 회원정보와 회원임을 인증하기 위한 회원 ID, 비밀번호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포함하는 회원인증데이터가 저장된 회원인증정보 DB; 및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회원인증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회원 ID 입력란, 비밀번호 입력란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웹서버는,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을 통해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하며,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표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상기 웹서버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6. 삭제
  7. 웹브라우저가 탑재되는 사용자 단말과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 및 회원인증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 보안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웹서버로 웹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의 웹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로 회원인증수단을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전송된 회원인증수단을 이용하여 회원 ID, 비밀번호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기초로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회원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단계(c)에서 전송된 암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회원인증데이터와 별도의 회원인증정보 DB에 미리 저장된 회원 ID, 비밀번호 및 적어도 하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포함하는 회원인증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e) 상기 단계(d)의 판단 결과, 해당 사용자가 회원으로 인증될 경우, 상기 웹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b)에서, 상기 회원인증수단은 회원 ID 입력란, 비밀번호 입력란 및 보안암호 선택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각각의 암호화된 고유 코드값을 갖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되며,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웹서버로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는 회원 ID, 비밀번호 및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고유 코드값을 조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c) 이후에, 상기 웹서버를 통해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수단으로부터 입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암호화되도록 서비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원인증서버를 통해 상기 기설정된 일정기간마다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에 저장된 회원인증데이터에 상기 기설정된 구분 문자를 추가적으로 삽입하여 업데이트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암호 선택모듈은 단일차원 또는 다차원의 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표 상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은 숫자, 문자, 도형, 이미지, 색상, 또는 키워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에 표시될 경우, 상기 웹서버는 다수의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배열 순서가 랜덤(random)하게 표시되도록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회원인증수단의 보안암호 선택모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암호선택 표시수단이 복수개일 경우,
    상기 단계(d)에서, 상기 회원인증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와 상기 회원인증정보 DB의 회원인증데이터에서 암호선택 표시수단의 선택순서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회원인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방법.
  12. 삭제
  13. 제7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00300A 2014-01-02 2014-01-0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300A KR101558726B1 (ko) 2014-01-02 2014-01-0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4/012663 WO2015102279A1 (ko) 2014-01-02 2014-12-2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5/109,615 US10404685B2 (en) 2014-01-02 2014-12-22 Use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i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16/524,558 US10924474B2 (en) 2014-01-02 2019-07-29 Use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i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300A KR101558726B1 (ko) 2014-01-02 2014-01-0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977A KR20150080977A (ko) 2015-07-13
KR101558726B1 true KR101558726B1 (ko) 2015-10-07

Family

ID=5349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300A KR101558726B1 (ko) 2014-01-02 2014-01-02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404685B2 (ko)
KR (1) KR101558726B1 (ko)
WO (1) WO2015102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726B1 (ko) 2014-01-02 2015-10-07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0301B1 (ko) * 2016-04-21 2023-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로그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14383B1 (ko) * 2020-01-17 2021-10-19 주식회사 안랩 화면 정보 탈취 방지 장치 및 화면 정보 탈취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0288B2 (en) * 1997-06-11 2007-10-30 Prism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by an authentication server, to protected computer resources provided via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AU2001259307A1 (en) * 2000-05-01 2001-11-12 Jewell Lim Esposito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ocuments on an event-triggered basis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US7992007B2 (en) * 2002-02-05 2011-08-02 Cardinalcommerce Corporation Dynamic pin pad for credit/debit/ other electronic transactions
US7206872B2 (en) * 2004-02-20 2007-04-1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on of markers into a data stream
US20060090073A1 (en) * 2004-04-27 2006-04-27 Shira Steinberg System and method of using human friendly representations of mathematical values and activity analysis to confirm authenticity
KR100718440B1 (ko) 2005-08-10 2007-05-14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식별코드를 이용한 인증대행 방법, 서버 및 시스템
US20070136573A1 (en) * 2005-12-05 2007-06-14 Joseph Steinber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wo or more multi-factor authentication mechanisms to authenticate online parties
DK2191610T3 (da) * 2007-09-07 2019-10-07 Dis Ent Llc Softwarebaseret multikanals polymorf datakryptering
KR20080080064A (ko) * 2008-06-11 2008-09-02 (주)민인포 그래픽 오티피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KR20110069567A (ko) 2009-12-17 2011-06-23 이동성 그래픽 다이얼 오티피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그 인증시스템
KR101294280B1 (ko) * 2011-08-31 2013-08-23 (주)소만사 패킷 미러링 방식으로 암호화된 https 통신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개인정보유출을 방지하는 개인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58726B1 (ko) 2014-01-02 2015-10-07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UM 로그인 페이지, Daum Communications Cor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2279A1 (ko) 2015-07-09
KR20150080977A (ko) 2015-07-13
US20160330190A1 (en) 2016-11-10
US20200014677A1 (en) 2020-01-09
US10404685B2 (en) 2019-09-03
US10924474B2 (en)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14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nformation in a browser storage area of a client device
US8825799B2 (en) Redirection method for electronic content
KR100745438B1 (ko) 액세스 제공 방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832795B2 (en) U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to verify a user searching data
US10904761B2 (en) Media agnostic content obfuscation
US20100332841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10949564B2 (en) Contact discovery service with privacy aspect
KR101633965B1 (ko)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24474B2 (en) User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i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EP1513313A1 (en) A method of accessing a network service or resource, a network terminal and a personal user device therefore
KR20190079092A (ko) 비로그인 상태의 비정형적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구분 및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9668A (ko) 메일 메시지를 이용한 파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23532976A (ja) ユーザの身元の検証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902077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files using a computer system and data network
JP2002342270A (ja) 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方法、リモート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
TW201635210A (zh)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記憶媒體
US201402451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Positioning A PIN Entry Box In A Terminal Display
CN113472796B (zh) 一种数据中心门户管理方法及系统
KR101773713B1 (ko)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보안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162540A (ja) プログラム、サーバ及び方法
US20170329658A1 (en)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a remote resource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JP2003333208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20030033854A (ko) 사용자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서버 컴퓨터 및 그시스템
JP2017049881A (ja) 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