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850B1 -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850B1
KR101557850B1 KR1020140052195A KR20140052195A KR101557850B1 KR 101557850 B1 KR101557850 B1 KR 101557850B1 KR 1020140052195 A KR1020140052195 A KR 1020140052195A KR 20140052195 A KR20140052195 A KR 20140052195A KR 101557850 B1 KR101557850 B1 KR 101557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indow frame
vertical
sliding window
rectang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디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디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디엔디
Priority to KR102014005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일 또는 미닫이 창호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 본체(3)와, 사각형 본체(3)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4)와, 레일부(4)의 하부, 또는 사각형 본체(3)의 상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5)(6)와, 수평부(5)(6)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7)(8)와, 수직부(7)(8)의 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9)(10)과,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형성되는 중공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형 본체(3)와 양측 수직부(7)(8) 사이에는 하향 개방부(12)(13)가 형성되어 상하부 벽체(16)(17)에 시공(설치)되는 창호틀(18)(19)에 결합될 때 억지결합되어 탄지된다.

Description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Frame for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미닫이 창호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레일 또는 미닫이 창호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레일로 선택 사용하거나 겸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이나 미닫이 문과 같은 미닫이 창호를 지지하는 창호틀(틀부재)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닫이 창호가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하부 레일이 설치되고, 창호틀의 상부에는 하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창호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레일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레일은 미닫이 창호 저부에 설치되는 호차가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 레일은 미닫이 창호가 이동할 때(열리고 닫힐 때) 미닫이 창호의 상부가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서로의 역활과 구성이 상이하여 따로 제조되어 설치 및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되고 유지보수 및 관리에 따른 비용 또한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8630호(발명의 명칭: 미서기창호의 복합프레임, 2004. 04. 28.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4494호(발명의 명칭: 미닫이 창호, 2010. 08. 10.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298호(발명의 명칭: 무보강재 창호프레임, 2013. 12. 16. 등록공고)
본 발명은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을 겸용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은, 사각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과, 상기 사각형 본체와 레일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은, 수평 연결부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사각형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와, 상기 본체 상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과, 상기 사각형 본체와 레일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은, 반원형이나 직각 삼각형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으로 미닫이 창호(2)의 하부를 안내 및 지지하는 하부 레일, 또는 미닫이 창호(2)의 상부를 안내 및 지지하는 상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한가지의 형상이나 한가지 구성의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이용하여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각형 본체(3)와 양측 수직부(7)(8) 사이에는 하향 개방부(12)(13)가 형성되어 상하부 벽체(16)(17)에 시공(설치)되는 창호틀(18)(19)에 결합될 때 억지결합 및 탄지되면서 분리 또는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재나 보강구조 없이도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요철 부분 확대 정면도.
도 4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요철 부분 확대 정면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창호틀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사용 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정면도로, 도 7과 같이 미닫이 창호(2)의 하부를 안내 및 지지하는 하부 레일 또는 미닫이 창호(2)의 상부를 안내 및 지지하는 상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미닫이 창호(2)의 크기에 따라 소정 길이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하이샤시 등의 금속재로 압출 성형되는 장척물이다.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은, 사각형 본체(3)와, 사각형 본체(3)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4)와, 레일부(4)의 하부, 또는 사각형 본체(3)의 상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5)(6)와, 수평부(5)(6)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7)(8)와, 수직부(7)(8)의 외면(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9)(10)과,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형성되는 중공부(11)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각형 본체(3)와 양측 수직부(7)(8) 사이에는 하향 개방부(12)(13)가 형성되어 상하부 벽체(16)(17)에 시공(설치)되는 창호틀(18)(19)에 결합될 때 억지결합되어 탄지되며, 양측 수직부(7)(8)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9)(10)은 창호틀(18)(19)의 결합홈(25)(26)에 억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은 반원형이거나, 또는 도 4와 같은 직각 삼각형(갈고리형)이다.
상기 요철(9)(10)은 복수로 구성되며, 소정 거리로 이격하여 형성되며, 발포성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창호틀(18)(19)보다 경질의 금속이므로 억지 결합에 의해 수직부(21)(22)의 안쪽면 일부를 파고 들어가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창호틀(18)(19)에 형성되는 수직부(21)(22)의 안쪽면에 상기 요철(9)(10)이 결합 및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재나 보강구조 없이도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며, 압출 성형할 때 성형 재료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체 무게가 가벼워진다.
도 5는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a)의 사시도로,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를 좌우 한 쌍으로 구성하여 도 8과 같이 복수의 미닫이 창호(2)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은, 수평 연결부(14)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사각형 본체(3)와, 사각형 본체(3)의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4)와, 레일부(4)의 하부, 또는 사각형 본체(3)의 상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5)(6)와, 수평부(5)(6)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7)(8)와, 수직부(7)(8)의 외면(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9)(10)과,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형성되는 중공부(11)로 구성되며, 좌우 한 쌍의 사각형 본체(3) 사이에는 하향 개방부(15)가 형성된다.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두께(t)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크기 및 지지력이나 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로 결정되며, 요철(9)(10)의 돌출길이(L)는 수평부(5)(6)의 탄성력(탄성력 정도)이나 상기 두께(t) 및 창호틀(18)(19)의 경도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돌출길이(L)는 상기 두께(t)의 1/8~1/3 정도이다. 즉 수평부(5)(6)의 탄성력이 강할 수록, 창호틀(18)(19)의 경도가 떨어질 수록 요철(9)(10)의 돌출길이(L) 값은 커질 수 있다.
상기 창호틀(18)(19)은 비교적 경도가 낮은 발포성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현장 가공성이 우수하며, 억지 결합에 의해 수직부(7)(8)의 요철(9)(10) 일부가 파고 들어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창호틀(18)(19)의 사시도로, 미닫이 창호(2)의 크기에 따라 소정 길이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발포성 합성수지 등으로 압출 성형되는 장척물로 현장 가공성이 우수하여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창호틀(18)(19)은 수평부(23) 양측에 수직부(21)(22)가 형성되고, 수평부(23)의 상부 중앙에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레일부(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요입홈(24)이 형성되고, 수평부(23)의 상하부에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수직부(7)(8)가 억지결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개방된 결합홈(25)(2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21)(22)의 길이방향 안쪽면에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요철(9)(10)이 결합 및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도 8은 본 발명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 하나의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과, 하나의 창호틀(18)(19)을 상하로 뒤집어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상하부 벽체(16)(17)에 시공(설치)된 창호틀(18)(19)에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설치한 상태이고, 도 8은 상부 벽체(16)와 바닥(27)에 시공(설치)된 창호틀(18a)(19a)에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a)을 설치한 상태이다. 도면부호 30과 31은 마감재이다.
도 7은 상부 창호틀(18)의 상부 결합홈(26)이 상부 벽체(16)에 고정되도록 시공하고, 상부 창호틀(18)의 하부 결합홈(25)에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억지 결합시켜 레일부(4)가 요입홈(24)에 결합되도록 하면 사각형 본체(3)가 하향 노출되면서 상부 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며, 억지결합에 의해 수직부(7)(8)의 요철(9)(10)이 상부 창호틀(18)의 수직부(21)(22) 안쪽면 일부를 파고 들어가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 창호틀(19)의 결합홈(26)이 하부 벽체(17)에 고정되도록 시공하고, 하부 창호틀(19)의 결합홈(25)에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억지 결합시켜 레일부(4)가 상향하도록 하면, 레일부(4)가 상향 노출되면서 하부 레일의 설치가 완료되며, 억지결합에 의해 수직부(7)(8)의 요철(9)(10)이 하부 창호틀(19)의 수직부(21)(22) 안쪽면 일부를 파고 들어가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고,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이용한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부 창호틀(18)에 설치된 사각형 본체(3) 부분에 미닫이 창호(2) 상부의 안내홈(29)을 결합시키고, 이어 하부 창호틀(19)에 설치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레일부(4)에 미닫이 창호(2)의 호차(28)가 얹히도록 설치하면 미닫이 창호(2)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미닫이 창호(2)를 슬리이딩시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에 예시한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a)의 사용 상태 단면도로, 좌우 한 쌍의 레일부(4)와 사각형 본체(3)를 이용하여 2개의 미닫이 창호(2)를 설치한 것으로, 나머지 부분은 상기 도 7에 대한 설명과 같다.
본 발명의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은, 미닫이 창호(2)의 호차(28)가 결합되는 레일부(4)와 미닫이 창호(2)의 안내홈(29)이 결합되는 사각형 본체(3)가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하나의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을 뒤집어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부 레일 또는 하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 등이 크게 절감된다.
본 발명은 사각형 본체(3)와 양측 수직부(7)(8) 사이에는 하향 개방부(12)(13)가 형성되어 상하부 벽체(16)(17)에 시공(설치)되는 창호틀(18)(19)에 결합될 때 억지결합 및 탄지되면서 분리 또는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각형 본체(3)와 레일부(4)에 하나로 연결되는 중공부(11)가 형성되어 별도의 보강재나 보강구조 없이도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1)의 전체 강도가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1a)--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2)--미닫이 창호
(3)--사각형 본체 (4)--레일부
(5)(6)(23)--수평부 (7)(8)(21)(22)--수직부
(9)(10)--요철 (11)--중공부
(12)(13)(15)--개방부 (14)--연결부
(16)(17)--벽체 (18)(19)(18a)(19a)--창호틀
(24)--요입홈 (25)(26)--결합홈
(27)--바닥 (28)--호차
(29)--안내홈

Claims (3)

  1. 사각형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
    상기 본체 상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 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은 창호틀의 결합홈에 억지 결합되는 복수의 직각 삼각형이고,
    상기 요철(9)(10)이 형성된 수직부(7)(8)를 하부 창호틀(19)의 결합홈(25)에 억지 결합시켜 사각형 본체(4)가 요입홈(24)에 결합되고 레일부(4)가 상향하는 하부 레일, 또는 상기 요철(9)(10)이 형성된 수직부(7)(8)를 상부 창호틀(19)의 결합홈(25)에 억지 결합시켜 레일부(4)가 요입홈(24)에 결합되고 사각형 본체(4)가 하향 노출되는 상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2. 수평 연결부로 연결되는 좌우 한 쌍의 사각형 본체;
    상기 본체 상부면에 상향 돌출되는 레일부;
    상기 본체 상부에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단부에 하향 돌출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바깥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요철; 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은 창호틀의 결합홈에 억지 결합되는 복수의 직각 삼각형이고,
    상기 요철(9)(10)이 형성된 수직부(7)(8)를 하부 창호틀(19)의 결합홈(25)에 억지 결합시켜 사각형 본체(4)가 요입홈(24)에 결합되고 레일부(4)가 상향하는 하부 레일, 또는 상기 요철(9)(10)이 형성된 수직부(7)(8)를 상부 창호틀(19)의 결합홈(25)에 억지 결합시켜 레일부(4)가 요입홈(24)에 결합되고 사각형 본체(4)가 하향 노출되는 상부 레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3. 삭제
KR1020140052195A 2014-04-30 2014-04-30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KR101557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95A KR101557850B1 (ko) 2014-04-30 2014-04-30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95A KR101557850B1 (ko) 2014-04-30 2014-04-30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850B1 true KR101557850B1 (ko) 2015-10-06

Family

ID=5434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95A KR101557850B1 (ko) 2014-04-30 2014-04-30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8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20Y1 (ko) * 2006-09-29 2006-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74494B1 (ko) 2009-05-29 2010-08-10 이은옥 미닫이 창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720Y1 (ko) * 2006-09-29 2006-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거실 확장이 용이한 평레일 창호 시스템
KR100817228B1 (ko) 2007-03-30 2008-03-27 유정식 조립식 레일을 갖는 창호틀
KR100974494B1 (ko) 2009-05-29 2010-08-10 이은옥 미닫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50Y1 (ko)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101163094B1 (ko) T-브라켓용 결로방지패드
US20150047264A1 (en) Glass run channel
KR101507484B1 (ko) 분리가 용이한 고 기밀성 단열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CA2500143A1 (en) Injection molded jamb supports for a sill assembly
US7887250B1 (en) Aluminum window structure
KR10129180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557850B1 (ko) 미닫이 창호용 프레임
KR200411765Y1 (ko) 창문의 내풍압 강화 보조유닛
KR101091263B1 (ko) 커튼 레일용 커튼롤러
KR101401591B1 (ko)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60071290A (ko) 미서기창의 호차측 단열구조
KR200472535Y1 (ko) 강화유리문용 프레임
KR101764162B1 (ko) 폴딩도어의 외곽프레임 조립체
KR20140004502U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883961B1 (ko) 가구용 서랍
KR20130098014A (ko)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130046991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
KR20110101652A (ko) 여닫이문 하단용 모헤어 프레임
KR100994421B1 (ko) 마모부 교체 및 소음 방지가 가능한 학교 출입문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KR101518964B1 (ko) 미닫이창의 레일 은폐구조
KR101691398B1 (ko) 미닫이 문틀
KR101599518B1 (ko) 추락방지 미서기창의 창문이탈 방지장치
KR102422652B1 (ko)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