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671B1 -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671B1
KR101557671B1 KR1020140111551A KR20140111551A KR101557671B1 KR 101557671 B1 KR101557671 B1 KR 101557671B1 KR 1020140111551 A KR1020140111551 A KR 1020140111551A KR 20140111551 A KR20140111551 A KR 20140111551A KR 101557671 B1 KR101557671 B1 KR 101557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frame
coupling
small contai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욱
Original Assignee
화신강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강업(주) filed Critical 화신강업(주)
Priority to KR102014011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형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에 좌우 양단 내측에 각각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는 로드 고정구와 양단이 상기 로드 고정구의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와,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적재 프레임에 적재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돌출구를 구비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 내측에 회동축 로드를 지지하는 회동 지지구를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회동축 로드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판 형태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 유도부의 외측면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구 삽입홀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양단이 폭이 좁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로드가 결합 안착되는 로드 유도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유도구의 내부에 돌출된 걸림부와 돌출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블록으로 내설되어 양 블럭의 상기 걸림부 및 결속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기 결합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시키는 잠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잠금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부재와 2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DEVICE FOR CARRYING SMALL SIZE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하부 프레임 좌우 양단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에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에 결합 부재가 T자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2점 체결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를 다양한 규격에 따라 조합하여 적재 및 운송할 수 있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량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 컨테이너를 구비하며, 화물 차량인 트레일러 또는 철도 차량의 화차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소형 컨테이너(예를 들면,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가 적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 적재되는 소형 컨테이너는 적재된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장치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정 장치의 사용은 제도적으로 의무화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컨테이너는 식료품, 농산물, 가전제품 등과 같은 내수화물들을 운송하는데 사용되고 있는데, 기업 물류비 절감 및 철도 물류 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소형 컨테이너를 이용한 내수화물 수송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소형 컨테이너의 개발 및 상용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적재하여 운송하고, 상하역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2836호(2012.06.28. 공고) : 규격이 다른 컨테이너 적재용 받침대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하부 프레임 좌우 양단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에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에 결합 부재가 T자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2점 체결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를 다양한 규격에 따라 조합하여 적재 및 운송할 수 있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형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에 좌우 양단 내측에 각각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는 로드 고정구와 양단이 상기 로드 고정구의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와,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적재 프레임에 적재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돌출구를 구비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 내측에 회동축 로드를 지지하는 회동 지지구를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회동축 로드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판 형태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 유도부의 외측면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구 삽입홀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양단이 폭이 좁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로드가 결합 안착되는 로드 유도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유도구의 내부에 돌출된 걸림부와 돌출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블록으로 내설되어 양 블럭의 상기 걸림부 및 결속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기 결합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시키는 잠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잠금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부재와 2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하부 프레임 좌우 양단에 결합 부재가 구되고,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에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에 결합 부재가 T자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2점 체결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를 다양한 규격에 따라 조합하여 적재 및 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가 적재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개 조합하여 적재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에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가 적재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결합 부재(110),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 고정 부재(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110)는 다양한 크기(예를 들면,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의 소형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차량의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 고정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에 2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로드 고정구(111), 결합 로드(112) 등을 포함하여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좌우 양단 내측에 각각 구비되며, 결합 로드(112)가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13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로드 고정구(111)는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좌우 양단 내측에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고, 단면이 'ㄷ'자가 세워진 형태에서 외측면이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로드 고정구(111)의 전후면에도 플레이트가 추가로 구비하여 더 안정적인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 로드(112)는 양단이 로드 고정구(111)의 내부(예를 들면, 내측면 및 외측면, 전면 및 후면)에 수평하게 고정되며, 후술하는 고정 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 부재(110)는 소형 컨테이너가 2점 체결 방식으로 차량의 적재 프레임 상에 안착 고정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에 구비되는 고정 부재(13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좌우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는 차량의 적재 프레임(20)에 적재되는 것으로, 사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이 격자 형태, 직사각형 형태 등으로 배치 및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 고정구(121), 제 2 결합구(122), 안착홈(123), 돌출구(124), 고정 플레이트(125) 등이 복수개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1 고정구(121)는 차량의 적재 프레임(20)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 1 결합구(21)가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 2 고정구(11)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제 2 결합구(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결합구(21) 및 제 2 결합구(122)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할 경우에만 상부로 이동시킨 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고정구(121)와 제 2 결합구(122)는 종래에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홈(123)은 후술하는 고정 부재(130)의 프레임 가이드(133)가 위치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며, 안착홈(123)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태의 돌출구(1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돌출구(124)는 안착홈(123)이 형성된 위치의 하부에 돌출구(124)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는 고정 플레이트(125)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구(124)는 후술하는 프레임 가이드(133)의 결합부(133d)에 형성된 결합홀(133e)에 결합되어 프레임 가이드(133)를 포함하는 고정 부재(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30)는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좌우 양단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 부재(110)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 상에 구비되어 T자 형태 또는 H자 형태와 같이 결합 부재(110)와 2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회동 지지구(131), 회동축 로드(132), 프레임 가이드(133), 로드 유도구(134), 잠금구(135), 잠금축 로드(136), 잠금 고정구(1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 지지구(131)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좌우 양단 내측에 구비되어 후술하는 프레임 가이드(133)가 회동축 로드(132)를 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축 로드(132)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지지구(131)는 회동축 로드(132)의 양단에 구비되어 회동축 로드(132)의 양단이 삽입 및 고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 가이드(133)가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좌우 양단 상면과 좌우 양단 내측면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좌우 양단 내측면에서 측면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가이드(133)는 일단이 회동축 로드(132)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부(133a)와, 회동부(133a)에서 판 형태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33b)와, 플레이트부(133b)의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유도부(133c)와, 프레임 유도부(133c)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133d)와, 결합부(133d)에 형성되는 결합홀(133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가이드(133)의 회동부(133a))는 회동축 로드(1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이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연장되어 판 형태로 플레이트부(133b)가 형성되고, 플레이트부(133b)의 끝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프레임 유도부(133c)가 형성되며, 플레이트부(133b)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결합부(133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레임 유도부(133c)는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소형 컨테이너의 적재 시 쉽게 결합 안착시킬 수 있도록 폭이 좁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이 안정적으로 결합 안착될 수 있다. 즉, 프레임 유도부(133c)는 상부에서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 양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유도부(133c)의 외측면 하부 중앙에는 후술하는 잠금 고정구(137)가 삽입 관통되는 두 개의 고정구 삽입홀(도시 생략됨)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이러한 고정구 삽입홀은 후술하는 잠금 고정구(137)가 삽입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로드 유도구(134)는 프레임 가이드(133)의 플레이트부(133b)에 구비되어 결합 부재(110)의 결합 로드(112)가 결합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 유도구(134)는 상방으로 돌출된 양단이 폭이 좁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따라 결합 로드(112)가 로드 유도구(134)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결합 안착될 수 있다. 즉, 로드 유도구(134)는 결합 로드(112)가 결합되는 공간이 상부에서 폭이 넓고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부에서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드 유도구(134)는 상단부에서 돌출된 양단이 마주보는 공간을 기준으로 돌출된 양단의 각 외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내측면(134a), 각각의 좌측면(134b), 각각의 우측면(134c)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로드 유도구(134)는 각각의 좌측면(134b)을 통해 규격화된 소형 컨테이너보다 폭이 좁은 비규격의 소형 컨테이너가 적재될 경우에도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이 경사진 면을 따라 쉽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로드 유도구(134)는 돌출된 양단 내부에 후술하는 잠금구(135)가 내설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은 각각의 내측면(134a)과 수직 방향(즉, 결합 로드(112)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드 유도구(134)의 돌출된 양단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단부가 두 개의 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블록 상부 내측에 고정편(134d)을 통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편(134d)의 하부에 잠금구(135)가 내설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구(135)는 로드 유도구(134)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내설되고, 돌출된 걸림부(135a)와 돌출된 결속부(135b)를 포함하는 두 개의 블록으로 구비되며, 결합 로드(112)가 결합되는 공간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으로 양 블럭의 걸림부(135a)와 결속부(135b)의 사이에 오목한 안착 공간(135c)이 형성되어 결합 로드(112)가 로드 유도구(134) 내측으로 결합될 경우 돌출된 걸림부(135a)에 걸려 아래로 밀리면서 두 개의 잠금축 로드(136)를 축으로 하여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돌출된 결속부(135b)가 오목한 안착 공간(135c)에 안착된 결합 로드(112)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잠금구(135)는 돌출된 결속부(135b)가 오목한 안착 공간(135c)에 안착된 결합 로드(112)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된 후 걸림부(135a)의 하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후술하는 잠금 고정구(137)가 결합될 수 있다.
잠금 고정구(137)는 결합 로드(112)가 로드 유도구(134)에 결합된 후 잠금구(135)를 통해 결속될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두 개의 고정구 삽입홀(133d)에 각각 삽입 관통되어 걸림부(135a)의 하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잠금구(135)가 결합 로드(112)를 결속한 후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잠금 고정구(137)는 프레임 가이드(133)에 잠금구(135)를 통해 결속된 결합 로드(112)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로드 유도구(134) 및 잠금구(135)는 결합 부재(110)에 구비되는 결합 로드(112)의 설치 방향(즉, 결합 로드(112)는 로드 고정구(111)의 내부에서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되거나 수직으로 구비됨)에 대응하여 적재 프레임(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또는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에 도 2i 및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으로 고정 부재(130)가 복수개 구비되거나 도 2d 내지 도 2h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형으로 고정 부재(130)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형의 경우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를 복수개의 길이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별로 좌우 외측 방향에 고정 부재(130)를 복수개 구비하여 소형 컨테이너(C)의 규격(예를 들면,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에 대응하는 고정 부재(130)만을 이용하여 소형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데, 소형 컨테이너(C)의 최소 단위가 8피트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40피트 컨테이너를 적재하기 위한 차량의 적재 프레임(20)에 대응하여 5개의 구획으로 구분할 수 있고, 구획된 각 공간별로 3개의 고정 부재(130)가 구비됨으로써, 소형 컨테이너(C)의 규격인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의 규격에 대응하여 최대 15개의 고정 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형의 경우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를 복수개의 길이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별로 좌우 외측 방향에 하나의 고정 부재(130)를 구비하여 소형 컨테이너(C)의 규격(예를 들면,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소형 컨테이너(C)를 고정할 수 있는데, 소형 컨테이너(C)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130)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에 형성된 안착홈(123), 돌출구(124) 및 고정 플레이트(125)가 각 구획별로 3개씩 구비된 상태에서 고정 부재(130)의 회동 지지구(131)가 각 구획별로 3개씩 구비되며, 도 2d 내지 도 2h와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의 소형 컨테이너 규격에 따라 회동축 로드(132)를 분리하고, 고정 부재(130)의 나머지 구성부를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돌출구(124)에서 분리한 후, 해당 규격에 대응하는 회동 지지구(131)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에서 회동축 로드(132)를 삽입 결합하며, 잠금 고정구(137)를 이용하여 고정 부재(1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8피트, 10피트, 12피트 등의 소형 컨테이너 규격에 따라 소형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30)는 도 4a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적재 플레이트 부재(120)의 내측 하방으로 회전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도 4b와 같이 원형 강판 코일의 수송 시 사용하는 스키드를 구비한 화물 운송용 화차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개 조합하여 일반 컨테이너 수송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8피트의 소형 컨테이너(C) 5개를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송할 수 있고,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피트의 소형 컨테이너(C) 4개를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송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2피트의 소형 컨테이너(C) 3개를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송할 수 있고,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피트의 소형 컨테이너(C) 3개와 8피트의 소형 컨테이너(C) 1개를 함께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운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규격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소형 컨테이너를 복수개 적재하여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하부 프레임 좌우 양단에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차량에 적재되는 적재 프레임 상에 적재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에 결합 부재가 T자 형태 또는 H자 형태로 결합 고정되는 2점 체결 방식으로 복수개의 다양한 규격의 소형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소형 컨테이너를 다양한 규격에 따라 조합하여 적재 및 운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 20 : 적재 프레임
110 : 결합 부재 111 : 로드 고정구
112 : 결합 로드 120 : 적재 플레이트 부재
121 : 제 1 고정구 122 : 제 2 결합구
123 : 안착홈 124 : 돌출구
125 : 고정 플레이트 130 : 고정 부재
131 : 회동 지지구 132 : 회동축 로드
133 : 프레임 가이드 134 : 로드 유도구
135 : 잠금구 136 : 잠금축 로드
137 : 잠금 고정구

Claims (5)

  1. 소형 컨테이너의 컨테이너 하부 프레임에 좌우 양단 내측에 각각 하부가 개구된 사각형 형태로 구비되는 로드 고정구와 양단이 상기 로드 고정구의 내부에 수평하게 고정되는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와,
    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적재 프레임에 적재되며, 상기 사각형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돌출구를 구비하는 적재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가 구비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 상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 부재의 좌우 양단 내측에 회동축 로드를 지지하는 회동 지지구를 구비하고, 일단이 상기 회동축 로드에 삽입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판 형태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유도부와 상기 프레임 유도부의 외측면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구 삽입홀과 상기 플레이트부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프레임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된 양단이 폭이 좁은 상부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부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 로드가 결합 안착되는 로드 유도구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유도구의 내부에 돌출된 걸림부와 돌출된 결속부를 포함하는 두 개의 블록으로 내설되어 양 블럭의 상기 걸림부 및 결속부의 사이에 형성된 오목한 안착 공간에 안착된 상기 결합 로드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시키는 잠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구 삽입홀에 삽입 관통되어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 생성된 공간으로 삽입 결합되는 잠금 고정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 부재와 2점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유도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소형 컨테이너의 적재 시 쉽게 결합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프레임 양단을 기준으로 상부가 넓은 폭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유도구는, 상단부에서 돌출된 양단이 마주보는 공간을 기준으로 돌출된 양단의 각 외측면을 제외한 각각의 내측면, 각각의 좌측면 및 각각의 우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 부재를 복수개의 길이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별로 좌우 외측 방향에 상기 고정 부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의 규격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 부재만을 이용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는, 상기 적재 플레이트 부재를 복수개의 길이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별로 좌우 외측 방향에 하나의 상기 고정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의 규격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1020140111551A 2014-08-26 2014-08-26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KR101557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51A KR101557671B1 (ko) 2014-08-26 2014-08-26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551A KR101557671B1 (ko) 2014-08-26 2014-08-26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671B1 true KR101557671B1 (ko) 2015-10-06

Family

ID=5434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551A KR101557671B1 (ko) 2014-08-26 2014-08-26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67A1 (ko) * 2021-11-11 2023-05-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848A (ja) 1998-09-07 2000-03-21 Mizuho:Kk コンテナ、コンテナ用ボックス及びコンテナ本体
JP4261025B2 (ja) 2000-05-26 2009-04-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脱着車両の荷箱固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9848A (ja) 1998-09-07 2000-03-21 Mizuho:Kk コンテナ、コンテナ用ボックス及びコンテナ本体
JP4261025B2 (ja) 2000-05-26 2009-04-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脱着車両の荷箱固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667A1 (ko) * 2021-11-11 2023-05-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134B2 (en) Reconfigured modular building unit and method
US11235921B2 (en)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KR102140093B1 (ko) 컨테이너 결속장치
US9809358B2 (en) Self-latching interbox connector for automatic securement of a top container to a bottom container
KR102023250B1 (ko) 소형 화물차량 적재함용 사물함
CN207773282U (zh) 用于卡车的货厢、用于卡车货厢的铰接侧的闩锁机构和车辆
JP6456608B2 (ja) コンテナ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US8561836B2 (en) Crate with collapsible wall
WO2016204156A1 (ja) コンテナ
KR101557671B1 (ko) 소형 컨테이너 적재 장치
JP3166108U (ja) 輸送用のコンテナ
US20160280286A1 (en) Cargo bed extender
US20120055968A1 (en) Ratchet binder storage rack
CN1277724C (zh) 用于空运货物运输的可折叠容器
KR20110032042A (ko) 컨테이너 어셈블리
KR200404243Y1 (ko) 화물차량 적재함
EP1744965B1 (en) A container having sidewalls that are pivotally and detachable attached by menas of hinge and a method of use
US20200071069A1 (en)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nd a Collapsible Intermodal Container Assembly
FR3080106A1 (fr) Unite pour le transport de bobines d'acier
KR20190059177A (ko) 후륜하우징이 구비된 적재함을 가진 차량용 사물함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US2942560A (en) Bulkhead fitting
KR101627668B1 (ko) 소형 컨테이너 고정 장치
KR101448826B1 (ko) 지게차를 이용한 접이식 컨테이너의 접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