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401B1 -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 Google Patents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401B1
KR101557401B1 KR1020140019868A KR20140019868A KR101557401B1 KR 101557401 B1 KR101557401 B1 KR 101557401B1 KR 1020140019868 A KR1020140019868 A KR 1020140019868A KR 20140019868 A KR20140019868 A KR 20140019868A KR 101557401 B1 KR101557401 B1 KR 10155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ransverse
main body
transverse pipe
transparen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8502A (en
Inventor
최동안
최희철
Original Assignee
최동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안 filed Critical 최동안
Priority to KR102014001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401B1/en
Publication of KR2015009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5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관한 것으로서, 엘보우관 형상을 가지고,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횡주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소제 마개와 체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의하여, 투명한 횡주관 소제구를 통해 횡주관 내부에 슬러지의 적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횡주관 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verse bulkhead cleaning tool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lbow tube shape and formed entirely or partly of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transverse pip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fastened to the scouring cap.
By using the above-mentioned transverse passageway clean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lamination state of the sludge inside the transverse passageway through the transparent passageway cleaner,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transverse passageway condition even if it is not a specialist.

Description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본 발명은 오배수용 횡주관의 소제구에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횡주관 내부의 유지방 등 슬러지 여부와 통수 여부를 쉽게 점검하기 위한,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asphalting agent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for easily checking whether sludge is present or not, such as a milk in a transverse pipe by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in a cleaning agent for a low-water-

일반적으로, 아파트, 공동주택, 상가건물 등 각종 건물의 지하나 지하 주차장상단에 각종 생활 오배수(주방이나 화장실 등)를 안전하게 배수시키기 위한 위생배관, 일명 횡주관이 벽이나 지하 천정에 매달리도록 설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횡주관은 생활 오배수(또는 생활 하수)의 유지방이 응고되거나 하수 속에 섞인 기타 이물질으로 인해서 비정기적으로 막히게 된다.Generally, sanitary piping, a so-called transverse pipe, is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an underground parking lot such as an apartment building, apartment house, and a shopping mall to suspend various kinds of living water (kitchen, toilet, etc.) . Such transverse tubing is clogged irregularly due to clogging of the milk chambers of the living sewage (or domestic sewage) or other foreign matter mixed with sewage.

이를 위해, 횡주관으로는 각종 생활 하수의 배수 과정에서 그 내부에 적층되는 각종 슬러지의 적층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청소하기 위한 소제구가 구비되어 있다. 소제구는 통상적으로 횡주관보다는 높아지게 상부로 절곡된 형태이고, 횡주관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이다.For this purpose, the transverse pipe is provided with a cleaning device for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tacking of various kinds of sludge stacked in the drainage process of various living sewage and cleaning the same. The cleaning agent is usually in the form of being bent upward at an elevation higher than that of the transverse vessel,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transverse vessel.

상기한 소제구는 횡주관의 연결지점 등 군데군데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건물 관리자는 상기한 소제구를 통해 횡주관 내에 슬러지의 적층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또 그 적층 정도에 따라 오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 횡주관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횡주관의 소제구를 통해 고압세척수로 횡주관을 세정하고 있다[특허문헌 1].The scouring pads are formed at points such as the connecting points of the transverse pipe. Therefore, the building manager should periodically check the stacking state of the sludge in the transverse pipe through the above cleaning device, and periodically clean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pipe to drain the sewag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acking. At this time, the transverse pipe is cleaned with the high-pressure washing water through the cleaning device of the transverse pipe [Patent Document 1].

특히, 종래에는 이러한 횡주관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망치등으로 두드려서 소리로 점검하거나 소제구 혹은 배관 자체를 분해/절개 하여 확인하였다. 하지만, 두드려 점검하는 방법은 정확도를 보장할 수 없으며, 분해나 절개 방법은 점검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간혹 전자적인 센서를 통해서 통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배선의 불편과 비용의 문제 때문에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 Particularly, in order to judge whether or not the end-passageway is clogged in the prior art, it is checked by sounding with a hammer or the like, or by disassembling / incision of the sachet or the pipe itself. However, the method of tapping and checking can not guarantee the accuracy, and the method of disassembly or incision takes a long time to check. In some cases, the flow status is checked through an electronic sensor, but this is not generalized due to the inconvenience and cost of wiring.

막힘 여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횡주관의 청소주기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과다한 세정으로 아파트 등 건물 관리의 예산을 낭비하거나, 제때 세정을 하지 못하면 횡주관이 막혀 생활하수나 오수가 세대 내로 넘쳐난다. 이런 경우, 큰 피해보상과 함께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입게 된다.
If the clogging is not accurately understood, the cleaning cycle of the transverse pipe can not be grasped. Therefore, if excessive budget is wasted on apartment management such as apartments, or if it is not cleaned in time, the passageways are blocked and floods and sewage flood into households. In such a case, you will suffer monetary and mental damage along with large damage compensation.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29716호 (2011.04.18.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029716 (issued on April 18,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오배수용 횡주관에 연결하는 소제구의 전체 또는 일부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여 육안으로 횡주관 내부에 슬러지의 적층 상태를 확인하게 하는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udge- And to provide an osmosis treatment device for a low-water efflu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관한 것으로서, 엘보우관 형상을 가지고,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횡주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소제 마개와 체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low-effusion transverse bulkhead cleaning tool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n elbow tube shape, the whole or a part of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transverse pip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fastened to the scouring stopper.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한 본체의 일단의 수평 부분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par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on a horizontal part of one end of a main body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part, in a transverse passageway cleaner for a low-wate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굴곡 부분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ransparent part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on a curved portion of the main body in a transverse passageway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1 연결부 방향의 상기 투명부 일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 직경의 1/3 내지 1/2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part of the transparent part of the transparent part may be formed so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transparent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extends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ar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art And is located at a height of 1/3 to 1/2 of the diameter.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2 연결부 방향의 상기 투명부 타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상단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parent part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ar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transparent dehydrating agent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 scale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의하면, 투명한 횡주관 소제구를 통해 횡주관 내부에 슬러지의 적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문인력이 아니더라도 횡주관 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the lamination state of the sludge inside the transverse vessel through the transparent transverse vessel retractor, so that the transverse vessel can be easily handled An effect of accurately diagnosing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의하면, 횡주관의 막힘 여부를 판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과다한 횡주관 세정으로 인한 예산 낭비나, 세정 시기를 놓쳐 하수 또는 오수의 역류로 인한 입주민의 재산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judging whether or not the end-passageways are clogge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dget waste due to the excessive tr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erty damage of the residents due to the backwashing of sew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설치상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설치상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의 설치상태 구조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bulkhead cleaning tool for use with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tructural view of the state of installation of a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low-water efflu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ltrasonic cleaner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structur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ultrasonic cleaner for a low-water efflu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verse condenser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tructural view of a state of installation of a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waste wa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petitiv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dehydrated scraper for a waste wate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10)는 엘보우관 형상의 본체(11)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ist eliminator 10 for a low-water effluent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elbow-tube-like body 11.

바람직하게는, 본체(11)의 일단의 중심축(횡단면의 중심축)과 타단의 중심축(횡단면을 관통하는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또는 엘보우관 형상의 본체의 굴곡되는 각도)는 90°내지 150°의 경사각을 이룬다. 본체(11)는 전체적으로 투명 재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1)는 투명하고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one end of the main body 11 (central axis of the transverse section)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ther end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transverse section) (or the bent angle of the elbow- Lt; RTI ID = 0.0 > 150. ≪ / RTI > The main body 11 is entire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Preferably, the body 11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and rigid vinyl chloride resin.

또한, 상기 본체(11)의 일단에는, 횡주관(1)과 연결되는 제1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1)의 타단에는 소제 마개(18)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결합부(12,13)는 통상의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A first engaging portion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1 a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A second engaging portion 12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1, 13 are formed.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12 and 13 may be made of a normal opaque material.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제구(10)의 타단 측인 제2 결합부(13)가 일단 측인 제1 결합부(12)의 수평 방향의 평면(또는 지면)에 수직하게 위쪽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소제구(10)가 설치된다.2, the second engaging part 13, which is the other end side of the dressing tool 10, is arranged so as to be vertically upwardly directed to the horizontal plane (or paper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art 12, A cleaning device 10 is installed.

이하에서, 방향을 지칭할 때, 도 2와 같이 소제구(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리키는 방향으로 설명한다. 즉, 정면은 도 2를 바라보는 방향이고, 위쪽 또는 상부 방향은 제2 결합부(13)가 위치하는 도 2에서의 위쪽 방향이고, 아래쪽 또는 하부 방향은 제1 결합부(13)가 위치하는 도 2에서 아래쪽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우측 방향은 제2 결합부(13)가 위치하는 측면인 도 2의 오른쪽 방향을 나타낸다. 반대로 왼쪽 방향은 제1 결합부(13) 또는 횡주관(1)이 위치하는 도 2의 왼쪽 방향을 말한다.Hereinafter, the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 direction indicated by the state in which the cleaning agent 1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2, in which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 is located,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 is located in the downward or downward direction, 2 shows the downward direction. The right direction shows the right side of Fig. 2, which is the side on whic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is located. Conversely, the left direction refers to the left direction of FIG. 2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or the transverse pipe 1 is located.

제1 결합부(12)는 횡주관(1)과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암수 나사 결합방식(또는 캬프링식) 또는 볼트 너트 결합 방식(또는 볼트타입) 등으로 구성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2 is a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transverse pipe 1, and is constituted by a male and female screw coupling type (or a camping type) or a bolt nut coupling type (or bolt type).

암수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면, 제1 결합부(12)의 내주면(또는 외주면)에는 나사산 형상을 형성하여, 횡주관(1)과 암수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수밀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le screw connection metho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2 is formed with a threaded shape, and the watertightness can be ensured by being fastened by the male screw connection method with the transverse pipe 1.

볼트 너트 결합 방식에 의하면, 제1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볼트-너트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링이 형성된다. 제1 결합부(12)를 횡주관(1)의 제1 연결단부(2)와 삽입 또는 맞대게 하고, 상기 결합공에 볼트-너트를 연결함으로써 제1 결합부(12)와 횡주관(1)을 밀착시켜 수밀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lt-nut coupling method, a coupling ring having a coupling hole into which a bolt-nut can be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 and the transverse pipe 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inserting or engag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 with the first connecting end portion 2 of the transverse cylinder 1 and connecting the bolt- The watertightness can be ensured.

제2 결합부(13)는 소제 마개(18)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13)의 내주면(또는 외주면)에는 나사산 형상을 형성하여, 소제 마개(18)와 암수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 is a portion to which the cleaning plug 18 is fastened. Preferab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is formed with a threaded shape and is fastened to the retention stopper 18 by male and female screw engagement.

또한, 횡주관 소제구(10)는 제2 결합부(13)에 결합되는 소제 마개(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ransverse cuspidor 10 may further comprise a flap 18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주관(1)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관(4)과 제2 연결단부(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수직관(4)을 통해 내려온 오배수는 횡주관(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2, the transverse pipe 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vertical pipe 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3.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ertical pipe (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verse pipe (1).

횡주관 소제구(10)는 횡주관(1)과 연결되어 설치되되, 횡주관(1)과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소제구(10) 일단 측의 제1 결합부(12)는 횡주관(1)의 결합단부(2)와 수평으로 결합되고, 소제구(10) 타단 측의 제2 결합부(13)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13)는 그 최하단 부분이 횡주관(1)의 최상단 부분(또는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상단 부분)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The transverse pipe cleaning tool 1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verse pipe 1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opposite end of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faces upward. That is, the first engaging portion 12 on one end side of the dressing tool 10 i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engaging end portion 2 of the transverse condenser 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dressing tool 10 And is coupled upward. Preferably,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transverse pipe 1 (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횡주관 소제구(10)는 횡주관(1)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이 횡주관(1)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횡주관(1)이 받는 압력 보다는 훨씬 적은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횡주관(1)의 재질 보다 내압력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Since the opposite end of the portion of the transverse pipe 10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transverse pipe 1, the pressure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transverse pipe 1. Therefore, a material having a lower internal pressure than the material of the transverse bulkhead 1 may be used.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면 소제구(10)에도 거의 수평으로 적층된다. 이때, 소제구(10)의 본체(11)가 투명하기 때문에, 적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제구(1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제구(10)를 소제 마개(18)가 위치한 측면, 즉, 우측면에서 바라보면, 횡주관(1)의 내부 상태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condenser 1, the sludge is also stacked almost horizontally on the cleaning device 10. [ At this time, since the main body 11 of the cleaning tool 10 is transparent, the state of lamin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Particularly, the height at which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pipe 1 can be confirmed while looking at the cleaning agent 10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inside condition of the transverse pipe 1 can be confirmed when the cleaning agent 10 is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the right side where the cleaning agent 18 is located.

따라서 비 전문가라도 투명한 소제구의 본체(11)를 통해 횡주관(1) 내의 슬러지 적층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non-experts are able to easily grasp the sludge lamination state in the transverse pipe 1 through the transparent main body 11 of the sludge sludg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4. FIG.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2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엘보우관 형상의 본체(21)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ydration apparatus 20 for a dehydration wate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The deodorizing apparatus 20 comprises an elbow tube-like body 21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arts not described below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체(21)의 일단의 중심축과 타단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90°내지 150°의 경사각을 이룬다. 또한, 본체(21)의 일단에는, 횡주관(1)과 연결되는 제1 결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21)의 타단에는 소제 마개(28)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3)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22)는 횡주관(1)과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암수 나사 결합방식(또는 캬프링식) 또는 볼트 너트 결합 방식(또는 볼트타입) 등으로 구성된다. 제2 결합부(23)는 소제 마개(28)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23)는 소제 마개(28)와 암수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횡주관 소제구(20)는 제2 결합부(23)에 결합되는 소제 마개(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of one end of the main body 21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ther end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90 to 150 degrees. A first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21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condenser 1. A second engaging portion 2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21, Is formed. The first engaging part 22 is a part to be fastened to the transverse pipe 1, and is constituted by a male and female screw connection type (or a cabing type) or a bolt nut type connection (or a bolt type).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23 is a portion to which the cleaning plug 28 is fastened. Preferabl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3 is fastened to the scouring stopper 28 by a female-male thread engagement method. Further, the transverse rim cleaning tool 20 may further include a scouring cap 28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3.

또한, 제1 결합부(22)와 인접한 본체(21)의 일단의 수평 부분에 투명부(24)가 형성된다. 즉, 제1 결합부(22)의 인접한 위치, 또는, 제1 결합부(22)에서 본체(21) 방향으로 연장되어 투명 재질로 구성된 투명부(24)가 형성된다. 투명부(24)는 제1 결합부(21)와 본체(21) 사이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부(24)는 본체(21)와 제1 연결부(25)를 통해 연결되고 부착된다. 투명부(24)를 제외한 나머지 본체(21), 및, 제1 및 제2 결합부(22,23)는 통상의 불투명 재질로 구성된다.Further,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form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one end of the main body 21 adjacent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That is, a transparent portion 24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extend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or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 and the main body 21.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connected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21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 [ The main body 21 excluding the transparent portion 24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22 and 23 are made of a normal opaqu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투명부(24)는 수평하고 짧은 관 형상을 갖는다. 즉, 본체(21)의 일단에서 굴곡부가 이전까지의 수평한 부분에 짧게 투명부(24)를 형성한다. 따라서, 투명부(24)를 통해 소제구(20)의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투명부(24)는 투명하고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transparent portion 24 has a horizontal and a short tubular shape. That is,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formed at a horizontal por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body 21 at one end thereof. Therefore, the inside of the cleaning agent 20 can be visually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24.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made of a transparent and hard vinyl chloride resin.

또한, 투명부(24)에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눈금이 형성된다. 눈금은 소제구(20) 내에 수위를 나타내는 높이로 표시된다. 또는 위험 수위, 경고 수위 등 사전에 정해진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Further, the transparent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sca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cale is indicated by the height indicating the water level in the dressing device (20). Or a predetermined scale such as a danger level, a warning level, etc. may be displayed.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주관(1)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관(4)과 제2 연결단부(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횡주관 소제구(20)는 횡주관(1)과 연결되어 설치되되, 횡주관(1)과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13)는 그 최하단 부분이 횡주관(1)의 최상단 부분(또는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상단 부분)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횡주관 소제구(20)는 횡주관(1)의 재질 보다 내압력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 4, the transverse pipe 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vertical pipe 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3. The transverse pipe cleaning tool 20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and has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facing upward. Preferably,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transverse pipe 1 (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transverse cask cleaning tool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internal pressure than the material of the transverse cask 1.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면 소제구(20)에도 거의 수평으로 적층된다. 이때, 소제구(20)의 투명부(24)가 투명하기 때문에, 적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제구(2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condenser 1, the sludge is also stacked almost horizontally on the cleaning agent 20. [ At this time, since the transparent portion 24 of the cleaning agent 20 is transparent, the state of lamin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eight at which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pipe 1 while looking at the cleaning agent 20 from the front.

따라서 비 전문가라도 투명한 소제구의 투명부(24)를 통해 횡주관(1) 내의 슬러지 적층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투명부(24)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슬러치 적층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수위, 위험 수위 등의 표시 눈금의 경우, 비 전문가라도 쉽게 위험 여부 등의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non-experts are able to easily grasp the sludge lamination state in the transverse pipe 1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24 of the transparent cleaning agent. Further, the slit stacking stat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through the scale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art 24. [ Also, in the case of indication scale such as warning water level and hazard level, even non-experts can easily judge the status such as dange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투명하게 노출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는 소제구(10)의 본체(11) 전체가 투명하기 때문에, 누적된 슬러지 등 오배수 물질이 누구에게나 모두 육안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누적된 슬러지 상태의 과다한 노출은 일반인들에게 혐오감을 줄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투명하게 노출되는 부분이 매우 적기 때문에, 미관상으로 혐오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mall portion that is exposed in a transparent manner,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entire body 11 of the cleaning agent 10 is transparent, all of the accumulated water, such as sludge, can be visually seen by anyone. Excessive exposure to these accumulated sludge states can disgust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appearance of aesthetics because the transparent exposed portion is very small.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5 and 6,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30)는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엘보우관 형상의 본체(31)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hydration apparatus 30 for a dehydration wate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comprises an elbow tube-like body 31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ortions not described below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체(31)의 일단의 중심축과 타단의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는 90°내지 150°의 경사각을 이룬다. 또한, 본체(31)의 일단에는, 횡주관(1)과 연결되는 제1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31)의 타단에는 소제 마개(38)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33)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32)는 횡주관(1)과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암수 나사 결합방식(또는 캬프링식) 또는 볼트 너트 결합 방식(또는 볼트타입) 등으로 구성된다. 제2 결합부(33)는 소제 마개(38)가 체결되는 부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33)는 소제 마개(38)와 암수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횡주관 소제구(30)는 제2 결합부(33)에 결합되는 소제 마개(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ngle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of one end of the main body 31 and the central axis of the other end forms an inclination angle of 90 to 150 degrees. A first engaging portion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31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31, Is formed.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is a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transverse pipe 1 and is composed of a male and female screw coupling type (or a cup type) or a bolt nut coupling type (or bolt type).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33 is a portion to which the cleaning plug 38 is fastened. Preferably,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 is fastened to the scouring stopper 38 by male and female thread engagement. The transverse cuspidor 30 may further comprise a flap 38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3.

또한, 본체(31)의 굴곡 부분에 투명 재질로 구성된 투명부(34)가 형성된다. 또한, 투명부(34)는 투명하고 경질의 염화 비닐 수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투명부(34)를 통해 소제구(30)의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portion 34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main body 31. [ Further, the transparent portion 34 is made of a transparent and hard vinyl chloride resin. Therefore, the inside of the cleaning agent 30 can be visually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portion 34. [

투명부(34)는 본체(31)와 제1 연결부(35) 및 제2 연결부(36)를 통해 연결되고 부착된다. 제1 연결부(35)는 제1 결합부(32) 방향의 본체(31)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제2 연결부(36)는 제2 결합부(33) 방향의 본체(31)와 연결되는 부분이다.The transparent portion 34 is connected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31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5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6. [ The first connecting part 35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art 32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36 is a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3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part 33. [ to be.

투명부(34)를 제외한 나머지 본체(31), 및, 제1 및 제2 결합부(32,23)는 통상의 불투명 재질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31 except for the transparent portion 34 and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32 and 23 are made of a normal opaque material.

바람직하게는 투명부(34)는 제1 연결부(35) 측 일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제1 결합부(32)의 내주면의 최하단으로부터 직경(제1 결합부의 내주면 직경)의 1/3 내지 1/2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투명부(34)는 제2 연결부(36) 측 타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제1 결합부(32)의 내주면의 최상단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비된다.Preferably, the transparent portion 34 is formed so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5 side is located at 1/3 to 1/3 of the diameter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2, 2, respectively. The transparent portion 34 is provided such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6 sid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32.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32) 또는 본체(31)의 횡주관(2)과 연결되는 일단의 직경은 L로 표시된다. 제1 결합부(32)의 내주면의 최하단으로부터 직경 L의 1/3 에서 1/2의 높이에 해당되는 지점이 높이 h로 표시된 상단 부분이다. 또한, 투명부(34)의 제1 연결부(35) 측 일단(또는 투명부의 횡주관과 연결되는 방향의 일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은 도 6에서 A에 해당하고, 투명부의 제2 연결부(36) 측 타단(또는 투명부의 소제 마개와 체결되는 방향의 타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은 도 6에서 B에 해당한다. 즉, A의 높이는 높이 h 보다는 낮게 위치하고, B의 높이는 L의 높이 보다는 높게 위치하게 구성한다.As shown in FIG. 6, the diameter of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 or the main body 31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2 is denoted by L. As shown in FIG. A point corresponding to 1/3 to 1/2 of the diameter L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2 is an upper portion denoted by a height h. 6,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parent portion 34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35 (or one end in the direction connecting with the transverse perforated portion of the transparent portion) corresponds to A, The lowest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r the other end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cleaning plug of the transparent portion) corresponds to B in Fig. That is, the height of A is located lower than the height h, and the height of B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L. [

이를 통해, 관리자가 소제구(30)를 우측에서 바라보면(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보면), 횡주관(1)의 내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이때, 횡주관(1)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범위는 높이 h에서 높이 L까지 볼 수 있다. 즉, 횡주관(1)의 내주면 최하단으로부터 직경의 1/3 내지 1/2 높이부터, 횡주관(1)의 내주면 최상단까지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즉, A에서 B까지의 범위를 볼 수 있다.Thus, when the manager looks at the cleaning device 30 from the right side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6),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pipe 1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t this time, the range in which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condenser 1 can be seen can be seen from the height h to the height L. [ That is, it can be seen visually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 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verse bulkhead 1 from the ⅓ to ½ height of the diameter. That is, the range from A to B can be seen.

횡주관(1)에는 통상 슬러지가 일정량 바닥에 누적된다. 슬러지가 바닥에서 1/3이상 또는 1/2 이상 높이 누적되는 경우, 횡주관(1)은 청소해야 된다. 따라서 가장 필요한 부분(높이)을 소제구(30)의 측면을 통해, 횡주관(1) 내부를 관통하여 볼 수 있다.The sludge is usually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transverse pipe 1 at a certain amount. If the sludge is accumulated on the floor by more than 1/3 or more than 1/2, the transverse pipe 1 must be cleaned. Therefore, the most necessary part (height) can be seen through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pipe 1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ing tool 30. [

또한, 제2 연결부(36) 측 상단까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횡주관(1)이 막혀서 소제구(30)의 타단까지 오배수가 올라오는 상황도 육안으로 살펴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up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6, it is also possible to visually observe a situation where the transverse condensation tube 1 is clogged up to 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solution 30.

한편, 투명부(34)에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눈금이 형성된다. 눈금은 소제구(30) 내에 수위를 나타내는 높이로 표시된다. 또는 위험 수위, 경고 수위 등 사전에 정해진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portion 34 is formed with graduation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cale is indicated by the height indicating the water level in the dressing mouth 30. Or a predetermined scale such as a danger level, a warning level, etc. may be displayed.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횡주관(1)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수직관(4)과 제2 연결단부(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횡주관 소제구(30)는 횡주관(1)과 연결되어 설치되되, 횡주관(1)과 연결되는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결합부(13)는 그 최하단 부분이 횡주관(1)의 최상단 부분(또는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상단 부분)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다. 횡주관 소제구(30)는 횡주관(1)의 재질 보다 내압력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As shown in Fig. 6, the transverse condenser 1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vertical tube 4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3. The transverse pipe cleaning tool 3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and is installed such that the opposite end of the end connected to the transverse pipe 1 faces upward. Preferably,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transverse pipe 1 (or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The material for the transverse cask 30 may be a material whose inner pressu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material for the transverse cask 1.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면 소제구(30)에도 거의 수평으로 적층된다. 이때, 소제구(30)의 투명부(34)가 투명하기 때문에, 적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소제구(30)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횡주관(1) 내에 슬러지가 적층되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condenser 1, the sludge is also stacked almost horizontally on the cleaning agent 30. [ At this time, since the transparent portion 34 of the cleaning agent 30 is transparent, the state of lamin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eight at which the sludge is stacked in the transverse pipe 1 while looking at the cleaning agent 30 from the front.

따라서 비 전문가라도 투명한 소제구의 투명부(34)를 통해 횡주관(1) 내의 슬러지 적층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투명부(34)에 표시된 눈금을 통해, 슬러치 적층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수위, 위험 수위 등의 표시 눈금의 경우, 비 전문가라도 쉽게 위험 여부 등의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Therefore, the sludge lamination state in the transverse pipe 1 can be easily grasped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34 of the transparent cleaning agent even by the non-experts. In addition, the slit stacking state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through the scale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ortion 34. Also, in the case of indication scale such as warning water level and hazard level, even non-experts can easily judge the status such as danger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같이, 투명하게 노출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미관상으로 혐오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ion that is exposed in a transparent manner is relatively smal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ense of aesthetics from being disgusted.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에 비하여, 측면을 통해 횡주관(1)의 내부도 직접 관통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nside of the transverse pipe 1 can be directly seen through the side surface and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s compar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10,20,30 : 횡주관 소제구 11,21,31 : 본체
12,22,32 : 제1 결합부 13,23,33 : 제2 결합부
18,28,38 : 소제 마개
24,34 : 투명부 25,35 : 제1 연결부
36 : 제2 연결부
10, 20, 30: transverse vessel cleaning agent 11, 21, 31:
12, 22, 32: first engaging portions 13, 23, 33:
18, 28, 38:
24, 34: transparent part 25, 35: first connection part
36: second connection portion

Claims (6)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에 있어서,
엘보우관 형상을 가지고, 전체 또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횡주관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소제 마개와 체결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굴곡 부분 사이에 관 형상의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를 제외한 상기 본체, 상기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1 결합부 방향의 상기 투명부 일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 직경의 1/3 내지 1/2의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투명부는 상기 제2 결합부 방향의 상기 투명부 타단의 내주면의 최하단이 상기 제1 결합부의 내주면의 최상단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In the transverse bulkhead cleaning tool for a depleted water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A body having an elbow pipe shape, the whole or a part of which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transverse pipe;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engaged with the scouring cap,
A transparent portion formed of a tubular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bent portions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except the transparent portion ar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e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transpar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is located at a height of 1/3 to 1/2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
Wherein the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most end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한 본체의 일단의 수평 부분에, 투명 재질로 형성된 투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ransparent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on a horizontal portion of one end of the body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재질을 사용한 오배수용 횡주관 소제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cale is displayed on the transparent part.
KR1020140019868A 2014-02-20 2014-02-20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KR1015574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68A KR101557401B1 (en) 2014-02-20 2014-02-20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68A KR101557401B1 (en) 2014-02-20 2014-02-20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02A KR20150098502A (en) 2015-08-28
KR101557401B1 true KR101557401B1 (en) 2015-10-08

Family

ID=5405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868A KR101557401B1 (en) 2014-02-20 2014-02-20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40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85B1 (en) * 2018-07-04 2019-04-01 주식회사 삼진프라코 Socket-integrated clean-out
KR102253102B1 (en) * 2019-10-31 2021-05-17 디와이산업개발 주식회사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KR102163541B1 (en) * 2020-06-15 2020-10-08 최동안 Cleaning out assembly for drain pipe
KR102529793B1 (en) * 2022-12-06 2023-05-08 주식회사 티지환경 Multi-unit that can prevent frequent inspection and sedimentation of dirt while connecting the sewage perpendicularity pipe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with the transverse main pip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wer perpendicularity pipe and the transverse main pipe using the multi-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437Y1 (en) 2003-12-16 2004-03-3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Elbow using drain pipe line of bridge
JP2005232929A (en) * 2004-02-23 2005-09-02 Sanki Eng Co Ltd Drain pipe with cleaning hole
KR100834144B1 (en) * 2007-02-23 2008-06-02 서울메트로 A draining system with a built-in make possible check on situation
KR100937505B1 (en) 2009-07-03 2010-01-1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Cleaning pipe for dr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437Y1 (en) 2003-12-16 2004-03-31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Elbow using drain pipe line of bridge
JP2005232929A (en) * 2004-02-23 2005-09-02 Sanki Eng Co Ltd Drain pipe with cleaning hole
KR100834144B1 (en) * 2007-02-23 2008-06-02 서울메트로 A draining system with a built-in make possible check on situation
KR100937505B1 (en) 2009-07-03 2010-01-19 주식회사 성락종합배관 Cleaning pipe for dr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502A (en) 201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401B1 (en)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using transparency material
US9123230B2 (en) Sewer backup alarm
CN201962777U (en) Drain pipe with filter unit
WO2008142879A1 (en) Pit for managing dust removal
CN102454199A (en) Drainage device
KR101756520B1 (en) Flow control apparatus for self-check
KR102253102B1 (en) A cleaning part of the horizontal pipe
US7934516B1 (en) Toilet leak containment and detection system
JP4633663B2 (en) Drain pipe cleaning device
CN107460913A (en) The wastewater secondary utilizing devices such as kitchen and bath
CN206414871U (en) A kind of aqueous vapor separation and self-draining arrangement
TWM517217U (en) High floor waste water pipeline system with drainage clog detection and alarm function
CN204370559U (en) Modified automatic sewerage hoisting device
KR20180000992U (en) No joint connection structure of metal water tank drainge
CN207452992U (en) Kitchen and bath's wastewater secondary utilizing device
KR101633706B1 (en) A cleaning part cover of the horizontal pipe for watste water, with a conterflow checking valve
US20140251460A1 (en) Wastewater Overflow Prevention System
CN102605835B (en) Multifunctional combined device integrating intelligence, economization and cleaning
CN208965635U (en) Anti-clogging drainpipe
CN204311519U (en) A kind of water service pipe being convenient to monitor
CN204282521U (en) Water for bathing access utilizes device
KR20150002091U (en) Elbow pipe for wastewater
CN216556519U (en) MBR membrane goes out water five-way pipe
CN215442266U (en) Novel sewer line structure
ITMI20121937A1 (en) ANTI-DROPLET DEVICE FOR EXTRACTABLE SHOWER TRAYS, SINK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