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58B1 -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58B1
KR101557358B1 KR1020100017320A KR20100017320A KR101557358B1 KR 101557358 B1 KR101557358 B1 KR 101557358B1 KR 1020100017320 A KR1020100017320 A KR 1020100017320A KR 20100017320 A KR20100017320 A KR 20100017320A KR 101557358 B1 KR101557358 B1 KR 10155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gesture
character
key
characte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7467A (ko
Inventor
송수연
임상연
박진우
김은영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58B1/ko
Priority to EP11154505.9A priority patent/EP2369446A3/en
Priority to US13/033,341 priority patent/US8514178B2/en
Publication of KR2011009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스쳐 입력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문자열 입력 장치는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입력되는 제스쳐를 입력받는 키패드; 상기 제스쳐 및 상기 제스쳐에 대응하는 문자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스쳐가 입력되는 도중에, 그 시점까지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을 식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INPUTTING A STRING OF CHARATER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 배치와 관련된 제스쳐에 의해 문자열을 입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경우 대체로 그 크기가 작아서 문자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도 또한 그 크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등의 소형의 장치에서 텍스트 등의 문자열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통해 대응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들이 연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제스쳐 입력에 의해 대응하는 문자열을 식별하여 입력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문자열 입력 방법은 키패드에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입력되는 제스쳐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스쳐가 입력되는 도중에, 그 시점까지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문자열 입력 장치는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입력되는 제스쳐를 입력받는 키패드; 상기 제스쳐 및 상기 제스쳐에 대응하는 문자열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스쳐가 입력되는 도중에, 그 시점까지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을 식별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문자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제스쳐를 입력하는 도중에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는 후보단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다음에 입력될 문자키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므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문자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는 별도의 언어 선택이나 입력모드 전환 없이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언어의 문자열 또는 필기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문자열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는 입력된 제스쳐 또는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문자들을 손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쉐입라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와 연관된 문자열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도중에 입력중인 제스쳐와 연관된 문자열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a 내지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을 완료한 상태(touch up)에서 입력될 단어를 수정, 선택 또는 재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체 인식을 통해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ommand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입력장치 또는 방법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소프트키(이하 쉐입 라이터(ShapeWriter)로 칭한다)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입라이터는 인디케이터 영역(401), 제목 영역(402), 메인 영역(403) 및 키패드 영역(4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목 영역은 SMS 작성, e-mail 작성, 메모 작성 등 현재 작업중인 모듈 등을 나타낸다. 메인 영역은 키패드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 등이 표시된다. 제목 영역 및 메인 영역은 쉐입라이터와 연관된 모듈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키패드 영역은 drawer pad 영역(410), candidates 영역(411), 문자 및/또는 숫자 키 영역(412), command key(413), Case key(419), symbol key(414), keypad knob(415), space(416), back space key(417) 및 입력보류키(4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는 가로방향의 쉐입라이터를 도시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awer pad에는 자주 사용하지 않지만 사용시에 접근성이 필요한 기능들(Copy, Paste, Cut, Delet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drawer pad를 드래그하거나 터치하여 drawer pad에 포함된 기능들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다.
candidate 영역은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와 연관된 문자열, 심볼, command 등이 표시된다. 표시할 candidate가 상기 영역에 전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영역의 일측, 또는 양측에 좌/우 화살표 버튼이 강조(high-light)된다.
command key는 Copy, Paste, Cut, Delete, 언어 선택, 입력 방법 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키로서, 다른 문자키 등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Case 키는 상기 키의 반복 입력에 따라 입력된 영문자를 예를 들어, Abc-abc-ABC 순서로 토글(toggle)시킨다.
keypad knob 키는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키패드 영역을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쉐입라이터는 주로 전체가 디스플레이부(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제스쳐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패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 쉐입라이터의 키패드가 표시된 하드 타입의 키보드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와 연관된 문자열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을 드래그하여 제스쳐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입력되는 제스쳐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10~S130). 제스쳐의 형태(shape)뿐만 아니라,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제스쳐와 연관된 각각의 문자(예를 들어, 제스쳐의 시작점에 대응하는 문자, 제스쳐의 끝점에 대응하는 문자, 제스쳐 도중의 방향 전환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 및/또는 방향 전환 없이 드래그하여 지나간 모든 문자)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스쳐의 형태 또는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한다(S140). 상기 비교시에 제스쳐의 형태 또는 제스쳐를 구성하는 각각의 경로의 방향만이 고려되거나, 또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제스쳐와 연관된 각각의 문자들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일치하는 패턴의 문자열을 상기 candidate 영역에 출력한다(S160). 패턴이 일치하는 문자열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일치하는 정도, 사용 빈도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각 등에 따라, 각각의 문자열이 소정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메인 영역에 가장 먼저 배열된 문자열이 표시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 패턴은, 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둘 이상의 언어에 대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히 입력 언어의 선택 없이, 입력된 제스쳐 패턴에 대해 동일한 언어의 문자열들 또는 서로 다른 언어의 문자열들이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후보 단어 영역의 다른 단어(메인 영역에 표시되지 않은 단어)를 선택하면 메인 영역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단어가 표시된다.
비교 결과 일치하는 패턴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제스쳐와 연관된 각각의 문자들의 문자열에 대해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을 이용하여 spell/context를 확인할 수 있다(S210).
제스쳐에 대응한 문자열이 올바른 것으로 판단되면(사전에 포함된 단어), 이를 메인 영역에 출력한다(S220).
제스쳐에 대응한 문자열이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사전에 포함되지 않은 단어), 사전을 참조하여 그와 유사한 문자열들을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한다(S230).
메인 영역 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상기 제스쳐에 대응한 문자열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표시된 후보 단어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문자열이 메인 영역에 입력된다(S240). 사용자가 올바른 후보 단어를 선택하지 않으면, 제스쳐에 대응한 문자열이 그대로 입력된다(S220).
또한, 소정의 입력(command key+add, 또는 후보단어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열 등록)이 있으면 또는 항상 제스쳐에 대응한 문자열 및/또는 문자열의 패턴이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 또는 사전에 추가될 수 있다(S250).
사용자가 다시 키패드 영역을 드래그하면 상기 과정이 반복된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 도중에 입력중인 제스쳐와 연관된 문자열을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을 드래그하여 제스쳐 입력이 시작되면(touch down and drag)(S310),
제어부는 입력되는 제스쳐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저장한다(S320). 제스쳐의 형태(shape)뿐만 아니라,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제스쳐와 연관된 각각의 문자(예를 들어, 제스쳐의 시작점에 대응하는 문자, 제스쳐 도중의 방향 전환 지점에 대응하는 문자 및/또는 방향 전환 없이 드래그하여 지나간 모든 문자)가 저장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과 동시에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제스쳐의 형태를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한다(S330). 상기 비교시에 제스쳐의 형태만이 고려되거나, 또는 키패드 레이아웃에 따라 제스쳐와 연관된 각각의 문자들이 함께 고려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 도중의 패턴 비교 과정에서는, 도 5의 패턴 비교 과정과 달리, 제스쳐의 끝점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 중에서 입력중인 제스쳐의 패턴을 포함(시작지점 패턴은 포함)하는 패턴을 찾는다.
또한, 패턴을 형성하는 시작점 및 소정 개수의 방향 전환(예를 들어, 두 번 이상의 방향 전환)이 입력된 경우에만,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 도중에, 특정 지점에서 touch down 한 상태로 소정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만, 저장된 문자열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 도중에, 특정 지점에서 touch up을 한 경우에도, 소정의 키(이하, 입력 보류 키)가 입력되면, touch down and drag 상태로 돌아가서 이전의 touch up 지점에서 이전에 입력된 패턴과 연결하여 계속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스쳐가 입력 중인 상태와 같은 방법으로 현재까지 입력된 제스쳐의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을 찾을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비교 결과 현재까지 입력된 제스쳐의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의 문자열을 상기 candidate 영역에 출력한다(S350). 상기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일치하는 정도, 사용 빈도수 또는 가장 최근에 사용된 시각 등에 따라, 각각의 문자열이 소정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메인 영역에 제1 순위의 문자열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키패드 영역의 문자 키 중에서 다음에 입력될 수 있는 문자 키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S360). 예를 들어, 도 6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을 통해 "fun"에 대응하는 패턴까지 입력하고 touch up 하지 않고 있는 경우, 패턴 비교를 통해, "fun"(예를 들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에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fund", "function" 등을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키패드 영역의 문자 키 "d" 및 "c"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강조 표시 방법은 해당하는 키를 그 외 다른 키보다 밝게 또는 크게 표시하거나, 그외 다른 키들을 흐리게 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터치하고 있는 지점으로부터 다음으로 입력될 패턴을 나타내는 화살표들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키들이 흐리게 처리되는 등의 경우, 강조되는 키 이외의 문자키에 대응하는 패턴의 제스쳐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계속하여 상기의 예에서, "d" 또는 "c"를 지나는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고, 계속하여 입력되는 제스쳐에 따라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후보단어가 변경되거나,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되는 후보단어의 수가 줄어든다. 사용자가 메인 영역에 특정 후보 단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스쳐의 입력을 중단하면(S370), 현재 메인 영역에 표시 중인 단어가 확정적으로 입력된다.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을 통해 "fun"에 대응하는 패턴까지 입력하고 touch up 하는 경우(S370), 패턴 비교를 통해, 일치하는 패턴(도 5a 및 5b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및 포함하는 패턴을 함께(예를 들어, "fun", "fund", "function" 등)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우선 일치하는 패턴만을 표시("fun")하고,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키(예를 들어, 입력 보류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포함하는 패턴("fund", "function"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후보단어 영역에 표시된 후보 단어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단어가 메인 영역에 표시된다.
이후, 사용자로부터 다시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따라 사용자가 제스쳐 입력을 완료한 상태(touch up)에서 입력될 단어를 수정, 선택 또는 재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키패드를 드래그하여 제스쳐를 입력하고 touch up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보 단어가 메인영역 및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문자키들이 강조(high-light)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점에 대응하는 문자키(701), 방향 전환에 대응하는 문자키(704), 끝점에 대응하는 문자키(706) 및/또는 방향 전환 없이 드래그하여 지나간 모든 문자키(702, 703, 705)가 그외 다른 키보다 밝게, 크게 또는 다른 색상으로 부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문자키 중에서 메인영역에 표시된 문자의 문자키(712, 714, 715)들만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후보 단어에 포함된 모든 문자의 문자키(711, 712, 713, 714, 715)가 그 외 문자키에 비해 강조되어 표시되는 동시에,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문자의 문자키(712, 714, 715) 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서 선택된 단어에 포함된 문자키 등이 강조된 다른 문자키와는 달리(예를 들어, 강조된 문자키보다 더 크게, 밝게 또는 그와 다른 색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입력한 제스쳐의 형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지나간 모든 문자키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연결선(도 7d의 721)이 키패드에 표시되거나, 사용자가 드래그하여 입력된 제스쳐의 형상 자체를 나타내는 연결선(도 7c의 720)이 키패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선과 함께 또는 상기 연결선 표시 없이, 현재 메인 영역에 표시된 단어의 패턴을 나타내는 연결선(도 7e의 722)이 키패드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특정 문자키들이 강조되어 표시된 상태 및/또는 연결선이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키(예를 들어, 입력 보류 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제스쳐, 그에 대응하는 패턴 및 문자들을 수정, 삭제, 추가할 수 있다. 또는 입력된 제스쳐에 일치하는 패턴이 없는 경우 소정의 키 입력 없이 수정, 삭제,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조되어 표시된 특정 문자키를 한번 클릭(touch down and up)하면,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또는 포함하지 않는) 후보단어들만이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강조되어 표시된 특정 문자키를 더블 클릭하면, 선택된 문자를 연속으로 두번 이상 포함하는 후보단어들만이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단어에 포함된 문자와 그외 후보 단어에 포함된 문자가 다르게 강조되어 표시된 경우(도 7b 참조)에, 사용자가 후보 단어에만 표시된 문자키(711, 713)를 클릭하면, 선택된 문자를 포함하는 후보단어들만이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조되어 표시되지 않은 문자키(예를 들어 "d")를 클릭하면, 후보 단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선택된 문자를 더 포함하는 후보 단어들("fund")을 다시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한다. 상기 문자키가 더블 클릭되면, 후보 단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선택된 문자를 연속적으로 두번 이상 포함하는 후보 단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조되어 표시되지 않은 문자키(예를 들어 "s" 키)를 강조되어 표시된 문자키(예를 들어 "f" 키)로 드래그하면(또는 그 반대로 강조되어 표시된 문자키를 강조되어 표시되지 않은 문자키로 드래그하면), 이전에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패턴 또는 후보 단어들에서 강조된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강조되지 않은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로 치환한다. 그리고 치환된 패턴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패턴의 문자열(예를 들어, "sun")을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조되어 표시되지 않은 문자키를 문자키 사이의 연결선(711, 712, 713)으로 드래그하면(또는 특정 연결선을 클릭하여 특정 문자키로 드래그하면), 상기 연결선으로 연결된 문자 사이에, 즉 특정 위치에 선택된 문자가 삽입될 수 있다. 새로운 문자가 삽입된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의 문자열이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새로이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스쳐의 끝점에 해당하는 문자키(또는 제스쳐 상의 임의의 문자키)에서부터 드래그하여 제스쳐를 입력하면(도 7e의 723), 이전에 입력된 제스쳐(또는 선택된 임의의 문자키 이전에 입력된 제스쳐)와 새로 입력된 제스쳐를 결합하여 하나의 패턴을 형성하고, 형성된 새로운 패턴과 일치하는 패턴의 문자열("fund")을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필기체 인식을 통해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 데이터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필기체(handwriting)에 대한 패턴과 그에 대응하는 문자, 심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기체 입력을 위하여, command에서 입력방법 중 필기체입력을 선택하거나, 별도의 입력 방법 선택 키를 선택하여 그 중 필기체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입력방법 전환 없이, 쉐입라이터 모드에서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 영역을 드래그하여 필기체의 제스쳐(801)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입력된 제스쳐의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패턴과 비교한다.
필기체 입력 선택 등의 특별한 입력방법 선택이 없는 경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된 제스쳐의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한다. 또한, 이와 함께, 제어부는 입력된 제스쳐의 패턴을 메모리에 저장된 필기체의 패턴과도 비교한다.
제어부는 일치하는 패턴의 문자열("sef") 및/또는 심볼("^")(기타 필기체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문자,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을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 "?", "*" 등과 같이 한 번의 제스쳐로 입력할 수 없는 기호나 문자 등의 경우, 둘 이상의 제스쳐를 결합하여 하나의 제스쳐로 간주하여 일치하는 패턴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제스쳐 입력후 소정의 키(예를 들어, 입력보류 키)를 입력하고 뒤이어 제2 제스쳐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제1 및 제2 제스쳐를 하나의 제스쳐로 보고 일치하는 패턴을 검색한다. 또는 제1 제스쳐와 제2 제스쳐 입력간격이 소정 시간 이내인 경우에 또는 제1 제스쳐와 일치하는 패턴이 없는 경우에, 각각의 제스쳐에 대한 패턴 및 결합된 제스쳐에 대한 패턴을 모두 검색하여 일치하는 문자열 및/또는 심볼 등을 메인 영역 및/또는 후보 단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command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쉐입라이터 모드에서 command 키와 관련된 명령은 block cursor, copy, cut, paste, delete, move 등의 편집 기능과, 입력 방법 선택(쉐입라이터 모드, 필기체 인식 모드, 일반 키패드 모드), 입력 언어 선택(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한국어 등),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e-book 리더, 메시지 작성 및 송/수신된 메시지 보기, 전화번호부 등), 사용자 정의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명령어는 command 키와 대응하는 문자(예를 들어, 알파벳) 키를 연결하는 제스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멘드 키를 터치 down하고 "p" 문자 키까지 드래그하여 touch up하면(901), "p"에 대응하는 paste 명령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c" 문자키가 copy 및 cut 명령에 대등하는 경우와 같이, 하나의 문자키에 둘 이상의 명령이 대응하는 경우는, "u" 또는 "o"와 같은 다음 문자키까지 포함하여 제스쳐를 입력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는 커맨드 키와 "c" 문자키까지 입력되면, 후보단어 영역에 copy 및 cut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맨드 키를 터치 다운하면, 모든 명령어의 첫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키가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 "b", "m", "d" 등의 문자키가 다른 문자키들에 비해 크게 또는 밝게 표시될 수 있고, 그외 다른 키들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c" 키가 선택되면, 다시 "u" 및 "o" 키만 강조되어 표시되고, 그외 다른 키들은 입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맨드 키를 터치하면, 예를 들어 키패드 영역에, 선택 입력 가능한 명령들이 모두 표시되고 사용자가 표시된 명령들 중 하나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선택된 명령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직접 키패드에 명령어에 해당하는 문자열의 제스쳐를 입력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쉐입라이터 모드에서 "copy" 문자열에 대응하는 제스쳐를 입력하면, 후보 단어 영역 및/또는 메인 영역에 "copy"(911)가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후보 단어 영역 또는 별도의 영역에 "copy"(912)(명령어 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다른 후보 단어들과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copy가 실행된다.
또한,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명령어가 차례로 선택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lock cursor->cut->paste 명령을 차례로 입력하고자 하면, 커맨드 +"b"+"cu"+"p"를 지나는 하나의 제스쳐(920)를 입력한다. 그 다음에 사용자가 메인 영역에 특정 지점을 선택하면 그 block이 지워지고, 다음 다른 지점을 선택하면 그 지점에 지워진 block이 삽입된다.
또한,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의 명령어(customized command)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ommand 키 + "r"(register)를 입력하면(930), 명령어의 이름을 등록할 수 있는 입력창(931)이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표시된 입력창에 등록할 명령어의 이름을 입력한다. 명령어의 이름이 입력되면,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입력한 이름으로 등록할 새 명령을 입력한다. 새 명령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명령어 조합(920)일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상기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등록된 명령어를 입력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새로운 명령이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명칭) 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키패드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모션에 의하여 생성되는 제스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를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 및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기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터치된 문자키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열을 식별하는 단계;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와 대응되고,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기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터치된 문자키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상기 키패드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연결선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문자 키들 중 상기 연결선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를 드래그하여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는,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선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문자 키들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에서는,
    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후보단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식별된 문자열 중 하나를 입력되는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문자열에 대응하여,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키패드의 특정 키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강조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키를 그 외의 다른 키에 비하여 크게 또는 밝게 표시하거나, 상기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는 특정 키가 표시된 위치에 대응되는 드래그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열이 식별된 이후에 제스쳐가 연속하여 입력되면, 상기 문자열 중 상기 연속하여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제스쳐와 관련된 문자 키 또는 상기 식별된 문자열에 포함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키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키가 강조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강조되어 표시된 키 또는 그 이외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배제 또는 추가하여 대응하는 문자열을 식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방법.
  10. 키패드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열 정보 및 문자열의 패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키패드에 대한 터치 및 드래그 모션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열의 패턴과 비교 및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기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터치된 문자키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열을 식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와 대응되고,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구성하는 상기 터치 및 드래그에 의해 터치된 문자키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상기 키패드 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선을 이용하여, 상기 키패드에 포함된 문자 키들 중 상기 연결선에 포함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를 드래그하여 상기 입력된 제스처를 수정하고, 상기 수정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열을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정 키는, 상기 입력된 제스처의 형태와 대응되는 상기 연결선에 의해 연결된 두개의 문자 키들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식별된 문자열을 디스플레이하는 후보단어 영역 및 상기 식별된 문자열 중 하나를 입력되는 문자열이 디스플레이되는 메인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키패드의 각각의 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강조되어 표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두 가지 이상의 언어에 대한 문자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제스쳐에 대응하는 필기체 정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스쳐에 대응하는 필기체를 식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의 문자 키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스쳐와 관련된 문자 키 또는 상기 식별된 문자열에 포함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키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조되어 표시된 키 또는 그 이외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배제 또는 추가하여 대응하는 문자열을 식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의 명령키에서 시작하는 제스쳐가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상기 키패드의 특정 키가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열 입력 장치.
KR1020100017320A 2010-02-25 2010-02-25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320A KR101557358B1 (ko) 2010-02-25 2010-02-25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EP11154505.9A EP2369446A3 (en) 2010-02-25 2011-02-15 Method for inputting a string of characters and apparatus thereof
US13/033,341 US8514178B2 (en) 2010-02-25 2011-02-23 Method for inputting a string of characters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320A KR101557358B1 (ko) 2010-02-25 2010-02-25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467A KR20110097467A (ko) 2011-08-31
KR101557358B1 true KR101557358B1 (ko) 2015-10-06

Family

ID=4402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320A KR101557358B1 (ko) 2010-02-25 2010-02-25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14178B2 (ko)
EP (1) EP2369446A3 (ko)
KR (1) KR101557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0643D0 (en) 2012-01-16 2012-02-29 Touchtype Ltd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text
US8286104B1 (en) * 2011-10-06 2012-10-09 Google Inc.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EP2587355A1 (en) * 2011-10-31 2013-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haracter entry
US9310889B2 (en) *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8988386B2 (en) * 2012-01-27 2015-03-24 Sony Corporation Sensor manage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947380B2 (en) * 2012-01-31 2015-02-0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facilitating input at the electronic device
DE112012000189B4 (de) 2012-02-24 2023-06-15 Blackberry Limited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zum Vorsehen von Wortvorhersagen in Partitionen der Berührungsbildschirm-Tastatur in naher Assoziation mit Kandidaten-Buchstaben
US20130285927A1 (en) * 2012-04-30 2013-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on of previously input text
KR101375166B1 (ko) * 2012-05-14 2014-03-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문자화장단말기 및 제어방법
JP5974794B2 (ja) * 2012-10-03 2016-08-23 富士通株式会社 提示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提示方法
US9021380B2 (en) 2012-10-05 2015-04-28 Google Inc. Incremental multi-touch gesture recognition
US8782549B2 (en) 2012-10-05 2014-07-15 Google Inc. Incremental feature-based gesture-keyboard decoding
US9304683B2 (en) 2012-10-10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US8850350B2 (en) 2012-10-16 2014-09-30 Google Inc. Partial gesture text entry
US8701032B1 (en) 2012-10-16 2014-04-15 Google Inc. Incremental multi-word recognition
US8843845B2 (en) 2012-10-16 2014-09-23 Google Inc. Multi-gesture text input prediction
US8819574B2 (en) 2012-10-22 2014-08-26 Google Inc. Space prediction for text input
US8832589B2 (en) 2013-01-15 2014-09-09 Google Inc. Touch keyboard using language and spatial models
CN105988595B (zh) * 2015-02-17 2019-12-06 上海触乐信息科技有限公司 滑行输入方法及装置
US8701050B1 (en) * 2013-03-08 2014-04-15 Google Inc. Gesture completion path display for gesture-based keyboards
US8887103B1 (en) 2013-04-22 2014-11-11 Google Inc. Dynamically-positioned character string suggestions for gesture typing
US9275480B2 (en) 2013-04-24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coding of line pattern representation
US9721362B2 (en) 2013-04-24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completion of partial line pattern
US9317125B2 (en) * 2013-04-24 2016-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arching of line pattern representations using gestures
US9081500B2 (en) 2013-05-03 2015-07-14 Google Inc. Alternative hypothesis error correction for gesture typing
US9684448B2 (en) * 2014-02-11 2017-06-20 Sumit Dagar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CN104090669B (zh) * 2014-07-16 2017-03-0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输入法编辑方法及装置
KR20160027692A (ko) 2014-09-02 201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겹치기를 통해 디지털 컨텐츠를 복사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275152B2 (en) * 2014-10-28 2019-04-30 Idelan, Inc.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US11112965B2 (en) 2014-10-28 2021-09-07 Idelan, Inc.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CN105843414B (zh) * 2015-01-13 2022-03-08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法的输入修正方法和输入法装置
CN104933025A (zh) * 2015-06-09 2015-09-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4898980A (zh) * 2015-06-17 2015-09-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装置中识别手势的方法和系统
US20170289337A1 (en) * 2016-04-05 2017-10-05 Google Inc. Faster Text Entry on Mobile Devices Through User-Defined Stroke Patterns
US11061556B2 (en) * 2018-01-12 2021-07-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 device having variable display output based on user input with variable time and/or pressure patterns
US11112881B2 (en) 2019-05-10 2021-09-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user-operated features of input interfaces obfuscating user navigation
US11526273B2 (en) 2019-05-10 2022-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of selection acknowledgement for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operations
US11086514B2 (en) 2019-05-10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directed by free-form input
US11209979B2 (en) 2019-05-10 2021-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put interfaces promoting obfuscation of user navigation and selections
US11301056B2 (en) 2019-05-10 2022-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bfuscating user selections
KR102530995B1 (ko) * 2020-12-08 2023-05-15 이대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문자 입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2406A1 (en) 2003-04-09 2005-03-10 James Stephanick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US20070040813A1 (en) 2003-01-16 2007-02-22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20080270896A1 (en) 2007-04-27 2008-10-30 Per Ola Kristensso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 and selection of wor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4370B2 (en) * 2001-04-12 2004-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US7453439B1 (en) * 2003-01-16 2008-11-18 Forwa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7706616B2 (en) * 2004-02-27 2010-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word patterns in a very large vocabulary based on a virtual keyboard layout
US7487461B2 (en) * 2005-05-04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ssuing commands based on pen motions on a graphical keyboard
US20100238125A1 (en) * 2009-03-20 2010-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continuous Shapewriting
US20100241984A1 (en) * 2009-03-21 2010-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non alphanumeric character based on a user inpu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0813A1 (en) 2003-01-16 2007-02-22 Forwo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20050052406A1 (en) 2003-04-09 2005-03-10 James Stephanick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US20080270896A1 (en) 2007-04-27 2008-10-30 Per Ola Kristensso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 and selection of wo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05160A1 (en) 2011-08-25
EP2369446A2 (en) 2011-09-28
KR20110097467A (ko) 2011-08-31
EP2369446A3 (en) 2015-06-17
US8514178B2 (en)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58B1 (ko) 문자열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1559178B1 (ko)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762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33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73612B2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using the same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39590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an icon from a pag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to another page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5418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20150022527A (ko) 이동 단말기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10162971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776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편집 방법
KR1015136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995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6083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8158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362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사용자 폰트 생성 방법
KR1017508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83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3759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560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10148638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97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0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