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10B1 -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10B1
KR101557310B1 KR1020140140493A KR20140140493A KR101557310B1 KR 101557310 B1 KR101557310 B1 KR 101557310B1 KR 1020140140493 A KR1020140140493 A KR 1020140140493A KR 20140140493 A KR20140140493 A KR 20140140493A KR 101557310 B1 KR101557310 B1 KR 10155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linear
linear object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희
우제윤
정규수
최현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4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객체 관리부와,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며, 시설물간의 순번을 구하고,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선형 객체단위의 조회 연산 이외 다양한 GIS 공간정보 기반 분석기능과 어우러져 선형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facil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rough a cross-reference between a linear Network and its attached facilities}
본 발명은 GIS기반의 시설물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리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자연물과 인공물의 공간상 위치와 속성정보를 컴퓨터로 가시화하고 이들 데이터를 입력하고 편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지리정보 시스템(GIS)은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를 모아, 이들을 이용할 수 있다.
GIS는 다양한 지구표면정보의 참조를 위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표현하는 지형정보와 그 형태와 기능을 설명·보완하는 비도형 속성정보를 그래픽과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능 등과 연계하여 정보를 저장, 추출, 관리, 분석하는 정보체계 관련기술로, 지형정보의 특성(속성)정보를 부가하여 지도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분석수단이기도 하다.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GIS는 토지정보 관리, 시설물 관리, 교통, 도시계획 및 관리, 환경, 일기예보, 농업, 재해 및 재난, 교육, 인구예측 분야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용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GIS는 시설물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과 계획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토지정보시스템(LIS: land information system)과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GIS의 도시정보시스템은 시설물의 위치(공간) 정보만을 관리하며, 시설물과 상관 관계가 있는 선형정보는 배경지도 형태로 서비스 하였다.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공간 정보와 별개로 단순 시설물 정보만을 관리하여 개별 시설물 관리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시스템의 경우, 개별 시설물 관리에는 부족함이 없지만, 시설물이 존재하는 이유인 선형형태의 부모 공간정보(예: 도로, 철도 등)와의 연관성이 없어 선형기반 관리기능 지원이 어렵고 효율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위치식별방법으로 인한 활용성의 한계와 시설물들에 대한 분석 및 통계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도로분야의 건설은 주로 도로를 새로 놓는데 치중해 온 경향이 있었다면, 이제는 이미 놓여진 도로들을 유지하고 보수하는데 대한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실정으로, 유지보수의 효율화를 위해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시설물 관리에 관한 종래 GIS시스템은 시설물의 위치(공간) 정보만을 관리하며, 시설물과 상관 관계가 있는 선형정보는 배경지도 형태로 서비스하였다.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공간 정보와 별개로 단순 시설물 정보만을 관리하여 개별 시설물 관리기능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 시스템의 경우, 개별 시설물 관리에는 부족함이 없지만, 시설물이 존재하는 이유인 선형형태의 부모 공간정보(예: 도로, 철도 등)와의 연관성이 없어 선형기반 관리기능 지원이 어렵고 효율적인 상관관계 분석을 지원하기 어렵다. 그리고, 단순한 위치식별방법으로 인한 활용성의 한계와 시설물들에 대한 분석 및 통계의 부정확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GIS 기반과 연동하여, 도로와 같은 선형객체의 부속 시설물에 관한 정보를 선형객체의 속성과 상관관계를 갖도록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선형 객체단위의 조회 연산 이외 다양한 GIS 공간정보 기반 분석기능과 어우러져 선형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스마트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가지는 선형(Line Segment)객체와 그 선형객체에 이벤트들(예: 부속 시설물, 사고정보 등)을 연결하여 관리함으로써, 선형객체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그와 상관관계가 있는 이벤트들(예: 부속 시설물, 사고정보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종래 고전적인 관리 시스템에 비해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이벤트들(예: 부속 시설물, 사고정보 등)의 정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3은 법선을 가지지 않는 선형객체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설물에 순번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단위 선형객체들로 이루어진 노선에 관한 관리모형의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은,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객체 관리부와,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며, 시설물간의 순번을 구하고,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교점 검출부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거리 산출부와,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방향 산출부와,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순번 지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선형객체는 시점과 종점을 정하여 방향성을 가지며, 다수개가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방법은,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이 연결된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저장부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선형객체의 공간 정보를 시설물 정보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정부부처 및 각 지자체는 도로 포장, 교통, 시설물 등의 통합 관리를 위해 최신 정보기술(IT)을 적극 도입하려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도로 및 부대 시설물 관리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시 단위의 지자체에 정보기술(IT)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기존에도 정보기술(IT)이 도로시설물 관리의 일부 분야에 사용되어 오긴 했지만, 본 발명은 도로관리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고 정보의 재생산과 같은 중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업무를 제거하여 통합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꾀하기 위해, 기존 방식과는 다른 접근법으로서,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선형참조 기술 기반 GIS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시설물 관리기능을 지원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성능향상 및 편의성 증대, 데이터의 신뢰성 및 안정성 확보하였다.
본 발명은 일종의 위치 참조 시스템으로,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도로와 같은 선형 객체 상에 존재하는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정보 등)의 위치를 상대적인 측정값을 기준으로 질의 및 식별하는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은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시설물의 모체가 되는 선형객체의 공간 정보를 시설물 정보와 연동하여 관리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시설물 관리부(200), 선형객체 관리부(300), 제어부(400), 저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는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예: 시설물 식별번호(ID), 타입정보, 위치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시설물 관리부(200)는 시설물 연결부, 시설물 입력부, 시설물 수정부, 시설물 조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선형(Line Segment)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재연결부, 선형객체 조회부, 선형정보 관리부, 노드 조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사실상,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들을 로드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여러 개의 선형객체들(단위 선형객체)이 모여 하나의 노선(예: 통일로, 테헤란로, 노들길 등)을 형성하고, 선형객체 관리부(300)는 또한, 이러한 노선들의 형태와 속성정보(예: 노선의 ID, 노선의 종류, 노선번호, 노선명, 방향성(상행/ 하행) 등)를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며, 시설물간의 순번을 구하고,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한다.
상기 저장부(500)는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한다. 저장부(500)는 상기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시설물까지의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선형객체 상의 시설물 위치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500)는 시설물 테이블, 범용 선형 테이블, 노드 테이블,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 선형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물 테이블은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범용 선형 테이블은 단위 선형객체의 형태와 기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노드 테이블은 선형객체의 시종점에 관한 정보와 선형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은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선형정보 테이블은 선형객체의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도1의 블록 구성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에 관한 사항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고, 시설물간의 순번과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기 위해, 교점 검출부(410), 방향 산출부(420), 거리 산출부(430), 순번 지정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점 검출부(410)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을 구한다.
교점 검출부(4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단위 선형객체에 대한 법선을 구하고, 그 법선과 단위 선형객체와의 연결점 즉, 교점(Mp)을 구한다.
상기 거리 산출부(430)는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
상기 방향 산출부(420)는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순번 지정부(440)는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순번 지정부(440)는 차후, 상기 선형객체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한다.
상기 구성요소들(410 내지 440)의 산출 정보(예: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는 이후, 상기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관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관리하고자 하는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를 단위 선형객체라 하며, 단위 선형객체는 직선과 곡선의 반복으로 구성되고 시점에서 종점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는다.
선형객체를 기준으로 시설물들을 등록하고자 할 때, 관리 시스템(1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시설물 관리부(200)와 선형객체 관리부(300)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한다. (S110)
그리고,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 (S120~S130) 또한,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 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S140~S150)
이후, 관리 시스템(100)은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등록)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들)의 순번을 조정한다. (S160~S170)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거리(M)가 가까운 순으로 시설물들의 순번을 정하여 정렬하고 관리한다.
또한, 차후에 선형객체나 시설물의 위치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검출된 법선과 교점(Mp)을 이용하여, 상기 선형객체 기반의 시설물 보정위치를 산출한다. (S160~S170)
그리고, 이렇게 산출된 정보들(예: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시설물간의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은 상기 저장부(500)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시스템(10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선형객체(예: 선형객체A, 선형객체B)가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를 지원한다. 이때,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는 선형객체 각각을 단위 선형객체라 하며, 단위 선형객체는 직선과 곡선의 반복으로 구성되며 시점과 종점을 갖는다.
선형객체들의 모임인 노선의 정보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노선 관리 테이블에 정의된다.
[표 1]
Figure 112014098943451-pat00001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표 1]의 시종점 TAG(필드항목)을 바탕으로 선형객체들의 연결 형태를 규정한다. 예를 들어, 선형객체A 다음에 선형객체B가 연결된 경우, 선형객체A의 ORD(필드항목)는 1로 할당되고 선형객체B의 ORD(필드 항목)는 2로 할당된다. 선형객체B의 시점이 선형객체A와 연결되었다면 선형객체 B의 시종점 TAG(필드항목)는 '시점'으로 설정된다.
도3은 법선을 가지지 않는 선형객체에 관한 시설물 관리 모형의 예시도이다.
시설물 등록을 위해, 관리 시스템(100)은 우선,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한다.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에 법선이 존재하지 않는 본 예시의 경우,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시설물로부터 최단거리 지점의 변곡점을 교점(Mp)으로 지정하고,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시설물에 순번을 지정하고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관리 시스템(100)은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각종 정보들(예: 법선, 교점(Mp), 거리(M), 직선 거리(D), 시설물의 방향정보 등)이 모두 구해지면,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설물들(예: 시설물1, 시설물2)에게 순번(SEQ)을 할당한다.
그리고, 새로운 시설물(예: 시설물3)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추가 시설물3의 순번(SEQ=2)을 산출하고,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산출된 순번(SEQ=2)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들)의 순번을 조정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여러 개의 단위 선형객체들로 이루어진 노선에 관한 관리모형의 예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선형객체B는 이웃 선형객체들(예: 단위 선형객체A, 단위 선형객체C)과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일부 단위 선형객체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순번(SEQ)을 역순으로 검색함으로써 시설물을 순서대로 조회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각 단위 선형객체에 개별 속성을 부여하고 관리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위 선형객체의 속성과 연결된 시설물(이벤트)들의 속성을 비교 분석 또는 자동 할당하여 효율적인 시설물 관리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100)은 선형 객체단위의 조회 연산 이외 다양한 GIS 공간정보 기반 분석기능과 어우러져 선형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스마트한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방향성을 가지는 선형(Line Segment)객체와 그 선형객체에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을 연결하여 관리함으로써, 선형객체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그와 상관관계가 있는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은 종래 고전적인 관리 시스템에 비해 훨씬 더 직관적으로 이벤트들(예: 주변 시설물, 부속물 등)의 정보를 표현하고 관리할 수 있다.
100: 시설물 관리 시스템 200 : 시설물 관리부
300 : 선형객체 관리부 400 : 제어부
410 : 교점 검출부 420 : 방향 산출부
430 : 거리 산출부 440 : 순번 지정부
500 : 저장부

Claims (10)

  1. 지역별 시설물들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들의 형태와 기본 정보, 그리고 시종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객체 관리부와,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관계를 구하며, 시설물간의 순번을 구하고, 선형객체 기반의 각 시설물의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시설물과 선행객체간의 관계에 관한 정보와 각 시설물의 순번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각기 지정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설물 관리부와 선형객체 관리부의 저장 정보를 참조하여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고, 그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교점 검출부(410)와,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고,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거리 산출부(430)와,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방향 산출부(420)와,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순번 지정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는,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 테이블과,
    단위 선형객체의 형태와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범용 선형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시종점에 관한 정보와 선형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노드 테이블과,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번 지정부(440)는,
    차후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에 법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단거리 지점의 변곡점을 교점(MP)으로 지정하고, 상기 거리(M)와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위 선형객체 상에 다수의 시설물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M)가 가까운 순으로 시설물들의 순번을 정하여 정렬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시설물까지의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객체는
    시점과 종점을 정하여 방향성을 가지며, 다수개가 하나의 노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
  9. 시설물과 가장 인접한 선형객체를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탐색된 선형객체와 시설물 사이의 법선과 교점(Mp)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시점으로부터 교점(Mp)까지의 거리(M)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교점(Mp)과 시설물까지의 직선 거리(D)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선형객체의 종점을 지향한 시계방위법을 기준으로 선형객체상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각 시설물들에게 순번(SEQ)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시설물이 연결된 선형객체의 식별정보(ID), 거리(M)정보, 순번(SEQ) 정보, 보정위치 정보, 시설물의 방향정보를 저장부의 소정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는,
    시설물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 테이블과,
    단위 선형객체의 형태와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범용 선형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시종점에 관한 정보와 선형객체들 간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노드 테이블과,
    선형객체와 시설물 간의 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상호 참조정보 테이블과,
    선형객체의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선형정보 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차후에 새로운 시설물이 추가되는 경우, 상기 거리(M)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시설물의 순번(SEQ)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순번(SEQ)을 기준으로 상기 선형객체에 연결된 다른 시설물 순번을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방법.
KR1020140140493A 2014-10-17 2014-10-17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7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3A KR101557310B1 (ko) 2014-10-17 2014-10-17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3A KR101557310B1 (ko) 2014-10-17 2014-10-17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10B1 true KR101557310B1 (ko) 2015-10-07

Family

ID=5434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93A KR101557310B1 (ko) 2014-10-17 2014-10-17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1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094B2 (en) Hybrid road network and grid based spatial-temporal indexing under missing road links
US9904932B2 (en) Analyzing semantic places and related data from a plurality of location data reports
CN103262136B (zh) 导航设备和方法
US20090005968A1 (en) Location-based information determination
US87382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points of interest along a route
US20090063424A1 (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20100070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 destination around
US6915204B1 (en) Method, system,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minimizing travel time to a user selected location
CN105205092A (zh) 基于瓦片将可搜索地理空间数据分配到客户端装置
CN106570062B (zh) 一种路网轨迹不确定移动对象范围查询系统及方法
JP2014002519A (ja) 時空間データ管理システム、時空間データ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30166204A1 (en) Generating Travel Time Data
JP2018538627A (ja) 交通道路の経路ヒート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144703B1 (en) Generating trail network maps
KR101809685B1 (ko) 위치정제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862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mposite indexable linear data structure to permit selection of map elements based on linear elements
CN108536704A (zh) 一种轨迹查询方法、系统及装置
KR102386786B1 (ko) 위치 기반 경로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Ghosh et al. Traj-cloud: a trajectory cloud for enabling efficient mobility services
CN108121725A (zh) 一种搜索方法及装置
KR101557310B1 (ko) 선형 네트워크 데이터와 이에 부속된 시설물 데이터 간의 상호참조를 통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050775A (zh) 基于空间核密度算法实现巡逻防控驻勤路线设计的方法、装置、处理器及其可读存储介质
US20210140791A1 (en) Use of geospatial coordinate systems for modifying map and route information
KR101548649B1 (ko) 선형기반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정보 보정방법
Cosido et al. Implementation and deployment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services in the municipality of Santa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