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199B1 -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199B1
KR101557199B1 KR1020130139164A KR20130139164A KR101557199B1 KR 101557199 B1 KR101557199 B1 KR 101557199B1 KR 1020130139164 A KR1020130139164 A KR 1020130139164A KR 20130139164 A KR20130139164 A KR 20130139164A KR 101557199 B1 KR101557199 B1 KR 10155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onion
shaft
cam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6712A (en
Inventor
강영선
신종필
석태수
임송수
김상규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1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5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양파정식기는 엔진을 탑재하고, 본체프레임을 구비하는 양파정식장치에 장착되는 양파 정식기로써,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양파 묘종을 받아서 지중으로 심기 위한 다수개의 정식호퍼(10)를 지지하는 호퍼블럭(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호퍼블럭의 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변환수단과 같이 상기 호퍼블럭의 전후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에 의하여, 상기 정식호퍼(10)는 주행하면서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 반복되는 운동을 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트로코이드 곡선을 형성하면서 양파의 묘종을 재배지에 심게 된다. The oni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nion crusher mounted on an on-the-fly apparatus equipped with an engine and having a main body frame, a drive shaft rotated by an output from the engine; And a hopper block 20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regular hoppers 10 for receiving onion seedlings and planting them in the ground. A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and a second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By means of the converting means, the canned hopper 10 performs repetitive movements in the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it travels, so that onion seedlings are planted in the cultivation area while forming a trochoid curve substantially.

Description

정식을 위한 링크기구를 구비하는 양파 정식기{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with linkage for formulating -

본 발명은 양파 정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기구와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양파를 비닐 멀칭이 된 상태의 재배지에 정확하게 정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파 정식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ion cru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ion crusher configured to precisely form an onion into a cultivated plant with a vinyl mulch using a link mechanism and a slider.

일반적으로 양파는 트레이에서 일정한 크기까지 키운후 재배지에 정식하여 성장시키고 있다. 여기서 트레이에서 일정한 크기까지 성장한 후 양파의 재배지에 정식할 때, 현재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양파의 정식을 위한 기계가 일부 판매되고 있기는 하나 구조 및 우리나라의 재배지와의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Generally, onions are grown to a certain size on a tray and then grown in a planting area. Here, when growing from a tray to a certain size and then filling it into the cultivation area of onion, it is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ostly depends on manual work. It is true that some machines for onion formaldehyde are sold but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the compatibility with the structure and the cultivation area of our count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에서 일정 크기로 성장한 양파 묘종을 재배지에 정확하게 정식할 수 있는 양파 정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ion planting apparatus capable of accurately forming onion seedlings grown on a tray to a plantation lan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양파를 재배하는 재배지에는 비닐 멀칭이 되어 있음을 감안하여, 비닐 멀칭이 된 상태에서도 정확하게 정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엔진에 의하여 주행하면서도 양파의 정확한 정식이 가능한 정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pparatus which can accurately formulate even in the state of vinyl mulching,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cultivation area where the onion is grown is vinyl mulch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ed to provide a stationary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forming an onion while traveling by an engine.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탑재하고, 본체프레임을 구비하는 양파정식장치에 장착되는 양파 정식기로써,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양파 묘종을 받아서 지중으로 심기 위한 다수개의 정식호퍼를 지지하는 호퍼블럭;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호퍼블럭의 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변환수단과 같이 상기 호퍼블럭의 전후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nion crusher mounted on an on-the-fly apparatus having an engine mounted thereon and having a body frame, the crusher comprising: a drive shaft rotated by an output from the engine; A hopper block supporting a plurality of formal hoppers for receiving onion seedlings and planting in the ground;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econd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like the first converting means.

상기 제1변환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와 연결되고, 선단부가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링크; 상단부가 상기 메인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호퍼블럭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곡링크; 그리고 상기 호퍼블럭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수직 상태로 지지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irst conversion means, the cran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 shaft, a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ank,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a front e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main frame Main link; A bending link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link and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pper block; And a guide shaft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pper block and supported in a vertical state.

그리고 상기 제2변환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캠과;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돌기부를 구비하는 지지축; 상기 캠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을 일정 각도 왕복 회동시키는 캠돌기; 그리고 상기 돌기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축의 왕복 회동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운동하는 상부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링크는 가이드축의 상단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econd conversion means, the cam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 support shaft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the support shaft having a projection; A cam protrusion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nd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support shaf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nd an upper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and reciprocat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by reciprocating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The upper link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상기 제2변환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축에서 가이드축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축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를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conversion means, a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to the support shaft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shaft,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nk mechanism forward .

여기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캠돌기와, 상단부가 상기 캠돌기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 상기 연결링크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정 각도 절곡된 절곡링크, 상단부가 상기 절곡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축과 연결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The link mechanism includes a cam protrusion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 connection link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protrusion, a bending link tha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k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ower link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guide shaf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정식호퍼는 주행하면서, 상하운동 및 전후 운동을 같이 수행하게 되기 때문에, 트로코이드 곡선을 이루면서 양파종묘를 재배지에 심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는 수작업이 아닌 주행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양파 종묘를 심을 수 있는 잇점 이외에도, 양파 종묘를 정확하게 심을 수 있는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gular hopper travels along with the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back and forth movement simultaneousl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onion seedling can be planted on the cultivation land while forming the trochoid curve. Therefore, the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efficiently plant onion seeds in addition to the advantage that the onion seedling can be planted by using a driving device rather than a manual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일부 절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direction;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양파 정식기는, 엔진에 의하여 주행하는 양파 정식장치에 설치되어, 트레이에서 일정 크기로 자란 양파를 비닐 멀칭된 재배지에 정식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onion crushe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can be said to be an apparatus that is installed in an on-wave shaping apparatus that is driven by an engine and forms an onion grown to a certain size in a tray into a vinyl mulch cultivated lan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파 정식기는, 양파 묘종을 재배지에 일정한 깊이로 심을 수 있는 정식호퍼(10)와, 상기 정식호퍼(10)를 주행 방향(화살표 참조)에 대하여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링크기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식호퍼(10)는 하나의 양파 묘종을 공급받아서 땅이 일정한 깊이로 심는 것이어서, 그 자체만으로는 상하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해야 하고, 보다 효율적인 정식을 위해서는 전후 방향으로도 왕복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링크기구(30)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운동을 함과 같이, 상하방향으로도 일정 구간 왕복 운동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운동을 위한 구동원은 하나의 구동축이고, 이러한 구동축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힘에 기초하여 회전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onion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tionary hopper 10 capable of planting onion seedlings at a certain depth in the cultivation ground, And a link mechanism (30) for reciprocating in the front, back, and up and down directions. The regular hopper 10 is supplied with one onion seedlings so that the soil is planted at a predetermined dep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iproc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ly by itself, and to reciprocate also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Do. Here, the link mechanism 30 should be capable of reciprocating motion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reciprocating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Here, the driving source for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one driving shaft, and the driving shaft rotates based on the force output from the engine.

따라서 상기 링크기구(30)의 전후 상하 방향의 왕복 이동 및 전체적인 주행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정식호퍼(10)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트로코이드 곡선(trochoide curve)을 그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정식호퍼(10)의 전체적인 운동은 실질적으로 양파 묘종이 지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으로 심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의 곡면 형상, 양파 정식장치의 주행 속도 등 여러 가지 요소와 관계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ink mechanism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verall travel, the regular hopper 10 performs a movement while drawing a trochoide curve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The overall motion of the hopper 10 can be said to be such that the onion seedlings can be planted substantially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and this can be said to be a curved surface shape of the cam, a running speed of the on- It is related to various factors.

먼저 상기 정식호퍼(10)의 상하 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부품의 전후관계는 도 1 및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이에서 받은 양파의 묘종을 지면에 심기 위한 다수 개의 정식호퍼(10)는 호퍼블럭(2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호퍼블럭(20)은 다수 개의 정식호퍼(10)를 상하 운동시킬 수 있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볼트 등으로 상기 정식호퍼(10)를 고정시키고 있다. First,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pper 10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rear relationship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raveling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s in Figs. A plurality of regular hoppers (10) for planting the onion seedlings received from the tray on the ground are supported by the hopper block (20). The hopper block 20 firmly supports a plurality of regular hoppers 10 so that they can be moved up and down. For example, the regular hoppers 10 are fixed by bolts or the like.

상기 호퍼블럭(20)은 한 쌍의 가이드축(32)에 의하여 상하 운동이 안내되는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호퍼블럭(20)의 좌우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안내공(22)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32)가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퍼블럭(20)은, 수직 방향의 가이드축(32)에 의하여 그 이동이 안내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축(32)가 멈춘 상태라고 가정하면 상하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The hopper block 20 is vertically guided by a pair of guide shafts 3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air of guide holes 22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hopper block 20, It can be seen that the guide shaft 32 installed vertically is inserted. Therefore, since the hopper block 20 is guided by the vertical guide shaft 32, the hopper block 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suming that the guide shaft 32 is stopped.

그리고 상기 정식호퍼(1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동력은 캠(C)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이고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축에 의하여 상기 캠(C)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축은 실질적으로 양파 정식장치의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고, 구동축에는 상술한 캠(C) 이외에도, 한 쌍의 크랭크(12)가 연결되는데, 이는 도 1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양파정식기가 부착되는 양파정식장치(엔진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 전체)의 프레임을 본체프레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The power for driving the stationary hopper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drive shaft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cam C, and illustration thereof is omitted. The cam C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drive shaft. The drive shaft is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engine of the on-wave shaping apparatus, and a pair of cranks 12 ar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am C, There will be. Here, the frame of the onion wave rectifier (the entire apparatus including the engine) to which the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will be referred to as a body frame.

상기 크랭크(12)의 외측단부는 커넥팅로드(14)의 상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로드(14)의 하단부는 메인링크(16)의 중간과 회동 가능하게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링크(16)의 선단부(16a)는, 본 발명의 정식기가 장착되는 양파 정식장치의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고정된 위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메인링크(16)의 후단부는 L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절곡링크(L-shaped link)(18)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핀연결되어 있고, 상기 절곡링크(18)의 하단부는 호퍼블럭(20)과 연결되어 있다. The outer end of the crank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4.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main link 16. The distal end portion 16a of the main link 16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main frame of the on-demand regulating device to which the tablet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nd has a fixed position. The rear end of the main link 16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an L-shaped link 18 having an L-shaped bent shape.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link 18 is connected to the hopper block (20).

상기 절곡링크(18)의 하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블럭과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호퍼블럭(2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연결하는 수평축(19)에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호퍼블럭(20)은 다수 개의 정식호퍼(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수평축(19)은 호퍼블럭(20)이 일체화되면서 그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4,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link 18 is connected to the hopper block.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link 18 is connected to a horizontal shaft 19 which horizontally crosses the inside of the hopper block 20 Can be connected. The hopper block 20 may be integrated with a plurality of members so as to support a plurality of the regular hoppers 10. The horizontal axis 19 may be formed by integrating the hopper block 20, It can be said that i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정식호퍼(10)가 상하 운동하는 동력전달 및 그 움직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구동축이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캠(C) 및 크랭크(12)도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12)의 회전이 커넥팅로드(14)를 통하여 메인링크(16)에 전달되면, 상기 메인링크(16)는 선단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후단부가 일정 구간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는 메인링크(16)의 원호운동의 방향(A)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12) 및 커넥팅로드(14)의 상사점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링크(16)의 후단부(도면상으로는 좌측단부)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이고, 메인링크(16)와 연결된 절곡링크(18)를 따라 호퍼블럭(20)도 상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곡링크(18)는 호퍼블럭(20)이 메인링크(16)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할 때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Next, power transmission and movement of the stationary hopper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drive shaft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he cam C and the crank 12 als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rotation of the crank 12 is transmitted to the main link 16 through the connecting rod 14, the rear end portion of the main link 16 performs a circular arc mo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round the distal end portion 16a. 3 shows the direction A of the circular movement of the main link 16 and the top dead center positions of the crank 12 and the connecting rod 14 are shown by dotted lines. In this state, the rear end portion (the left end portion in the drawing) of the main link 16 is moved upward as shown by a dotted line, and is moved along the bending link 18 connected to the main link 16 20) is also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The bending link 18 is interposed to allow linear movement when the hopper block 20 moves upward by the main link 16. [

참고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로써 구성부품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는 다소 상이한 것이 있고, 그 구동상태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의 단면도이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을 가지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도 4에 도시한 구성요소는 형상에서 다소 상이할 수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동일한 것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동작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components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driving state thereof is shown by a dotted lin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nion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mbodiment having the same parts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Fi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nd the components shown in FIG. 4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hape, but they are functionally the same, and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3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축이 더 회전하여 상기 크랭크(12) 및 커넥팅로드(14)가 하사점으로 이동하고, 메인링크(16)가 다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를 실질적으로 상기 정식호퍼(10)가 지중으로 일정한 깊이로 들어간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의 양파 묘목이 지중에 심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식호퍼(10)가 하사점에서 열리게 되고 다시 상승하는 과정에서 닫히게 되는 구성은 본 발명과는 실질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is state, the drive shaft further rotates to move the crank 12 and the connecting rod 14 to the bottom dead center, and the main link 16 is again in the state shown by the solid line. This state is substantially the state where the canned hopper 10 has entered a predetermined depth into the ground, and the onion seedling inside the plant is planted in the ground. He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gular hopper 10 is open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closed during the upward movement is not substantial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동축이 연속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호퍼블럭(2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구간 왕복 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호퍼블럭(20)은, 그 안내공(22)에 삽입된 가이드축(32)을 따라서 그 상하 운동이 안내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호퍼블럭(20)의 상하 운동은 메인링크(16)의 운동에 기초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링크기구(30)의 전후 왕복운동, 그리고 양파 정식장치 자체의 주행 등을 고려하면 전체적으로 완전한 상하 직선 운동은 아니지만, 적어도 상기 정식호퍼(10)가 지중으로 들어가는 상하 운동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The hopper block 20 reciprocates 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rive shaft is continuously rotated. The hopper block 20 is rotated by the guide shaft 32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22 The upper and lower motions will be guided. Here,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hopper block 20 is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main link 16,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opper block 20 is complet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30, Although it is not an up-and-down linear mo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at least the up-and-down movement of the regular hopper 10 into the ground is possible.

다음에는 링크기구(30)의 전후 방향 왕복운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링크기구(30)의 전후 방향 왕복 운동은 상술한 호퍼블럭(20)의 상하방향 운동과 동시에 일어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전후 방향의 왕복운동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캠(C)의 캠곡선면에는, 본체프레임에 지지되고 있는 지지축(40)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캠돌기(42)의 단부에 설치되는 롤러(42a)가 밀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42a)가 캠(C)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은, 선단부가 본체프레임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링크기구(30)와 연결된 스프링(S)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S)의 선단부(도면상의 우측)는, 본체프레임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70)에 설치되고, 후단부는 연결링크(54)에 연결되어 있다. Next,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ink mechanism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Backward movement of the link mechanism 30 occurs simultaneously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pper block 20 described above. Only the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n the cam curved surface of the cam C, a roller 42a provided on the end of the cam protrusion 42 fixed to the support shaft 40 supported by the main body frame by welding or the like is in close contact. The reason why the roller 42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C is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 whose tip end is fixed to the main frame and whos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mechanism 30.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ip end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of the spring S i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70 fixed to the main frame,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54.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캠(C)이 회전하게 되면, 롤러(42a)가 캠(C)의 외측면을 따르게 되어 캠돌기(42)를 통하여 상기 지지축(40)은 일정 구간 반복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축(40)은 본체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용접 등으로 고정된 돌기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축(40)의 일정 구간 회전에 의하여 상기 돌기부(44)도 같이 일정 구간 원호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cam C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the roller 42a follows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C, and the support shaft 40 is rotated through the cam protrusion 42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It will perform circular motion. The support shaft 40 is rotatably supported at a position fixed by the main frame, and has a protrusion 44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he protrusion 44 repeats the arc motion of the predetermined s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돌기부(44)의 하단부에는 상부링크(46)의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링크(46)의 후단부는 상술한 가이드축(32)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캠(C)의 회전이 계속되면, 상기 돌기부(44)가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일정 구간 원호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링크(46)가 도 3에서 화살표(B)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상부링크(46)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할 때 이와 동시에 상부로도 약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링크(46)의 움직임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The tip of the upper link 46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44. The rear end of the upper link 46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32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rotation of the cam C is continued, the protrusion 44 performs a circular arc mo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on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Accordingly, the upper link 46 reciprocates right and left as shown by an arrow B in FIG. Here, for example, when the upper link 46 is mov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the upper link 46 is also slightly moved to the upper portion. The movement of the upper link 46 is shown in phantom in FIG.

그리고 상기 지지축(40)에는 상술한 캠돌기(42)와 동일한 형상의 캠돌기(52)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캠돌기(52)는 연결링크(5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링크(54)는 절곡링크(5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절곡링크(56)의 하단부는 하부링크(58)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링크(58)의 하단부는 가이드축(32)와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볼트에 의하여 연결된다. A cam protrusion 5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above-described cam protrusion 42 is fixed to the support shaft 40 as shown in Fig. The cam protrusion 5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54 and the connecting link 5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nding link 56. And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link 56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link 58. [ The lower end of the lower link 58 is connected to the guide shaft 32, for example, by bolts.

여기서 상기 절곡링크(56)의 중간부분, 즉 절곡되는 부분에는 본체프레임에 지지되는 샤프트(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데, 상기 샤프트(50)는 절곡링크(56)의 중간부분에서 그 회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링크(56)와 샤프트(50) 사이에서 원활한 접촉을 위한 베어링을 개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50)가 접촉하는 부분의 절곡링크(56)에는, 원호형 샤프트의 일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원호형을 가지고 있고, 그 부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이 개재될 수 있다. The middle portion of the bending link 56, that is, the bent portion is supported by a shaft 50 supported by the body frame. The shaft 50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bending link 56 It can be said that 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do. It is also possible to interpose a bearing for smooth contact between the bending link 56 and the shaft 50. The bending link 56 of the portion where the shaft 50 contacts is provided with a concave circular arc shape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arc-shaped shaft so that the bearing can be interposed therebetween as described above .

상기 캠돌기(52), 연결링크(54), 절곡링크(56) 그리고 하부링크(58)는, 상기 지지축(4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돌기부(44) 및 상부링크(46), 가이드축(32)과 동일한 궤적의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부분이다. 즉 지지축(40)이 일정구간 원호운동을 함에 따라서, 동일한 궤적의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축(32)의 전후 왕복 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The cam protrusion 52, the connecting link 54, the bending link 56 and the lower link 58 are connected to the protrusion 44 and the upper link 46, And is provided so as to support the motion of the same locus as the axis 32. In other words, the support shaft 40 moves in the same trajectory as the circular motion of the support shaft 40 during the constant section circular motion, so that the support shaft 40 can suppor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guide shaft 32.

즉 캠돌기(52), 연결링크(54), 절곡링크(56) 그리고 하부링크(58)는, 가이드축(32)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44), 상부링크(46)는 가이드축(32)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은 상기 지지축(40)의 일정 구간 회동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축(32)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에서 양파의 묘종을 재배지의 지중으로 정식하기 위하여, 정식호퍼(10)가 링크기구(30) 내에서 상하 왕복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링크기구(30)는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That is, the cam protrusion 52, the connecting link 54, the bending link 56 and the lower link 58 ar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32, and the protrusion 44, the upper link 46,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32.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guide shaft 3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haft 40 by a certain interval.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orm the seedling of the onion in the tray into the ground of the cultivation land, the regular hopper 10 performs the reciprocating motion in the link mechanism 30 and the link mechanism 30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reciprocating mo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본 발명에 의하면, 정식호퍼(10)를 지지하는 호퍼블럭(20)은 가이드축(32)에 안내되면서 상하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축(32)은 상부링크(46)와 하부링크(58)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후 방향의 왕복운동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pper block 20 supporting the stationary hopper 10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shaft 32, and the guide shaft 32 is connected to the upper link 46 and the lower link 58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양파 정식기는, 엔진으로 주행하는 양파 정식장치에 장착되어 주행하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정식호퍼(10)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트로코이드 곡선(trochoide curve)을 그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트로코이드 곡선을 그리면서 주행하는 정식호퍼(10)에 의하여, 재배지에 정식되는 양파는 정확한 상태로 정식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onion-typ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n onion-shaping apparatus that travels by an engine, the regular hopper 10 performs a movement while drawing a trochoide curve with respect to the running direction .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with the regular hopper 10 running while drawing the trochoid curve like this, the onion which is formulated in the cultivation land can be formed in an accurate stat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양파의 종묘를 받아서 지면 속으로 심는 정식호퍼가 상하운동 및 전후방향의 운동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hat the technical idea is that the regular hopper which receives the seedling of the onion and sows into the ground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and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10 ..... 정식호퍼
12 ..... 크랭크
14 .....컨넥팅로드
16 ..... 메인링크
18 ..... 절곡링크
20 ..... 호퍼블럭
22 ..... 안내공
30 ..... 링크기구
32 ..... 가이드축
42 ..... 캠돌기
44 ..... 돌기부
46 ..... 상부링크
50 ..... 샤프트
52 ..... 캠돌기
54 ..... 연결링크
56 ..... 절곡링크
58 ..... 하부링크
C ..... 캠
10 ..... Formal hopper
12 ..... crank
14 ..... Connecting rod
16 ..... Main link
18 ..... bending link
20 ..... Hopper Block
22 ..... guide ball
30 ..... Link mechanism
32 ..... Guide shaft
42 ..... Cam protrusion
44 ..... protrusion
46 ..... upper link
50 ..... shaft
52 ..... Cam protrusion
54 ..... connection link
56 ..... bending link
58 ..... lower link
C ..... cam

Claims (5)

주행을 위한 엔진이 본체프레임에 지지되는 양파정식장치에 장착되는 양파 정식기로써,
상기 엔진에서의 출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양파 묘종을 받아서 지중으로 심기 위한 다수개의 정식호퍼를 지지하는 호퍼블럭;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호퍼블럭의 상하 방향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수단; 그리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변환수단과 같이 상기 호퍼블럭의 전후 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변환수단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캠과, 본체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돌기부(44)를 구비하는 지지축(40), 상기 캠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롤러(42a)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축에 연결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을 일정 각도 왕복 회동시키는 캠돌기(42), 그리고 상기 돌기부(4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지지축(40)의 왕복 회동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일정 구간 왕복운동하는 상부링크(46)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링크는 가이드축(32)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양파 정식기.
An onion crusher mounted on an onion regulating device in which an engine for running is supported on a body frame,
A drive shaft rotating by an output from the engine;
A hopper block supporting a plurality of formal hoppers for receiving onion seedlings and planting in the ground;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second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 shaft into a forward and backward reciprocating motion of the hopper block like the first converting means,
The second conversion means includes a cam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a support shaft (40)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and having a projection (44), and a roller (42a)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am A cam protrusion 42 which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nd rotates the support shaft reciprocatingly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am and a cam protrusion 42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rotrusion 44 and reciprocally rotates between the support shaft 40, And an upper link (46) that reciprocates, the upper link being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guide shaft (3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환수단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와,
상기 크랭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와 연결되고, 선단부가 본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메인링크;
상단부가 상기 메인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호퍼블럭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절곡링크(18); 그리고
상기 호퍼블럭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수직 상태로 지지되는 가이드축(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파 정식기.
2.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rank coupled to the drive shaft and rotating,
A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ank,
A main link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and having a distal end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dy frame;
A bending link (18)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link and a low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pper block; And
And a guide shaft (3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pper block and supported in a vertical st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환수단은, 상기 지지축(40)에서 가이드축(32)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축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를 전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파 정식기.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version means comprises: a link mechanism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32) to the support shaft (40)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shaft; And a spring for supporting the on-off periodifi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축에 연결된 캠돌기(52)와,
상단부가 상기 캠돌기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링크(54),
상기 연결링크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정 각도 절곡된 절곡링크(56),
상단부가 상기 절곡링크(56)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축(32)과 연결되는 하부링크(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양파 정식기.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4,
A cam protrusion 52 connected to the support shaft,
A connecting link 54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m protrusion,
A bending link 56 pivot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link and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lower link (58) whose upper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ending link (56) and whos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guide shaft (32).





KR1020130139164A 2013-11-15 2013-11-15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KR101557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64A KR101557199B1 (en) 2013-11-15 2013-11-15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164A KR101557199B1 (en) 2013-11-15 2013-11-15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12A KR20150056712A (en) 2015-05-27
KR101557199B1 true KR101557199B1 (en) 2015-10-06

Family

ID=5339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164A KR101557199B1 (en) 2013-11-15 2013-11-15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1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883B1 (en) 2018-01-16 2019-10-02 (주)네스트아이앤씨 A Planting Apparatus for a Transplanter with a Structure of Moving Up and Down
CN108811644B (en) * 2018-06-07 2020-11-03 浙江智霖机械有限公司 Fertilizer injection unit for crops
CN112020943B (en) * 2020-09-04 2021-08-10 长江大学 Cam type plant-staggering hill plan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525B1 (en) 1997-09-18 2001-10-26 호리에유키지 Assembling machine
KR101174419B1 (en) * 2008-11-28 2012-08-22 대한민국 Semiautomatic Onion Transplan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525B1 (en) 1997-09-18 2001-10-26 호리에유키지 Assembling machine
KR101174419B1 (en) * 2008-11-28 2012-08-22 대한민국 Semiautomatic Onion Trans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712A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199B1 (en) Device for transplanting onions
CN108029300A (en) Seedling taking device and plant transplantation machine
CN104969697B (en) Tree-remover
JP5533719B2 (en) Planting equipment
JP6229835B2 (en) Transplanter
CN105165241A (en) Cutting mechanism for vegetable cutting on vegetable harvester
JP2008154533A (en) Apparatus for taking out seedling for transplanter
CN110710358B (en) Sliding chain clamp type film transplanting machine
JP6075321B2 (en) Transplanter
JP2008054581A (en) Seedling transplanter
CN209659973U (en) A kind of pineapple automatic harvester
JP5609814B2 (en) Transplanter
JP6261403B2 (en) Paddy field machine
JPH06153624A (en) Seedling-insertion apparatus of transplanter
JP3942749B2 (en) Vegetable transplanter transplanter
KR101675650B1 (en) Device for maintaining mulching vynil for onion transplanter
JP2015202060A5 (en)
JP5682425B2 (en) Transplanter
JP2746871B2 (en) Seedling plant in rice transplanter
KR101175847B1 (en) Bulbous plant harvesting machine
JP2000102306A (en) Transplanting part of vegetable transplanter
JP2013046582A (en) Planting system for transplanter
KR20050111393A (en) Vegetable transplanter
JP5418462B2 (en) Transplanter
JP6044583B2 (en) Transpla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