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785B1 -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785B1
KR101556785B1 KR1020130150294A KR20130150294A KR101556785B1 KR 101556785 B1 KR101556785 B1 KR 101556785B1 KR 1020130150294 A KR1020130150294 A KR 1020130150294A KR 20130150294 A KR20130150294 A KR 20130150294A KR 101556785 B1 KR101556785 B1 KR 10155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olar
case
solar cell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233A (ko
Inventor
정정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에스티
Priority to KR102013015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7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65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기가 충전 저장되는 배터리;와, 외부의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는 것으로, DC(direct current)-AC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는 제1컨넥터(connector);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 노출되는 것으로,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태양 셀과, 상기 제1태양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태양 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1전송부로 구성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맑은 날에 태양의 빛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태양광 충전부;와, 상기 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와,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전자기기의 내장배터리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컨넥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시에, 배터리에 신속한 전기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변상황을 고려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한 제2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효과적인 전기 생산이 유도되어 배터리에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제품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휴대의 편의성은 확보하되 충전의 효율성은 극대화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Intelligent Solar Rechargeable Battery Pack}
본 발명은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시에, 배터리에 신속한 전기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변상황을 고려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한 제2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효과적인 전기 생산이 유도되어 배터리에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PDA, MP3 플레이어,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소형 및 경량으로 설계됨에 따라 소형의 배터리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소형의 배터리는 배터리 사용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소형 배터리는 오디오 출력이나 통화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배터리 사용시간이 비교적 길지만, 동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그 배터리 사용시간이 매우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멀티 미디어 기능이 강화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재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짧은 배터리 사용시간은 사용상 불편함을 주게 되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기 위하여 대용량 배터리를 스마트폰에 장착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부피가 커지고 또한 무게가 증가하게 되어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소형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결합하여 전자기기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하는 배터리 팩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배터리 팩은 외부전원을 통해 충전되는 특성상 주변에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전원이 없는 경우에는 충전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배터리 팩에 태양 셀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 충전하는 태양광 충전수단이 설치되었으나, 종래의 배터리 팩에 상면에 설치되는 태양 셀만으로는 원활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0409호 (2009.10.22) [문헌 0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19144호 (2000.04.0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시에, 배터리에 신속한 전기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변상황을 고려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한 제2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효과적인 전기 생산이 유도되어 배터리에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을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제2태양광 충전부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제품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휴대의 편의성은 확보하되 충전의 효율성은 극대화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기가 충전 저장되는 배터리;와, 외부의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는 것으로, DC(direct current)-AC 컨버터(converter)를 포함하는 제1컨넥터(connector);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 노출되는 것으로,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태양 셀과, 상기 제1태양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태양 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1전송부로 구성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와,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맑은 날에 태양의 빛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태양광 충전부;와, 상기 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와, 일단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전자기기의 내장배터리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컨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케이스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충전판과, 상기 충전판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태양 셀과, 상기 제2태양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태양 셀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제2전송부와, 상기 충전판을 이송시켜 상기 충전판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이송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송신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의 작동 유무를 결정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와, 긴 봉 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기어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봉을 회전시키는 제2기어와, 상기 안내봉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베어링과, 상부는 상기 충전판과 결합되되, 상기 안내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이 회전되면 상기 안내봉을 타고 상기 충전판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송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상기 근접센서에서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수신받고, 그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부의 모터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에 의하면,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를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동시에, 배터리에 신속한 전기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변상황을 고려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한 제2태양광 충전부의 작동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효과적인 전기 생산이 유도되어 배터리에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2태양광 충전부는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제품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휴대의 편의성은 확보하되 충전의 효율성은 극대화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개념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100)은 케이스(10)와, 배터리(20)와, 제1컨넥터(30)와, 제1태양광 충전부(40)와, 제2태양광 충전부(50)와, 마이크로프로세서(MPU:60)와, 제2컨넥터(7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것으로, 그 공간에 후설될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용이하게 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후설될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의 제1태양 셀(41)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평한 사각기둥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다수의 셀이 직결로 연결 구성되어 내부에 전기가 충전 저장되도록 하고, 그 저장된 전기는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될 상기 제2컨넥터(70)를 통해서 외부의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넥터(connector:30)는 외부의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외부의 AC 전원을 DC로 변환할 수 있는 DC(direct current)-AC 컨버터(converter:31)를 포함하여 구성되다.
여기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넥터(30)는 외부전원을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는 장소에서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20)에 전기를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노출 설치되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태양 셀(41)과, 상기 제1태양 셀(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태양 셀(41)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2a)를 포함하는 제1전송부(42)로 구성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는 항시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1태양 셀(41)을 통해 주변에 태양 빛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태양 셀(41)을 통해 전기가 연속적으로 생산되고, 그 전기는 상기 제1전송부(42)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20)로 전송 충전되어 외부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태양 빛을 통해서 전기를 생산 충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는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맑은 날에 태양의 빛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51)과,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51)에 수용되는 충전판(52)과, 상기 충전판(52)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태양 셀(53)과, 상기 제2태양 셀(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태양 셀(53)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54a)를 포함하는 제2전송부(54)와, 상기 충전판(52)을 이송시켜 상기 충전판(52)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이송부(55)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후설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로 송신하는 조도센서(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주변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고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를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낮에는 상기 조도센서(56)의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 상기 이송부(55)를 제어하여 상기 제2태양 셀(53)에 설치된 상기 충전판(52)을 외부로 이송 노출시켜 효율적인 전기의 생산을 유도하고, 그 생산된 전기는 상기 제2전송부(54)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여 상기 배터리(20)의 효율적인 충전이 유도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80);에서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는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부(55)의 모터(55a) 작동을 제어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충전판(52)이 외부의 존재하는 물건 등과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제어를 통한 상기 이송부(55)의 작동으로 상기 충전판(52)을 다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이송 수용시켜 태양광을 통한 효율적인 충전을 완료한다.
여기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5)는 상기 배터리(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는 모터(55a)와, 상기 모터(55a)의 축(55a') 상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55a)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55b)와, 긴 봉 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55c')이 형성되는 안내봉(55c)과, 상기 안내봉(55c)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어(55b)와 치합되어 상기 제1기어(55b)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봉(55c)을 회전시키는 제2기어(55d)와, 상기 안내봉(55c)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55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베어링(55e)과, 상부는 상기 충전판(52)과 결합되되, 상기 안내봉(55c)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5c)이 회전되면 상기 안내봉(55c)을 타고 상기 충전판(52)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송체(55f)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도 5c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5a)의 작동으로 상기 안내봉(55c)을 회전시켜 상기 안내봉(55c)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이송체(55f)와 함께 상기 충전판(52)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상기 충전판(5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시키거나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51)에 수용되게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터(55a)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U:60)는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 충전부(40,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작업이 수행되게 하고,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 충전부(40,50)의 작동을 정지하여 충전작업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넥터(70)는 일단이 상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자기기(1)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2)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을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로 전송되도록 하여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100)은 케이스(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를 통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20)에 충전하는 동시에, 상기 배터리(20)에 신속한 전기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변상황을 고려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제어를 통한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의 작동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효과적인 전기 생산이 유도되어 상기 배터리(20)에 신속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수용되어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제품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휴대의 편의성은 확보하되 충전의 효율성은 극대화되어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100)은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100)의 배터리(20)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외부전원이 있으면 간편히 외부전원과 제1컨텍터(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0)가 충전되도록 한다.
하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에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곤란한 경우에는 제1태양광 충전부(40)의 제1태양 셀(41)을 통해 1차로 태양의 빛을 전기에너지로 전환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20)에 충전 저장되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20)에서 소모되는 전기가 용이하게 보충되도록 한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태양광 충전부(40)를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원활한 충전이 곤란한 경우, 밝은 낮에는 제2태양광 충전부(50)의 조도센서(56)의 감지정보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 이송부(55)의 작동을 제어하여 제2태양 셀(53)에 설치된 충전판(52)을 외부로 이송 노출시켜 효율적인 전기의 생산을 유도하고, 그 생산된 전기는 제2전송부(54)를 통해서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여 상기 배터리(20)의 효율적인 충전이 유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80)의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는 상기 이송부(55)의 모터(55a) 작동을 제어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충전판(52)이 외부의 존재하는 물건 등과 충돌하지 않도록 제어함은 물론이다.
그런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를 통해 상기 배터리(20)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제어를 통한 상기 이송부(55)의 작동으로 상기 충전판(52)을 다시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이송 수용시켜 태양광을 통한 효율적인 충전을 완료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배터리(20)의 충전이 완료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100)은 제2컨넥터(70)와 외부의 전자기기(1)와 연결하는 전원케이블(2)을 통해 상기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내장배터리(1a)가 간편히 충전되도록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를 충전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이 소모되면 상기와 같은 충전방법으로 다시 배터리(20)를 간편히 충전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전자기기 1a. 내장배터리
2. 전원케이블
10. 케이스 20. 배터리
30. 제1컨넥터 31. DC-AC 컨버터
40. 제1태양광 충전부 41. 제1태양 셀
42. 제1전송부 42a, 54a. DC-DC 컨버터
50. 제2태양광 충전부 51. 수용홈
52. 충전판 53. 제2태양 셀
54. 제2전송부 55. 이송부
55a. 모터 55b. 제1기어
55c. 안내봉 55d. 제2기어
55e. 고정베어링 55f. 이송체
60. 마이크로프로세서 70. 제2컨넥터
80. 근접센서
100.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Claims (4)

  1.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 전기가 충전 저장되는 배터리(20);
    외부의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는 것으로, DC(direct current)-AC 컨버터(converter:31)를 포함하는 제1컨넥터(connector:30);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배치 노출되는 것으로,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다수의 제1태양 셀(41)과, 상기 제1태양 셀(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태양 셀(41)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42a)를 포함하는 제1전송부(42)로 구성되는 제1태양광 충전부(40);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맑은 날에 태양의 빛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제2태양광 충전부(50);
    상기 제1 및 제2 태양광 충전부(40,50)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60); 및
    일단은 상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전자기기(1)와 연결되는 전원케이블(2)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0)의 전원을 전자기기(1)의 내장배터리(1a)로 전송되도록 하는 제2컨넥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51)과,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51)에 수용되는 충전판(52)과, 상기 충전판(52)에 결합 고정되되, 상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제2태양 셀(53)과, 상기 제2태양 셀(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태양 셀(53)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제공받아 상기 배터리(20)로 전송하되, 날씨에 따라 크게 변동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일정한 DC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54a)를 포함하는 제2전송부(54)와, 상기 충전판(52)을 이송시켜 상기 충전판(52)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수용되게 하는 이송부(55)와,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로 송신하는 조도센서(5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상기 배터리(20)의 충전량을 기반으로 상기 제2태양광 충전부(50)의 작동 유무를 결정하며, 상기 이송부(55)는 상기 조도센서(56)의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제어를 통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55)는,
    상기 배터리(2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는 모터(55a)와,
    상기 모터(55a)의 축(55a') 상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55a)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55b)와,
    긴 봉 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나사산(55c')이 형성되는 안내봉(55c)과,
    상기 안내봉(55c)의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제1기어(55b)와 치합되어 상기 제1기어(55b)가 회전되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안내봉(55c)을 회전시키는 제2기어(55d)와,
    상기 안내봉(55c)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55c)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베어링(55e)과,
    상부는 상기 충전판(52)과 결합되되, 상기 안내봉(55c)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봉(55c)이 회전되면 상기 안내봉(55c)을 타고 상기 충전판(52)과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는 이송체(55f)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모터(55a)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 제어를 통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하나 이상의 근접센서(80);를 설치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60)에서는 상기 근접센서(80)에서 감지하는 감지정보를 수신받고, 그 감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부(55)의 모터(55a)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KR1020130150294A 2013-12-05 2013-12-05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KR10155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94A KR101556785B1 (ko) 2013-12-05 2013-12-05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294A KR101556785B1 (ko) 2013-12-05 2013-12-05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33A KR20150065233A (ko) 2015-06-15
KR101556785B1 true KR101556785B1 (ko) 2015-10-02

Family

ID=5350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294A KR101556785B1 (ko) 2013-12-05 2013-12-05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94A1 (ko) * 2018-10-16 2020-04-23 (주)에너캠프 스마트 밸런싱 에너지 충전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233A (ko) 201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66418U (zh) 可携式电力供应装置
KR102107768B1 (ko) 보조 전원을 내장한 무선 충전 장치와 보조 전원 장치
CN104753107A (zh) 无线充电传输装置
US9531213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4659868A (zh) 一种无线充电功能包
CN103219773A (zh) 一种便携式太阳能电源装置
US8395348B1 (e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mode charging
CN103915658A (zh) 无线充电方法及其装置
US20110260674A1 (en) Carrying cas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56785B1 (ko) 인공지능형 태양광 충전 배터리 팩
KR20150001549A (ko) 무선충전식 태양광 보조배터리 시스템
CN203942301U (zh) 多功能太阳能移动电源
KR101390235B1 (ko) 태양광 모듈을 구비한 전동스쿠터
CN103997090A (zh) 一种可折叠太阳能移动电源
KR101077947B1 (ko) 태양 전지 충전 장치가 갖추어진 배낭
CN205540624U (zh) 全智能自动充放电无线鼠标
CN110161336A (zh) 检测机器人
CN202680967U (zh) 一种太阳能充电背包
KR101311436B1 (ko) 공유영역 내 무선 전력 전파망을 이용한 클라우딩 충전시스템
CN202906531U (zh) 一种无线话筒充电装置
KR101792219B1 (ko) 휴대용 보조배터리가 구비된 자전거 손잡이
US20160028259A1 (en) Portable Charging Assembly
CN208190291U (zh) 一种便捷型可供电式无人机充电放电线
KR101120946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CN104659851B (zh) 一种风光发电无线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