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601B1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601B1 KR101556601B1 KR1020140093033A KR20140093033A KR101556601B1 KR 101556601 B1 KR101556601 B1 KR 101556601B1 KR 1020140093033 A KR1020140093033 A KR 1020140093033A KR 20140093033 A KR20140093033 A KR 20140093033A KR 101556601 B1 KR101556601 B1 KR 1015566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xel
- image
- voxels
- unit
- coordin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G06F15/17356—Indirect interconnection networks
- G06F15/17368—Indirect interconnection networks non hierarchical topologies
- G06F15/17387—Three dimensional, e.g. hyperc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age Genera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2 는 영상 표시부에 표시된 단면 영상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3 은 시선 추적부가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한 시선 위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4 는 중요도 판별부에 의해 별도로 추출되는 복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추출되는 관심 영역의 일에를 나타낸다.
도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나타낸다.
도6 은 도5 의 복셀 리스트 획득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7 은 도5 의 클러스터 세트 획득 단계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2)
- 복수개의 단면 영상을 구비하는 3차원 볼륨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복수개의 단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시선의 위치 좌표값을 측정하여 상기 시선의 이동 경로 좌표의 집합인 복수개의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획득하는 시선 추적부;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복수개의 복셀 각각이 나타난 빈도수에 따라 복셀 리스트를 획득하고, 상기 복셀 리스트에서 서로 인접한 복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획득되는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거리 및 크기에 따라 재그룹화 및 선별함으로써,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 영역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관심영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빅 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 추출부는
상기 화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값을 갖는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좌표값을 갖는 위치점 세트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부;
상기 위치점 세트에서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상기 복수개의 복셀 각각이 나타난 빈도수에 따라 빈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빈도 히스토그램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가중치를 부가하고 평활화하며, 평활화된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의 상기 복수개의 복셀 중 기설정된 기준 빈도값 이상의 빈도를 갖는 복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복셀 리스트를 추출하는 중요도 판별부;
상기 복셀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복셀들 중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를 획득하고, 상기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 중 서로 인접한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병합한 후, 상기 복셀 클러스터 세트의 크기를 분석하여 최종 클러스터 세트를 선별하는 클러스터 획득부; 및
상기 최종 클러스터 세트에 포함된 복셀들의 좌표값 중 각 좌표축 방향별 최대값 및 최소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각 좌표축 방향별 최대값 및 최소값에 대응하는 영역을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관심영역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요도 판별부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이 표시된 후, 상기 화면 상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 구간 내에서 시간의 흐름에 비례하여 상기 가중치를 증가시키고,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복셀들 각각에 상기 가중치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획득부는
상기 복셀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복셀들에 대해 상호 인접 연결성 분석을 수행하여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복셀들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획득부는
상기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 중 서로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에 배치된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병합하고, 상기 복셀 클러스터 세트 중 기설정된 기준 크기 이상인 상기 복셀 클러스터 세트를 상기 최종 클러스터 세트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변환부는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이용한 좌표 변환 함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상기 위치점 세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 영상 획득부, 영상 표시부, 시선 추적부, 관심영역 추출부 및 빅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부가 복수개의 단면 영상을 구비하는 3차원 볼륨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복수개의 단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선 추적부가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을 기설정된 추적하여 상기 시선의 이동 경로 좌표의 집합인 복수개의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심영역 추출부가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복수개의 복셀 각각이 나타난 빈도수에 따라 복셀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심영역 추출부가 상기 복셀 리스트에서 서로 인접한 복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심영역 추출부가 상기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거리 및 크기에 따라 재그룹화 및 선별하여 최종 클러스터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관심영역 추출부가 상기 최종 클러스터 세트를 분석하여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상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빅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관심영역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해 이용한 좌표 변환 함수의 역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에 대응하는 2차원 좌표값을 갖는 상기 시선 화면 좌표점 세트를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좌표값을 갖는 위치점 세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셀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점 세트에서 상기 3차원 볼륨 영상의 상기 복수개의 복셀 각각이 나타난 빈도수에 따라 빈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에 기설정된 방식으로 가중치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가중치가 부가된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을 평활화하는 단계; 및
평활화된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의 상기 복수개의 복셀 중 기설정된 기준 빈도값 이상의 빈도를 갖는 복셀들로 구성되는 상기 복셀 리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를 부가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이 표시된 후, 상기 화면 상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상이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 구간 내에서 시간의 흐름에 비례하여 상기 가중치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빈도 히스토그램에 대응하는 상기 복셀들 각각에 상기 가중치를 부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셀 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복셀들에 대해 상호 인접 연결성 분석을 수행하여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복셀들을 판별하는 단계;
서로 인접한 것으로 판별된 상기 복셀들을 클러스터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 중 기설정된 기준 거리 이내로 서로 인접한 복셀 클러스터 세트들을 병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복셀 클러스터 세트 중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 크기 이상인 복셀 클러스터 세트를 상기 최종 클러스터 세트로 선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 클러스터 세트에 포함된 복셀들의 좌표값 중 각 좌표축 방향별 최대값 및 최소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상기 각 좌표축 방향별 최대값 및 최소값에 대응하는 영역을 상기 관심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3033A KR101556601B1 (ko) | 2014-07-23 | 2014-07-23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PCT/KR2015/007659 WO2016013881A1 (ko) | 2014-07-23 | 2015-07-23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3033A KR101556601B1 (ko) | 2014-07-23 | 2014-07-23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6601B1 true KR101556601B1 (ko) | 2015-10-01 |
Family
ID=5433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30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56601B1 (ko) | 2014-07-23 | 2014-07-23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601B1 (ko) |
WO (1) | WO201601388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74413A (ko) | 2015-12-22 | 2017-06-3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모델을 활용한 2d 영상 학습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
WO2019092722A1 (en) * | 2017-11-12 | 2019-05-16 | Bioeye Ltd. | A method and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neurodegeneration using progressive tracking of eye-marker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740B1 (ko) | 2006-08-28 | 2008-06-10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7035B1 (ko) * | 2009-03-24 | 2012-03-15 |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 볼륨 데이터에 표면 렌더링을 수행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
KR102001219B1 (ko) * | 2012-11-26 | 2019-07-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료 영상들의 정합 방법 및 장치 |
KR101440360B1 (ko) * | 2013-11-19 | 2014-09-18 | 주식회사 아이엑스 | 차량용 엔진의 발전전압 또는 배터리 전압 및 흡입라인 진공도 측정 파형을 이용한 엔진 상태 검사 방법 |
-
2014
- 2014-07-23 KR KR1020140093033A patent/KR10155660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
- 2015-07-23 WO PCT/KR2015/007659 patent/WO201601388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6740B1 (ko) | 2006-08-28 | 2008-06-10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74413A (ko) | 2015-12-22 | 2017-06-3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모델을 활용한 2d 영상 학습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
KR101964282B1 (ko) * | 2015-12-22 | 2019-04-01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모델을 활용한 2d 영상 학습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그 생성방법 |
WO2019092722A1 (en) * | 2017-11-12 | 2019-05-16 | Bioeye Ltd. | A method and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neurodegeneration using progressive tracking of eye-markers |
US11670423B2 (en) | 2017-11-12 | 2023-06-06 | Bioeye Ltd. | Method and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neurodegeneration using progressive tracking of eye-mark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13881A1 (ko) | 2016-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9782B1 (ko) |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사람 검출 방법 및 장치 | |
US8180161B2 (en) | Image classification device and image classification program | |
US9767604B2 (en) | Image analysis method by analyzing point cloud using hierarchical search tree | |
US9092662B2 (en) | Pattern recognition method and pattern recognition apparatus | |
KR101599219B1 (ko) | 3차원 의료 영상에서 랜드마크들의 자동 등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102042202B1 (ko) | 의료영상에서 병변을 분할하는 장치 및 방법 | |
KR100799990B1 (ko) | 2차원 영상의 3차원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 |
CN106920250B (zh) | 基于rgb-d视频的机器人目标识别与定位方法及系统 | |
KR101789071B1 (ko) | 깊이 영상의 특징 추출 방법 및 장치 | |
US2016025989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iability for computer aided diagnosis | |
CN104508704A (zh) | 人体测量 | |
JP2006524394A (ja) | 画像における人体輪郭描写 | |
JP2015061239A (ja) | 撮像管理システム、撮像管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JP2009140009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 |
KR20150120774A (ko) | 관심영역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KR20150024719A (ko) | 영상에서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JP2016099835A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9211138A (ja) | 対象領域抽出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 |
US20170053172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US20240135552A1 (en) | Object feature extraction device, object feature extra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 |
KR101556601B1 (ko) | 3차원 볼륨 영상의 빅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구축 장치 및 방법 | |
US20150093001A1 (en) | Image segment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Zhou et al. | Computation and memory efficient image segmentation | |
KR101931220B1 (ko) | 인체 부위 측정 장치 및 방법 | |
CN112529900A (zh) | 匹配乳腺图像中roi的方法、装置、终端与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704 |